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8181A -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8181A
KR20050048181A KR1020030082034A KR20030082034A KR20050048181A KR 20050048181 A KR20050048181 A KR 20050048181A KR 1020030082034 A KR1020030082034 A KR 1020030082034A KR 20030082034 A KR20030082034 A KR 20030082034A KR 20050048181 A KR20050048181 A KR 20050048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synchronous
asynchronous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2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1851B1 (ko
Inventor
주재영
이상연
함희혁
김수진
신범수
한경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2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851B1/ko
Publication of KR20050048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12Mobility data transfer between location registers or mobility ser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호연동 운용부를 이용한 핸드오버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서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는 각각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및 상호연동 운용부에 접속되며, 상호연동 운용부는 비동기 교환기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가입 정보를 수신하고, 동기 교환기로 동기 시스템 정보 및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가입 정보를 전송하고 동기 교환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간에 중계선이 설정되도록 하며, 이동통신 단말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접속되어 동기 교환기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받으면, 비동기 교환기로 무선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비동기망과 동기망의 경계 지역에서 통화 단절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세대간 서비스 차이를 극복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구현에 필요한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Mix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of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having Handover Fun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in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간의 신호 교환을 위한 상호연동 운용부를 이용한 음성통화 중의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망은 세대를 거듭하여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는 2세대 또는 2.5세대망이라 불리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CDMA 이동통신 시스템)과 3세대망이라 불리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WCDMA 이동통신 시스템)이 공존하고 있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망 기술의 발전과 함께, 동기 방식의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의 시스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Dual Band Dual Mode Terminal; DBDM 이동통신 단말)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함에 의해 비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및 동기 방식 시스템 영역 각각에서 각기 다른 방식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DBDM 이동통신 단말은 안테나,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인 동기 모뎀부,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인 비동기 모뎀부 및 공통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은 아직 서비스 초기 단계에 있으며, 시스템 구현에 막대한 투자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넓은 지역을 서비스할 수 없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 중첩된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이 제한되기 때문에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자가 비동기 영역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동기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호가 단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공존하고 있고,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보다 작은 경우 비동기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간의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핸드오버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서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간의 상호연동 운용부를 이용하여 통화 단절 현상 없이 연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서 음성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이 무선망 제어기로 핸드오버를 요청하고, 비동기 교환기가 무선망 제어기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수신하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핸드오버인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별하여 핸드오버 타깃에 적합한 핸드오버 절차를 수행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는 상호연동 운용부에 의해 상호 접속되고, 상기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는 각각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에 접속되며,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가입 정보 및 동기 가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비동기 교환기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가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로 동기 시스템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가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간에 중계선이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접속되어 상기 동기 교환기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받으면,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무선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10)은 듀얼 밴드 듀얼 모드(이하, 'DBDM'이라 함) 이동통신 단말로서,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와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 가능한 형태이며, 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인 동기 모뎀부, 비동기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모듈인 비동기 모뎀부 및 공통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과 각각 무선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은 이동통신 단말(10)과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한 기지국으로서의 노드 B 및 노드 B의 제어를 위한 무선망 제어기(노드B/RNC, 210), 무선망 제어기(210)와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호 교환을 수행하는 비동기 교환기(MSC, 220), 무선망 제어기(RNC)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40) 사이에 연결되어 이동통신 단말(10)의 위치 트랙을 유지하고 액세스 제어 및 보안 기능을 수행하는 SGSN(Serving GPRS Support Node, 230), SGSN(230)와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망(240)을 통해 연결되고, IP망(70)에 접속되어 외부 패킷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 250)을 포함한다.
또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은 이동통신 단말(10)과 무선 구간 통신을 지원하는 기지국 및 기지국을 제어하기 위한 기지국 제어기(BTS/BSC, 310), 하나 이상의 기지국 제어기와 연결되어 호 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교환기(MSC, 320), 기지국 제어기(BSC)와 접속되어 가입자에게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330),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330)와 IP망(70) 간의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 코어망(DCN, 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의 교환기(220, 320)는 상호연동 운용부(Interworking Interoperability Function; IIF, 60)에 의해 상호 접속되어 있으며,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부터 전송되는 비동기 메시지를 동기 메시지로 변환하여 동기 교환기(320)로 전송하고,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관리한다.
