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557A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557A
KR20050043557A KR1020030078480A KR20030078480A KR20050043557A KR 20050043557 A KR20050043557 A KR 20050043557A KR 1020030078480 A KR1020030078480 A KR 1020030078480A KR 20030078480 A KR20030078480 A KR 20030078480A KR 20050043557 A KR20050043557 A KR 20050043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camera
limiting
g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미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3557A/ko
Publication of KR20050043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55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위치 산출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카메라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여, 그 산출된 위치와 미리 등록된 카메라 사용 제한 위치를 비교한 다음, 그 비교 결과 두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카메라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한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사용 제한 위치를 벗어나면 다시 카메라 작동 제한을 자동으로 해제한다. 이로써 무분별한 카메라 촬영으로 인한 타인의 사생활 침해 및 중요 기밀 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Method for limiting camera's ope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위치산출 기능을 가지면서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 지역에 도달한 경우 내장된 카메라의 작동을 제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한 음성통화 기능 외에도 위치 추적 기능, 멀티미디어 기능, 스케줄 관리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카메라가 내장된 이동통신 단말기가 선보이면서 사진 외에도 동영상 촬영까지 가능하게 해주는 등 그 활용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말기의 다양한 활용에 의한 편리함이 있는 반면, 한편으로는 단말기의 부적절한 사용으로 인해 사회적 물의가 빚어지고 있는 바, 일 예로 피사체의 동의 없이 몰래 촬영하는 방법으로 타인의 사생활을 침해하거나 중요한 정보를 함부로 유출시키는 행위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폐단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단말기 내장 카메라로 촬영하는 경우에 일정한 효과음을 주도록 법제화하려는 움직임도 있었으나, 정작 단말기 자체의 작동을 제한하는 방식으로 이를 해결하려는 시도는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는 광역측위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 방식과 기지국 기반 방식이 있다. GPS 방식은 GPS 수신기로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의하여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는 것을 말하고, 기지국 기반 방식은 3개의 기지국을 이용하면서 그 중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까지 전파도달 시각의 상대적인 차를 측정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에 의하더라도 단순히 특정 단말기의 위치를 웹 등을 통해 파악하려는 시도에만 그쳤던 것이 종래 경향이었으며, 이를 단말기 자체에 내장된 기능과 접목시켜 활용한 사례는 드물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위치 산출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카메라의 작동을 제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카메라 작동 제한 지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카메라 작동 제한을 해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제 1단계와, 그 산출된 위치와 미리 등록된 카메라 사용 제한 위치를 비교하는 제 2단계와, 비교 결과 두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카메라의 작동을 제한하는 제 3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제 1단계에서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데에는, 첫째로 GPS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직접 위치값을 계산해내는 방식, 둘째로 GPS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기준국에 전송하고 기준국에서 위치값을 계산하여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방식, 셋째로 3개의 기지국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를 포착하여 위치값을 산출해 내는 방식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인 위치에 따른 카메라 작동 제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광역측위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이다. 이는 GPS 위성과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의 전파도달 시간(Time of Arrival, TOA)을 측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와 GPS 위성간의 거리를 알게 되는 측위 방식이다.
GPS는 크게 세 가지 구성 요소인 우주(Space segment), 관제(Control segment), 사용자(User segment)로 구분할 수 있다. 도 1a에서 우주는 GPS 위성(110a, 111a, 112a, 113a)에, 관제는 기준국(120a)에, 사용자는 발신자(100a)에 각각 해당된다.
우주 부분은 위치 계산을 위해 필요한 항법 메시지(navigation message)를 사용자에게 반송파(carrier wave)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GPS 위성(110a, 111a, 112a, 113a)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송파는 L 대역의 두 주파수 L1(1575.42MHz), L2 (1227.6MHz)로 정확히 조정되어 사용자(100a)에게 전송된다. 각각의 GPS 위성(110a, 111a, 112a, 113a)은 기울임각(inclination angle) 55°인 6개의 원형 궤도면(circular orbit)에 각각 4개씩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사용자의 3차원 위치 및 수신기 시계 오차(clock error)를 계산하기 위해 지구 전역에서 최소한 4개 이상의 위성이 항상 보이도록 특수하게 설계된 것이다. 각각의 GPS 위성(110a, 111a, 112a, 113a)에서 송신되는 위성 데이터는 코드 다중 분할 방식(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으로 사용자(100a)에게 전송되므로 GPS 수신기에서는 각 위성에 해당하는 항법 데이터를 명확하게 수신할 수 있다.
