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1195A - Apparatus for reserving and reusing rainfall and reservoir block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reserving and reusing rainfall and reservoir b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41195A KR20050041195A KR1020030076264A KR20030076264A KR20050041195A KR 20050041195 A KR20050041195 A KR 20050041195A KR 1020030076264 A KR1020030076264 A KR 1020030076264A KR 20030076264 A KR20030076264 A KR 20030076264A KR 20050041195 A KR20050041195 A KR 2005004119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nwater
- reservoir
- block
- space
- concave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동일한 두께, 폭 및 길이, 폐다각형 단면, 하나 이상의 편평한 측면,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편평한 측면이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하여 중앙에 관통공간을 갖는 정육각형 형상으로 된 6개의 기둥부재로 구성된 관통형 블록, 각각 동일한 두께, 폭 및 길이, 폐다각형 단면, 하나 이상의 편평한 측면,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편평한 측면이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하여 중앙에 관통공간을 갖는 정육각형 형상으로 된 6개의 기둥부재로 구성된 블록과 상기 관통공간을 폐쇄하는 격판으로 구성된 폐쇄형 블록, 그리고 하나의 상기 블록의 외측면과 다른 하나의 상기 블록의 외측면을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하나의 블록의 오목홈과 상기 다른 하나의 블록의 오목홈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하나의 블록과 상기 다른 하나의 블록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저수 블록세트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each having the same thickness, width and length, closed polygonal cross section, at least one flat side, a concave groove formed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each of the flat side is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outer side has a through space in the center Through-hole block consisting of six pillar members of regular hexagonal shape, each having the same thickness, width and length, closed polygonal cross section, at least one flat side, and concave grooves formed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lat side forming an outer side A block consisting of six pillar members having a regular hexagonal shape having a through space at the center thereof, and a closed block composed of a diaphragm for closing the through spac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one block and the other of the block. In the concave groove of the one block and the concave groove of the other block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It is inserted at the time of providing a water storage block set having a fixing means for fixing to each other the other of the block and the said one block.
Description
본 발명은 빗물 저수장치 및 이 저수장치의 저수조를 형성하기 위한 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 단지 등의 건축물, 도로, 수로, 공원 등의 지하에 설치하여 빗물을 집수하여 저수조에 저장하고 저장된 빗물을 재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빗물 저수장치 및 이 저수장치에 사용 가능한 블록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water reservoir and a block for forming a reservoir of the reservoir, and more particularly, to install in a basement such as an apartment complex, a road, a waterway, a park, and the like to collect rainwater and store it in a reservoir. A rainwater reservoir designed to reuse stored rainwater and blocks available for the reservoir.
물 부족국가로 인식되고 있는 우리나라는 현재의 물 소비 증가 추세로 볼 때 대체 수잔원의 개발이 없을 경우 물 기근국가로 전락할 위기에 처해 있다. 수자원 확보를 위한 댐 건설은 환경문제로 인해 개발이 제한되고 국민들의 물소비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어 새로운 대체 수자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연간 1,200mm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리지만, 그 대부분이 하절기의 일부 시기에 집중되는 강우 경향으로 인하여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가 힘들다. 또한, 도시지역의 경우 포장된 도로가 많고 우수 관거 시스템 등으로 인해 자연상태의 우수는 대부분 하천으로 유입되도록 설계되어 있어 호우 시 우수의 급속한 유출로 인해 오히려 홍수 등의 위험요소가 증가되고, 건기 시에는 용수가 부족하고 도시 지천의 건천화 등이 유발되어, 결국 물 공급 악순환을 가져오게 되었다.Considering the current trend of increasing water consumption, Korea, which is recognized as a water shortage country, is in danger of falling into a water famine if there is no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Susan source. The construction of dams to secure water resources is limited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and the water consumption of the people is gradually increasing, so that new alternative water resources are urgently needed. In addition, in Korea, a lot of rain more than 1,200mm per year, but most of it is difficult to efficiently use and manage water resources due to the rainfall trend that is concentrated in some of the summer season. In addition, in urban areas, many paved roads and rainwater drainage systems are designed to introduce most of the natural rainwater into the rivers, resulting in the rapid outflow of rainwater during heavy rains. There was a shortage of water and the dryness of urban areas was caused, resulting in a vicious cycle of water supply.
