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2570A -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2570A
KR20050042570A KR1020030077284A KR20030077284A KR20050042570A KR 20050042570 A KR20050042570 A KR 20050042570A KR 1020030077284 A KR1020030077284 A KR 1020030077284A KR 20030077284 A KR20030077284 A KR 20030077284A KR 20050042570 A KR20050042570 A KR 20050042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cover
accessory cover
vacuum clean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식
고무현
박태진
양해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2570A/ko
Publication of KR2005004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57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09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 A47L9/0018Storing devices ; Supports, stands or holders integrated in or removably mounted upon the suction cleaner for storing parts of said suction clea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는, 진공청소기의 상면에 구성되는 악세사리안착부(130)와;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30)를 차폐하는 악세사리커버(140)와;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악세사리커버 개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악세사리커버 개방제어수단은,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30)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멈춤돌기(143a)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멈춤돌기(143a)는, 상기 본체 (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악세사리커버 (140)의 개방각도를 90도 이내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멈춤돌기(143a)는, 상기 악세사리커버(140)가 90도 각도로 개방될 때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후단 저면이 상기 멈춤돌기(143a)의 배면에 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상기 악세사리커버에 흠집이 발생하는 것이 예방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A swichgear of tray assembly cover in vacuum cleaner}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청소기 본체에서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켜 흡입노즐체를 통해 지면의 먼지 또는 이물질을 강제 흡입하여 청소기 사용공간의 이물질 및 먼지등의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기구로 근래에는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 보급되어 있고, 특히 양탄자나 쇼파등의 청소에 대한 필요성으로 강력한 흡입력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2)와, 외부로부터 이물질 또는 먼지등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노즐체(4)와, 상기 흡입노즐체(4)의 일단에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연장관(6), 그리고 상기 연장관(6)의 일단과 상기 본체(2)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유연하고 탄력성있는 재질로 형성된 연결호스(8) 등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흡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링장치가 후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본체(2)의 하측에는 한쌍의 바퀴(2a)가 설치되어 청소기 본체(2)를 원하는 위치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중에 다른 장소로 청소기를 이동시키는 경우 연결호스(8)에 형성된 호스손잡이(8a)를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이동할 장소가 평면 바닥이 아닌 계단이나 문턱이 있는 경우에는 본체(2)의 정면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동손잡이(26)를 파지한 후 청소기를 들어 이동시킨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완료되면 방의 모서리 등 구석진 곳으로 옮기기 위하여 또한 상기 이동손잡이(26)를 이용하여 청소기를 이동시킨다.
악세사리안착부(10)의 상측에는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악세사리커버(12)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상기 악세사리커버(12)의 후단은 상기 필터커버(18)의 상면 후단에 힌지결합되고, 이러한 힌지결합부에는 스프링(14)이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악세사리커버(12)가 개방될 때 상기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상기 악세사리커버(12)가 상방으로 회동되면서, 후단의 힌지를 축으로 자동 세워지게 된다.