비동기 교환기(220) 및 동기 교환기(320)는 또한, No.7 공통신호망(40)에 상호 접속되고, 이를 통해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D-HLR, 50)와 접속되며,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50)는 DBDM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가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비동기 및 동기 교환기(220, 320)이 핸드오버 등의 서비스 수행시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영역에 위치하여 음성통화를 이용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10)은 노드B와의 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노드B로 보고하며, 노드B와의 신호세기가 지정된 문턱값 이하로 저하되면, 노드B는 RNC를 통해 비동기 교환기(220)로 핸드오버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보고한다. 이때, 노드B/RNC(21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 이동통신 단말(10)이 검출한 인접 셀 정보, 기지국 ID 등을 함께 전송한다.
비동기 교환기(220)는 RNC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RNC로부터 수신한 인접 셀 정보, 기지국 ID 등을 참조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내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인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단한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내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인 경우 비동기 교환기(220)는 인접 셀로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한편,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의 핸드오버인 경우에는 IIF(60)를 통해 동기 교환기(320)로 핸드오버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IIF(60)는 비동기 메시지를 동기 메시지로 변환하여 동기 교환기(320)로 전송하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기 구축하여 관리하여야 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에는 교환기 정보, 신호점, 데디케이트 채널(Dedicate Channel) 관련 중계선 정보 등이 포함된다. IIF(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부터의 핸드오버 요청과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에 따라 핸드오버 대상 교환기(320)를 선택하며, 핸드오버 대상 교환기 ID 등을 포함하는 빌링(Billing) ID를 생성하여 이후의 핸드오버 과정에서 활용한다.
이와 같은 핸드오버 절차를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 영역에서 음성통화를 이용하고 있던 이동통신 단말(10)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 영역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10)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부터의 신호를 감지하게 되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20)의 노드B로부터의 신호 세기 및 인접 기지국(또는 노드B)과의 신호세기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노드B로 보고한다. 이에 따라, 현재 이동통신 단말(10)과 접속되어 있는 노드B에서 이동통신 단말과 노드B와의 신호세기가 지정된 값 이하인 것을 확인하면 RNC를 통해 비동기 교환기(220)로 핸드오버를 요청한다(IU Reloc Required)(S101).
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IU Reloc Required)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를 포함한다. 또한, RNC는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수신한 인접 기지국 정보(기지국 ID), 인접 셀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하며, 비동기 교환기(220)는 이 정보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인접 셀간 핸드오버인지 또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30)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단하게 된다. RNC가 비동기 교환기(220)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IU Reloc Required)는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메시지 타입, 핸드오버 타입, 핸드오버 원인, 소스 기지국 제어기 ID, 타깃 기지국 제어기 ID, RAB(Radio Access Bearer) 정보 및 무선구간 관련 정보와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비동기 교환기(220)는 상호연동 운용부(60)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비동기 메시지를 전송한다(MAP Prep Handover Req)(S102). 이때, 상기 비동기 메시지에 확장 컨테이너를 추가하여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식별번호(MSISDN)을 함께 전송하며, 이 메시지는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인보크 ID, 타깃 셀 ID, 타깃 무선망 제어기 ID, MSISD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후,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부터 수신한 비동기 가입자 정보(MSISDN)을 참조하여,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50)로 가입자 정보를 전송해 줄 것을 요청한다(Call Data Request)(S103). 즉, 이동통신 단말(10)의 동기망 식별자(MIN, ESN)를 요청하는 것이다. 단계 S103에서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50)로 비동기 메시지(MAP_SEND_IMSI)를 이용하여 가입자의 동기망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호연동 운용부(60)의 가입자 정보 요청을 받은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50)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해당 가입자의 동기망 식별자 정보(MIN, ESN)를 추출한 후 상호연동 운용부(60)로 전송하고(Call Data Req Ack)(S104), 이를 수신한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동기 교환기(320)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며(Facilities Directive2)(S105), 동기 교환기(320)는 기지국 제어기/기지국(310)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한다(Handoff Request)(S106). 여기에서, 가입자의 동기망 식별자 정보를 요청하는 동기망 메시지(Call Data Request)는 도 5a에 도시한 것과 같이, 빌링 ID, 디지트(즉, MSISD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그 응답 메시지(Call Data Req Ack)는 ESN, MIN, MSCID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한편, 가입자의 동기망 식별자 정보를 요청할 때 비동기 메시지(MAP_SEND_IMSI)를 이용하는 경우 이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의 종류는 도 5b와 같다.