따라서, 집중적인 강우 현상에 따른 여름철 홍수와 겨울철 가뭄으로 인한 인명 및 재산상의 피해를 줄이고, 갈수록 물 부족 문제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는 상황에서 우수의 재활용과 적절한 관리에 대한 관심이 보다 증대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situation that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lives and property damages caused by the summer flood and winter drought caused by intensive rainfall, and the water shortage problem is expected to become more severe, the interest in recycling the rainwater and the proper management is increasing. .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 및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시지역 및 대단위 택지개발계획이 이루어지는 지역에 있어서, 하천을 중심으로 설계되는 우수 관거 시스템과 연계된 저수장치를 제공하여 집중 호우 등과 같은 폭우 시 빗물을 일시 저장한 후 자연 방류시켜 집중 호우에 대한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빗물 저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se problems and requirements, in urban areas and areas where large-scale housing site development plans are made, providing a storage system associated with storm water systems designed around rivers, such as heavy rains It is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water storage device capable of temporarily buffering rainwater during a heavy rain and then naturally discharging it to perform a buffer function against heavy rainfall.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이와 같은 일시적 저수 및 자연 방류 기능 이외에 저수 기간을 조절할 수 있어 저수 기간 동안 저수된 빗물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저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storage device configured to be able to adjust the water storage period in addition to the temporary water storage and natural discharge functions such that the rainwater stored during the water storage period can be used for other purposes.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술한 저수장치의 저수조를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ock capable of efficiently constructing a water tank of the water storage device described above.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노면을 흐르는 빗물이 유입될 수 있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빗물로부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협잡물 제거수단, 그리고 협잡물이 제거된 상기 빗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을 가지며 상기 저장공간의 하면이 우수관거 시스템의 토사제거용 맨홀 내부 공간의 하면과 동일하거나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저수조를 포함하는 빗물 저수장치를 제공하여 달성될 수 있다.The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let through which rainwater flowing on a road surface can be introduced, a debris removal mean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rain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debris from which the debris is removed.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rainwater reservoir including a reservoir installed at the same or higher position tha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nhole removal space of the sewage removal system of the storm drain system.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저수조에 연결되어 있는 보조 저장공간을 가지며 상기 보조 저장공간의 상면이 상기 토사제거용 맨홀의 상기 내부 공간의 하면과 동일하거나 낮은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보조 저수조를 더 포함하는 빗물 저수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has an auxiliary reservoir having an auxiliary storage space connected to the reservoir and having an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storage space installed at a position equal to or lower than a low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soil removal manhole. It can be achieved by a rainwater reservoir containing.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각각 동일한 두께, 폭 및 길이, 폐다각형 단면, 하나 이상의 편평한 측면,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편평한 측면이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하여 중앙에 관통공간을 갖는 정육각형 형상으로 된 6개의 기둥부재로 구성된 관통형 블록, 각각 동일한 두께, 폭 및 길이, 폐다각형 단면, 하나 이상의 편평한 측면,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오목홈을 가지며, 상기 편평한 측면이 외측면을 형성하도록 서로 결합하여 중앙에 관통공간을 갖는 정육각형 형상으로 된 6개의 기둥부재로 구성된 블록과 상기 관통공간을 폐쇄하는 격판으로 구성된 폐쇄형 블록, 그리고 하나의 상기 블록의 외측면과 다른 하나의 상기 블록의 외측면을 접촉한 상태로 상기 하나의 블록의 오목홈과 상기 다른 하나의 블록의 오목홈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하나의 블록과 상기 다른 하나의 블록을 서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저수 블록세트를 제공하여 달성할 수 있다.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cave groove formed through the same thickness, width and length, a closed polygonal cross section, at least one flat side surface, and a thickness direction, respectively, through which the flat side surface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an outer side surface. Through-hole block consisting of six pillar members of a regular hexagonal shape with a space, each having the same thickness, width and length, closed polygonal cross section, one or more flat side, concave groove formed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the flat side A block consisting of six pillar members having a regular hexagonal shape having a penetrating space in the center and joined to each other to form a side, a closed block consisting of a diaphragm for closing the penetrating space, and one outer side of the block The concave groove of the one block and the other block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ock. It can be achieved by providing a storage block set having fixing means for simultaneously inserting one block and the other block into the concave groove to fix each othe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의 빗물 저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빗물 저수장치는 빗물 유입수단(10), 제1 침사조(20), 제2 침사조(25), 저수조(30), 보조 저수조(40)를 포함한다.1 and 2 show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ainwater reservoi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rainwater storage device includes a rainwater inflow means 10, the first settling tank 20, the second settling tank 25, the reservoir 30, the auxiliary reservoir (40).
