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3471A - Functional mat - Google Patents

Functional m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3471A
KR20050043471A KR1020030078382A KR20030078382A KR20050043471A KR 20050043471 A KR20050043471 A KR 20050043471A KR 1020030078382 A KR1020030078382 A KR 1020030078382A KR 20030078382 A KR20030078382 A KR 20030078382A KR 20050043471 A KR20050043471 A KR 200500434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mat
sheets
sheet
w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8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장강익
Original Assignee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루와벅스프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8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3471A/en
Publication of KR20050043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3471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시트를 중합시켜 그 중합부분에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을 지지함과 동시에 일방의 시트로부터 풀려 나온 위브(부직포내의 실밥)의 끝부분을 타방의 시트의 위브에 기계적으로 봉합시키는 것으로서, 시트의 마주하는 면에서 실리카겔과 같은 기능성물질을 고정한 기능성 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plurality of functional materials granulated in the polymerized portion by polymerizing a sheet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at the same time, the end of the weave (seam in the nonwoven fabric) released from one sheet is mechanically attached to the weave of the other shee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mat in which a functional material such as silica gel is fix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heet.

Description

기능성 매트 {functional mat}        Functional mat {functional mat}

본 발명은 침구류와 같은 생활용품 등의 구성소재 등에 사용되어 습기 또는 탈취제거 및 유해물질 제거에 있어 우수한 기능을 발휘하는 기능성 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nctional mat that is used in constituent materials such as household goods such as bedding and the like and has an excellent function in removing moisture or deodorization and harmful substances.

일반적으로 습기가 많은 여름철에는 수면을 취하는 침대나 요의 사용시 신체에서 나는 땀으로 인해 불쾌한 느낌을 주거나 건강상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건조한 겨울에는 실내의 적절한 습기의 부족으로 인하여 호흡기등에 안좋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실내의 밀폐성이 높은 경우에 폐해가 발생되기 쉽다. 즉, 쾌적한 실내환경을 위해 습도조절및 오염물질의 제거의 필요성이 널리 알려져 있다.  In general, in the summer months when the sleeping bed or yaw use, the body's sweating often causes unpleasant feelings or adverse health effects.In dry winters, the respiratory tract is bad due to lack of adequate humidity in the room. It is affecting. In particular, such a phenomenon is likely to occur when the airtightness of the room is high. That is, the need for controlling humidity and removing contaminants is well known for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그 때문에 최근에는 실리카겔 또는 숯으로 대표되는 흡습제나 활성탄으로 대표되는 탈취제등을 내장한 기능성 매트가 침대,요와 같은 침구류에 함께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유형이 종래부터 알려지고 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functional mats containing a desiccant such as silica gel or charcoal or a deodorant such as activated carbon are used together in bedding and bedding. For example, two types are known in the art.

우선, 첫번째 유형으로는 통기성을 가진 부직포단 등의 시트가 2장겹쳐 봉합되어 있어 양 시트사이에는 복수의 보자기모양을 한 수용부가 봉합실에 의해 경계를 이룸과 동시에 각 수용부내에 입상(알갱이)의 실리카겔등의 흡습물질이 봉합되어 있다. 그래서 매트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First of all, two sheets of breathable nonwoven fabrics and the like are stacked and sewn, so that a plurality of sheet-shaped accommodating portions are bounded by a suture chamber and granulated in each accommodating portion between the sheets. Hygroscopic substances, such as silica gel, are sealed. So it is supposed to absorb moisture in the room air passing through the mat.

두번째 유형으로는 통기성을 가진 부직포로 이루어진 매트가 2장 겹쳐 있어, 그 중합(겹쳐진)부분에 입상을 한 다수의 실리카겔을 층상으로 끼어 지지한 형태로 마주하는 양매트사이가 접착제 의해 접합되어 있다.그래서 상기 첫번째 유형과 마찬가지로 매트를 통과하는 실내공기 중의 습기를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In the second type, two mats made of breathable nonwoven fabric are overlapped, and the two mats facing each other in the form of sandwiching a plurality of silica gel granulated in the polymerized (overlapped) portion are bonded by an adhesive. Thus, like the first type, it is designed to absorb moisture in the room air passing through the mat.

