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948A - 불안정한 소일 상의 열구조 베이스 - Google Patents

불안정한 소일 상의 열구조 베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948A
KR20050045948A KR1020047021710A KR20047021710A KR20050045948A KR 20050045948 A KR20050045948 A KR 20050045948A KR 1020047021710 A KR1020047021710 A KR 1020047021710A KR 20047021710 A KR20047021710 A KR 20047021710A KR 20050045948 A KR20050045948 A KR 200500459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oil
reinforcement
polymer resin
gr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세이 모로스찬
Original Assignee
유레텍 월드와이드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레텍 월드와이드 오와이 filed Critical 유레텍 월드와이드 오와이
Priority to KR1020047021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5948A/ko
Publication of KR2005004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94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3Foundations for paving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e.g. waste or recycl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6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otecting foundations from destructive influences of moisture, frost or vib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35Foundations formed in frozen ground, e.g. in permafrost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건설 사이트에서 그레이드가 굴삭되고 그리고/또는 임시의 울퉁불퉁한 그레이드(grade)로 그레이드된 후, 보강물질, 전형적으로 합성물질이 건설 사이트에서 소일을 가로질러 놓인다. 보강 베이스 폴리머 수지로 보강물질을 커버함으로써 형성된다. 경화하면 곧, 폴리머 수지와 보강물질은 근접하는 열-구조적 베이스를 형성한다. 보강물질은 그리드 패턴 또는 다른 적합한 패턴으로, 로드, 로프, 스트래핑, 메시, 네팅, 지오텍스타일 패브릭 또는 세로로 놓인 다른 차원의 형태들의 형태를 갖는다. 보강물질은 단일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되는데, 묶이거나 묶이지 않아도 된다. 폴리머 수지는 보강물질 위에 폴리머수지의 성분들의 분무에 의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보강물질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유리섬유, 다른 합성 또는 비합성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된다.

Description

불안정한 소일 상의 열구조 베이스{THERMO-STRUCTURAL BASE ON UNSTABLE SOILS}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소일(soil) 상의 구조물의 건설에 관한 것이다:
(A) 콘크리트, 아스팔트 포장재, 자갈 또는 다른 마무리재로 포장된 도로용 노반(路盤: sub-grades)의 베이스 제조(base preparation);
(B) 콘크리트 또는 아스팔트 포쟁재료로 포장된 타맥(tarmacs) 및 공항 활주로에 관한 노반(路盤)의 베이스 제조 ;
(C) 그레이드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빌딩(concrete slab-on-grade buildings), 보도(walks), 외부 저장창고 영역 등을 위한 베이스 제조 또는 마무리재(자갈, 모래, 점토 등)가 기반의 밸런스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무엇이든 어떤 타입의 독립 빌딩, 설비 등이 위치되는 노반의 베이스 제조;
(D) 물, 스톰(storm) 및 위생(sanitary) 라인(lines), 그리고 오일, 천연가스 및 석유제품 라인(lines)의 설비를 위한 베이스 제조 및 부분 채움.
전형적인 도로 건설에서, 도로가 통과할 지역이 깨끗하게 제거되어 있어도, 상부 소일(soil)이 제거되고 임시 그레이드(preliminary grade)가 컷아웃(cut out)된다. 건설될 수 있는 도로의 타입은 달라질 수 있지만 더 추운 기후에서 방습층(vapour barrier)과 경질 절연물(rigid insulation)이 임시 그레이드에 위치되는 것이 드문 것이 아니고 노상(路床)(road bed)이 엔지니어링 요구에 따라서 양호한 점토물질을 깔고 다짐하여 최종 그레이드(final initial )로 되게 하였고, 자갈,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재로 마무리하였다. 유사하게, 그레이드 상의 슬래브 구조(slab-on-grade structures)를 위한 베이스 제조는 유기물(organics)을 제거하기 위해 굴삭을 필요로 하고 노반 제조(sub-grade preparation)와 영구동토(permafrost)와 아이스 렌징(ice lensing) 영역에서 경질 스티로폼TM 시트는 열 장벽(thermal barrier)을 제공하기 위해 놓이고 전형적으로 방습층(vapour barrier)은 콘크리트가 위에 쏟아지기 전에 스티로폼TM 위에 놓인다.