빗물 유입수단(10)은 강우 시 빗물을 유입할 수 있는 다수의 유입구로 구성되는데, 여기에는 차량용 도로(이하 "차도"라 칭함)의 빗물이 유입되는 차도 유입구(12)와 보행자용 도로(이하 "보도"라 칭함)의 빗물이 유입되는 보도 유입구(14)가 포함된다. 차도 유입구(12)는 차도의 양측에 형성된 인도와 차도의 경계 부분, 구체적으로는 차도로부터 인도로 이어지는 경계의 턱진 부분(계단 형상부분)에 형성되고, 차도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도 유입구(14)는 보도를 관통하여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차도 유입구(12)의 유입 통로(13)와 서로 연결되도록 보도를 관통하는 관통구를 형성한 뒤 관통구 위에 일정한 규격의 다수의 구멍을 갖는 금속망을 위치시켜 형성된다.Rainwater inlet means 1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lets that can inject rainwater during rainfall, which includes a roadway inlet 12 and pedestrian roa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iveway") is a road for vehicles Sidewalk inlets 14 through which rainwater flows in " walkways " The driveway inlet 12 is formed at a boundary portion between the sidewalk and the drivewa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driveway, specifically, a jaw portion (stair shaped portion) of the boundary from the driveway to the sidewalk, and is preferably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roadway. . The sidewalk inlet 14 is formed through the sidewalk, preferably a plurality of holes of a predetermined size on the throughhole after forming a through-hole through the sidewalk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let passage 13 of the driveway inlet 12 It is formed by positioning a metal mesh having a.
빗물 유입수단(10)에 의해 저수장치로 유입되는 빗물은 제1 침사조(20)에 도달한다. 침사조는 빗물에 포함된 모래, 토사, 기타 부유성 협잡물을 침전시켜 빗물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2단계의 침사조가 설치된다. 제1 침사조(20)는 다수의 제1 경사판(22)과 제1 침사조 유출구(23)를 포함한다. 제1 경사판(22)은 통상의 침사조에서 사용되는 경사판과 유사한 기능을 하며, 많은 경사판 구성이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침사조(20)를 거친 빗물은 제1 침사조 유출구(23)를 통해 제2 침사조(25)로 유입된다. Rainwater flowing into the water storage device by the rainwater inflow means 10 reaches the first sedimentation tank 20. The sedimentation tank is to remove sand, earth and sand, and other suspended impurities contained in the rainwater from the rainwater.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wo-stage settlement tank is installed. The first settling tank 2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inclined plates 22 and a first settling tank outlet 23. The first inclined plate 22 functions similar to the inclined plate used in a conventional immersion tank, and since many inclined plate configurations are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Rain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settling tank 20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settling tank 25 through the first settling tank outlet 23.
제1 침사조(20)의 침전물 제거는 강우가 끝난 후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연 방류에 의해 본 발명의 저수장치에 저수된 빗물이 모두 빠져나갔을 수행할 수 있다. 침전물 제거작업의 편의를 위해 제1 침사조는 지면 부근 혹은 최대한 지면에 가까운 지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ediment removal of the first sedimentation tank 20 may be performed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rainfall is over, all the rain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natural discharge. For the convenience of deposit removal, the first settling tank is preferably installed near the ground or as close to the ground as possible.
제2 침사조(25)는 하나의 큰 제2 경사판(24)을 포함한다. 제1 침사조(20)에서 일차적으로 협잡물이 제거된 빗물은 추가적으로 제2 침사조(25)에서 협잡물이 제거된다. 제2 침사조에서 협잡물이 제거된 빗물은 저수조 유입구(32)를 통해 저수조로 유입된다. The second settling tank 25 includes one large second inclined plate 24. Rainwater from which first contaminants are removed in the first sedimentation tank 20 is additionally removed from the second sedimentation tank 25. Rainwater from which the contaminants have been removed from the second settling tank flows into the reservoir through the reservoir inlet 32.