앞서 기술한 종래의 각각의 유형의 제품의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each type of conventional product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첫번째 유형의 경우에는 매트에 신체를 접촉하게 되면 매트에 압력이 가해지는 결과,체형에 따라 수용부에서 실리카겔이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매트사용 후 요철이 생기게 되는 결과, 외관상 안좋아 보이고, 이러한 요철은 곧 기능성물질이 특정 부위로 편중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바, 해당 물질이 매트표면 전체로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점이 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first type, when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mat,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mat, and according to the body shape, the silica gel is biased to one side according to the body shape, resulting in unevenness after using the mat, which looks bad in appearance. Means that the functional material is biased to a specific part, and the material does not function properly as the entire mat surface.

두번째 유형의 경우에는 접착에 의해 기능성 물질의 다양한 기능이 큰 폭으로 감퇴하는 문제가 있다. 즉 실리카겔과 같은 기능성물질은 그 표면에 다수의 미세한 공극을 통해 수분흡수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그러나 접착에 의해 양매트사이를 접합한 경우에는 그 접착제가 소재의 표면에 부착해서 상기의 미세한 공극을 막아버린다. 따라서, 접착제에 의해 공극이 막힌 물질에 의해 수분흡수가 충분하지 못하게 되어 기능이 큰폭으로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there is a problem in that various functions of the functional material are greatly reduced by adhesion. That is, a functional material such as silica gel exhibits a function of absorbing moisture through a plurality of fine pores on its surface. However, when the two mats are bonded together by adhesion, the adhesive adheres to the surface of the material to block the fine pores.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ter absorption is insufficient due to the material whose voids are blocked by the adhesive, and the function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은 상기 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실리카겔등의 기능성물질을 내장한 기능성 매트에 있어서, 그 소재의 효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efficacy of the material in a functional mat containing a functional material such as silica gel.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능성매트에 관한 청구항 1의 발명은, 부직포로 구성된 매트를 겹쳐서, 그 겹친 부분에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실리카겔 등)을 사이에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한쪽의 매트로부터 뽑아낸 위브(부직포내의실밥)의 끝부분을 다른 매트의 위브에 기계적으로 재봉하는 것으로 상기 양매트의 마주보는 면 사이에서 상기 소재를 고정시키는 것을 요지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invention of claim 1 relating to a functional mat has a plurality of functional materials (silica gel or the like) interposed between a mat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granulated on the overlapped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one mat. The end of the weave (seam in the non-woven fabric) extracted from the mechanical sewing on the weave of the other mat is to fix the material between the opposite sides of the mat.