관제 부분은 국내 각지에 분포해 있는 여러 관제국(control station)(120a)을 통해 GPS 위성을 추적하고 감시함으로써 가능한 한 정확하게 위성의 위치를 추정하며 여러 가지 보정(correction) 정보를 위성에 송신한다. 또한 이러한 보정 정보를 항법 데이터의 한 부분으로서 연속적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사용자 부분은 GPS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GPS 수신기(100a)로 구성된다. GPS 수신기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항법 데이터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및 속도를 계산한다. 수신기에 연결되는 GPS 안테나는 자체에 내장된 알고리즘으로 GPS 위성 신호를 추적하며 하나의 위성 신호만 추적하면 그 위성으로부터 다른 위성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므로 짧은 시간 이내에 모든 가시(visible) 위성 신호들을 추적할 수 있다.
도 1b는 본 발명인 위치에 따른 카메라 작동 제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것인 바, 특히 발신자 위치값을 산출하는데 있어 3개의 기지국(110b, 111b, 112b)을 이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것은 두 개의 기지국으로부터 전파도달 시각의 상대적인 차를 측정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측위 방식으로서 일명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방식이라고 한다.
TDOA의 기본 원리는 두 기지국에서 단말기까지 거리의 차에 비례하는 전파 도달 시간차가 측정되고, 두 기지국에서 거리가 일정한 곳 즉, 두 기지국을 초점으로 하는 쌍곡선 위에 단말기가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각 기지국은 동기화되어 있어야 하며 기지국간의 시간의 동기화는 위성시계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3개의 기지국으로부터 2개의 쌍곡선이 얻어지고 두 곡선의 교점이 단말기의 위치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인 위치에 따른 카메라 작동 제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작동 제한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이다.
먼저 촬영 제한 요청자 측(이를테면, 국립 극장 또는 국립 박물관 등)이 인터넷 상의 이동통신회사 사이트에 접속하여 상기 장소를 카메라 촬영 금지 지역으로 설정해 줄 것을 요청한다(213). 이러한 요청은 게이트웨이(211)를 경유하여 교환국(205)으로 전달되고, 교환국에서는 그 요청 대상 장소를 카메라 작동 제한 위치 DB(207)에 등록한 다음,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값 DB(209)를 검색하여 상기 등록된 제한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값을 얻는다.
이렇게 얻어진 작동 제한 위치 데이터는 기지국(203)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201)로 전송되어 작동 제한 위치로 메모리에 등록된다.
도 3은 본 발명인 위치에 따른 카메라 작동 제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이는 특히 GPS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단말기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므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구성요소를 갖추는 것 외에도, 별도로 카메라(308)와 GPS 수신부(312)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여기의 카메라는 외장 모듈형이 될 수도 있고, 내장 일체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어부(310)에서는 GPS 수신부(312)에서 복조한 데이터로부터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는 기능과, 현재 위치와 미리 등록된 카메라 작동 제한 위치를 비교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기능 및 두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카메라의 작동을 제한하는 기능이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물론, 단말기의 GPS 수신부는 단순히 GPS 신호를 수신하여 외부의 GPS 위치확인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구비하고, 실제 GPS 신호로부터의 위치정보 계산은 GPS 위치확인 시스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도 된다. 이 때, 기지국을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단말기라면 상기 GPS 수신부(312)는 별도로 요하지 아니하나, 제어부(310)는 기지국에 위치 데이터 전송을 의뢰하고, 그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로부터 위치값을 추출해 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메모리부(306)는 카메라 작동을 제한하기 위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기능을 실현하는 단말기로는 휴대폰, PDA, GPS 단말기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위치에 따른 카메라 작동 제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각 단계의 흐름도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산출되면(S401), 제어부는 그 산출된 위치가 미리 등록된 카메라 작동 제한 위치와 동일한지를 비교한다(S403). 만약 두 위치가 동일하다면 차후 작동 제한 해제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플래그를 토글시키고 (S405), 카메라 작동을 제한한다(S407).
