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842A -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감지센서장치 - Google Patents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감지센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842A
KR20050041842A KR1020040013838A KR20040013838A KR20050041842A KR 20050041842 A KR20050041842 A KR 20050041842A KR 1020040013838 A KR1020040013838 A KR 1020040013838A KR 20040013838 A KR20040013838 A KR 20040013838A KR 20050041842 A KR20050041842 A KR 20050041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unit
signal
control unit
micro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정
Original Assignee
(주)동남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남엔텍 filed Critical (주)동남엔텍
Priority to KR1020040013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1842A/ko
Publication of KR2005004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842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감지 센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플러 레이더 원리를 이용하되 안테나 송신부와 안테나 수신부가 하나의 모듈 내에 장착되어 GHz 대역의 초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센서모듈에 의해 물체의 변화되는 움직임이 파악되면, 상기 센서모듈입력부를 통해 파악된 감지신호를 마이콤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마이콤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여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에 의해 대상물이 감지될 때는 열선 검출부는 OFF 접점이 되고, 그 반대로 열선 검출부가 대상물을 감지될 때는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는 OFF 접점이 되는 신호를 마이콤 제어부가 분석하고 제어하여 사용자에 미리 지정된 민감도와 응답시간의 범위에 따라 출력부로 센서의 작동여부를 표출시킨 후, 어떠한 환경에서도 오작동 없이 상기 센서장치가 연계되어 작동 및 보안을 요하는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어나 벽, 천정 등에 부착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감지센서장치{Sensor device using microwave sensor module and hotwire - detector}
본 발명은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감지 센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플러 레이더 원리를 이용하되 안테나 송신부와 안테나 수신부가 하나의 모듈 내에 장착되어 GHz 대역의 초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센서모듈에 의해 물체의 변화되는 움직임이 파악되면, 상기 센서모듈입력부를 통해 파악된 감지신호를 마이콤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마이콤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여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에 의해 대상물이 감지될 때는 열선 검출부는 OFF 접점이 되고, 그 반대로 열선 검출부가 대상물을 감지될 때는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는 OFF 접점이 되는 신호를 마이콤 제어부가 분석하고 제어하여 사용자에 미리 지정된 민감도와 응답시간의 범위에 따라 출력부로 센서의 작동여부를 표출시킨 후, 어떠한 환경에서도 오작동 없이 상기 센서 장치가 연계되어 작동 및 보안을 요하는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감지 센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 혹은 감지장치는 온도나 압력 혹은 습도 등 여러 종류의 물리량을 감지하여 검출하거나 판별, 계측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 사람의 눈, 코, 귀, 혀 등과 같은 감각기간의 역할을 수행하며 감지한 정보를 정보 처리부(제어부)에 해당되는 수단으로 전달하여 판단을 내리게 한다.
상기와 같은 센서를 통한 감지의 대상이 되는 물리량은 자기, 변위, 진동, 가속도, 회전수, 유량 혹은 유속, 액체성분, 가스성분, 가시광, 적외선 초음파 마이크로파, 외선, 방사선, X선 등, 여러가지 종류가 있으며, 출력신호부로는 증폭과 메모리 내의 저장방법이나 원격조정이 간단하여 입력할 때 취급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전기 신호가 주로 쓰이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센서로는 광센서, 이미지센서, 초음파센서, 변위 센서 등이 있다.
상기 광센서는 빛을 이용하여 대상을 검출하는 소자로 이러한 광센서는 빛의 양, 물체의 모양이나 상태 혹은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그 빛이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어 오는 것을 받아들여 그 물체의 움직임이나 빠르기 등을 알아내는 것으로 투광부에서 방사된 펄스 변조광의 검출거리가 검출영역에 들어감에 따라 수광소자에의 입사광이 증가(감소)하게 되고, 이렇게 증가(감소)한 입사광의 정류신호레벨이 동작레벨에 도달하면 출력을 내어주는 것이 일반적인 원리이다.
예를 들어서, 초음파나 적외선을 로봇의 전방에서 발사하여 물체로부터 되돌아오는 빛의 강약으로 제위치를 알게 되고, 장애물로부터 멀어져 있으면 받는 빛은 약해지고, 가까워지면 강해지므로 어느 일정한 빛의 세기에서 멈추어 서도록 로봇에게 가르쳐 놓으면 앞쪽에 물체가 있을 때 판단해서 서게 되며, 그 이상 앞으로 나아가지 않고, 진행 방향을 바꾸게 되는 것도 비슷한 원리이다.