즉, 기능성매트에 관한 본원 청구항1의 발명에서는 매트의 중합부분은 마주하는 양시트의 구성소재인 위브 한쌍이 기계적으로 재봉됨으로써 봉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이 그 기능이 저하됨 없이 시트사이에 고정되어 유지된다. 또, 매트의 겹쳐진 부분을 봉합하기 위해 별도의 봉합재료를 준비해야 할 필요가 없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of claim 1 of the functional mat, the polymerized portion of the mat is sewn by mechanically sewing a pair of weaves, which is a constituent material of the two sheets facing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granular functional materials are not degraded in their function. It is fixed in between. In addi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a separate sealing material to seal the overlapped portions of the mat.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기능성물질 16은 상, 하 양매트 2,3 사이에 있어서 층상을 이루고 있어 마주하는 양시트 12, 13의 마주보는 면 14,15사이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했다. 그래서 이들 기능성물질 16은 상, 하 양측으로부터 끼여져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하 양시트 12,13의 마주보는 면 14, 15사이에는 도2에 있어서, 확대시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트 12, 13의 구성소재인 위브 17, 18에 의해 상호봉합되어 있다. 즉 양 시트 12, 13의 겹쳐진 부분에는 기능성물질 16을 상하 양측으로부터 끼여 지지한 상태에서, needle punch를 다수의 위치에 연속적으로 설치된 라인(line)을 통과하도록 하고, 각 punch에서 상하 양시트 12, 13의 위브 17, 18 한쌍이 기계적으로 재봉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각 위브 17, 18에 의한 마주보는 면 14, 15사이가 봉합되어, 상하 양시트 12, 13에서 상기 기능성물질 16은 층상을 이룬 채로 고정되어 안정된 구조를 이룬다.. As shown in Fig. 2, the functional material 16 is layer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ats 2 and 3 so as to be continuously and uniformly distributed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14 and 15 of the opposing sheets 12 and 13. Thus, these functional materials 16 are sandwiched and supported from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are shown in Fig. 2 enlarged between the facing surfaces 14 and 15 of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respectively. It is sealed together by Weave 17, 18, which is a component of In other words, the needle punch is passed through a line continuously install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while the functional material 16 is sandwiched and supported from both sides in the overlapped portions of both sheets 12 and 13, and in each punch, A pair of 13 weaves 17 and 18 are mechanically sewn. Therefore, the surfaces 14 and 15 facing each other by the weaves 17 and 18 are sealed, and the functional material 16 is fixed in a layered structure in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to form a stable structure.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기능성매트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도3~도5에 따라 설명한다. 도3은 상기 기능성매트의 제조라인을 간략히 표시한 것이고 제조라인의 상류(도면에 있어서 좌측)에는 윗부분 시트12를 풀어낸 상측 롤러 19와 아랫부분 시트 13을 풀어내는 하측롤러 20이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제조라인의 하류(도면에 있어서 우측)에는 감는 롤러 21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고, 이들 각 롤러 19, 20, 21은 도시되지 않은 구동제어기구에 의해 회전구동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Nex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unctional mat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FIG. 3 is a simplified view of the manufacturing line of the functional mat, and upstream of the manufacturing line (left side in the drawing), the upper roller 19 which releases the upper sheet 12 and the lower roller 20 which releases the lower sheet 13 can rotate. It is installed. Further, downstream of the production line (right side in the drawing), the winding roller 21 is provided so as to rotate, and each of these rollers 19, 20, 21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ionally driven by a drive control mechanism (not shown).

상기 하측롤러 20의 하류에는 동(同) 롤러20으로부터 풀려 나오는 하측 매트 13의 반송경로의 윗부분에 깔대기 22가 설치되어 있다. 깔대기 22내에는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 16이 설치되어 미리 저장되어 있다. 그래서, 이 깔때기 22의 아래를 상기 하측시트 13이 통과할 때 그 하측시트 13의 위로 기능성물질 16을 층상으로 뿌리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측롤러 19로부터 풀어낸 상측시트 12는 안내롤러 23에 의해 경사지게 아래로 유도하여 상하일체의 협압(挾壓)롤러 24, 25사이를 통과할 때에 상기 기능성물질이 뿌려진 하측시트 13 위로 겹쳐지게 된다. 즉, 이 협압롤러 24, 25사이를 통과할 때, 상하 양시트 12, 13은 기능성물질 16을 상하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운 상태로 겹쳐진다. 다시 말해 이 시점에는 상하양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사이는 봉합되어 있지 않다. Downstream of the lower roller 20, a funnel 22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veyance path of the lower mat 13 released from the roller 20. In the funnel 22, a plurality of granular functional substances 16 are installed and stored in advance. Thus, when the lower sheet 13 passes under the funnel 22, the functional material 16 is sprayed onto the lower sheet 13 in a layered manner.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heet 12 released from the upper roller 19 is inclined downward by the guide roller 23 so that the upper sheet 12 overlaps the lower sheet 13 sprayed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when pass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nching rollers 24 and 25. do. That is, when passing between the pinching rollers 24 and 25,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overlap with the functional material 16 sandwich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other words, at this time, the surfaces 14 and 15 of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are not sealed.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양시트 12, 13의 반송경로에 있어서 상하 양쪽 협압롤러 24, 25와 감는롤러 21의 거의 중간위치에는 needle punch용의 펀칭장치 26이 배치되어 있다. 이 펀칭장지 26에는 상기 양시트 12, 13의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4, 도5에 나타난 needle 27이 펀칭장치 26이 구동되면 일제히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즉 상기 기능성물질 16을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겹쳐진 상하 양시트 12, 13은 이 펀칭장치 26의 아래를 통과할 때에 상기 각 needle 27에 의해 다수개소(箇所)에 연속적으로 펀칭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punching device 26 for needle punch is disposed at almost the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nching rollers 24 and 25 and the winding roller 21 in the conveying paths of the two sheets 12 and 13. The punching paper 26 is configured such that the needle 27 shown in Figs. 4 and 5 moves up and down at the same time when the punching device 26 is drive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s of the two sheets 12 and 13. In other words,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which are stacked so as to sandwich the functional material 16 therebetween, are provided to be continuously punched in a plurality of places by the respective needles 27 when passing below the punching device 26.