저수조(30)는 내부에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일정한 저수 공간을 가지고 있다. 저수조(30)는 후에 설명할 육각블록(70, 71)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조(30)의 설치 높이는 저수 공간의 하면이 우수관거 시스템의 토사제거용 맨홀(29)의 하면과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위치에 있도록 하여 결정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강우 시 저수조(30)에 수용되는 빗물은 주변의 우수관거 시스템의 수위가 낮아질 때 저수조(30)로부터 특별한 배출장치의 도움없이 자연 방류될 수 있다. 또한, 저수조(30)는 우수관거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고 배출량 조절이 가능한 저수 배출관(34)을 포함한다. 저수 배출관(34)은 주변의 우수관거 시스템의 수위가 낮아질 때 저수조(30)로부터 자연 방류되는 빗물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빗물이 하천으로 방류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reservoir 30 has a constant reservoir space for storing rainwater therein. The reservoir 30 is preferably formed using the hexagonal blocks 70, 71 to be described later.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reservoir 30 is determined so that the lower surface of the reservoir space is at the same or higher position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oil removal manhole 29 of the storm drain system. In this way, the rainwater accommodated in the reservoir 30 during rainfall can be naturally discharged from the reservoir 30 without the help of a special discharge device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urrounding storm drain system is lowered. In addition, the reservoir 30 is connected to the storm drain system and includes a reservoir discharge pipe 34 that can control the discharge. The reservoir discharge pipe 34 may adjust the rate at which rainwater is discharged to the river by adjusting the amount of rainwater naturally discharged from the reservoir 30 when the water level of the surrounding storm water drainage system is lowered.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침사조(25)의 제2 경사판(24)의 하부 바닥 근처에는 토사 배출구(28)가 형성되어 우수관거 시스템의 토사제거용 맨홀(29)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우수관거 시스템과 제2 침사조(25)가 서로 연통할 수 있기 때문에 강우가 끝나고 우수관거 시스템의 수위가 낮아지면 제2 침사조(25)로부터 토사제거용 맨홀(29)로의 빗물 유동이 발생함으로써 제2 경사판(24) 하부에 침전되는 침전물은 토사제거용 맨홀(29)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토사운반장치 혹은 토사제거장치의 도움없이 제2 경사판(24)에 퇴적되는 침전물을 토사제거용 맨홀(29)로 이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스크류형 토사제거장치(26)를 추가적으로 설치하면 빗물 유동에 의해서는 잘 운반되지 않는 응고된 퇴적물 혹은 점성을 갖는 퇴적물 등도 토사제거용 맨홀(29)로 이동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 near the bottom bottom of the second inclined plate 24 of the second settling tank 25, a soil discharge outlet 28 is formed and connected to the soil removal manhole 29 of the storm drain system. . According to such a configuration, since the storm drain system and the second sedimentation tank 25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the rainfall is over and the water level of the storm drain system is lowered, the manhole 29 for soil removal from the second soil sink 25 is removed. As rainwater flows into the furnace, sediment deposited on the bottom of the second inclined plate 24 may flow into the soil removal manhole 29. Therefore, the sediment deposited on the second inclined plate 24 can be transferred to the soil removal manhole 29 without the help of a separate soil transportation device or soil removal device. For example, additional installation of the screw-type soil removal device 26 may move solidified deposits or viscous deposits, which are not easily carried by rainwater flow, to the soil removal manhole 29.
도 3a 및 3b에는 저수조 형성용 육각 블록이 도시되어 있다. 3A and 3B show a hexagonal block for forming a reservoir.
도 3a에 도시한 육각블록(70)은 관통형 블록으로서, 중앙에 관통공간을 갖도록 서로 동일한 크기의 6개의 기둥부재(70a)가 대략 정육각형 형상으로 서로 결합되어 있고, 각 기둥부재(70a)에는 T형 홈(72)이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 도시한 육각블록(71)은 폐쇄형 블록으로서 관통형 블록과 거의 동일하며 관통형 블록(70)과는 다르게 격판(76)을 더 포함하여 중앙의 관통공간을 폐쇄시킨 구성을 가지고 있다. 기둥부재(70a, 71a)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재생 플라스틱으로 하는 것이 환경 친화적인 면에서 좋다.The hexagonal block 70 shown in FIG. 3A is a through block, and six pillar members 70a of the same size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ubstantially hexagonal shape so as to have a through space at the center thereof. T-shaped grooves 72 are formed. Hexagonal block 71 shown in Figure 3b is a closed block is almost the same as the through-type block, and unlike the through-type block 70 has a configuration that closed the central through space further comprises a diaphragm 76. . The pillar members 70a and 71a are made of polyethylene (PE) or polypropylene (PP) resin, and preferably made of recycled plastic is preferable in terms of environmental friendliness.
도 3b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나의 기둥부재(71a)는 일정한 두께(t), 폭(w) 및 길이(l)를 갖고 단면이 사각형인 중공형 부재이다. 기둥부재(71a)의 단면은 사각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의 폐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기둥부재(71a)의 외측면(71c)은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어 동일한 형상의 다른 블록(70, 71)의 외측면과 균일하게 접촉할 수 있다. T형 홈(73)은 두께방향 전체에 걸쳐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단면은 T자형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ure 3b in more detail, one pillar member (71a) is a hollow member having a constant thickness (t), width (w) and length (l) and th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The cross section of the pillar member 71a may have a closed polygonal cross section of various shapes in addition to a quadrangle. The outer side surface 71c of the pillar member 71a has a flat shape, and can contact uniformly with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other blocks 70 and 71 of the same shape. The T-shaped groove 73 is preferably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entire thickness direction, the cross-section is possible in addition to the T-shaped various shapes.
