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211A -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1211A
KR20050041211A KR1020030076291A KR20030076291A KR20050041211A KR 20050041211 A KR20050041211 A KR 20050041211A KR 1020030076291 A KR1020030076291 A KR 1020030076291A KR 20030076291 A KR20030076291 A KR 20030076291A KR 20050041211 A KR20050041211 A KR 20050041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data
computer
securit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용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훈시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훈시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훈시큐어
Priority to KR1020030076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41211A/ko
Publication of KR20050041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121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 G06F21/72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computing or processing of information in cryptographic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2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 G06F21/83Protecting input, output or interconnection devices input devices, e.g. keyboards, mice or controller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보드를 이용한 입력 데이터의 보안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키보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이 기록된 보안 칩을 내장함으로써 상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보안을 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의 보안 방법은 소정의 암호화 모듈이 기록된 보안 칩을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보안 칩에 기록된 상기 암호화 모듈에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칩은 상기 키보드가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소정의 복호화 모듈이 상기 컴퓨터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암호화되므로 키보드 해킹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해킹 시도를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A METHOD OF PROTECTING DATA BY USING KEYBOARD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키보드를 이용한 입력 데이터의 보안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키보드에 입력된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이 기록된 보안 칩을 내장함으로써 상기 키보드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의 보안을 기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망의 발달로 인하여 대부분의 금융 거래 및 상거래 등이 인터넷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더불어, 가정에서의 PC 보급 및 초고속 인터넷 통신망이 확대되고 있어서, 가정에서도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한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로, 사용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일도 잦아지고, 전문 해커들로 인한 개인 정보 유출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인터넷을 통한 거래가 정당한 거래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사용자 식별자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해당 거래 이용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기에 앞서, 상기 사용자의 확인을 위하여 화면에 표시된 입력 창을 이용하여 자신의 고유 식별자 및 패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정당한 사용자인지 여부를 판단 받고, 정당한 사용자로 판단된 사용자만이 해당 거래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되었다.
종래에 해킹 방지를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01-0087034호에 개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도면과 같이 종래의 방법은 키보드(110)에 보안 기능을 내장한 메모리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암호를 입력하면, 보안 인증 서버(120)에서 상기 사용자에게 유동적인 인증 암호가 형성된다. 상기 암호는 사용자의 매 접속 시마다 새로이 발생됨으로써, 이전 암호가 해킹 등의 수법을 통하여 외부에 유출된 경우라도 이후 거래는 새로운 암호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고유 인식 암호가 '8232456'이라면, 첫 번째 송신시의 인증 암호는 8121312141516이, 두 번째는 '82223222425262'가 된다. 상기와 같은 암호 해석 방법에 의하면, 하나의 암호가 아닌 매회 접속 시마다 새로운 암호가 전송되므로, 이전 거래시에 노출된 암호는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인터넷을 통하여 침입하는 해커들에게 공격 대상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근래의 해킹 방법은 오프라인을 통한 암호 해킹뿐만 아니라 사용자 컴퓨터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를 이용하여 해킹하는 방법 또는 해당 사용자 컴퓨터에 은닉하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존재하여 사용자가 키보드를 통해 입력하는 모든 입력 데이터 로그를 열람할 수 있는 방법 등이 성행하므로, 종래 기술과 같은 방법으로는 보안 유지가 힘들다. 따라서, 해커가 사용자의 식별자 또는 패스워드를 해석하여 컴퓨터로 침입하였을 때에도 문서 등의 데이터를 해킹할 수 없는 획기적인 방법의 모색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키보드 단에서 암호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키보드 해킹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해킹 시도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안 칩이 내장된 키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므로, 웹 서버를 통한 해킹을 막을 수 있어 보안이 유지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은 소정의 암호화 모듈이 기록된 보안 칩을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보안 칩에 기록된 상기 암호화 모듈에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칩은 상기 키보드가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소정의 복호화 모듈이 상기 컴퓨터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는 데이터 보안용 키보드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모듈 또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모듈을 기록하는 보안 칩; 상기 암호화 모듈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키보드에서 수행되는 보안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칩은 상기 키보드가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호화 모듈이 상기 컴퓨터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보안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키보드를 통한 보안 방법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210)에서 사용자로부터 키보드를 통하여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받는다.