공항 활주로나 타맥의 건설을 위한 설명서는 일반적으로 노반의 구성에 관하여 고속도로의 건설을 위한 설명서와 비슷하다. 강도, 재료 허용오차, 다짐(compaction) 요건 등은 보다 더 엄중하지만 일반적으로 그 공정은 비슷하다. 활주로가 통과할 지역이 깨끗하게 제거되어 있어도, 상부 소일(soil)이 제거되고 임시 그레이드(preliminary grade)가 컷아웃(cut out)된다. 건설될 수 있는 활주로의 타입은 달라질 수 있지만 더 추운 기후에서 방습층(vapour barrier)과 경질 절연물(rigid insulation)이 임시 그레이드에 위치되는 것이 드문 것이 아니고 노상(路床)(road bed)이 엔지니어링 요구에 따라서 양호한 점토물질을 깔고 다짐하여 최종 그레이드(final grade)로 되게 하였고, 자갈,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재로 마무리하였다.
도로와 활주로에 대해, 방습층(폴리에틸렌 시트 재료)과 경질 절연물(스티로폼TM) 층은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가 있다:
A) 전형적으로 초기 그레이드(initial grade)는 상대적으로 거칠고 울퉁불퉁하고 암석, 함몰된 땅 및 돌출된 예리한 물체를 포함한다. 이것은 처음으로 적용될 경우에 노상(路床: road beds)의 밸런스가 그 상부에 로드(loaded)될 때 방습층이 그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방습층은 찢어지고 찢어진 부위에서 방습층이 침식될 것이다.
B) 스티로폼TM 시트는 전형적으로 4ft x 8ft 조각으로 엇걸림 패턴으로 나란히 놓이지만 스티로폼TM 이 조각으로 놓이기 때문에 각 시트 사이의 크랙(crack)은 습기가 상부에서 관통되도록 하고 여기서 방습층은 바닥으로부터 부서진다. 멤브레인의 파손은 열은 물론이고 물의 전달을 허용할 것이다. 게다가, 스티로폼TM 의 크랙과 파손은 물을 막고 겨울동안 결빙-해빙 사이클이 스티로폼TM 위의 소일(soil)의 이동과 침하를 악화시킨다.
C) 스티로폼TM 이 경질이고 도로의 초기 그레이드(initial grade)가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노상(路床: road bed)과 스티로폼TM 이 만나지 않는다. 이것은 보이드(void)로 되고 노상(路床)의 밸런스가 이 노상의 층의 상부에 놓여 있을 때 스티로폼TM 이 보다 쉽게 파손된다. 게다가, 스티로폼TM 하의 보이드(void)는 물을 막고 결빙 해빙 사이클이 결과적으로 경질 스티로폼TM 의 붕괴를 끌어올리고 가능하게 한다.
D) 피스-밀(piece-meal) 성질 때문에 방습층과 스티로폼TM 에서 낮은 구조적 세기나 인티그리티(integrity)가 있다. 그러므로, 스티로폼TM 아래의 노반의 침하가 마무리된 표면(finished surface)을 포함하는 노상(路床)(road bed) 또는 노반(路盤)(sub-grade)의 도처에 침하가 초래될 것이다.
빌딩이나 다른 구조물들은 창고, 거주지, 상업용 및 공업용 빌딩 같은 그레이드 상의 슬래브(slab-on-grade)로 건설될 수 있거나, 또는 유정 하우징(oil well-head housing) 및 다른 보호 대피소 같은 그레이드(grade)에 직접적으로 위치되는 독립되어 있는 구조로 될 수 있다. 보도, 주차장, 패티오(patio) 등과 같은 구조물은 머스케그(muskeg), 유기물(organics) 및 매우 젖은 소일(soil) 상에 있는 소일 뿐만 아니라 영구동토와 아이스렌즈 같은 지표하의 언 소일의 존재에 의해 결정되지 않은 소일에 위치하게 된다. 이들 구조물 각각에서, 구조적 베이스(structural base)에서의 세기의 부족이 빌딩이나 다른 구조물의 구조적 결함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오일과 가스 산업에 관련된 부가적인 문제는 영구동토나 아이스렌징이 일반적인 곳인 지역에서 오일 생산과 관련된 천연가스이다. 천연가스는 드릴 구멍으로 밀려나오고 유정 보호 하우징(well-head protective housing)에 누적될 수 있고 매우 위험한 상태를 취할 수 있다.