상기 악세사리 안착부(10)의 후방에는 다수의 조작버튼(미도시)이 형성되는 콘트롤커버(20)가 구비되고, 상기 콘트롤커버(20)의 후방에는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버튼(22)과 배기커버(24) 및 코드릴버튼(미도시)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서는 악세사리커버 버튼(16)의 누름동작으로 상기 스프링(14)의 탄성에 의해 악세사리커버(12)가 개방될 때 수직상태에서 상기 악세사리커버(12)가 후단부의 힌지를 축으로 90도 이상 후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악세사리커버(12)의 상면 후단부분이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0)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콘트롤커버(20)의 상면 선단부와 접촉하여 상기 악세사리커버(12)의 상면에 흠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악세사리커버가 개방될 때 수직상태에서 정지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는, 진공청소기 본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악세사리가 안착되는 악세사리안착부와; 상기 악세사리안착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악세사리안착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악세사리커버와; 상기 악세사리커버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형성되는 악세사리커버 개폐수단과;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는 악세사리커버 개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악세사리커버 개방제어수단은, 상기 악세사리안착부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멈춤돌기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멈춤돌기는,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멈춤돌기는,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개방각도를 90도 이내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멈춤돌기는, 상기 악세사리커버가 90도 각도로 개방될 때 악세사리커버의 후단 저면이 상기 멈춤돌기의 배면에 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방시 악세사리커버가 악세사리안착부의 후방에 형성된 콘트롤커버와 접촉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악세사리커버의 흠집발생이 방지되어 진공청소기의 미관이 좋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일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 본체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도 5에서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진공청소기 본체(100)에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본체(100)의 하면은 바디베이스(110)가 형성되며, 이러한 바디베이스(110)의 상면 전반부에는 공기중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필터링되어 집진되는 집진실(미도시)이 형성되고, 이러한 집진실에는 이물질이 모이는 집진주머니 등을 포함하는 필터링 어셈블리(미도시)가 내장된다.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선단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이동손잡이(112)가 일체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장거리 이동시 또는 본체(100)를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에 용이하게 활용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후단부에는 한쌍의 이동바퀴(114)가 좌우측단에 형성되어 본체(100)의 이동을 안내하며, 바디베이스(110)의 하면 전반부 중앙에는 회전가능한 회전바퀴(미도시)가 구비되어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필터링 어셈블리의 상측에는 필터커버(120)가 내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필터커버(120)의 후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콘트롤커버(180)에 힌지결합되어 선단부가 상하로 유동하면서 상기 집진실(미도시)을 개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커버(120)의 선단부에는 필터커버버튼(122)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베이스(110)의 선단부 상면에는 이러한 필터커버버튼(122)이 걸어져 고정되는 버튼걸이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필터커버(120)의 상면 선단부 중앙부분에는 상기 연결호스(400)의 일단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호스결합부(1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호스결합부(124)는 연결호스(400)의 일단에 형성되는, 본체결합부(402)의 하단과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호스결합부(124)의 중앙에는 상기 필터커버(120)를 상하로 관통하는 공기흡입공(126)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흡입공(126)을 통해 상기 연결호스 (4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흡입된다.
상기 필터커버(1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함몰된 홈으로 구성되는 악세사리안착부(130)가 형성되고, 여기에는 악세사리라고 불리는 브러쉬흡입구(132)나 틈새흡입구(134) 등과 같은 다수의 보조흡입구와, 먼지 등의 집진량을 나타내는 먼지지시기(136)가 안착된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를 사용할 때, 평평한 공간의 이물질 및 먼지제거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흡입노즐체(200)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구석진 틈 또는 공간, 가구등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30)에 보관되어 있는 각종 악세사리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30)에 보관되어 있는 악세사리는 가구용흡입구(131)와 브러쉬흡입구(132), 틈새흡입구(134)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편의 또는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구용흡입구(131)는 가정용 가구(의자, 책상, 옷장, 쇼파 등)에 사용되고, 상기 브러쉬흡입구(132)는 먼지가 많은 장소 또는 모래등 비교적 큰 이물질이 많은 공간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틈새용흡입구(134)는 상기 흡입노즐체 (200)를 사용할 수 없는 구석진 틈새 또는 수직으로 형성된 벽면이나 바닥등의 청소에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가구용흡입구(131) 또는 브러쉬흡입구(132), 틈새용흡입구(134)등의 악세사리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누름동작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악세사리커버(140)를 개방하여야 한다.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선단 중앙부에는 버튼함몰부(144)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함몰부(144)는 아래에서 설명할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형상과 대응되게 후방으로 일정부분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후반부 중앙에는 투시창(146)이 형성된다.
