KR20050048942A - Ppg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 Google Patents

Ppg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942A
KR20050048942A KR1020030082693A KR20030082693A KR20050048942A KR 20050048942 A KR20050048942 A KR 20050048942A KR 1020030082693 A KR1020030082693 A KR 1020030082693A KR 20030082693 A KR20030082693 A KR 20030082693A KR 20050048942 A KR20050048942 A KR 20050048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pg
respiratory
signal
spirometer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일
김인영
이상민
우지환
조백환
권세윤
유민종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한양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한양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한양학원
Priority to KR1020030082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8942A/ko
Publication of KR20050048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94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05Simultaneously evaluating both cardiovascular conditions and different types of body conditions, e.g. heart and respirator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6Measuring blood flow
    • A61B5/0261Measuring blood flow using optical means, e.g. infrared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25Hand
    • A61B5/6826F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AREA)

Abstract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폐활량계 장치는 호흡기류와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로서, 소정의 측정 신체 부위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빛을 감지함으로써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PPG 신호를 발생하는 PPG 측정기; 외부로부터 호흡관으로 입력되는 호흡기류를 측정하여 호흡기류 신호를 발생하는 호흡기류 측정기; 및 PPG 신호 및 호흡기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호흡기류 측정기에 의한 호흡기류의 측정과 PPG 측정기에 의한 혈류량의 변화의 측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흡검사시 호흡기류 및 심장 박동수를 개별적으로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Description

PPG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Spirometer having PPG measurement function}
본 발명은 폐활량 측정 및 분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호흡기류와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하여 분석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호흡 검사시 폐활량 측정과 심장의 심장 박동수의 측정은 환자의 환기능(ventilation) 장애 여부와 심장 질환(심근경색, 심방세동 등)을 검사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폐활량 측정 방법은 크게 두 가지 타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피검사자가 호흡하는 동안에 폐용적(lung volume)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피검사자가 호흡하는 동안에 폐 내외로 유동하는 공기의 기류를 감지 및 측정하는 호흡기류 측정 방법이다.
과거에는 폐활량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폐용적의 변화능력을 직접 측정하는 전자의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대부분 호흡기류를 측정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된다.
통상의 호흡기류 측정 방식은 비강 입구에서 호흡기류의 온도나 압력을 모니터링하는 비침습적인 기술로 호흡관을 통하여 호흡기류를 불어 넣고 호흡관 내부에 부착된 호흡감지센서가 호흡기류의 온도나 압력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한편,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방법은 고전적인 심전도(Electrocardiogram, ECG) 측정 방법과 포토-플레시스모그래피(PPG: Photo-plethysmography, 이하 PPG라고 함)를 기반으로 하여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고전적인 심전도 측정 방법은 여러 개의 전극을 가슴에 부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기에 불편하고 환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은 PPG를 이용한 심장 박동수 측정 방법으로 해결될 수 있는데, PPG 측정 방법은 신체와의 단 하나의 접촉면을 통해 심장 박동수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때문에 여러 개의 전극을 부착하는 고전적인 심전도 측정 방법 보다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호흡 검사시 호흡기류 및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없어, 양자를 따로 측정하고 따로 분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기존 PPG 방법을 이용한 심박동수의 측정 방법은 측정 부위(예를 들어, 손)를 움직일 경우에 발생하는 동잡음(motion artifact)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정확한 심장 박동수의 측정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호흡기류와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하여 분석함으로써 개별 측정의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호흡기류와 심장 박동수 동시 측정 장치, 즉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PPG를 측정할 때의 손의 움직임으로 인한 동적 잡음(motion artifact)을 줄여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심장 박동수의 측정이 가능한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호흡기류와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측정 신체 부위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빛을 감지함으로써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PPG 신호를 발생하는 PPG 측정기; 외부로부터 호흡관으로 입력되는 호흡기류를 측정하여 호흡기류 신호를 발생하는 호흡기류 측정기; 및 상기 PPG 신호 및 상기 호흡기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기류 측정기에 의한 상기 호흡기류의 측정과 상기 PPG 측정기에 의한 상기 혈류량의 변화의 측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PPG 측정기는 상기 소정의 측정 신체 부위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광전용적센서; 상기 광전용적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PPG 필터; 및 상기 PPG 필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을 증폭하는 PPG 신호 증폭부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PPG 측정기는 상기 광적용적 센서를 상기 호흡관에 결합시키기 위한 PPG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PPG 지지대는 상기 호흡관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호흡기류와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류가 입력되어 통과되는 호흡관; 상기 호흡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호흡기류를 감지하여 호흡기류 신호를 발생하는 호흡 감지센서; 상기 호흡관에 탈부착 가능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포토-플레시스모그래피(Poto-plethysmography, 이하 PPG라 함) 측정을 위한 소정의 신체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측정 부위 삽입 장치; 상기 측정 부위 삽입 장치에 부착되며, 상기 소정의 신체 부위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PPG 신호를 발생하는 광전용적센서; 및 상기 호흡관에 연결되는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PPG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심장 박동수를 산출하고, 상기 호흡기류 신호를 분석하는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는 PPG 측정기(10), 호흡기류 측정기(20) 및 중앙처리장치(30)를 포함한다.