추운 기후에서 자치구획의 서비스에서, 지하수, 스톰(storm) 및 하수 라인의 배치에서 트렌치(trench)을 파고, 트렌치에 라인을 내려놓고, 절연물로 파이프를 감싸고 나서 도로 메우는 것이 드물지 않다. 전형적으로 트렌치는 트렌치에서 작업자와 장비가 파이프를 절연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 아주 넓어야 한다.
파이프가 영구동토에 있거나 또는 아이스 렌징이 실재하는 소일 위에 있으면, 라인이 영구동토나 아이스렌즈를 붕괴할 충분한 열을 방사하여 유틸리티 라인 하에서 일어나고 라인이 침하하고 마침내 파열되는 아주 실재적인 위험에 직면하는 보이딩(voiding)을 초래하는 가능성이 있다. 비슷한 상황이 영구동토나 아이스렌즈의 존재가 실재하는 소일에 놓인 지하 천연가스 라인과 지하 오일 라인에 일어난다.
본 발명은 노반의 안정화에 조력하고 빌딩의 침하와 특히 보강 발포 베이스의 상부에 건설된 빌딩이나 다른 구조물의 차별적인 침하를 최소화하는 소일의 노반 붕괴를 최소화하는 보강 발포 베이스(reinforced foam base)를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단지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목적은 아니고, 같은 도면부호는 같은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드 구조물 상의 도로, 활주로 및 슬래브와 사용하기 위한 보강 베이스의 단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그레이드 상의 구조물과 사용하기 위한 보강베이스의 단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틸리티 파이프라인 트렌치의 단면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건설 방법은 건설 사이트(site)에 소일을 가로질러 보강물질을 놓고; 그리고 폴리머 수지로 보강물질을 커버함에 의해 보강 베이스를 형성하고, 이렇게 하여 경화하면 폴리머 수지와 보강물질이 구조적 베이스(structural base)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건설 방법은 불안정 소일 상에 보강 발포 베이스를 형성하고; 그리고 보강 발포 베이스 상에 노반(路盤)을 건설하고, 이렇게 하여 보강 발포 베이스가 차별적이고 평탄하지 않은 침하를 최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서, 구조적 베이스는 도로, 활주로의 베이스이거나, 또는 유정(well head) 주위의 웰 사이트(well site)에 설치된다. 건설 사이트는 유틸리티 트렌치로 되고, 폴리머 수지는 유틸리티 트렌치에서 유틸리티 라인을 둘러싼다. 보강물질은 그리드의 형태로 된다. 바람직한 폴리머 수지는 두 파트의 소수성 팽창 폴리머 수지이다. 소일은 불안정 소일이고, 예를 들면 영구동토, 아이스렌징이 있는 소일, 머스케그, 유기물이 있는 소일 및 물 포화 소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보강물질은 로드(rod), 로프, 스트래핑(strapping), 메시(mesh), 네팅(netting), 지오텍스타일 패브릭(geotextile fabrics) 또는 세로로 놓인 다른 차원의 형태 또는 그리드 패턴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건설방법의 다양한 적용은 도로, 공항 활주로, 타맥, 그레이드(grade) 상에 슬래브(slab)를 건설한 구조물 또는 그레이드 상의 구조물, 보도, 저장영역, 주차장영역, 댐, 및 유틸리티 트렌치의 건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태양은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되고 청구범위에서 청구된다.