단계(220)에서 키보드는 소정의 암호화 모듈이 기록된 보안 칩을 유지하고 있고, 상기 암호화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소정의 키값으로 암호화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단계(230)에서 상기 암호화 모듈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암호화된다. 해커가 침입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를 해킹한다 할지라도, 상기와 같이 키보드 단에서 입력된 데이터가 암호화 되므로, 상기 입력된 데이터는 해커들에게 노출되지 아니하고 안전하게 처리될 수 있다.
단계(240)에서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는 컴퓨터로 전송된다.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컴퓨터로 전송되기 때문에 해커가 상기 컴퓨터를 침입해도 문서 등을 볼 수 없게 된다.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 수단에 디스플레이되기 위해서는 상기 암호화 모듈에 대응되는 복호화 모듈이 필요하다.
따라서, 단계(250)에서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 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 복호화 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복호화 모듈은 키보드가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키보드에 내장된 보안 칩으로 인하여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즉, 해당 키보드가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경우, 상기 키보드에 내장된 보안 칩의 복호화 모듈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자동적으로 인스톨 되도록 동작할 수 있는데, 당업자라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인스톨(install)이란 어떤 장소에 새로운 컴퓨터 시스템을 도입하여 동작하거나 이미 존재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새로운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추가하는 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저장된 디스켓으로부터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옮기고 그 프로그램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주는 작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보안 칩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암호화된 데이터를 컴퓨터 상에서 출력 등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인스톨 과정을 통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모듈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인스톨 과정은 사용자의 인스톨 요청 입력에 따라 실행될 수도 있고, 플러그앤플레이(Plug and Play; PNP) 방식에 따라 해당 키보드가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접속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 칩에 기록된 상기 복호화 모듈이 해당 컴퓨터 시스템에 인스톨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컴퓨터 시스템에 인스톨된 복호화 모듈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포함되는 소정의 메모리 영역으로 로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호화 모듈은 상기 보안 칩에 위치하지 않고, 통신망 또는 자기/광기록 저장 매체를 통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 데이터의 암호화 또는 복호화에 필요한 암호화/복호화 키 값은 해당 보안 칩 하나에 유일한 값이 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단계(260)에서 인스톨 과정을 통해 컴퓨터 시스템에 기록되는 복호화 모듈을 통하여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 시스템은 입력부(310), 보안 칩(320), 인터페이스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을 포함한다.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입력부(310)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에 포함되는 키패드부(도시되지 아니함)일 수 있다.
보안 칩(320)은 입력 받은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모듈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안 칩(320)은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가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암호화 모듈에 대응되는 소정의 복호화 모듈이 상기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안 칩(320)은 통상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일 수 있고, 이러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일예로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보안 칩(320)에는 암호화 모듈만이 기록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는 복호화 모듈은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플로피 디스크, 콤팩트 디스크 등의 자기 또는 광기록 저장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컴퓨터 시스템에 인스톨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30)는 키보드의 보안 칩에 기록된 암호화 모듈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디스플레이부(340)는 데이터가 암호화되고 있는 상태의 보안 기능을 표시한다. 즉, 디스플레이부(340)는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일측에 위치하는 LED 또는 기타 발광 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키보드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상 숫자키 락(N/LOCK) 표시, 캐피털 락(C/LOCK) 표시, 스크롤 락(S/LOCK) 표시 등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의 디스플레이부(340)는 이러한 표시부 이외에 데이터 암호화 표시 등을 더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암호화 표시는 상기 키보드에 포함된 키패드 수단 등을 통하여 토글(toggle) 방식으로 온/오프 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입력하고 있는 데이터가 암호화 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디스플레이부(340)를 통하여 알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가 암호화되므로 키보드 해킹 프로그램으로부터의 해킹 시도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보안 칩이 내장된 키보드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입력되므로,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한 해킹을 막을 수 있어 보안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의 보안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데이터 입력부 320: 보안 칩
330: 인터페이스부 340: 디스플레이부

Claims (3)

  1. 키보드를 통하여 입력된 데이터의 보안 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암호화 모듈이 기록된 보안 칩을 유지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보안 칩에 기록된 상기 암호화 모듈에서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암호화된 데이터를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칩은 상기 키보드가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소정의 복호화 모듈이 상기 컴퓨터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2. 제1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3.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보안을 위한 키보드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력 받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
    상기 데이터를 암호화 하는 암호화 모듈 또는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모듈을 기록하는 보안 칩;
    상기 암호화 모듈에서 암호화된 데이터를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키보드에서 수행되는 보안 기능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 칩은 상기 키보드가 상기 컴퓨터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복호화 모듈이 상기 컴퓨터에 설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보안용 키보드.