PPG 측정기(10)는 소정의 측정 신체 부위에 빛을 조사하여 반사된 빛에 상응하여 혈류량의 변화를 나타내는 PPG 신호를 발생한다. PPG 측정기(10)는 광전 용적 센서(11), PPG 필터(12) 및 PPG 신호 증폭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는, 소정의 측정 신체 부위는 손가락인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나, PPG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신체 부위는 달라질 수 있다.
광전용적센서(11)는 심장 박동에 의한 동맥 내 압력 변화에 따라 빛의 흡수 및 반사 정도가 변화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광전용적센서(11)는 피검사자의 손가락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발광부(11A)와 피검사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조사되어 반사된 빛을 감지하여 PPG 신호를 발생하는 수광부(11B)를 포함한다. 즉, 발광부(11A)로부터 방출된 빛이 측정 부위인 피검사자의 손가락에 조사되고, 이로부터 반사된 빛이 수광부에 의해 감지된다. 수광부(11B)는 감지된 빛에 상응하여 PPG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심장 박동에 의한 손가락의 혈관 내의 혈류량의 변화에 따라, 수광부(11B)에 수신되는 빛의 세기 또는 양이 달라지므로, PPG 신호는 손가락의 혈관 내의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한 신호이다. 빛의 조사와 반사된 빛의 감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광전용적센서(11)는 측정 신체 부위인 손가락이 삽입되기 쉬운 형태를 가지는 측정 부위 삽입 장치(도 2의 15 참조)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된 손가락을 움직임이 없도록 고정시키기 위하여, 광전용적센서(11) 또는 광전용적센서(11)가 부착된 측정 부위 삽입 장치(도 2의 15)를 PPG 지지대(도 2의 14 참조)에 연결시키고, 이 지지대를 호흡관(21)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전용적센서(11)가 부착된 측정 부위 삽입 장치(15), PPG 지지대(도 2의 14 참조) 및 호흡관(21)의 연결이나 결합 형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된다.
PPG 필터(12)는 광전용적센서(11)로부터 측정된 PPG 신호를 필터링하여 고잡음 성분을 제거한다. 이는 PPG 신호로부터 심장 박동수와 관련된 신호 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함이다. PPG 필터(12)는 저역 통과 필터(low-pass filter) 및/또는 대역통과필터(band-pass filter)를 포함하여 구현된다.
PPG 신호 증폭부(13)는 PPG 필터(12)로부터 고잡음 성분을 제거한 PPG 신호를 원하는 신호 레벨로 증폭한다. 측정된 PPG 신호, 즉 광전용적 센서(11)에서 발생되는 신호가 원하는 신호 레벨에 비하여 낮을 수 있기 때문에, PPG 신호 증폭부(13)에서의 신호 증폭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측정된 PPG 신호의 레벨이 충분하다면, PPG 신호 증폭부(13)는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증폭된 PPG 신호는 중앙처리 장치(30)로 입력된다.
호흡기류 측정기(20)는 호흡관(21), 호흡감지센서(22), 호흡필터(23), 호흡신호 증폭부(24)를 포함한다.
호흡관(21)은 피검사자로 하여금 호흡기류를 불어 넣도록 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흡관(21)은 가운데 부분이 뚫려 있어, 호흡기류가 통할 수 있는 통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즉, 호흡관(21)의 한 쪽으로는 호흡기류가 입력되고 반대편으로는 호흡기류가 출력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2에는 원통형의 호흡관(21)이 도시되나, 형태는 변형 가능하다.
호흡감지센서(22)는 호흡관(21) 내부에 위치되어, 호흡관(21)으로 들어오는 호흡기류의 온도나 압력을 감지하여 호흡기류 신호를 발생한다. 호흡감지센서(22)에서 측정된 호흡기류 신호는 호흡필터(23)에서 잡음이 제거되고, 호흡 신호 증폭부(24)에서 신호 레벨이 증폭된 다음, 중앙처리 장치(30)로 입력된다.
중앙처리 장치(30)는 호흡기류 신호와 PPG 신호를 동시에 비교 분석하여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중앙처리 장치(30)는 PPG 수신부(31), 호흡 수신부(32), 분석부(33) 및 저장부(34)를 포함한다.