도4 및 도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needle 27의 측면에는 복수의 계지조(係止爪) 28이 돌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이 needle이 상하 이동할 때에는 각 계지조 28에 의해 각시트 12, 13의 내부로부터 위브 17, 18의 끝부분(端部)이 풀려나와, 기능성물 16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의 시트 12, 13내의 위부 17, 18에 연결(係止)되게 한다. 즉 needle 27이 도3에 실선으로 표시된 위의 위치로부터 양시트 12, 13의 겹쳐진 부분을 관통하여 아래로 하강할 때에는 상기 계지조 28에 의해 상측시트 12 내부로부터 위브 17의 끝부분이 풀려 나와, 그 풀려 나온 위17의 끝부분이 하측 시트 13내의 위브 18에 연결(係止)되어 진다. 또 상기 needle 27이 양시트 12, 3을 관통한 아래 위치로부터 위로 상승할 때에는 상기 계지조 28에 의해 하측 매트 13내로부터 위브 18이 플려나와, 그 풀려나온 위브 18의 끝부분이 상측시트 12내부의 위브 17에 연결(係止)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펀칭장치 26에 의해 상하 양시트 12, 13은 각 펀칭구멍에서 양 시트 12,13의 위브 17, 18쌍이 기계적으로 재봉되는 것에 의해 마주하는 대향면 14, 15사이가 봉합되어진다. 그리고, 봉합된 상하 양시트 12, 13에 의해 기능성매트 11이 구성되어, 차례로 감는롤러 21에 감겨진다. 이후, 감겨진 기능성매트 11은 적절히 선택된 크기로 절단되어 사용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a plurality of locking grooves 28 protrude from the side surfaces of the needle 27. Therefore, when this needle moves up and down, the ends of the weaves 17 and 18 are released from the inside of each sheet 12 and 13 by the respective locking cages 28, and the functional sheet 16 is sandwiched between the sheets 12, It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17, 18 in 13. That is, when needle 27 descends through the overlapping portions of both sheets 12 and 13 from the upper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Fig. 3, the end of the weave 17 is released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sheet 12 by the locking cage 28. The loose end of upper 17 is connected to weave 18 in the lower seat 13. In addition, when the needle 27 rises upward from the lower position penetrating both the sheets 12 and 3, the weave 18 is released from the lower mat 13 by the locking cage 28, and the end of the released weave 18 is the upper sheet 12. To be connected to internal weave 17. Accordingly, the punching device 26 seals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between opposite surfaces 14 and 15 facing each other by mechanically sewing the weave 17 and 18 pairs of both sheets 12 and 13 at each punching hole. And the functional mat 11 is comprised by the sealed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and is wound up by the winding roller 21 in order. Thereafter, the wound functional mat 11 is cut to an appropriately selected size and used.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매트를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서 다음과 같은 기능 및 작용을 나타낸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by configuring the functional mat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functions and actions are exhibited.

본 실시형태의 기능성매트에 있어서 입상을 한다수의 기능성물질은 상호마주하는 양시트 12,13상에서 층상을 이룸과, 동시에 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사이 전체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매트의 전면에 연속적으로 습기제거기능 등을 발휘하는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고, 침구류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신체로부터 방출되는 습기를 양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주위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In the functional ma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anules are granular on both sheets 12 and 13 facing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functional mats are continuously uniformly distributed all over the opposing surfaces 14 and 15 of the sheets 12 and 13. hav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area for continuously removing moisture on the front of the functional mat, and when used with bedding, it is possible to satisfactorily control moisture emitted from the body and to remove harmful substances from the surroundings. To exert its function.

