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5939A -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5939A
KR20050045939A KR1020040092595A KR20040092595A KR20050045939A KR 20050045939 A KR20050045939 A KR 20050045939A KR 1020040092595 A KR1020040092595 A KR 1020040092595A KR 20040092595 A KR20040092595 A KR 20040092595A KR 20050045939 A KR20050045939 A KR 20050045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tru
association
disassociation
stat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786B1 (ko
Inventor
투아그아스만
Original Assignee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4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2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by periodical 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4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no transmission is received, e.g. out of range of the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04L1/1877Buffer management for semi-reliable protocols, e.g. for less sensitive applications like streaming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6De-registration or det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AP)에 대한 무선 송수신 장치(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AP가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면, AP는 WTRU에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다. AP가 그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에 대한 확인(ACK)을 수신하면, AP는 WTRU와의 연관 상태를 유지시킨다. AP가 ACK를 수신하지 못하면, AP는 WTRU를 연관 해제시킨다.

Description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ASSOCIATION AND DISASSOCIATION OF A 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송신/수신 장치[Wireless Transmit/Receive Unit(WTRU)]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 상호간의 연관(association) 및 연관 해제(disassociation)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AP와 WTRU를 포함한다. 통상 각 AP는 고정된 위치에서 특정 커버 영역(coverage area)을 갖는다. WTRU는 AP의 커버 영역을 이동하게 된다. WTRU가 특정 AP의 커버 영역에 처음으로 진입할 때, 이 WTRU는 그 특정 AP와의 연관을 획득하게 된다. 상기 WTRU가 상기 특정 AP의 커버 영역 밖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WTRU는 다른 AP와의 새로운 연관을 획득하게 되고 상기 특정 AP와의 연관은 종료된다.
여기서, "연관 해제(disassociation)"라는 용어는 기연관된 AP에 WTRU가 더이상 그 AP와 접속되지 않는다고 통보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WTRU가 AP의 커버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거나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 관리를 위해 턴오프될 때, WTRU는 AP와 연관 해제된다. 그러나, 현행 무선 LAN(WLAN)용 IEEE 802.11 표준에서는 이 연관 해제 절차가 선택 사양일 뿐이다. 따라서, 제조자는 WLAN에 사용되는 WTRU에 연관 해제 절차를 적용할 수도 안할 수도 있다.
AP는 새로운 WTRU와의 연관을 허용함에 있어서 실행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허용 제어 절차(admission control procedure)를 적용하거나 무선 리소스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RRM)]를 적용함으로써 그 허용 여부를 실시간으로 결정하게 된다. 이때 AP는 자신과 기연관된 WTRU들 뿐만아니라 사용된 리소스들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그러나, 현행 IEEE 802.11 표준에서는 AP가 WTRU의 연관 해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AP는 리소스 및 WTRU 연관 상태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지 못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AP는 허용 제어 및 RRM에 관한 부정확한 판단을 내리기가 쉽다. 이는 WLAN의 성능 저하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WLAN에서 AP가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WTRU의 AP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AP가 일정 시간 동안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감지하면, AP는 그 WTRU에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다. 만약 AP가 그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에 대한 확인(ACK) 응답을 수신하면, AP는 그 WTRU와의 연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AP가 ACK 수신을 실패하면, AP는 그 WTRU와 연관 해제한다. 본 발명은 AP가 요청 허용 제어 및 RRM 결정을 정확한 정보로 보다 세밀하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대해서 이하의 예로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WTRU"는 사용자 장치, 무선 스테이션, 고정 또는 이동 가입자 장치, 페이져, 또는 기타 무선 환경에서 동작 가능한 여러 형태의 장치들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AP"는 베이스 스테이션, 노드-B, 사이트 컨트롤러, 도는 기타 무선 환경 내에서 동작하는 여러 형태의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집적 회로(IC)로 구현되거나, 또는 복수의 상호 접속되는 부품들을 포함하는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100)의 블럭도이다. 이 시스템(100)은 복수의 AP(104)와 WTRU(102)를 포함한다. AP(104)는 복수의 무선 통신 파라미터를 전달하는 비컨(beacon)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WTRU(102)는 비컨 메세지를 수신하고 복수의 AP(104)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AP와 연관을 시도한다. 통상, 선택된 AP는 가장 강한 비컨 신호의 AP이다. 각 AP(104)는 AP(104)가 연관되는 WTRU(102)의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AP 테이블은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갱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WTRU(102)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단계를 포함한 프로세스(200)의 흐름도이다. 도면 부호 202로 표시된 단계에서, WTRU(102)는 AP(104)와의 연관을 설정한다.