이와 같이,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동기 교환기(320)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를 전송하기 전, 빌링(Billing) ID를 생성하여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에 포함하며, 핸드오버 구간별 내부 교환기 서킷 ID(InterMSCCircuitID)를 포함하여 전송한다. 여기에서, 빌링 ID는 비동기 교환기(220)와 접속할 동기 교환기(320)의 ID 정보를 포함한다.
교환기(320)로부터 핸드오버 요청을 받은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는 전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로 널(NULL) 프레임을 전송(null Forward Traffic Channel frames)함으로써 전방향 채널이 할당되게 되고(S107), 이어서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는 교환기(320)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Handoff Request Ack)를 전송한다(S108). 또한, 교환기(320)는 상호연동 운용부(60)로 핸드오버 지시에 대한 응답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 Ack)를 전송하고(S109),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 단계 S102의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MAP Prep Handover Resp)를 전송한다(S110). 이에 따라 비동기 교환기(220)와 동기 교환기(320) 간의 중계선이 설정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논리적인 중계선 설정 식별자인 데이케이트 채널과 물리적인 중계선과의 매핑 관계를 설정하고, 이 정보를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의 내부 교환기 서킷 ID(InterMSCCircuitID)로 설정하여 동기 교환기(320)로 전송하며, 동기 교환기(320)로부터 응답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 Ack)가 전송되면 비동기 교환기(220)와 동기 교환기(320) 간에 중계선이 설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호연동 운용부(60)와 동기 교환기(320) 간에 송수신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이 빌링 ID, ESN, 내부 교환기 서킷 ID, MI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그 응답 메시지(Facilities Directive2 Ack)는 CDMA 채널 데이터, CDMA 채널 리스트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교환기간 중계선이 설정된 후, 비동기 교환기(220)는 노드B/RNC(210)로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IU Relocation Command)(S111), 이를 수신한 노드B/RNC(210)는 이동통신 단말(10)의 비동기 모뎀부로 핸드오버를 수행할 것을 요청한다(Handover from UTRAN Command)(S112). 여기에서, 자원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메시지(IU Relocation Command)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메시지 타입, RRC 컨테이너, 해제할RAB 리스트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모뎀부는 동기 모뎀부로 채널 할당 정보를 전송하고(Channel Assignment)(S113), 동기 모뎀부는 비동기 모뎀부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통보한다(Call Connection)(S114).
다음에, 상호연동 운용부(60)는 비동기 교환기(220)로 액세스 신호를 요청하는데(MAP Process Access Signaling Req)(S115), 엑세스 신호는 인보크 ID, 응용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APDU), 선택된 무선 자원 정보 등을 포함하며, 구체적인 파라미터 리스트는 도 8과 같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모뎀부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프레임 및 프리엠블을 전송하고(Reverse Traffic Channel Frames or Traffic Channel Preamble)(S116),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며(Handoff Completion Message)(S117), 이를 수신한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가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BS Ack Order)(S118).
기지국/기지국 제어기(310)는 이어서 교환기(320)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Handoff Complete)(S119), 교환기(320)는 상호연동 운용부(60)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며(Mobile On Channel)(S120), 이를 수신한 상호연동 운용부(60)가 비동기 교환기(220)로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함으로써(MAP Send End Signal Req)(S121), 비동기 교환기(220)와 노드B/RNC간에 접속이 해제되게 된다(IU Release Command, IU Release Complete)(S122, S123).
여기에서, 교환기(320)가 상호연동 운용부(60)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완료 메시지(Mobile On Channel)는 도 9와 같이 작성되며, 상호연동 운용부(60)가 비동기 교환기(220)로 전송하는 접속 해제 요청 메시지(MAP Send End Signal Req)는 도 10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아울러, 비동기 교환기(220)와 노드B/RNC간에 접속 해제를 위해 송수신하는 메시지(IU Release Command, IU Release Complete)는 각각 도 11 및 도 12와 같이 작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절차에 의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통화 중인 이동통신 단말에 대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가 완료되고 난 후, 호 해제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 해제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에 있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먼저 요청되거나,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 핸드오버한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먼저 요청될 수 있다.