이미지 센서는 피사체의 정보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영상신호로 변화하는 장치로 인간의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자외선 영역 등의 불가시상을 가시상으로 변화하는 기능이 있다.
초음파센서는 인간의 귀로는 들을 수 없는 20MHz - 300MHz의 고주파대 음을 이용하여 물체의 위치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에 관한 것으로, 두께 2 - 3㎛의 진동막에 전압을 가하면 초음파가 발생하고 물체에 부딪혀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초음파를 다시 이 진동자에 의하여 감지하게 되면, 물체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반사하여 되돌아오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물체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변위센서는 물체간 이동거리 또는 위치변화를 아날로그 값으로 취할 수 있는 센서를 말하는 것으로, 검출대상이 센서 헤드에 접근하며 검출대상물의 표면에 와전류가 발생하게 되고, 와전류손실로 인하여 발전에너지가 감쇠하여 아날로그 변위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일반적인 광센서, 이미지센서, 초음파센서 등과 같은 기존의 센서들은 적외선, 초음파, 열 혹은 연기등을 이용하여 사물에 대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원리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램프나 소형 보안장비에 일반적으로 보편화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상기의 일반적인 센서들은 송신안테나 및 수신안테나 모듈이 각각으로 제작됨으로 인해 감지의 거리가 대략 1 - 1.5m 정도에 불과하고, 발생되는 주파수 대역 역시 초음파 센서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2MHz 등의 아날로그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뿐이고, 감지각이 110° 정도로 인해 다양한 감지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감지에 있어서 사각지대가 발생할 수 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 적외선 감지기를 가진 자동문의 경우에 사람을 인식하여 자동문을 개폐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신문과 같은 무생물체의 표면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움직이는 사람을 인식하여 오작동을 하는 경우도 흔한 일이다.
또한, 보안산업 및 홈오토메이션의 보편화 또는 자동화 요구를 위한 전자산업의 발전을 계기로 자동화 요구와 비용절감차원에서 자동차가 가능한 시스템 사용이 증대되면서 외부와 연결되는 출입구에는 출입이 허용된 자의 출입 및 출입이 허용되지 않은 자의 통제, 방문객 관리, 침입자 방지, 화재나 재난 발생시 피난 및 구조대원 출입, 건물안내 및 사고지원, 출퇴근 기록 등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들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에서 설명한 종래의 감지센서 방법은 일반적인 램프류, 간단한 보안장비, 차량 후방 경보기, 출입문에만 적용될 수밖에 없게 되고 그 이상의 특수 목적을 지닐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는 감지 작동이 이루어질 수 없게 되어 센서의 효율성이나 목적 면에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출원된 본원의 실용신안 등록출원제2003-0005680호의 "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RF 센서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형태의 마이크로 웨이브를 이용한 센서의 경우에는 화재 감지 작용이 전혀 되지 않는 단점으로 인하여 사용대상이 극히 제한될 수 있으며 또한, 열선 검출부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유효거리가 7 - 8m 이면서 그 각도는 80°로 제한적인 공간에서 작용이 되는 빔 방식이므로 사각 지대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도플러 레이더 원리를 이용하되, 안테나 송신부와 안테나 수신부가 하나의 모듈내에 장착되어 GHz 대역의 초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센서모듈에 의해 물체의 변화되는 움직임을 파악하면, 상기 센서모듈입력부를 통해 파악된 감지신호를 마이콤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마이콤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되,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에 의해 대상물이 감지될 때는 열선 검출부의 신호는 off 접점이 되고, 그 반대로 열선 검출부의 신호가 감지될 때는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가 off 접점이 되는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여 사용자가 미리 지정된 민감도와 응답시간의 범위에 따라 출력부로 센서의 작동여부를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센서장치는 전원단자대가 구비되어 외부전원장치로부터 센서장치의 각 부에 일정량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GHz대의 초고주파를 발진시키는 RF센서모듈로 이루어져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전압신호를 IF1/IF2채널에 따라 마이콤제어부로 인가시키기 위한 센서모듈입력부와, 상기 센서모듈입력부에 의해 산출되는 전압신호를 인식이 가능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시키게 구성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각 부의 전체적인 제어와 함께 상기 신호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센서신호를 통제하고 이를 제어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마이콤제어부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데이터나 정보를 저장한 비휘발성의 메모리저장부와 릴레이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모듈입력부에 의한 센서감지와 마이콤제어부에 의한 각 부의 제어로 인해 최종적으로 센서를 작동시키고 연계된 장치의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부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와 열선 검출부는 각각의 신호 증폭부를 갖는 상태에서 마이콤 제어부를 