상기 투시창(146)은 상기 본체(100)의 상방으로부터 악세사리커버(14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투시창(146)을 통해 사용자는 내부에 장착되는 상기 먼지지시기(136)의 상태를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30)의 상측에는 이러한 악세사리안착부(13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악세사리커버(140)가 설치된다.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30)의 선단부에는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선단부를 고정하는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이 구비된다.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은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30)의 선단부에 힌지결합되는데, 이러한 힌지결합부 후방에는 압축스프링(152)이 더 구비되어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후단부를 상방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30)에는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개방을 제어하는 멈출돌기(143a)가 형성된다. 상기 멈춤돌기(143a)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개방각도를 제어한다.
즉, 상기 멈춤돌기(143a)는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개방을 제어하는 수단이 되는 것으로, 상기 악세사리커버(140)가 개방될 때 상기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90도 이상 후방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악세사리커버 (140) 선단부가 후단부의 힌지를 축으로 상방으로 회동할 때, 상기 악세사리커버 (140)의 저면 후단이 상기 멈춤돌기(143a)의 배면에 부딪혀 상기 악세사리커버 (140)가 수직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집진실의 후방에는 진공을 형성함으로써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모터 등의 부품이 내장되고, 상기 바디커버(160)가 이러한 다수의 내부부품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상기 바디커버(160)의 상면 중앙부에는 배기필터 장착구조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배기필터 장착구조는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배기필터(170)와, 이러한 배기필터(170)가 안착되는 배기필터안착부(172)와, 상기 배기필터안착부(17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기필터(170)의 상방이탈을 방지하는 배기커버(174)와, 상기 배기커버(174)를 상기 본체(100)에 체결하는 커버체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바디커버(160)의 상면에는 상기 배기필터(170)가 안착되는 상기 배기필터안착부(17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필터안착부(172)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공기관통공(17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공기관통공(172')을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부터 상방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상기 배기커버(174)는 상기 배기필터안착부(17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배기필터안착부(172)의 상측을 감싸는 것으로, 이러한 배기커버(174)의 상면에는 배기그릴부(174')가 형성된다. 즉,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배기공(174")이 다수의 열로 형성되는 상기 배기그릴부(174')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다.
상기 배기커버(174)의 선단에는 다수의 장착홈(174a)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홈(174a)에는 상기 콘트롤커버(18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장착돌기(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배기커버(174)의 선단부가 상기 본체(100)에 체결되도록 한다.
상기 배기커버(174)의 배면에는 잠금레버(175)가 구비된다. 상기 잠금레버 (175)의 전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잠금돌기(175')가 더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기커버(174)의 배면에는 상기 잠금레버(175)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레버장착부(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배기필터안착부(172)의 좌우측에는 스위치버튼(S)과 코드릴버튼(C)이 구비된다. 즉, 상기 배기필터안착부(172)의 우측에는 상기 본체(100)로 유입되는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버튼(S)이 설치되고, 좌측에는 파워코드(L)의 길이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릴버튼(C)이 설치되는데, 이러한 상기 각각의 버튼 내부에는 압축스프링이 장착되어 버튼의 상하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바디커버(160)의 상면 선단부 즉, 상기 배기필터안착부(172)의 전방에는 상기 콘트롤커버(180)가 구비된다. 상기 콘트롤커버(180)의 상면은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상면과 대응되게 라운드지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상기 콘트롤커버(180)에는 진공청소기의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수개의 조작버튼(18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커버(180)의 배면에는 상기 배기커버(174)에 형성되는 장착홈(174a)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장착돌기(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돌기(미도시)는 상기 콘트롤커버(18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장착홈(174a)과 대응되는 위치에 동일한 수량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바디커버(160)의 배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노즐체(200)가 걸어져 고정될 수 있는 노즐걸이부(미도시)와, 상기 본체(100)를 상기 이동손잡이 (112)가 상측에 위치되도록 수직으로 세우는 경우에 이를 지지하기 위한 스탠딩지지부(미도시)가 더 형성되기도 한다.