PPG 수신부(31)와 호흡 수신부(32)는 각각 PPG 신호와 호흡기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부(33)로 전달한다. 분석부(33)는 수신되는 두 신호(PPG 신호와 호흡기류 신호)를 동시에 분석한다. 분석부(33)는 PPG 신호 분석을 통하여 평균 심장 박동수를 산출한다. PPG 신호 분석의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설정된 구간 안에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는 PPG 신호를 피크로 정하고, 처음 발생한 피크로부터 소정의 측정 시간(예를 들어, 10초)동안의 피크를 측정하여 단위시간(예를 들어, 분)당 평균 심장 박동수를 계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분석부(33)는 또한 호흡기류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기류 변화를 분석하고, 호흡기류 변화를 나타내는 분석 데이터를 추출한다.
분석 결과물, 즉 분석부(22)에 의하여 각각 분석된 데이터는 저장부(34)에 저장된다. 저장부(34)는 중앙 처리 장치(30)의 내부 저장부일 수도 있고, 외부의 저장부일 수도 있다. 저장부(34)가 중앙 처리 장치(30)의 내부 저장부인 경우에는 에스램(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표시부(40)는 측정되고 분석된 피검사자의 호흡기류 및 심장 박동수를 수치 및/또는 그래프 등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40)는 도 2에 도시되는 폐활량계 장치의 본체(60)의 바깥쪽 표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부(40)가 폐활량계 장치에 구비되지 않고, 외부의 표시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분석 결과물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폐활량계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표시 장치- PC(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이동통신 단말기 등-를 통하여 측정/분석 결과물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측정/분석 데이터 중 텍스트와 같이 간단한 데이터는 본체(도 2의 60)에 배치되는 표시부(40)를 통해서 디스플레이하고, 그래프 등은 본 발명의 장치에 연결되는 외부의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다.
표시부(40)로는 액정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소자(LED: light-emitting diode), 7-세그먼트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폐활량계 장치는 크게 호흡관(21), 호흡기류 감지센서 부분(50), 본체(60), PPG 지지대(14) 및 측정 부위 삽입 장치(15)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호흡관(21)은 원통형으로 구현되어 있다. 호흡 감지 센서 부분(50)은 도 1에 도시된 호흡감지 센서(22), 호흡필터(23) 및 호흡 신호증폭부(24)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본체(60)는 도 1에 도시된 중앙처리 장치(30), PPG 필터(12), PPG 신호 증폭부(13)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60)의 외측에는 표시부(4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신체 부위인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호흡관(21)에 부착/탈착될 수 있는 PPG 지지대(14)가측정 부위 삽입 장치(15)에 연결된다. PPG 지지대(14)는 동잡음(motion artifact)의 영향으로 부정확한 심장박동수가 측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광전용적센서(11)를 호흡관(21)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전용적센서(11)는 도 2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측정 부위 삽입 장치(15)의 내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측정 부위 삽입 장치(15)에 폭 1cm 정도의 PPG 지지대(14)를 부착하고, PPG 지지대(14)를 호흡관(21)에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흡관 교체에 따른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PPG 지지대(14)의 모양은 U자형, O자형, C자형 등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PG 지지대(14)의 재질 역시 탈부착이 용이한 재질이 바람직한데, 고무,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PPG 지지대(14)의 형태 및 호흡관(21)과 결합되는 예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다.