보강 발포 베이스는 새로운 자갈,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포장 도로의 건설에서; 트렌치된 유틸리티 설비(물, 스톰(storm) 및 위생 라인)의 건설에서; 활주로와 타맥의 건설에서, 빌딩 패드, 보행자 보도 등과 같은 그레이드 상의 콘크리트 슬래브 구조물(concrete slab-on-grade structure)의 건설에서; 자갈, 모래 등과 같은 토핑(topping)이나 필(fill)이 보강 발포 베이스에 위치될지라도 독립되어 있는 구조가 건설되거나 위치되는 베이스의 건설에서, 그리고 액체 저장 영역을 위한 "스킨(skin)"이나 댐의 건설에서 베이스로 사용된다.
보강 발포 베이스는 콘크리트, 아스팔트, 자갈 또는 일부 다른 표면물질(surfacing material)로 되는 베드(bed)와 표면 토핑(surface topping)의 선명한 그리고/또는 현저한 차등 침하를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강 발포 베이스는 영구동토, 머스케그, 아이스렌징, 유기물 따위에 기인하는 소일의 본래의 약한 노반(sub-grade) 특성 때문에 보강 발포 베이스 아래의 노반(sub-grade) 매트릭스의 파손에 대해 보호한다. 또한, 보강 발포 베이스의 불침투성 성질은 천연가스, 메탄, 부탄, 프로판 등과 같은 가스에 대한 방벽 뿐만 아니라 우수한 방습층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건설 사이트(construction site)에서 그레이드(grade)가 굴삭되고 그리고/또는 임시의 울퉁불퉁한 그레이드(grade)로 그레이드된 후, 보강물질, 전형적으로 합성물질이 건설 사이트에서 소일을 가로질러 놓인다. 보강 베이스 폴리머 수지로 보강물질을 커버함으로써 형성된다. 경화하면 곧, 폴리머 수지와 보강물질은 근접하는 열-구조적 베이스를 형성한다. 보강물질은 그리드 패턴 또는 다른 적합한 패턴으로, 로드(rod), 로프, 스트래핑(strapping), 메시, 네팅(netting), 지오텍스타일 패브릭(geotextile fabrics) 또는 세로로 놓인 다른 차원의 형태들의 형태를 갖는다. 보강물질은 단일 또는 다중층으로 형성되는데, 묶이거나 묶이지 않아도 된다. 폴리머 수지는 보강물질 위에 폴리머수지의 성분들의 분무에 의해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보강물질은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유리섬유, 다른 합성 또는 비합성 물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된다.
폴리머 수지는 폴리우레탄 시스템 같은 고밀도, 두 파트, 폐쇄 셀(closed cell), 소수성 및 절연 팽창 폴리머 수지가 바람직하고, 이는 특정 두께로 보강물질 위에 분무되어 근접 열-구조적 베이스(contiguous thermo-structural base)를 얻는다. 사용된 특정 발포 시스템은 절연 특성, 인장 강도, 압축강도, 전단강도 및 굽힘강도, 그리고 주어진 프로젝트를 위한 보강 발포 베이스의 특정 디자인 적용에 맞는 다른 구조적 특성에 관한 특정 엔지니어적 디자인 적용(engineered design applications)에 합당하게 만들어진다.
보강 발포 베이스는 베이스 아래의 소일에서 현재 및 미래의 약한 영역을 브리지(bridge)하는 열-구조적 베이스(thermo-structural base)를 형성한다. 보강 발포 베이스는 또한 베이스 아래의 소일을 투과하는 물, 증기 및 가스에 대한 방벽(barrier)을 제공한다. 보강 발포 베이스 아래의 소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붕괴 및/또는 침하되고, 보강 발포 베이스는 빌딩, 도로 또는 유틸리티 콘딧(utility conduit) 같은 보강 발포 베이스 위에 놓인 구조적 물질을 위한 지지체를 제공한다.