KR1020030076291A 2003-10-30 2003-10-30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12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291A KR20050041211A (ko) 2003-10-30 2003-10-30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6291A KR20050041211A (ko) 2003-10-30 2003-10-30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1211A true KR20050041211A (ko) 2005-05-04

Family

ID=3724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6291A KR20050041211A (ko) 2003-10-30 2003-10-30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412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16B1 (ko) * 2008-11-28 2011-05-11 킹스정보통신(주) 키보드 보안상태 확인모듈 및 그 방법
KR20140011032A (ko) * 2012-07-03 2014-01-28 주식회사 이너버스 사용자실행명령어 감시방법, 이를 내장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감시 시스템
KR101511451B1 (ko) * 2013-12-10 2015-04-10 플러스기술주식회사 키보드 입력 정보 암호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016B1 (ko) * 2008-11-28 2011-05-11 킹스정보통신(주) 키보드 보안상태 확인모듈 및 그 방법
KR20140011032A (ko) * 2012-07-03 2014-01-28 주식회사 이너버스 사용자실행명령어 감시방법, 이를 내장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감시 시스템
KR101511451B1 (ko) * 2013-12-10 2015-04-10 플러스기술주식회사 키보드 입력 정보 암호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6970B2 (en)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persistent storage and communications on computer network systems and computer network systems employing the same
US7743413B2 (en) Client apparatus, server apparatus and authority control method
US75266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secure state of a computer system
US8051297B2 (en) Method for binding a security element to a mobile device
US6088799A (en) Security method and system for persistent storage and communications on computer network systems and computer network systems employing the same
US924688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confidential data for a user in a computer
CN111404696B (zh) 协同签名方法、安全服务中间件、相关平台及系统
US109794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blocking phishing or ransomware attack
WO2021164166A1 (zh) 一种业务数据保护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20090006538A (ko) 보안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57565A (ko) 스프핑 방지 패스워드 보호 방법 및 장치
JP2004538584A (ja) 電子装置における情報の処理方法、システム、電子装置及び処理ブロック
JP2022533193A (ja) 統合された隔離されたアプリケーションにおけるランサムウェアの被害の軽減
EP2051181A1 (en) Information terminal, security device, data protection method, and data protection program
US20100257359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private data entry within secure web sessions
US2012013737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confidential information of mobile terminal
JP2001148697A (ja) 低信頼性のチャネルを介して情報を通信する方法
JP2008005408A (ja) 記録データ処理装置
CA2553081C (en) A method for binding a security element to a mobile device
US76941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executing a background process
CN112711762A (zh) 一种数据库透明加密的方法
KR101206735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보안 관련 정보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US7934099B2 (en) Device and method for generating digital signatures
KR20050041211A (ko) 키보드를 이용한 보안 방법 및 시스템
CN113098899B (zh) 无形资产保护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