도면 부호 204로 표시된 단계에서, AP(104)는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WTRU(102)로부터의 전송을 모니터링한다. 바람직하게, 무동작 상태는 타이머를 설정함으로써 결정된다. AP는 WTRU로부터 전송을 수신할 때마다 타이머를 설정한다. 무동작 상태는 WTRU로부터 어떠한 전송도 수신되지 않은채 타이머가 종료될 때에 검출된다.
도면 부호 206으로 표시된 단계에서, AP(104)가 WTRU(102)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면, AP(104)는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WTRU(102)에 전송한다. 이와 동시에, AP(104)는 WTRU(102)로부터의 ACK를 위한 타이머를 설정한다. WTRU(102)는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면, AP(104)와의 연관을 유지하기 위해 ACK로 응답해야 한다. 도면 부호 208로 표시된 단계에서, AP(104)는 타이머 종료 전에 ACK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도면 부호 210으로 표시된 단계에서, AP(104)가 타이머의 종료 전에 ACK를 수신하지 않으면, AP(104)는 WTRU(102)와 연관 해제한다. 도면 부호 212로 표시된 단계에서, AP(104)가 타이머 종료 전에 ACK를 수신하면, WTRU(102)와의 연관은 유지된다. AP(104)가 WTRU(102)로부터 ACK를 수신한 다음, 프로세스(200)는 WTRU(102)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도면 부호 204로 표시된 단계로 돌아간다.
도 3은 AP(104)와 WTRU(102a, 102b)와의 메세지 교환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에서, 두 WTRU(102a, 102b)는 AP(104)와 사전에 연관되었으나, 두 WTRU(102a, 102b) 모두 현재는 무동작 상태이다. 두 WTRU(102a, 102b)가 무동작 상태임을 검출한 다음에, AP(104)는 두 WTRU(102a, 102b)에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302, 304)를 전송하고, 두 WTRU(102a, 102b) 각각에 타이머(312, 314)를 설정한다. WTRU(102a)는 AP(104)의 커버 영역 내에 있으며, AP(104)와 연관 상태를 유지하기를 원한다. 그러나, WTRU(102b)는 현재 AP(104)와의 연관 상태를 원치 않거나, 또는 연관 확인 메세지(304)가 수신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에 따라, WTRU(102a)는 타이머(312)의 종료 전에 ACK(306)를 AP(104)에 전송한다. 그러나, AP(104)는 WTRU(102b)에 대해 설정된 타이머(314)의 종료 전에 WTRU(102b)로부터 ACK를 수신하지 못한다. 따라서, AP(104)는 WTRU(102b)와 연관 해제하고, WTRU(102b)에 대해 이전에 지정되었던 무선 리소스를 해제시킨다. 나아가, AP(104)는 WTRU(102a)로부터 ACK(306)를 수신한 후의 시간 경과를 추적하는 타이머(312)를 설정한다. AP(104)가 WTRU(102a)의 무동작 상태가 미리 정해진 시간을 경과함을 검출하면, AP(104)는 또 다른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308)를 WTRU(102a)에 전송한다. AP(104)는 WTRU(102a)로부터 또 다른 ACK(310)를 수신하고, WTRU(102a)와의 연관 상태를 유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TRU(102)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프로세스(400)의 흐름도이다. 도면 부호 402로 표시된 단계에서, AP(102)는 연관 확인 주기를, 바람직하게는 비컨(beacon) 채널을 통해 방송한다. AP(104)와 연관된 WTRU들(102)은 비컨 채널을 통해 연관 확인 주기를 포함하는 비컨 메세지를 수신하고, 이 비컨 확인 주기를 WTRU(102)의 관리 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MIB)]에 저장한다. WTRU(102)가 무동작 상태로 되면, WTRU(102)는 매 연관 확인 주기마다 연관 확인 메세지를 AP(104)에 전송한다.