각각의 육각블록(70, 71)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은 H형 연결핀(74)에 의해 서로 결합가능하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74)의 양단은 연결할 2개의 육각블록(70, 71)에 형성된 각각의 T형 홈(72)에 삽입되어 두 육각블록(70 혹은 71)을 결합시킨다.Each hexagon block 70, 71 is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H-shaped connecting pin 74 as shown in Figure 3c. As shown in FIG. 3A,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in 74 are inserted into respective T-shaped grooves 72 formed in the two hexagon blocks 70 and 71 to be connected to couple the two hexagon blocks 70 or 71.
연결부재의 예가 도 3d에 도시되어 있다. 연결부재(78)는 육각블록(70, 71)의 면과 접촉하는 다수의 결합면(81), 각 결합면(81)에 형성된 T형 홈(79)을 포함한다. 도시된 연결부재는 X형 단면을 갖는 연결부재(78)로서 서로 직교하는 4방향으로 연장된 육각블록(70, 71)을 한 곳에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연결부재는 기본구성은 유사하면서 단면 형상만 다른 형태로 다양한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L형 단면을 갖는 연결부재는 직교하는 2방향의 블록을 결합시킬 수 있고, T형 단면의 연결부재는 3방향, 일자형 단면("一")의 연결부재는 일면에 블록이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면을 구비할 수 있다.An example of a connecting member is shown in FIG. 3d. The connection member 78 includes a plurality of coupling surfaces 81 in contact with the surfaces of the hexagon blocks 70 and 71, and T-shaped grooves 79 formed at each coupling surface 81. The illustrated connecting member is a connecting member 78 having an X-shaped cross section and can support hexagonal blocks 70 and 71 extending in four direction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one place. The connection memb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a variety of connection members in a similar basic configuration but different in cross-sectional shape. Fo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may join blocks in two orthogonal directions,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T-shaped cross section is three-way,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straight cross section (“一”) is coupled to one surface. It may have a pair of engaging surfaces.
한편, 저수조(30)는 일 예로서 도 4f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수조(30) 외곽의 4방면에 측벽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육각블록(71)을 사용하여 이러한 형태의 저수조(30)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L형 연결부재(78b)가 필요하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4F, the reservoir 30 may be formed by forming sidewalls on four sides of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30. In order to for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30 of this type using the hexagonal block 7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shaped connecting member 78b is required.
따라서, 본 발명의 폐쇄형 육각블록(71), L형 연결부재(78b) 및 상술한 연결핀(74)을 사용하면 육각블록(71)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서로 결합시켜 도시된 형태의 저수조(30)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4f에 도시된 유형의 저수조(30) 형성에는 저수 공간의 외측에만 육각블록(71)을 배치하므로 폐쇄형 육각블록(71)만 사용한다. Therefore, using the closed hexagonal block 71, the L-shaped connecting member 78b and the connecting pin 74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hexagonal block 71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the water tank of the illustrated form 30 can be easily formed. On the other hand, in the formation of the reservoir 30 of the type shown in Figure 4f, because the hexagon block 71 is disposed only on the outside of the reservoir space, only the closed hexagonal block 71 is used.
도 4g를 참조하면, 도시된 저수조(30)는 중앙에 직교하는 내벽을 구비하여 도 4f에 도시된 저수조(30)에 비해 보다 견고한 구성을 가져 보다 큰 저수 공간을 갖는 저수조(30)에 적당하다. 이러한 유형의 저수조(30)는 본 발명의 관통형 및 폐쇄형 육각블록(70, 71), L형 단면을 갖는 연결부재(78b), T형 단면을 갖는 연결부재(78c), X형 단면을 갖는 연결부재(78)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관통형 육각블록(70)은 내벽을 형성하는데 사용되고, 폐쇄형 육각블록(71)은 외벽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Referring to FIG. 4G, the reservoir 30 shown in FIG. 4F has a more rigid configuration than the reservoir 30 shown in FIG. 4F having an inner wall perpendicular to the center thereof, and thus is suitable for the reservoir 30 having a larger reservoir space. . Reservoir 30 of this type has a through and closed hexagonal blocks 70 and 71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ing member 78b having an L-shaped cross section, a connecting member 78c having a T-shaped cross section, and an X-shaped cross section. It can be formed using a connecting member 78 having. The through hexagon block 70 is used to form the inner wall, the closed hexagon block 71 is used to form the outer wall.