상기 본체(100)의 호스결합부(124)에는 상기 연결호스(40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호스(400)는 아래에서 설명할 흡입노즐체(200)를 통한 청소가 용이하도록 유연하게 형성되며, 일단에는 본체결합부(402)가 형성되고, 다른 일단에는 손잡이(404)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404)의 선단에는 엘보우관(450)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엘보우관(450)에는 필요시 소정각도로 절곡될 수 있는 관절이 형성되어 침대 밑과 같은 낮은 공간과 좁은 공간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엘보우관(450)의 하단에는 연장관(300)이 설치된다. 상기 연장관(300)은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404)를 손으로 잡고 서서 청소작업을 할 경우, 사용자의 키높이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관(300)의 하단에는 흡입노즐체(200)가 착탈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상기 흡입노즐체(200)에는 실내의 바닥 등을 청소할 경우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소형의 바퀴(미도시) 등이 설치되기도 하며, 저면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과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파워코드(L)를 통한 전원의 인가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미도시)가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흡입력이 생성되어 상기 흡입노즐체(20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흡입노즐체(20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때에는 실내 바닥면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흡입되며, 이러한 이물질을 함유한 공기는 상기 연장관(300) 및 연결호스(400)를 경유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중의 이물질은 본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집진실(미도시)을 통과하여 집진주머니(미도시)에 쌓이게 된다.
상기 집진실을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공기는 상기 바디커버(16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모터(미도시)를 경유하면서 모터의 열을 방열시킨 후 상기 배기커버(174)의 배기그릴부(174´)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 때, 상기 모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배기필터안착부(172)에 형성된 배기공(174˝)을 통해 상방으로 토출되면서 상기 배기필터(170)에서 최종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를 통해 흡입된 오염된 공기는 정화되어 다시 실내공간으로 되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개폐동작에 대하여 살펴본다. 즉, 상기와 같이 흡입노즐체(200)를 통해 실내의 바닥 등을 청소한 다음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흡입노즐체(200)를 상기 연장관(300)으로부터 탈거시키고, 다른 악세사리를 부착하여 구석진 곳의 청소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때에는 상기 악세사리안착부(130)에 보관되어 있는 악세사리를 꺼내어 상기 흡입노즐체(200)와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즉,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후단부를 누르면,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41)가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걸림홈(154)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악세사리커버(140)가 열리게 된다.
이처럼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후단부를 누르면,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선단부가 후단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42)의 힘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후단의 힌지를 축으로 후방으로 회동하던 상기 악세사리커버(140)는 상기 멈춤돌기(143a)에 의해 정지된다.
즉,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악세사리커버 (140) 선단부가 후단부의 힌지를 축으로 상방으로 회동할 때, 상기 악세사리커버 (140)의 저면 후단이 상기 멈춤돌기(143a)의 배면에 부딪혀 상기 악세사리커버 (140)가 수직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멈춤돌기(143a)는 상기 악세사리커버(140)가 개방될 때 상기 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90도 이상 후방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개방시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상면이 상기 콘트롤커버(180)에 닿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악세사리커버(140)가 열린 다음에는 용도에 맞게 브러시흡입구(132)나 틈새흡입구(134) 등 필요한 악세사리를 꺼내어 상기 연장관(300)에 장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악세사리커버(140)를 닫게 되는데, 이때에는 단순히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누르는 동작에 의해 가능하다. 