또, 상기 기능성물질은 위브 17, 18에 의해 상호마주하는 대향면 14, 15사이를 봉합된 양시트 12, 13에 의해 층상을 이룬채로 고정되어 끼여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물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기능성물질이 특정부분으로 편중되는 일이 없어 상기 습기제거기능 등을 발휘하는 면적이 감소되는 일은 없다. In addition, the functional material is supported in a state in which it is fixed and sandwiched in a layered manner by both sheets 12 and 13 sealed between opposite surfaces 14 and 15 facing each other by weaves 17 and 18. Therefore, even when the functional material is used, the functional material is not biased to a specific portion, and the area for exerting the moisture removing function or the like is not reduced.

또, 상하 양시트 12, 13은 접착제를 사용하는 일이 없어, 각시트 12, 13의 위브 17, 18쌍이 기계적으로 재봉되어지고, 대향면 14, 15사이가 기능성소재를 낀 상태로 봉합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물질의 미세관공극이 접착에 의해 막혀져 습기제거능력이 저하되는 일도 없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do not use adhesive, and the weave 17 and 18 pairs of each sheet 12 and 13 are mechanically sewn, and the opposite surfaces 14 and 15 are sealed with a functional material. . Therefore, the micro-pores of the functional material are blocked by adhesion, so that the moisture removal ability is not lowered.

또, 상기 양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는 각 시트 12, 13의구성소재인 위브 17 , 18에 의해 상호간에 봉합되어 있다. 따라서, 봉합소재로서 별도의 봉합실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제조비용도 절감할 수 있다. The opposing surfaces 14 and 15 of both sheets 12 and 13 are mutually sealed by weaves 17 and 18 which are the constituent materials of the sheets 12 and 13, respectively.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prepare a separate sealing chamber as a seal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또, 상기 상하 양시트 12, 13은 상측시트 12내부로부터 풀려나온 위 17의 끝부분이 하측시트 14내부의 위브18에 연결하는 한편, 하측 시트14내부로부터 풀려나온 위18의 끝부분이 상측시트 12 내부의 위브1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기능성물질을 끼워 지지한 상하 양시트의 12, 13의 겹쳐진 부분을 견고하게 봉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are connected to the weave 18 inside the lower sheet 14 while the upper end of the upper sheet 12 is connected to the weave 18 inside the lower sheet 14, while the upper end of the upper sheet 18 released from the lower sheet 14 is the upper sheet 12 Connected to internal weave 17. Therefore, the overlapped portions of 12 and 13 of both the upper and lower sheets on which the functional material is sandwiched can be tightly sealed.

또, 기능성물질은 상하 양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사이는 다수의 needle punch를 사용하여 위브 17, 18에 의해 접합면이 고르게 봉합되여 있다. 따라서, 사용시에는 기능성물질을 어느 위치에서 절단해도 기능성물질이 각 절단부위로부터 흘러내리는 일은 거의 없다. Further, the functional material is evenly sealed by the weaves 17 and 18 using a plurality of needle punches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14 and 15 of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Therefore, at the time of use, even if the functional material is cut at any position, the functional material hardly flows from each cut portion.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기능성매트를 구체화한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Next, embodiment which actualized the functional mat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drawing.

도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기능성매트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하 한쌍의 시트 12, 13을 겹쳐 놓은 것이고, 양시트 12, 13의 대향면 14, 15 사이에는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물질16이 사이에 들어가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functional ma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uperposition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made of a nonwoven fabric, and a granular shape is formed between opposite surfaces 14 and 15 of both sheets 12 and 13, as shown in Fig. 2. A number of functional substances 16 are interposed.