어떤 측에서 호 해제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호 해제 요청을 수신한 교환기(220 또는 320)가 상호연동 운용부(60)로 호 해제 요청 메시지(Facilities Release)를 전송하고, 상호연동 운용부(60)가 이에 응답함에 따라(Facilities Ack)가 교환기간에 설정되어 있던 중계선이 해제되게 된다. 여기에서, 호 해제 요청 메시지(Facilities Release)는 도 1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내부 MSC 서킷 ID, 해제 이유, 빌링 ID, MIN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그 응답 메시지(Facilities Ack)는 빌링 ID 등과 같은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비동기 교환기는 RNC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핸드오버인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인지를 결정한다. 또한,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로 확인된 경우 상호연동 운용부(IIF)를 컨버터로 하여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교환기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면서 핸드오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상호연동 운용부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를 미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저장하고 있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 중첩되어 있고,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이 음성 통화 중에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통화 단절 현상 없이 핸드오버하도록 함으로써, 세대간 서비스 차이를 극복하고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불필요하게 넓은 영역에 걸쳐 구현하지 않아도 되므로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망과 동기망 간의 핸드오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핸드오버 방법을 위한 메시지에 포함되는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DBDM 이동통신 단말 20 :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30 :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40 : No.7 공통신호망
50 : 듀얼스택 홈위치 등록기 60 : 상호연동 운용부
70 : IP 망 210 : 노드B/무선망 제어기
220 : 비동기 교환기 230 : SGSN
240 : GPRS망 250 : GGSN
310 : 기지국/기지국 제어기 320 : 교환기
330 :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 340 : 데이터 코어망

Claims (16)

  1. 노드B, 무선망 제어기, 비동기 교환기를 포함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동기 교환기를 포함하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음성통화 중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는 상호연동 운용부에 의해 상호 접속되고, 상기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는 각각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에 접속되며,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가입 정보 및 동기 가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상기 비동기 교환기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상기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가입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로 동기 시스템 정보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 가입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로부터 응답을 수신하여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간에 중계선이 설정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접속되어 상기 동기 교환기로부터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받으면,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무선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제어기는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인접 기지국 정보를 포함하여 핸드오버를 요청하며, 상기 비동기 교환기는 상기 무선망 제어기로부터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상기 핸드오버 요청이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핸드오버인지 또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에 저장되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는 교환기 정보, 신호점, 핸드오버 대상 셀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정보를 이용하여 핸드오버할 교환기의 ID를 포함하는 빌링 ID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는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중계선 설정을 위해 상기 동기 교환기로 빌링 ID,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ESN/MIN, 내부 교환기 서킷 ID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전송하며, 상기 동기 교환기로부터 동기 채널 데이터, 코드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5. 노드B, 무선망 제어기, 비동기 교환기를 포함하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동기 교환기를 포함하는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및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가능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이동통신 단말의 음성통화 중의 핸드오버 방법으로서, 상기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는 상호연동 운용부에 의해 상호 접속되고, 상기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는 각각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에 접속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요청에 따라 상기 무선망 제어기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전송을 요청하고 수신하는 단계;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를 지시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가 상기 기지국 제어기/기지국으로 핸드오버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방향 트래픽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 지시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동기 교환기 간의 중계선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무선망 제어기로 핸드오버를 위한 자원 할당이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
    상기 무선망 제어기가 상기 노드B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핸드오버를 지시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접속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액세스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이동통신 단말이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로 역방향 트래픽 채널을 통해 프레임 및 프리엠블을 전송하고,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기지국 제어기가 상기 교환기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보고하고, 상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접속을 해제할 것을 요청하여,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노드B/무선망 제어기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망 제어기가 상기 비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인접 셀 정보, 인접 기지국 정보와, 핸드오버 타입, 핸드오버 원인, 소스 기지국 제어기 ID, 타깃 기지국 제어기 ID, RAB 정보, 무선구간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교환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인접 셀 정보, 인접 기지국 정보를 참조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내의 핸드오버인지 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핸드오버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비동기 식별번호(MSISDN)을 함께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수신하는 가입자 정보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동기망 식별자(MIN, ES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듀얼 스택 홈위치 등록기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는 동기 메시지 또는 비동기 메시지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는 상기 동기 교환기로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접속할 동기 교환기의 ID 정보를 포함하는 빌링(Billing) ID를 생성하여 핸드오버 지시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며, 핸드오버 구간별 내부 교환기 서킷 ID(InterMSCCircuitID)를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상기 동기 교환기로 전송하는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는 빌링 ID, ESN, 내부 교환기 서킷 ID, MIN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동기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전송하는 응답 메시지는 CDMA 채널 데이터, CDMA 채널 리스트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교환기가 상기 무선망 제어기로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자원 할당 완료 메시지는 메시지 타입, RRC 컨테이너, 해제할 RAB 리스트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신호는 인보크 ID, 응용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APDU), 선택된 무선 자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 교환기와 노드B/무선망 제어기 간에 접속이 해제되는 단계 이후,
    착신 또는 발신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호 해제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호 해제 요청을 수신한 교환기가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로 호 해제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상호연동 운용부가 이에 응답함에 따라 상기 비동기 교환기 및 동기 교환기간에 설정되어 있던 중계선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호 해제 요청 메시지는 내부 MSC 서킷 ID, 해제 이유, 빌링 ID, MIN을 포함하는은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는 빌링 ID를 포함하는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오버 방법.