도 3a에 도시된 PPG 지지대(14A)는 U자형이다. 지지대(14A)와 호흡관(21)을 결합한 모습이 우측에 도시된다. 도 3b에 도시된 PPG 지지대(14B)는 O자형이다. 지지대(14B)와 호흡관(21)을 결합한 모습이 우측에 도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에 손가락 삽입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PPG 지지대(14)에 연결된 측정 부위 삽입 장치(15)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또한 손으로 폐활량계 장치의 본체(60)를 감싸쥠으로써, 손가락의 움직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가능하게 구현됨으로써, 측정이 간편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폐활량계 장치를 사용하여 호흡검사시 호흡기류 및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호흡기류 및 심장 박동수를 개별적으로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든다. 또한, PPG 지지대를 구성하고 호흡관에 결합시킴으로써, PPG를 측정할 때 손의 움직임으로 인한 동잡음(motion artifact)이 줄어 들어, 심장박동수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의 일 구현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PPG 지지대의 형태 및 호흡관과 결합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에 손가락 삽입한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15)

  1. 호흡기류와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측정 신체 부위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빛을 감지함으로써 혈류량의 변화를 측정하여 PPG 신호를 발생하는 PPG 측정기;
    외부로부터 호흡관으로 입력되는 호흡기류를 측정하여 호흡기류 신호를 발생하는 호흡기류 측정기; 및
    상기 PPG 신호 및 상기 호흡기류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중앙처리 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호흡기류 측정기에 의한 상기 호흡기류의 측정과 상기 PPG 측정기에 의한 상기 혈류량의 변화의 측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PG 측정기는
    상기 소정의 측정 신체 부위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광전용적센서;
    상기 광전용적 센서에서 발생되는 신호의 잡음을 제거하는 PPG 필터; 및
    상기 PPG 필터의 출력 신호의 레벨을 증폭하는 PPG 신호 증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PPG 측정기는
    상기 광적용적 센서를 상기 호흡관에 결합시키기 위한 PPG 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PG 지지대는
    상기 호흡관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PG 측정기는 상기 소정의 측정 신체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측정 부위 삽입 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전용적센서는 상기 측정 부위 삽입 장치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PG 지지대는
    고무, 플라스틱, 알루미늄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측정 신체 부위는 손가락이고,
    상기 광적용적 센서는 상기 손가락이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 장치는
    상기 PPG 신호와 상기 호흡기류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여, 상기 PPG 신호를 이용하여 평균 심장 박동수를 산출하고, 상기 호흡기류 신호를 이용하여 호흡기류 변화 데이터를 산출하는 분석부; 및
    상기 평균 심장 박동수 및 상기 호흡기류 변화 데이터를 포함하는 분석 결과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는
    상기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와 연결되는 외부 표시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 장치는
    컴퓨터, PDA, 이동통신 단말기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11. 호흡기류와 심장 박동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류가 입력되어 통과되는 호흡관;
    상기 호흡관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호흡기류를 감지하여 호흡기류 신호를 발생하는 호흡 감지센서;
    상기 호흡관에 탈부착 가능한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고, 포토-플레시스모그래피(Poto-plethysmography, 이하 PPG라 함) 측정을 위한 소정의 신체 부위가 삽입될 수 있는 측정 부위 삽입 장치;
    상기 측정 부위 삽입 장치에 부착되며, 상기 소정의 신체 부위에 빛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여 PPG 신호를 발생하는 광전용적센서; 및
    상기 호흡관에 연결되는 본체
    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상기 PPG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심장 박동수를 산출하고, 상기 호흡기류 신호를 분석하는 중앙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신체 부위는 손가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손가락을 상기 측정 부위 삽입 장치에 삽입한 상태에서, 손으로 감싸쥘 수 있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한 분석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PPG 지지대는
    O자형, U자형 및 C자형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PG 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KR1020030082693A 2003-11-20 2003-11-20 Ppg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KR200500489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693A KR20050048942A (ko) 2003-11-20 2003-11-20 Ppg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693A KR20050048942A (ko) 2003-11-20 2003-11-20 Ppg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942A true KR20050048942A (ko) 2005-05-25

Family

ID=3724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693A KR20050048942A (ko) 2003-11-20 2003-11-20 Ppg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894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ebuck et al. The accuracy and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simplified ear oximeter
US7209775B2 (en) Ear type apparatus for measuring a bio signal and measuring method therefor
KR101607116B1 (ko) 사용자의 활력 징후들을 측정하고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
US7570979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atient monitoring
EP14406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human stress using photoplethysmography
US7606668B2 (en) Gas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8133176B2 (en) Method and circuit for indicating quality and accuracy of physiological measurements
US7094208B2 (en) Spirometer
Takla et al. The problem of artifacts in patient monitor data during surgery: a clinical and methodological review
CA2673460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iding in the detection of a physiological abnormality
EP1871221B1 (en) Human cavity gas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US20120165623A1 (en) Relational Thermorespirometer Spot Vitals Monitor
KR20110073745A (ko) 휴대형 폐활량계
US8361801B2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aiding in the detection of a physiological abnormality
US20150223736A1 (en) System & method for determining blood component concentration
US5134284A (en) Method of testing the accuracy of pulse oximeters and device therefor
US20060100537A1 (en) Spirometer
KR20100114330A (ko) 심전도와 심음을 포함한 생체 신호의 동시 측정 및 분석을 위한 휴대형 측정기
US20080214943A1 (en) Detection of Blood Flow Using Emitted Light Absorption
KR20050048942A (ko) Ppg측정 기능을 가지는 폐활량계 장치
Meredith et al. Evaluation of a mainstream capnometer and end‐tidal carbon dioxide monitoring in mechanically ventilated infants
Poets Continuous monitoring techniques
Samuel et al. Embedded Based Low Cost Pulse Oximeter
Stoker Common errors in clinical measurement
CN109452944B (zh) 基于荧光脉搏波的血液荧光物质无创检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