통하여 알람 LED부를 통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콤 제어부는 무접점 스위치부에 의해 릴레이 방식으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콤 제어부는 BIP 설정부에 의해 열선 검출부와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를 선택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감지 센저장치를 제공하고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원의 선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02-0064322호의 " RF 극초단파를 이용한 마이크로 웨이브 작동 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대상물의 감지 방법 "에 의한 RF 센서 모듈을 PCB 기판 형태로 장착시켜 센서장치로 근접되는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컨트롤러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와 열선부에 의해 물체의 움직임이 파악되면 주변장치들의 연계 및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제어부에 의해 상기 신호를 분석제어하고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민감도와 응답시간 설정의 범위에 따라 출력부로 센서의 작동여부를 표출시키게 되면 연계장치들이 작동 및 보안을 요하는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장치의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이콤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장치의 회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적용되어 작동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3은 마이크로 웨이브 및 열선부와 연계된 마이콤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18)와 열선 검출부(19)를 감지기(17)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16), 초고주파를 발생시켜 대상물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마이크로 웨이부 검출부(18)와 27°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열선 검출부(19), 상기 각각의 검출부에 의해 산출되는 전압신호를 일정크기의 신호로 증폭시키는 신호증폭부(12), 회로 각 부의 전체적인 제어와 함께 상기 신호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신호를 통제하고 이를 제어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마이콤 제어부(11), 사용자에 의해 초기 설정된 응답시간과 민감도 값 등에 따라 마이크로 웨이브 및 열선부를 선택하는 BIP 설정부(13)에 의한 감지와 마이콤제어부(11)에 의한 각 부의 제어로 인해 최종적으로 센서를 작동시키고 연계된 장치의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릴레이 출력부(15)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6)는 외부전원장치(미도시됨)로 부터 12V의 전원이 인가됨과 동시에 레큐레이터를 통하여 5V로 다운되면서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18) 및 열선 검출부(19)로 인가된 후, 마이콤 제어부(11)를 통해 릴레이 출력부(15)로 그 신호를 송출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18)와 열선 검출부(19)에서 감지된 신호와 전압을 마이콤 제어부(11)로 동시에 인가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18)는 감지된 외부 대상물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이들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주파수의 파형을 분석하여 이를 감지하게 되면, 이 변화되는 주파수 신호의 값은 마이콤제어부(11)로 인가되는 전압의 값에 비례하게 되고 상기 전압도 대상물의 움직임에 따라 동시에 변화하게 되므로 상기 변화하는 전압값을 기준으로 마이콤제어부(11)가 활성화되도록 하며, 상기 전압과 동시에 인가되는 신호는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인체의 열과 주변의 열을 감지하는 열선 검출부(19)는 변화되는 열의 변화의 값을 마이콤제어부(11)로 인가하면 상기 입력되는 값을 기준으로 마이콤제어부(11)가 작동함과 동시에 ALARM LED(10)를 작동시키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의 상황에서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18)와 열선 검출부(19)는 도 3과 같은 프로그램에 의해 작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민저, 마이콤제어부(11)는 도 2와 같이 각각의 핀으로는 본 발명의 각 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한 후 이를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이 연결되는 곳으로, 외부전원장치를 통해 상기 전원부(16)로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이 체크되는 수단(41)과, 상기 RF센서모듈입력부의 입력단자를 통해 마이콤제어부(11)로 인가되는 감지전원의 입출력이 체크되는 수단(42)과, 오실레이터 접속 또는 외부 클럭소스의 입출력이 체크되는 수단(43)과, 상기 RF센서모듈의 IF1채널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전원이 입력되는 수단(44a)과, 상기 RF센서모듈의 IF2채널에 의해 증폭된 신호와 전원이 입력되는 수단(44b)과, 외부의 움직이는 대상물에 대한 감지거리와 감지각도를 조절하는 민감도 설정수단(45)과, 외부의 움직이는 대상물에 대해 반응하는 초기시간과 감지시간을 설정하는 응답시간 설정수단(46)과,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미감도와 응답시간이 저장되는 비휘발성의 메모리저장 수단(47)과, 상기 대상물이 감지됨에 따라 이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LED 표시수단(48)과, 연계된 외부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릴레이를 작동시키는 수단(49)과, 인체에서 발생되는 미세한 열을 감지하여 검출하는 수단(19)이 상기 마이콤제어부(40)의 각 핀에 연결되어 회로 전체를 제어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마이콤 제어부(11)는 각 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한 후, 이를 재전송하기 위한 