도 1은 노상(road beds), 활주로, 타맥, 보도, 그레이드상의 슬래브 구조물(slab-on-grade structure) 등의 건설에 사용되기 위한 보강 발포 베이스(16)를 나타낸다. 보강 발포 베이스(16)는 미리정해진 두께의 팽창 폴리머 수지(12)에 완전히 싸여지고 매몰된 다수의 보강 구성요소들(11)의 복합 구조를 포함한다. 보강 구성요소들(11)은 단지 세로로 배향되어 지지력 준거(bearing capacity warrant)가 되고 지지력 요건이 증가되면, 보강 구성요소들이 그리드 패턴으로 설비될 수 있거나 또는 미리 제조된 메시(mesh)가 설비될 수 있다. 보강 발포 베이스는 원하는 그레이드로 커트된 본래 소일(soil)(13)에 직접 설비된다. 치밀하게 된 입상물질, 점토 또는 다른 적당한 물질(14)의 엔지니어적으로 디자인된 노상(engineered designed road bes)이 보강 발포 베이스(16)의 상부에 놓인다. 콘크리트 포장, 아스팔트 포장 또는 콤팩트한 자갈(compacted gravel) 같은 디자인된 표면(designed surface)(15)인 노상(road bed) 상부가 위치된다. 그레이드 상의 슬래브(slab-on-grade)를 건설한 구조물의 경우에, 컴팩트한 입상 필(granular fill)이 보강 발포 베이스(16)의 상부에 위치되고 콘크리트 토핑(topping)으로 마무리된다.
도 2에서, 입상 베이스로 그레이드 상에 독립되어 있는 빌딩의 건설에 사용하기 위한 보강 발포 베이스(25)가 도시되어 있다. 보강발포베이스(25)는 미리 정해진 두께의 팽창 폴리머 수지(22)에 완전히 싸여지고 매몰된 다수의 보강 구성요소들(21)의 복합 구조를 포함한다. 보강 구성요소들(21)은 단지 세로로 배치되어 지지력 준거(bearing capacity warrant)가 되고 지지력 요건이 증가되면, 보강 구성요소들이 그리드 패턴으로 설비될 수 있거나 또는 미리 제조된 메시(mesh)가 설비될 수 있다. 보강 발포 베이스는 원하는 그레이드로 커트된 본래 소일(soil)(23)에 직접 설비된다. 입상물질(14) 또는 다른 적당한 물질의 베드(bed)가 보강 발포 베이스(16)의 상부에 놓인다.
도 3에서, 본래 소일(35) 내에 유틸리티 파이프라인 또는 콘딧(31)의 건설과 설비에 사용되기 위한 보강 발포 베이스(34)가 도시되어 있다. 보강 발포 베이스(35)는 설비될 파이프의 직경과 미리정해진 열보호에 요구되는 절연량에 적합한 폭으로 굴삭되는 트렌치(32)에 건설된다. 보강 발포 베이스는 폴리머 발포 시스템의 적용 후 보강 발포 베이스(34)를 형성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두께의 팽창 폴리머 수지에 완전히 싸여지고 매몰된 트렌치의 바닥에 놓이는 다수의 보강 구성요소들(33)의 복합 구조를 포함한다. 보강 구성요소들(33)은 트렌치 라인과 세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보강 발포 베이스와 같은 폴리머 수지로 만들어진 독립형 받침대(stand-alone pedestal), 미리 형성된 파이프 베이스(36)는 트렌치의 바닥에 설비된다. 그레이드에서 함께 연결된 파이프(31)는 트렌치 내에 있고 미리 형성된 폴리머 파이프 베이스(36) 상에 위치된다. 폴리머수지(34)는 파이프(31)와 파이프 베이스(36)를 감싸기 위해 트렌치에 주입된다. 파이프(31) 위의 트렌치는 파이프(31)를 절연하는데 요구되는 엔지니어적 R값(engineered R-value)을 제공하는 깊이까지 폴리머 수지로 채워진다. 트렌치의 밸런스는 엔지니어적 필(engineered fill)(37)로 다시 메워 콤팩트하게 된다.