예를 들어 기능성물질16으로서 실리카겔을 사용할 수 있는 바, 본 물질을 대상으로 설명한다. 실리카겔은 각각의 입자가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미세관통공(극)을 가지고 있고, 다습한 환경에서 표면흡착 또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공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흡수했던 수분을 방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주변 환경의 습기제거 및 방질(放質)에 있어서 양호한 환경을 만들 것이 예상되며, 본 실시형태에 사용되는 실리카겔은 미세공간용적이 0.5 ~ 1.0㎖/g 및 표면적이 650~350㎡/g의 범위 내의 것을 채택하고 있다. 또, 적절한 습기제거 기능을 발휘하는 데 있어서 상기 미세관통공(극)은 30~120옴스트롱의 것이 선호된다. For example, silica gel can be used as the functional material 16,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Silica gel has a number of micro-through holes (poles), each particle not shown, and absorbs moisture in the air by surface adsorption or capillary phenomenon in a humid environment, and releases the moisture absorbed in a dry environment Have Therefore, it is expected to create a good environment for moisture removal and preven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silica gel used in this embodiment has a microspace volume of 0.5 to 1.0 ml / g and a surface area of 65 to 300 m 2 / g. I adopt the thing within the scope of. In order to exhibit an appropriate moisture removal function, the micro-through hole (pole) is preferably 300 to 120 ohms strong.

도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기능성물질16은 상, 하 양시트 2,3 사이에 있어서 층상을 이루고 있어 마주하는 양시트 12, 13의 마주보는 면 14,15사이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했다. 그래서 이들 기능성물질16은 상, 하 양측으로부터 끼여져 지지되어 있는 상태로서, 상하 양시트 12,13의 마주보는 면 14, 15사이에는 도2에 있어서, 확대시켜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시트 12, 13의 구성소재인 위브 17, 18에 의해 상호봉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 the functional material 16 is layer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heets 2 and 3 so as to be continuously and uniformly distributed between the facing surfaces 14 and 15 of the opposite sheets 12 and 13. Thus, these functional materials 16 are sandwiched and supported from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between the opposite surfaces 14 and 15 of the upper and lower sheets 12 and 13, as shown in FIG. It is sealed together by Weave 17, 18, which is a component of

붙여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said embodiment, It can be used as follows.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물질16을 상하 2장의 시트 12, 13에 끼워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지만, 1장의 시트를 접어서 겹치는 부분을 만들고 그 겹친 부분에 기능성물질16을 끼여 지지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unctional material 16 is to be sandwiched between two sheets 12 and 13 of the upper and lower sheets, but one sheet may be folded to form an overlapping portion, and the functional material 16 may be sandwiched and supported on the overlapping portion.

또, 매트는 3장 이상을 겹치지 않고, 기능성물질16을 내장한 겹쳐진 부분은 1개만이 아니라 여러 개로 만드는 방법도 선호된다.In addition, the mat does not overlap three or more sheets, and a method of making not only one overlapped portion containing a functional material 16 but also several is preferred.

또, 실시형태에서는 기능성물질16을 끼여 지지한 상하양매트 12, 13의 몸체로서 매트를 구성했지만, 각 매트 12, 13의 외측면에 보형재(保形材)나 완충재(緩衝材)등을 접합시켜도 좋다.Moreover, although the mat was comprised as the body of the up-and-down mats 12 and 13 which clamped the functional material 16 in embodiment, the prosthetic material, the cushioning material, etc. we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each mat 12, 13. You may join.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침대 또는 요와 같은 침구류와 함께 사용되는 형태로 구체화했지만, 바닥용 카페트 또는 벽면부착용의 매트로서 건물용 내장재에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it embodied in the form used with bedclothes, such as a bed or a urine, it can also be embodied in building interior materials as a floor carpet or a mat for wall surface attachment.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청구항 기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서 그 효과를 함께 기재한다. Next, the effect is described together with respect to the technical idea of Claim invention which can be grasped | ascertained from the said embodiment.

청구항1 기재의 기능성 매트에 있어서, 입상을 한 다수의 기능성 물질이 층상을 이루어, 그 겹쳐진 부분 전체에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는 기능성 매트 The functional ma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granular functional materials form a layer and are continuously and uniform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overlapped portion.

이 구성에 의하면, 기능성 매트의 전면에 연속해서 기능성 물질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잇는 면적을 폭넓게 확대할 수 있으면, 수면중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요철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f the area which can exert the function of a functional substance continuously on the front surface of a functional mat can be enlarged widely, the unevenness | corrugation by the body movement during sleep can be prevented.