KR1020030082034A 2003-11-19 2003-11-19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601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034A KR100601851B1 (ko) 2003-11-19 2003-11-19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2034A KR100601851B1 (ko) 2003-11-19 2003-11-19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181A true KR20050048181A (ko) 2005-05-24
KR100601851B1 KR100601851B1 (ko) 2006-07-19

Family

ID=37247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2034A KR100601851B1 (ko) 2003-11-19 2003-11-19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1851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469B1 (ko) * 1999-09-18 2007-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보조동기채널들을 구비하는 동기 이동통신시스템으로의 핸드오프 수행장치 및 방법
KR100602026B1 (ko) * 1999-11-01 2006-07-20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비동기 시스템에서 동기 시스템으로의 비동기 이동국의핸드오프 처리방법
KR100645942B1 (ko) * 1999-11-13 2006-11-14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비동기 무선 망에서 동기 무선 망으로의 비동기 이동국의핸드오프 처리방법
KR100369321B1 (ko) * 2000-08-18 2003-01-24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3세대 통신 시스템에서 2세대 통신 시스템으로의 핸드오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1851B1 (ko) 200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9794B2 (ja) 移動通信端末のハンドオーバーが可能な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し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方法
JP4764415B2 (ja) インターシステムハンドオーバー
JP2007528660A (ja) 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ハンドオーバーのための交換機間のハンドオーバー専用中継線管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JP4657286B2 (ja) 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する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通信端末のハンドオーバー方法
US7869406B2 (en) Method for hand-over in the mixed network a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and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KR100612677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음성통화중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100561685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상호연동 운용부를 통한 핸드오버를 위한 교환기간 핸드오버 전용 중계선 관리 방법
KR100612675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묵음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호연동 운용부 및 교환기간메시지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방법
KR100601851B1 (ko)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핸드오버 방법
KR100589947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핸드오버를 위한 무선자원 정보 처리 방법
KR10100517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KR100589948B1 (ko)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의 착신 얼러팅중 핸드오버 방법
KR100612679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묵음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호연동 운용부를 이용한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KR100589950B1 (ko)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가 가능한 비동기망과 동기망이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발신 이동통신 단말의 응답대기 중 핸드오버 방법
KR10061267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묵음구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의 핸드오버 방법
JP4882029B2 (ja) 移動通信端末のハンドオーバーが可能な非同期網と同期網が混在した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ー方法
KR100589953B1 (ko) 비동기 이동통신망으로부터 동기 이동통신망으로의핸드오버 방법
KR100612678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이동통신 단말의 착신 얼러팅 중 핸드오버 방법
KR100625658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이동통신 단말의 응답 대기 중 핸드오버 방법
KR100548734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핸드오버를 위한 교환기간 핸드오버 전용 중계선 관리 방법
KR100551560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정보 획득 방법
KR100589945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이동통신 시스템 정보 획득 방법
KR100728626B1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핸드오버 방법
KR20050071772A (ko) 비동기망과 동기망이 혼재된 이동통신망에서의 핸드오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