도 4를 더 살펴보면, 도면 부호 404로 표시된 단계에서 WTRU(102)는 AP(104)와의 연관을 설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AP(104)는 각 WTRU(102)의 전송 상태를 모니터링하여 WTRU(102)가 동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 부호 406으로 표시된 단계에서와 같이, WTRU가 AP(104)에 메세지를 전송할 때마다 AP(104)와 WTRU는 타이머를 설정한다. 연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WTRU는 타이머 종료 전에 연관 확인 메세지를 전송해야만 한다. 도면 부호 408로 표시된 단계에서, AP(104)는 WTRU로부터 연관 확인 메세지가 있는지를 판단한다. AP(104)가 타이머 종료 전에 연관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도면 부호 410으로 표시된 단계에서 AP(104)는 WTRU와 연관 해제한다. AP(104)가 타이머 종료 전에 연관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면, 도면 부호 412로 표시된 단계에서 AP(104)는 WTRU와 연관 상태를 유지하고 프로세스는 도면 부호 406으로 표시된 단계로 돌아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104)와 WTRU(102a, 102b)간의 메세지 교환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AP(104)는 연관 확인 주기(P)를, 바람직하게는 비컨 메세지(502a, 502b)를 통해 방송한다. WTRU(102a, 102b)는 AP(104)와 연관되어 있으나, 무동작 상태이다. 두 WTRU(102a, 102b)는 비컨 메세지(502a, 502b)를 수신하고, 각 WTRU(102a, 102b)의 관리 정보 베이스(MIB)에 연관 확인 주기를 설정한다. AP(104)와 WTRU(102a, 102b)는 타이머(508a)를 설정한다.
WTRU(102a)는 AP(104)의 커버 영역 내에 있으며, AP(104)와의 연관 상태 유지를 원한다. 그러나, WTRU(102b)는 현재 AP(104)와 연관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WTRU(102a)는 타이머(508a) 종료 전에 연관 확인 메세지를 AP(104)에 전송하지만, WTRU(102b)는 그러지 않는다. 연관 확인 메세지(504)를 수신하면, AP는 타이머(508b)를 설정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AP(104)는 타이머(508a) 종료 전에 WTRU(102b)로부터 연관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며, AP(104)는 WTRU(102b)와 연관 해제하고 WTRU(102b)에 할당된 리소스들을 자유롭게 해제한다. WTRU(102a)가 계속 무동작 상태이면, WTRU(102a)는 메세지 타이머(508b) 이전에 연관 확인 메세지(506)를 주기적으로 전송해야만 한다. AP(104)가 WTRU(102a)로부터 연관 확인 메세지(506)를 받는 동안에, AP(104)는 WTRU(102a)가 무동작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WTRU(102a)와의 연관 상태를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WTRU(102b)가 AP(104)의 커버 영역을 벗어나거나, 다른 AP(104)와 연관되거나, 전원이 끊어진 상태 등과 같이 AP(104)와의 연관이 더 이상 필요 없는 상태인 경우에, WTRU(102)는 연관 해제 메세지(510)를 전송한다. 