보다 큰 규모의 저수조(30)를 형성하거나 저수조 설치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도 4a 내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구성의 단위 블록 조립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form a larger reservoir 30 or to efficiently perform the reservoir installa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unit block assembly having various configurations as shown in FIGS. 4A to 4E.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한 단위 블록 조립체는 정면에 폐쇄형 육각블록(71)을, 후면에 관통형 육각블록(70)을 배치하고 양측에 연결부재(78a)를 위치시켜 이를 고정한 구성을 가지며 저수조(30, 40)의 최외측에 위치되는 외벽용 조립체이다. 도 4d 및 도 4e에 도시한 단위 블록 조립체는 정면 및 후면 모두에 관통형 육각블록(70)를 배치하고 양측에 연결부재(78a)를 위치시켜 이들을 고정한 구성을 가지며 내벽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내벽용 조립체이다. The unit block assembly shown in FIGS. 4a to 4c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a closed hexagonal block 71 is disposed at a front side and a through-shaped hexagonal block 70 is disposed at a rear side and a connection member 78a is positioned at both sides thereof to fix it. The outer wall assembly is locat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reservoirs 30 and 40. The unit block assembly shown in FIGS. 4D and 4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rough-hole hexagonal blocks 70 are disposed on both front and rear surfaces, and connecting members 78a are positioned at both sides to fix them, and the inner wall used to construct the inner wall. Assembly.
외벽용 단위 블록 조립체는 격판(76)이 저수공간의 최외측에 오도록 배치하여 저수조의 외벽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단위 블록 조립체의 상·하에는 다른 단위 블록 조립체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각각의 단위 블록 조립체의 형상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a의 블록 조립체와 도 4b의 블록 조립체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벽용 단위 블록 조립체의 관통형 육각블록(70) 측방에는 내벽용 단위 블록 조립체를 나란하게 위치시켜 관통형 육각블록(70) 서로가 연통하는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내벽용 단위 블록 조립체를 계속해서 측방으로 배치하여 전체 저수조(30)를 단위 블록 조립체들 만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unit block assembly for the outer wall may be used to form the outer wall of the reservoir by placing the diaphragm 76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reservoir space.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shape of each unit block assembly so that other unit block assemblies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above and below one unit block assembly. For example, the block assembly of FIG. 4A and the block assembly of FIG. 4B are configured to engage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side wall unit block assembly of the outer wall unit block assembly can be placed side by side unit block assembly for the inner wall through the hexagonal block 70 can be mad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n this way, the unit block assembly for the inner wall can be continuously arranged laterally to configure the entire reservoir 30 using only the unit block assemblies.
도 5에는 변형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저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저수장치는 보조 저수조(40)를 추가로 구비한다. 보조 저수조(40)는 저수조(30)와 유사하게 내부에 보조 저수공간을 가지며 보조 저수공간의 상면이 토사제거용 맨홀(29)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 혹은 그 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된다. 보조 저수조(40)는 저수조(30)와 서로 연통하는 구조를 가져서 강우 시 빗물은 최초로 보조 저수조(40)을 먼저 채운 후 저수조(30)를 채우게 된다. 강우가 끝나고 저수조(30)에 저수된 빗물이 우수관거 시스템을 통해 자연 방류되더라도 우수관거 시스템의 토사제거용 맨홀(29) 하측에 위치하는 보조 저수조(40)에 저수된 빗물은 자연방류 되지 않고 계속 저수된다. 이렇게 저수된 물은 취수펌프(42)를 이용하여 취수관(44)을 통해 외부로 토출시켜 다른 용도로 다시 이용할 수 있다.5 shows a 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variant embodiment. The reservoir further includes an auxiliary reservoir 40. The auxiliary reservoir 40 has an auxiliary reservoir space inside, similar to the reservoir 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reservoir space is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or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oil removal manhole 29. The auxiliary reservoir 40 has a structure in communication with the reservoir 30 so that the rainwater during the rainfall first fills the auxiliary reservoir 40 first and then fills the reservoir 30. Even though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30 after the rainfall is discharged naturally through the storm drainage system, the rainwater stored in the secondary reservoir 40 located below the soil removal manhole 29 of the storm drainage system is not naturally discharged. Is stored. The water thus store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take pipe 44 using the intake pump 42 and used again for another purpose.