수단이 연결되는 곳으로, 외부전원장치를 통해 상기 전원부(16)로 공급되는 전원을 체크함과 아울러 감지전원신호의 입출력, 증폭된 신호와 외부 클럭소스의 입출력 체크와, 함께 외부의 움직이는 대상물에 대해 반응하는 조기시간과 감지시간을 설정하는 응답시간과, 상기 대상물이 감지됨에 따라 이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한 ALARM LED(10) 표시 수단이 작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계된 외부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릴레이 출력부(15)는 마이콤 제어부(11)의 각 핀에 연결되어 회로전체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상황에서 안테나 송신부와 안테나 수신부가 하나의 모듈 내에 장착되어 GHz 대역의 초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센서모듈에 의해 물체의 변화되는 움직임이 파악되면, 상기 센서모듈입력부를 통해 파악된 감지신호를 마이콤 제어부로 전달하고 상기 마이콤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여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신호가 감지될 때는 열선신호는 off 접점이 되고, 열선 검출부에 의해 신호가 감지될 때는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 센서가 off 접점이 되는 신호를 분석하고 제어하여 사용자에 미리 지정된 민감도와 응답시간의 범위에 따라 출력부로 센서의 작동여부를 표출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민감도(Sensitivity)의 설정수단은 RF 센서장치가 어느 정도의 미약한 신호까지 수신할 수 있는지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민감도의 조정은 마이콤제어부에 연결된 스위치에 의해 각 단계별(예를 들어, 1-9단계)로 사용자가 수동설정 할 수 있으며, 상기 민감도의 수치가 1에 가까워 그 값이 작을 수록 감지거리와 감지각도가 줄어들며 상기 민감도의 수치가 9에 가까워 그 값이 클수록 대상물에 대한 감지거리와 감지각도가 크게 된다.
또한, 응답시간(Delay/Time) 설정수단은 대상물에 대한 움직임의 변화에 따라 함께 변화하는 주파수를 마이콤 제어부(11)가 제어하여 초기전압으로부터 전압신호로 출력한 후 센서를 ON/OFF 시키기 위한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움직임 변화에 따라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출력부로 응답하기까지의 신호 감지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마이콤제어부(11)에 함께 연결되어 대상물의 감지에 따라 초기응답시간과 응답지연시간 등의 설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본 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장소에 대한 환경이나 감지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 무게, 발생되는 열에 따라 초기에 설정된 응답시간의 기본값을 변형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그리고, ALARM LED(10) 표시수단은 센서의 작동에 의해 발광되는 장치로 이루어져 본 센서장치가 대상물의 움직임을 감지한 후 최종적으로 센서를 가동시킨 후 함께 연계된 외부장치를 구동시키고자 할 때, 본 장치의 동작여부를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형태로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자동문이나 감지기 등 본 장치와 연계되어 보안 및 작동을 요하는 외부장치의 동작여부에 따라 상기 ALARM LED 표시수단이 발광되도록 된다.
상기 메모리저장수단(47)은 마이콤제어부(11)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지정된 민감도와 응답시간이 저장되는 수단으로 비휘발성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전원이 끊어질 경우 기존에 저장된 데이터 설정값의 상실을 방지하도록 하고, 정전으로 인한 전원단락시에도 상기 민감도나 응답시간을 새로운 값으로 설정할 필요없이 기존에 지정해 놓은 값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이콤제어부(11)에 비휘발성 메모리 역할을 수행하는 메모리 수단이 구비되어 있다면, 상기 메모리저장수단(47)은 추가적으로 구비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출력부(15)는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18) 및 열선감지 검출수단(19)에 의한 센서감지와 마이콤제어부에 의한 각 부의 제어로 인해 최종적으로 센서를 작동시키고 이와 연계된 외부장치의 인증여부를 위한 수단으로, 릴레이를 사용하여 마이콤제어부(11)의 제어에 의한 최종신호에 따라 on/off되게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18) 및 열선감지 검출수단(19)에 의해 외부 대상물이 본 RF 센서장치에 의해 감지된 감지신호가 마이콤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릴레이를 통과하여 본 장치에 연계된 후 동작을 요하는 외부장치를 구동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RF 센서장치와 연계되는 외부장치가 자동문일 경우에는 상기 자동문을 작동시키기 위해 빠른 동작을 요하지 않으므로 센서를 통한 응답시간을 일정간격으로 조정하고 상기 릴레이의 NO 접점이 ON되어 자동문이 개폐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본 RF 센서장치와 연계되는 외부장치가 감지기나 경보등일 경우에는 경보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최대한 빠른 동작이 필요하므로 센서를 통한 응답지연 시간이 최소화되도록 조정하고 상기 릴레이의 NC 접점이 ON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경보기나 감지기로부터 비상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한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센서장치는 RF 센서모듈로부터 GHz 대역의 초고주파수를 발진시켜 주변의 움직이는 대상물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한 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지정된 민감도의 범위에 따라 출력부로 센서의 작동여부를 표출시킬 수 있어, 열, 온도, 소음, 습기, 기류, 먼지 등에 의한 환경적 요소에 제약을 받지 않고 오작동 없이 사용이 가능한 감지센서 장치 제품에 대한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장치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마이콤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센서장치의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가 적용되어 작동되는 상태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ALARM LED 11. 마이콤 제어부