이 연관 해제 메세지(510)의 전송은 의무적인 메세지인 것이 좋다. AP(104)가 연관 해제 메세지(510)를 수신한 경우에, AP(104)는 WTRU(102b)와 연관 해제하고 WTRU(102b)에 할당된 무선 리소스를 사용 해제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WTRU(102)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시스템(600)의 블럭도이다. 시스템(600)은 AP(104)와 WTRU(102)를 포함한다. AP(104)는 송수신기(106), 상태 추적 장치(108) 및 컨트롤러(110)를 포함한다. WTRU(102)는 송수신기(112)와 컨트롤러(114)를 포함한다. AP(104)의 송수신기(106)는 WTRU(102)와 메세지를 송수신한다. 상태 추적 장치(108)는 AP(104)와 연관된 각 WTRU(102)의 연관 상태 및 동작 상태를 추적한다. AP(104)는 메모리(111) 내에, AP(104)가 연관된 WTRU(102)의 WTRU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WTRU(102)가 AP(104)와 연관되거나 기존 WTRU(102)가 연관 해제되면, AP(104)는 메모리(111) 내의 WTRU 테이블을 갱신한다. 상태 추적 장치(108)는 연관된 WTRU(102)로부터의 전송을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고 WTRU(102)가 동작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정해진 시간 동안 데이터 전송이 없는 경우 무동작 상태로 취급된다. 무동작 상태가 검출되면, AP(104)의 컨트롤러(110)는 WTRU(102)에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전송한다. 또한, 컨트롤러(110)는 ACK가 WTRU(102)로부터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비수신인 경우, 컨트롤러(110)는 메모리(111) 내의 WTRU 테이블로부터 WTRU(102)를 제거한다. WTRU(102)의 송수신기(112)가 AP(104)와 메세지를 송수신한다. 컨트롤러(114)는 AP(104)와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획득 및 유지하는 전체 절차를 제어한다. WTRU(102)는 AP(104)로부터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수신하고, AP(104)와의 연관 상태를 계속 원할 경우에 컨트롤러(114)는 AP(104)에 ACK를 전송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AP(104)의 컨트롤러(110)는 비컨 메세지 내에 연관 확인 주기를 방송하고, WTRU(102)는 상태 추적 장치(116)를 더 포함한다. WTRU(102)가 무동작 상태로 된 경우, AP(104)가 위 연관 확인 주기 내에 WTRU(102)로부터 연관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으면, 컨트롤러(110)는 메모리(111) 내의 WTRU 테이블로부터 WTRU(102)를 제거한다. WTRU(102)의 상태 추적 장치(116)는 WTRU(102)로부터의 전송을 모니터링함으로써 WTRU(102)의 상태를 판단한다. 상태 추적 장치(116)가 WTRU(102)로부터 최후 전송 이래에 연관 확인 주기가 종료될 것임을 판단한 경우에, WTRU(102)가 AP(104)와의 연관 유지를 원한다면 컨트롤러(116)는 연관 확인 메세지를 비컨 채널을 통해 방송된 매 연관 확인 주기마다 AP(104)로 전송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WTRU(102)가 AP(104)와의 연관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 컨트롤러(114)는 연관 해제 메세지를 AP(104)로 전송한다. AP가 WTRU(102)로부터 연관 해제 메세지를 수신하면, AP(104)의 컨트롤러(110)는 WTRU(102)를 연관 해제한다.