변형 실시예의 저수조(30) 및 보조 저수조(40)도 모두 본 발명의 육각블록(70, 71)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orm both the reservoir 30 and the auxiliary reservoir 40 of the modified embodiment using the hexagonal blocks 70 and 7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저수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예의 저수장치는 대형 건물이나 아파트 단지 등에서 빗물을 보다 깨끗한 상태로 집수하여 양호한 수질의 물을 필요로 하는 곳에 재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저수장치이다. 저수장치는 집수장치(52), 저수조(50), 토사제거장치(54), 간이처리장치(56), 취수펌프(58)를 구비하고 있다. 6A shows th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 water storage device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rainwater in a clean state in a large building or an apartment complex, and reusing the water where good water quality is needed. The water storage device includes a water collecting device 52, a water storage tank 50, a soil removal device 54, a simple treatment device 56, and a water intake pump 58.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수장치(52)는 우수받이(52a), 집수관(52b), 침사조(52c)를 구비한다. 우수받이(52a)는 지상에 도달하지 않은 빗물을 집수하도록 건물의 옥상 등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받이(52a)에 집수된 빗물은 집수관(52b)을 통해 침사조(52c)에서 이물질 등을 제거한 후 저수조(50)로 유입된다.As shown in FIG. 6B, the water collecting device 52 includes a storm receiver 52a, a water collecting pipe 52b, and a settling tank 52c. The storm receiver 52a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roof of a building or the like to collect rainwater that has not reached the ground. Rainwater collected in the rainwater receiver 52a is removed from the sedimentation tank 52c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ipe 52b and then flows into the water storage tank 50.
다시 6a로 돌아와서, 저수조(50)는 제1 실시예의 저수조(30)와는 다르게 설치 높이에 제한을 받지 않지만 지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조(50)에는 토사제거장치(54)가 설치된다. 이 실시예의 저수장치는 우수관거 시스템에 연결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컨베이어형 토사제거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저수조(50)는 본 발명의 육각블록(70, 71)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Returning to 6a again, the reservoir 50 is not limited to the height of installation, unlike the reservoir 30 of the first embodiment, but is preferably provided underground. The reservoir 50 is provided with a soil removal device (54). Since the water storage device of this embodiment is not connected to the storm drain system, it is preferable to use a conveyor type soil removal devic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the reservoir 50 may be configured using the hexagonal blocks 70 and 71 of the present invention.
저수조(50)에 저수된 물은 재이용 되기 전에 간이처리장치(56)에 의해 요구수질을 갖도록 처리된다. 간이처리장치(56)에 의해 처리된 물은 중수도 혹은 재난시의 생활용수와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수질이 요구되는 곳에 사용된다. 취수펌프(58)에 의해 토출된 물은 공원 관리용, 시설물 관리 등과 같이 수질이 크게 요구되지 않는 곳에 사용될 수 있다.The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50 is processed by the simple processing device 56 to have the required water quality before reuse. The water treated by the simple treatment device 56 is used where water of a certain level or more is required, such as water for heavy water or living water during a disaster. The water discharged by the water intake pump 58 may be used where water quality is not greatly required, such as for park management or facility management.
본 발명의 빗물 저수장치에 따르면, 도시지역 및 대단위 택지개발지역에 있어서, 하수도 및 하천의 부담을 경감시키고 자연적인 물순환 시스템을 보전하여 재해를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rain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urban areas and larg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area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burden of sewerage and rivers, and to prevent natural disasters by preserving natural water circulation systems.
빗물의 저수 및 재이용을 통해 용수의 공급을 저감시켜 식수 혹은 생활용수의 공급 부담을 줄일 수 있다. Storage and reuse of rainwater can reduce the supply of water, thereby reducing the burden of drinking water or domestic water.
또한, 본 발명의 육각블록에 의하면, 일반 콘크리트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견고한 저수조를 짧은 시공시간 내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hexagona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a more robust water tank within a short construction time compared to the case of forming with ordinary concrete.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빗물 저수장치의 빗물 유입구 및 침전장치의 개략도.1 is a schematic view of the rainwater inlet and precipitation apparatus of the rain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장치의 침전물 제거장치 및 저수조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ediment removal device and a reservoir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1;
도 3a는 저수조 형성용 블록 중 관통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hrough-type block of the reservoir forming block.
도 3b는 저수조 형성용 블록 중 폐쇄형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osed block of the reservoir forming block.
도 3c는 블록 결합용 연결핀의 사시도.Figure 3c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in for block coupling.