즉,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누르면,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미도시)가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걸림홈 (15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후단부 하부에는 압축스프링(15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은 상방으로 올라가려는 힘이 생기게 되는데,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선단을 하방으로 내리면 상기 압축스프링(152)이 압축되면서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후단부가 하방으로 내려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악세사리커버(140) 선단부가 소정부분 하방으로 내려간 다음에는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미도시)가 상기 걸림홈(154)에 삽입되는데, 이렇게 되면 상기 악세사리커버(140)가 완전히 닫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악세사리커버(140)는 상기 악세사리커버 버튼(150)의 누름동작에 의해 개방이 완료되고, 상기 악세사리커버(140)의 선단부를 하방으로 내려 본체(100)에 밀착시키는 동작에 의해 닫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는, 상기 악세사리안착부의 상면 후반부에 상기 악세사리커버 개방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악세사리커버 개방제어수단인 상기 멈춤돌기를 구성하여, 상기 악세사리커버가 일정범위 즉, 90도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악세사리커버를 개방시키면 상기 악세사리커버가 상기 멈춤돌기에 의해 수직인 상태를 유지하게되므로,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외관상 흠집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결국, 종래와 같은 진공청소기에서는 상기 악세사리커버에 흠집이 발생되거나 파손되어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교환이 요구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외관상 흠집이 예방되어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교환이 불필요해진다. 그러므로, 진공청소기의 미관이 장기간 유지되며, 또한 진공청소기의 유지보수비가 절약되고, 소비자에게 신뢰감을 형성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악세사리안착부가 개방된 상태의 본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본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악세사리커버 후단부의 체결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10. 바디베이스
112. 이동손잡이 120. 필터커버
122. 필터커버버튼 124. 호스결합부
126. 공기흡입공 130. 악세사리안착부
132. 브러쉬흡입구 134. 틈새흡입구
136. 먼지지시기 140. 악세사리커버
142. 악세사리커버스프링 144. 버튼함몰부
146. 투시창 150. 악세사리커버 버튼
152. 압축스프링 154. 걸림홈
160. 바디커버 170. 배기필터
172. 배기필터안착부 174. 배기필터커버
174´. 배기그릴부 174˝. 배기공
175. 잠금레버 175´. 잠금돌기
180. 콘트롤커버 182. 조작버튼
200. 흡입노즐체 300. 연장관
400. 연결호스 450. 엘보우관
C. 코드릴버튼 L. 파워코드
S. 스위치버튼

Claims (5)

  1. 본체의 상면 일측에 형성되어 악세사리가 안착되는 악세사리안착부와;
    상기 악세사리안착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악세사리안착부를 차폐하는 악세사리커버와;
    상기 악세사리커버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악세사리커버 개폐수단과;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개방정도를 제어하는 개방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제어수단은,
    상기 악세사리안착부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개방각도를 제어하는 멈춤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는,
    상기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는,
    상기 악세사리커버의 개방각도를 90도 이내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돌기는, 상기 악세사리커버가 90도 각도로 개방될 때 악세사리커버의 후단 저면이 멈춤돌기의 배면에 접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KR1020030077284A 2003-11-03 2003-11-03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KR20050042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284A KR20050042570A (ko) 2003-11-03 2003-11-03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7284A KR20050042570A (ko) 2003-11-03 2003-11-03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570A true KR20050042570A (ko) 2005-05-10

Family

ID=37243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7284A KR20050042570A (ko) 2003-11-03 2003-11-03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25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7502A (en) Height adjusting system for upright vacuum cleaner
US4573237A (en) Hand vacuum with tilting intake
US6363571B1 (en) Convertible upright vacuum
US5477586A (en) Vacuum cleaner with accessory shutoff
US3950814A (en) Vacuum cleaners
US8584309B2 (en) Auxiliary suction nozzle and port for vacuum cleaner
US20090000054A1 (en) Vacuum Cleaner Cleanout System
AU2008207571A1 (en) Vacuum cleaner nozzle with disposable cover sheet
US20050060839A1 (en) Suction cleaner
KR20060130259A (ko) 원형의 진공청소기 핸들
CN105682525B (zh) 包括可移除手柄组件的真空吸尘器
CN109982623A (zh) 清扫机及具备此的清扫装置
KR20050042570A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개폐장치
KR200331795Y1 (ko) 스팀청소기
KR200331794Y1 (ko) 투웨이 방식의 청소기
KR20050042376A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커버 장착구조
KR200353551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KR100548932B1 (ko) 진공청소기의 버튼잠금장치
KR20050042571A (ko) 진공청소기의 버튼
KR200353549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KR100572773B1 (ko) 업라이트 타입의 진공 청소기용 호스 어댑터
KR20050036350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KR200353550Y1 (ko) 진공청소기의 악세사리 구조
KR100587095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 장착구조
KR200364056Y1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