도로 건설의 경우에, 보강물질은 도로의 길이와 폭 위 또는 도로가 가로지르는 알려진 약한 영역 위에 계속해서 연장된다. 고밀도 폴리머 수지로 감싼 보강물질은 약한 영역 위에 브리지(bridge)를 제공한다. 전형적으로, 도로가 길이와 폭 위로 동일하게 침하하면 도로가 침하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로가 침하를 나타내거나 또는 계속되고 반복되는 보수가 문제로 되는 차등 침하를 나타내는 것이 허용되지 않는다. 지하 유틸리티의 경우에, 보강발포베이스는 서비스 자체 아래의 노반(sub-grade)의 침하가 있게 되는 것을 보장하여 서비스가 침하에 대해 보호된다. 유틸리티 아래의 보강발포베이스는 침하를 브리지하고, 파손을 초래하는 유틸리티 콘딧 상에 굽힘력을 감소한다.
고밀도, 두 파트, 소수성 팽창 폴리머 수지는 엔지니어적 열장벽(engineered thermal barrier) 특성을 얻기 위해 분무된다. 폴리머 수지는 보강물질을 캡슐화하는 근접 매스(contiguous mass)를 형성하고, 이렇게 하여 영구동토, 아이스렌징, 머스케그, 유기물 또는 매우 젖은 소일에 기인하는 약한 노상(road bed)의 영역을 유지하고 브리지하기 위해 경량 보강 구조 매스를 형성한다. 매스가 근접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에 파손이 없고 그로 인하여 손상되지 않은 고체 방습층(vapour barrier)을 형성한다. 또한, 그 물질이 분무될 때 액체 형태이기 때문에, 모든 침하부가 메워지고, 노상의 모든 돌출부가 덮여지고 그러한 것이 보강 발포 베이스의 구조적 인티그리티를 손상시킬 가망이 없다.
영구동토나 아이스렌징이 존재하는 소일에 열 투과를 방지하는 열 장벽(thermal barrier)는 물질의 요구되는 절연 요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머 수지는 물질 두께의 인치당 대략 R5 - R5.5의 절연 R-값을 갖는다. 폴리머 수지는 보강 스트랜드 또는 메시 위와 둘레에 분무되고 유틸리티 서비스의 경우에 필요 열 값을 제공하기 위해 모든 유틸리티 라인 주위의 지정된 두께로 그 유틸리티 파이프 자체 주위에 분무된다. 팽창 폴리머 수지로 유틸리티 파이프 주위를 메우는 또다른 이점은 파이프 연결부에 있는 작은 개구가 팽창수지로 밀봉되기 쉽고 그래서 누출 가능성이 감소된다.
노반 처리에서 이 프로세스 도입의 과중한 인자는 최소가 된다. 사용된 폴리머 수지의 밀도에 의존하여, 물질의 중량은 입방미터당 180-225 lbs 범위이다. 게다가, 물질이 밀폐된 셀이기 때문에 물 투과는 고려사항이 아니고 결빙-해빙 사이클의 효과가 보강 발포 베이스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보강발포베이스는 방습층(vapour barrier)으로 작용하고 또한 보강발포베이스를 통하는 메탄, 부탄, 프로판 및 천연가스 같은 중질 가스의 투에 대한 장벽으로 작용한다.
보강발포베이스는 엔지니어 소일(engineered soils)로 굴삭하고 다시 메우는 것이 비실용적인 곳; 이들 소일이 영구동토, 아이스렌징, 머스케그, 유기물, 습기 및 노반 소일에서 보이딩(voiding) 및/또는 침하에 기여하는 다른 상태에 관한 상태로 인해 불안정한 곳; 및 노반을 통해 투과하는 물, 증기 및/또는 가스가 중요성이 있는 곳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에 대하여 약간의 변경이 행해지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건설 사이트(site)에 소일을 가로질러 보강물질을 놓고;
    폴리머 수지로 보강물질을 커버함에 의해 보강 베이스를 형성하고, 이렇게 하여 경화하면 폴리머 수지와 보강물질이 구조적 베이스(structural base)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구조적 베이스는 도로의 베이스인 건설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건설 사이트는 영구동토 상에 있는 것인 건설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건설 사이트는 웰 사이트(well site)인 건설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건설 사이트는 유틸리티 트렌치(utility trench)이고, 보강물질은 트렌치를 따라 놓여 있는 것인 건설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폴리머 수지는 유틸리티 트렌치에서 유틸리티 라인을 둘러싸는 것인 건설방법.