도 3d는 블록 결합용 연결지주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3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necting column for block coupling;
도 4a 내지 4e는 연결지주를 사용하여 결합된 단위 블록 조립체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4A-4E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examples of unit block assemblies joined together using connecting columns.
도 4f 및 4g는 본 발명의 블록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저수조의 예를 도시한 평면도.4F and 4G are plan views showing examples of reservoirs that can be formed using the block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변형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저수장치의 개략도.5 is a schematic view of the water storag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modification.
도 6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빗물 저수장치의 개략도.6A is a schematic view of the rainwater reservoir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6b는 도 6a의 빗물 저수장치의 집수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FIG. 6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ter collecting device of the rainwater reservoir of FIG. 6A;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유입수단10: inflow means
12: 차도 유입구12: Driveway Inlet
14: 보도 유입구14: sidewalk inlet
20: 제1 침사조20: first tide tank
22: 제1 경사판22: first inclined plate
23: 제1 침사조 유출구23: first tide tank outlet
24: 제2 경사판24: second inclined plate
25: 제2 침사조25: second tide tank
26: 토사제거장치26: soil removal device
28: 토사 배출구28: earth and sand outlet
30: 저수조30: reservoir
32: 저수조 유입구32: reservoir inlet
34: 저수 배출관34: reservoir discharge pipe
40: 보조 저수조40: auxiliary reservoir
42: 취수펌프42: intake pump
44: 취수관44: intake pipe
50: 재이용 저수조50: reuse reservoir
52: 집수장치52: water collecting device
54: 토사제거장치54: soil removal device
56: 간이처리장치56: simple processing unit
58: 취수펌프58: intake pump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6264A KR100556645B1 (en) | 2003-10-30 | 2003-10-30 | Apparatus for reserving and reusing rainf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6264A KR100556645B1 (en) | 2003-10-30 | 2003-10-30 | Apparatus for reserving and reusing rainf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1195A true KR20050041195A (en) | 2005-05-04 |
KR100556645B1 KR100556645B1 (en) | 2006-03-06 |
Family
ID=3724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6264A KR100556645B1 (en) | 2003-10-30 | 2003-10-30 | Apparatus for reserving and reusing rainf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664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9838B1 (en) * | 2008-11-05 | 2010-02-02 | 조남수 | The water tank having hexagon structural tank |
KR100972546B1 (en) * | 2009-11-18 | 2010-07-28 | 주식회사 엔에스렌탈 | Rain station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9272B1 (en) * | 2011-03-02 | 2013-04-01 | 이상록 | A rainwater undercurrent tank |
CN104968860B (en) * | 2012-10-24 | 2017-10-20 | 宁波远志立方能源科技有限公司 | Reduction high wind is pressed and can be with the environment-friendly type works and its manufacture method of collected rainwater |
-
2003
- 2003-10-30 KR KR1020030076264A patent/KR10055664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9838B1 (en) * | 2008-11-05 | 2010-02-02 | 조남수 | The water tank having hexagon structural tank |
KR100972546B1 (en) * | 2009-11-18 | 2010-07-28 | 주식회사 엔에스렌탈 | Rain st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56645B1 (en) | 2006-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1374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 |
US898589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 |
US954604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 |
US11220815B2 (en) |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 |
CN109208426B (en) | Municipal road constru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46104B1 (en) | Deck footpath type water storage for filtering space | |
JP2009127359A (en) | Drainage structure for side ditch | |
JP4268922B2 (en) | Drainage system with drainage system and drainage system in drainage system | |
KR20180081697A (en) | Gutter Structure | |
KR100813995B1 (en) | Reservoir water tank | |
KR100556645B1 (en) | Apparatus for reserving and reusing rainfall | |
JP4511077B2 (en) | Rainwater drainage treatment system | |
KR102527838B1 (en) | LID Road Infiltration System | |
US11952767B2 (en) | Underground storage system with V shaped support legs | |
KR100529500B1 (en) | Method for drainage of road | |
US20210131078A1 (en) | Integrated utility distribution system | |
JPH0786247B2 (en) | Multifunctional gutter | |
JPH033010B2 (en) | ||
KR102051860B1 (en) | Drainage trench for pavement | |
KR200430582Y1 (en) | Structure of rainwater tank using pipe | |
KR200426719Y1 (en) | A Tunnel Type Rainwater Infitration and Detention System | |
KR100771586B1 (en) | Tunnel type rainwater processing system | |
CN217923998U (en) | Concrete tee bend rainwater well | |
KR20240120779A (en) | Rainwater storage system using low-depth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587762B1 (en) | Drainage instrument and Drive method of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