비록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 및 구성 요소를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정 조합들로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각 특징 및 구성 요소들은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다른 특징 및 구성 요소 없이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구성 요소들과 함께 또는 따로 여러가지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무선 LAN에서 AP가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동작하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 송신/수신 장치(WTRU)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도 1의 WTRU의 연관(association) 및 연관 해제(disassociation)를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의 AP와 WTRU간의 메세지 교환을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AP 및 WTRU간의 메세지 교환을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블럭도.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WTRU(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및 적어도 하나의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association) 및 연관 해제(disassociation)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AP로 WTRU의 무동작 상태(inactive state)를 검출하는 단계와,
    (b) 상기 AP로부터 상기 WTRU로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association confirmation request message)를 전송하는 단계와,
    (c)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WTRU로부터 상기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에 대한 확인(acknowledgement)이 없는 경우에 WTRU를 연관 해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상기 WTRU가 무동작 상태로된 후에 상기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인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3. 적어도 하나의 WTRU(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및 적어도 하나의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association) 및 연관 해제(disassociation)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AP로 연관 확인 주기(association confirmation period)를 방송하는 단계와,
    (b) WTRU가 무동작 상태인 동안 상기 연관 확인 주기 내에 상기 AP가 WTRU로부터 연관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WTRU를 연관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확인 주기는 비컨 채널(beacon channel)을 통해 방송되는 것인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확인 주기는 상기 WTRU의 관리 정보 베이스(management information base)에 저장되는 것인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6. 적어도 하나의 WTRU(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및 적어도 하나의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association) 및 연관 해제(disassociation)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WTRU가 AP와의 연관 유지가 필요치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상기 WTRU로부터 상기 AP로 연관 해제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AP가 상기 WTRU로부터 상기 연관 해제 메세지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WTRU를 연관 해제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방법.
  7. 적어도 하나의 WTRU(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및 적어도 하나의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association) 및 연관 해제(disassociation)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상태 추적 장치(status tracking unit)와, WTRU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무동작 상태임을 AP가 검출하면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상기 WTRU에 전송하고 상기 WTRU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에 대한 확인(ACK)이 없는 경우에 WTRU를 연관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AP와,
    WTRU가 상기 AP와의 연관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에 대한 ACK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WTRU
    를 포함하는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무동작 상태로 있는 WTRU에 상기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인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시스템.
  9. 적어도 하나의 WTRU(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및 적어도 하나의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association) 및 연관 해제(disassociation)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상태 추적 장치와, 연관 확인 주기를 방송하고, 또한 무동작 상태로 있는 WTRU로부터 상기 연관 확인 주기 내에 AP가 연관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WTRU를 연관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AP와,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상태 추적 장치와, WTRU가 무동작 상태이나 상기 AP와의 연관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매 연관 확인 주기마다 연관 확인 메세지를 상기 AP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WTRU
    를 포함하는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 확인 주기는 비컨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것인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WTRU는 상기 연관 확인 주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관리 정보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시스템.
  12. 적어도 하나의 WTRU(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및 적어도 하나의 AP(Access Point)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association) 및 연관 해제(disassociation)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서,
    AP가 WTRU로부터 연관 해제 메세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WTRU를 연관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AP와,
    WTRU가 상기 AP와의 연관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되면 연관 해제 메세지를 상기 AP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WTRU
    를 포함하는 AP와 연관되는 WTRU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시스템.
  13.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상기 AP에 대한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상태 추적 장치와,
    연관 확인 주기를 방송하고, 또한 상기 WTRU로부터 상기 연관 확인 주기 내에 상기 AP가 연관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WTRU를 연관 해제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AP)
  14. 무선 송수신 장치(WTRU)로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에 대한 상기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상태 추적 장치와,
    상기 WTRU가 무동작 상태이나 상기 AP와의 연관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매 연관 확인 주기마다 상기 AP에 연관 확인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WTRU).
  15. 액세스 포인트(AP)로서,
    상기 AP에 대한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상태 추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추적 장치는 상기 상태 추적 장치와 컨트롤러간의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연관 확인 주기를 방송하고, 또한 상기 AP가 상기 WTRU로부터 연관 확인 주기 이내에 연관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상기 WTRU를 연관 해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인 액세스 포인트(AP).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추적 장치는 상기 AP가 상기 연관 확인 주기 이내에 연관 확인 메세지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는 것인 액세스 포인트(AP).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무동작 상태의 WTRU들에게 연관 확인 요청 메세지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인 액세스 포인트(AP).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AP는 비컨 채널을 통하여 상기 연관 확인 주기를 방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액세스 포인트(AP).