12. 신호 증폭부 13. BIP 설정부
15. 릴레이 출력부 16. 전원부
17. 감지기 18.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
19. 열선 검출부

Claims (1)

  1. 근접하는 대상물의 움직임에 대한 변화를 감지하여 연계된 외부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센서장치는 각 부에 일정량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GHz대의 초고주파를 발진시키는 RF센서모듈로 이루어져 대상불의 움직임을 감지하며, 상기 감지된 전압신호를 IF1/IF2채널에 따라 마이콤제어부로 인가시키기 위한 센서모듈입력부와, 상기 센서모듈입력부에 의해 산출되는 전압신호를 인식이 가능한 크기의 신호로 증폭시키게 구성되는 신호증폭부와 상기 각 부의 전체적인 제어와 함께 상기 신호증폭부에 의해 증폭된 센서신호를 통제하고 이를 제어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마이콤제어부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테이터나 정보를 저장한 비휘발성의 메모리저장부와, 릴레이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모듈입력부에 의한 센서감지와 마이콤제어부에 의한 각 부의 제어로 인해 최종적으로 센서를 작동시키고 연계된 장치의 인증여부를 결정하는 출력부로 이루어지는 센서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와 열선 검출부는 각각의 신호를 증폭부를 갖는 상태에서 마이콤 제어부와 알람 LED부를 통하여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콤 제어부는 무접점 스위치부에 의해 릴레이 방식으로 진행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콤 제어부는 BIP 설정부에 의해 열선 검출부와 마이크로 웨이브 검출부를 선택으로 설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감지 센서장치
KR1020040013838A 2004-02-28 2004-02-28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감지센서장치 KR20050041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838A KR20050041842A (ko) 2004-02-28 2004-02-28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감지센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838A KR20050041842A (ko) 2004-02-28 2004-02-28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감지센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4180U Division KR200338387Y1 (ko) 2003-10-31 2003-10-31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감지센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842A true KR20050041842A (ko) 2005-05-04

Family

ID=3724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838A KR20050041842A (ko) 2004-02-28 2004-02-28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감지센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184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26A (ko) * 2014-09-16 2016-03-24 김진규 화재감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2526A (ko) * 2014-09-16 2016-03-24 김진규 화재감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3668E (en) Detection device having energy transmitters located at vertically spaced apart points along movable doors
US74114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ruder detection
US4794248A (en) Detection device having energy transmitters located at vertically spaced apart points along movable doors
EP2019379B1 (en) High security optical door contact
US20110160881A1 (en) RFID occupancy sensor
EP3846142A1 (en) A cover for a camera
CN105844209B (zh) 基于红外辐射探测的访客识别
EP0782712A2 (en) A lift sensor
US66932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 powered vent opening with a multifaceted sensor system
US5091648A (en) Radiation detection arrangements and methods
KR20040080398A (ko) 신광원과 마이크로웨이브센서모듈을 이용한 후방감지등 인터페이스
KR20160053149A (ko) 유무선 듀얼 감지장치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200338387Y1 (ko)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감지센서장치
KR20050041842A (ko) 열선 검출부 및 마이크로 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감지센서장치
KR200341979Y1 (ko) 마이크로 웨이브 모션 센서장치
KR200314860Y1 (ko)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모듈을 이용한 rf센서장치
KR20040034231A (ko) Rf 극초단파를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작동 센서 모듈및 이를 이용한 대상물의 감지 방법
KR20050043586A (ko) 마이크로 웨이브 모션 센서장치
KR102106729B1 (ko) 휴대용 도난 경보기
KR102075271B1 (ko) 마이크로웨이브 레이더 센서
JP3413688B2 (ja) 人体検知器
JPH05325052A (ja) 防犯装置
KR20220065295A (ko) 비접촉 자동문 개폐스위치
JP6951242B2 (ja) 警報装置及び警報システム
KR20040074042A (ko) 차량의 후미 번호판 고정용 볼트를 이용한 마이크로웨이브 후방감지기 인터페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