기능성 매트에 관한 본원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매트의 겹쳐진 부분에 있어서, 마주하는 양시트의 대향면 사이에 실리카겔과 기능성물질이 위치함으로써, 지지된 상태를 확실하고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도 그 기능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기능성매트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of claim 1 relating to the functional mat, in the overlapped portions of the mat, the silica gel and the functional material are positioned betwee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two sheets facing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functionality while maintaining the supported state with certainty. 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functional mat can be reduced.

제1도는 소정의 크기로 잘라진 실시형태의 기능성매트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unctional mat of an embodiment cut to a predetermined size

제2도는 일부를 확대해 보인 기능성매트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ially enlarged functional mat

제3도는 기능성매트의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a functional mat

제4도는 바늘부분을 표시하는 부분 정면도4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needle portion

제5도는 동일한 부분의 저면도 5 is a bottom view of the same part

(부호의설명)(Description of the sign)

12…상위시트 13…하위시트 14,15…접합면 16…기능성물질로서의 실리카겔 17,18…위브 27…니들(needle) 28…계지조 12. Top sheet 13. Sub-sheets 14, 15... Joining surface 16. Silica gel as a functional substance Weave 274. Needle 2... Caliber

Claims (1)

부직포로 이루어진 매트를 중합시켜 그 중합부분에 입상의 다수의 실리카겔을 지지함과 동시에 일방의 매트로부터 끌어낸 위브의 끝부분을 타방의 매트 위브에 기계적으로 봉합시킨 것으로, 상기의 매트의 대향면들 사이에 그 기능성물질을를 고정시킨 기능성매트 The mat of the nonwoven fabric was polymerized to support a plurality of granular silica gels at the polymerization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ends of the weaves drawn from one mat were mechanically sealed to the other mat weave. Functional mat which fixed the functional material between
KR1020030078382A 2003-11-06 2003-11-06 Functional mat KR200500434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382A KR20050043471A (en) 2003-11-06 2003-11-06 Functional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8382A KR20050043471A (en) 2003-11-06 2003-11-06 Functional ma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818U Division KR200339700Y1 (en) 2003-11-06 2003-11-06 functional m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3471A true KR20050043471A (en) 2005-05-11

Family

ID=3724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8382A KR20050043471A (en) 2003-11-06 2003-11-06 Functional m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347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1891A (en) * 2020-03-31 2021-05-25 株式会社安适 Three-dimensional yarn weaving air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31891A (en) * 2020-03-31 2021-05-25 株式会社安适 Three-dimensional yarn weaving air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302769B1 (en) * 2020-03-31 2021-09-16 주식회사 앤씰 3-dimensional string wooven air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WO2021201388A1 (en) * 2020-03-31 2021-10-07 주식회사 앤씰 Three-dimensional string woven air cush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33827B2 (en) Adsorption filter material, especially a permeable barrier layer composite with an adsorbent, and the use thereof
WO2002090106B1 (en) Highly permeable and water resistant barrier sheet, and absorber product using the barrier sheet
US5985442A (en) Functional ma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339700Y1 (en) functional mat
KR20050043471A (en) Functional mat
JP3002100B2 (en) Laminated pulverized coal sheet cloth for concrete walls in buildings
JP2004314311A (en) Moisture absorbing and discharging nonwoven fabric structure and moisture conditioning agent using it
JP4205239B2 (en) Gas adsorption sheet
JP2001334596A (en) Functional mat
JP2001322196A (en) Waterproof sheet with air permeability and water absorption properties
JP3210735U (en) Moisture absorption mat
KR890002209Y1 (en) Deodorizing filter for air cleaner
JP2002355525A (en) Sheet like moisture absorbing and desorbing material
JP3212263U (en) Hygroscopic tatami
JP6361353B2 (en) Deodorizing filter and packaging bag using the same
JP2000079656A (en) Production of functional mat
JPS6259666B2 (en)
JP2018202343A (en) Hygroscopic sheet body for clothing
JP384064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breathable bag fabric
JPH0427640Y2 (en)
JP2019023400A (en) Functional wallpa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unctional wallpaper
JP2005023446A (en) Functional mat
JP2887648B2 (en) Humidifying bedding
JP2001009955A (en) Moistureproof,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laminated material and production thereof
JPH0889744A (en) Moisture conditioning elastomer sheet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