  19. 무선 송수신 장치(WTRU)로서,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에 대한 WTRU의 무동작 상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상태 추적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추적 장치는 상기 상태 추적 장치와 컨트롤러간에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WTRU가 무동작 상태이나 상기 AP와 연관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 매 연관 확인 주기마다 상기 AP에 연관 확인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장치(WTRU).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WTRU가 AP에 대해 무동작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상태 추적 장치는 상기 WTRU가 상기 AP에 대해 무동작 상태로 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에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 장치(WTRU).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WTRU는 상기 연관 확인 주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관리 정보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무선 송수신 장치(WTRU).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WTRU는 비컨 채널을 통해 상기 연관 확인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인 무선 송수신 장치(WTRU).
KR1020040092595A 2003-11-12 2004-11-12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0697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911903P 2003-11-12 2003-11-12
US60/519,119 2003-11-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105U Division KR200383529Y1 (ko) 2003-11-12 2004-11-12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기 위한무선 송수신 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
KR1020050080056A Division KR20050089954A (ko) 2003-11-12 2005-08-30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939A true KR20050045939A (ko) 2005-05-17
KR100697786B1 KR100697786B1 (ko) 2007-03-23

Family

ID=342258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595A KR100697786B1 (ko) 2003-11-12 2004-11-12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시스템
KR1020050080056A KR20050089954A (ko) 2003-11-12 2005-08-30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056A KR20050089954A (ko) 2003-11-12 2005-08-30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97015B2 (ko)
KR (2) KR100697786B1 (ko)
CN (1) CN2919754Y (ko)
AR (1) AR046581A1 (ko)
DE (1) DE202004017602U1 (ko)
TW (3) TWI264200B (ko)
WO (1) WO200504847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61546B2 (en) * 2004-01-08 2009-07-1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using silent measurement periods
US8072948B2 (en) 2005-07-14 2011-12-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implementing an evolved system attachment procedure
US9730125B2 (en) 2005-12-05 2017-08-08 Fortinet, Inc. Aggregated beacons for per station control of multiple stations across multiple access poi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215745B1 (en) 2005-12-09 2015-12-15 Meru Networks Network-based control of st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064601B1 (en) 2006-03-31 2011-11-22 Meru Networks Secur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9215754B2 (en) 2007-03-07 2015-12-15 Menu Networks Wi-Fi virtual port uplink medium access control
US9794801B1 (en) 2005-12-05 2017-10-17 Fortinet, Inc. Multicast and unicast messages in a virtual cell communication system
US8160664B1 (en) * 2005-12-05 2012-04-17 Meru Networks Omni-directional antenna support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multiple radios with narrow frequency separation
US9185618B1 (en) 2005-12-05 2015-11-10 Meru Networks Seamless roaming in wireless networks
US9142873B1 (en) 2005-12-05 2015-09-22 Meru Networks Wireless communication antennae for concurrent communication in an access point
US8472359B2 (en) * 2009-12-09 2013-06-25 Meru Networks Seamless mobility in wireless networks
US9025581B2 (en) 2005-12-05 2015-05-05 Meru Networks Hybrid virtual cell and virtual port wireless network architecture
JP4777229B2 (ja) * 2006-12-20 2011-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管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当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7894436B1 (en) 2007-09-07 2011-02-22 Meru Networks Flow inspection
US8032164B2 (en) 2008-09-22 2011-10-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short message service and supplementary services messages