  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물질은 그리드를 포함하는 것인 건설방법.
  8.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머 수지는 두 파트 소수성 팽창 폴리머 수지인 건설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소일은 불안정한 소일인 건설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소일은 영구동토, 아이스렌징이 있는 소일, 머스케그, 유기물이 있는 소일 및 물 포화 소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건설방법.
  11. 불안정 소일 상에 보강 발포 베이스를 형성하고; 그리고
    보강 발포 베이스 상에 노반(路盤)을 건설하고, 이렇게 하여 보강 발포 베이스가 차별적이고 평탄하지 않은 침하를 최소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설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도로, 공항 활주로, 타맥, 그레이드(grade) 상에 슬래브(slab)를 건설한 구조물 또는 그레이드 상의 구조물, 보도, 저장영역, 주차장영역, 댐, 및 유틸리티 트렌치 중에서 선택된 하나를 건설하는데 사용되는 것인 건설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보강 발포 베이스는 팽창 폴리머 수지 내에 매몰되어 있는 보강물질인 건설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보강물질은 로드(rod), 로프, 스트래핑(strapping), 메시, 네팅(netting), 지오텍스타일 패브릭(geotextile fabrics) 또는 세로로 놓인 다른 차원의 형태 또는 그리드 패턴에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건설방법.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팽창 폴리머 수지는 보강 발포 베이스를 위한 엔지니어적 열(engineered thermal) 열 및 물/가스 투과성 요건에 합당하게 일정 두께로 보강물질 위에 적용된 폐쇄된 셀(cell), 소수성 두 파트 폴리머 수지인 건설방법.
  16.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건설된 도로.
  17.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건설된 활주로.
  18. 구조적 베이스가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그레이드 상의 슬래브 구조물(slab-on-grade structure)을 위한 구조적 베이스.
  19. 전술한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 유틸리티 트렌치.
KR1020047021710A 2004-12-31 2003-06-25 불안정한 소일 상의 열구조 베이스 KR200500459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1710A KR20050045948A (ko) 2004-12-31 2003-06-25 불안정한 소일 상의 열구조 베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1710A KR20050045948A (ko) 2004-12-31 2003-06-25 불안정한 소일 상의 열구조 베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948A true KR20050045948A (ko) 2005-05-17

Family

ID=3724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710A KR20050045948A (ko) 2004-12-31 2003-06-25 불안정한 소일 상의 열구조 베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59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5996B1 (en) Drainage system with unitary void-maintaining geosynthetic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ystem
US20110064517A1 (en) Reinforced pervious concrete
CA2594808C (en) System and method for reinforcing aggregate particles, and structures resulting therefrom
CN109162298B (zh) 一种富水区综合管廊的施工方法
US20020044842A1 (en) Void-maintaining geosynthetic laminates and drainage systems
US6974278B2 (en) Thermo-structural base for construction on unstable soils
RU2312181C1 (ru) Дорож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JP2013079550A (ja) 改良地盤、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379857B2 (ja) 樹脂製積層構造物を備える地中構造物
CN106320352B (zh) 一种多功能钢板桩围堰的施工方法
CN113463458A (zh) 一种稳定的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Emersleben et al. The use of recycled glass for the construction of pavements
CA2803782C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subsurface condui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RU2345191C2 (ru) Термоструктурное основание на неустойчивых грунтах
CA2527441C (en) Thermo-structural base on unstable soils
Hadmodjo Cakar Ayam construction system–Pavement and foundation system for structures on soft soil
KR100524462B1 (ko) 발포성폴리스티렌블록을포설한매설암거의구축방법
RU84857U1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KR20050045948A (ko) 불안정한 소일 상의 열구조 베이스
CN111350164B (zh) 一种防冻害临水护墙及施工方法
RU2589138C2 (ru) Автомобильная дорога
CN112982049A (zh) 一种用于道路扩建的泡沫轻质土复合路基施工方法
Negussey Putting polystyrene to work
Rajani Best practices for concrete sidewalk construction
KR200244420Y1 (ko) 토목용 박스형 암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