두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 카메라 작동 제한을 알리는 플래그가 토글되어 있다면(S409) 이는 사용자가 상기 미리 등록된 카메라 작동 제한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이기 때문에 작동 제한 플래그를 다시 토글시켜서 초기화하고(S411), 카메라 작동 제한을 해제한다(S413).
만약 상기 S403 단계에서 두 위치가 서로 다른 경우라도 설정 변경을 알리는 플래그가 토글되어 있지 않다면 이는 사용자가 아직 상기 미리 등록된 카메라 작동 제한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이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없이 다시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S401 단계로 돌아가 수행을 계속한다. 이 때, 재 위치 산출을 위한 시간적 간격은 단말기 자체에서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적절한 시간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해 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산출 기능과 카메라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카메라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카메라 작동 제한 지역을 벗어나면 다시 자동으로 그 작동 제한을 해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로써 무분별한 카메라 촬영으로 인한 타인의 사생활 침해 및 중요 기밀 정보의 외부 유출을 자동으로 방지하여, 사용자의 의식 또는 무의식적인 불법 행위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각 종 부가 기능을 십분 활용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위치에 따른 카메라 작동 제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가 작동 제한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네트워크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위치에 따른 카메라 작동 제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별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위치에 따른 카메라 작동 제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각 단계의 흐름도이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는 제 1단계,
    상기 산출된 위치와 미리 등록된 카메라 사용 제한 위치를 비교하는 제 2단계,
    상기 비교 결과 두 위치가 일치하는 경우, 카메라의 작동을 제한하는 제 3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단계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는, GPS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직접 위치값을 계산해 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제 1단계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는, GPS를 장착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여 그 정보를 기준국에 전송하고 기준국에서 위치값을 계산하여 다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해 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제 1단계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는, 3개의 기지국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를 포착하여 위치값을 산출해 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교환국으로부터 카메라 작동 제한 위치 데이터를 전송받아, 이를 카메라 작동 제한 위치로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카메라 작동 제한 위치를 벗어나면 카메라 작동 제한을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KR1020030078480A 2003-11-06 2003-11-0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KR200500435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480A KR20050043557A (ko) 2003-11-06 2003-11-0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480A KR20050043557A (ko) 2003-11-06 2003-11-0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557A true KR20050043557A (ko) 2005-05-11

Family

ID=37244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480A KR20050043557A (ko) 2003-11-06 2003-11-0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355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56B1 (ko) * 2007-11-15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의 작동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CN106790953A (zh) * 2017-01-05 2017-05-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拦截方法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856B1 (ko) * 2007-11-15 2008-10-2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통신 단말의 작동 제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
CN106790953A (zh) * 2017-01-05 2017-05-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拦截方法及装置
CN106790953B (zh) * 2017-01-05 2020-08-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信息拦截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765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exchange of location information in a telephone network
Zhao Standardization of mobile phone positioning for 3G systems
CA243447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mobile units tracking another
US913777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beacon assisted position determination systems
US6839022B1 (en) Network support for subscriber access to mobile caller location information
KR100691397B1 (ko) 낮은 정확도의 클록을 사용하여 이동 통신 장치의 위치를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738701B2 (ja) 装置の位置推定方法
JP4018535B2 (ja) 無線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gps衛星信号捕捉支援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6778818B1 (en) Enhanced 911 system for providing witness identif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139114A1 (en) Method for determining user location based on association with seamless mobility context
US20070129113A1 (en) Cell phone alerting system
US200801942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ocation Services for a Distributed Network
US20060084463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mergency call function and method of processing emergency call reques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2512373A (ja) 無線通信信号による衛星位置決めの強化
US20110009132A1 (en) Positioning with several operators
Reza Data fusion for improved TOA/TDOA position determination in wireless systems
JP2014178326A (ja) 少ない数のgps衛星と同期および非同期基地局を使用して位置を決定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50020111A (ko) 지피에스 및 이미지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통지 방법
KR2005004355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카메라의 작동 제한 방법
KR101041313B1 (ko) 위치정보 획득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39411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발신자 위치 표시방법
KR200500487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중 위치 정보 송수신 방법
KR2005004528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위치에 따른 지하철 역 명의 단전문메시지 통보 방법
KR2006001714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위치 정보 음성 출력 방법
KR2005004603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거리 도달에 따른 알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