JP5135268B2 (ja) * 2009-03-17 2013-02-06 株式会社東芝 無線システム、受信機
US9197482B1 (en) 2009-12-29 2015-11-24 Meru Networks Optimizing quality of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CN102687557B (zh) * 2010-01-08 2015-03-0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在空闲和连接模式中管理csg优先级的方法和设备
WO2011124853A1 (fr) * 2010-04-08 2011-10-13 France Telecom Procede de controle d'un point d'acces d'une passerelle domestique d'un reseau domestique
FI124519B (en) * 2012-03-12 2014-09-30 There Corp Oy A method of connecting control devices to a control system in a mesh network
US9008045B2 (en) 2012-04-12 2015-04-14 Time Warner Cable Enterprises Llc Handoffs between access points in a Wi-Fi environment
US9591497B2 (en) 2014-05-30 2017-03-07 Apple Inc. Wireless link quality monitoring
US20160065676A1 (en) * 2014-09-02 2016-03-03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Control Of Network Connected Systems
CN110612748B (zh) * 2017-03-15 2023-03-28 开利公司 管理接入点空闲时间的方法和无线通信系统
CN109845336B (zh) * 2017-04-07 2021-06-0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29197C (en) 1994-07-29 1999-11-09 Roger Y.M. Cheu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 wireless lan to a wired lan
KR100211062B1 (ko) 1996-12-13 1999-07-15 정선종 무선근거리통신망을 이용한 이동단말의 위치 추적 방법
US6141533A (en) * 1997-11-13 2000-10-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obile repeater
KR100434055B1 (ko) * 2002-04-27 2004-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의 캐시 일관성 유지 방법
EP1361768B1 (en) * 2002-05-03 2007-06-13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of cell update via idle mode for power saving in a UMTS mobile upon radio link fail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4741A (en) 2006-05-01
AR046581A1 (es) 2005-12-14
TWM281354U (en) 2005-11-21
KR100697786B1 (ko) 2007-03-23
KR20050089954A (ko) 2005-09-09
WO2005048472A2 (en) 2005-05-26
TW200520457A (en) 2005-06-16
DE202004017602U1 (de) 2005-02-24
US7197015B2 (en) 2007-03-27
US20050122919A1 (en) 2005-06-09
CN2919754Y (zh) 2007-07-04
TWI264200B (en) 2006-10-11
WO2005048472A3 (en)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9954A (ko)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는 무선통신 방법 및 시스템
CN1630412B (zh) 发送/接收多媒体广播/多播业务的业务可用性信息的方法
EP1767036B1 (en) Verifying availability of idle-mode mobile subscriber stations in a wireless access system
US8254332B2 (en) Method and system for radio access technology monitor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434132B1 (en) Wireless LAN for reestablishing wireless links between hosts according to monitored desired and undesired signals
CN101455003B (zh) 用于在宽带无线接入通信系统中更新空闲模式移动台位置的装置和方法
US8219131B2 (en) Cognitiv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1545146A2 (en) Providing information in interwork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20090052382A1 (en) Infrastructure-Based Enabling Indication for Dynamic Frequency Selection in Wireless Networks
EP3035728A1 (en) Method of selectively enabling a wireless access point or repeater
JP2009060618A (ja) ハンドセット選択チャンネル割当てを用いるマルチモード通信ネットワーク
JP2003530043A (ja) 移動局によるパケット交換ページの受信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
KR10171449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WO2000002353A9 (fr) Technique de selection de canaux
WO2006018670A1 (en) Handover of a mobile station
JP2008512953A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アクセスポイントの発見を早めること
KR20050040129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 서비스 브로드캐스트 제어
WO200902345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paging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2003530018A (ja) 移動局の回線交換ページの受信を可能にするための方法
US20050148349A1 (en) Cell selection on transitioning from dedicated mode i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US20180368097A1 (en) Method of location tracking and related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7513577A (ja) ブロードキャスト/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が利用できないことを通知する方法および装置
WO2004056143A2 (en) 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idle state support therefor
KR200383529Y1 (ko) 무선 송수신 장치의 연관 및 연관 해제를 관리하기 위한무선 송수신 장치 및 액세스 포인트
KR20040072747A (ko) 억세스 포인트 장치 및 이 장치의 채널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