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9229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9229A
KR20050039229A KR1020030074659A KR20030074659A KR20050039229A KR 20050039229 A KR20050039229 A KR 20050039229A KR 1020030074659 A KR1020030074659 A KR 1020030074659A KR 20030074659 A KR20030074659 A KR 20030074659A KR 20050039229 A KR20050039229 A KR 200500392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chassis base
front cabinet
back cover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0647B1 (ko
Inventor
정영철
김기정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064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0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0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트를 벽에 걸어 놓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프런트 캐비넷과 도전막 필터 고정용 브라켓을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후면을 지지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구동회로부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캐비넷과; 상기 샤시 베이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샤시 베이스와 결합하는 백 커버; 상기 프런트 캐비넷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막 필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샤시 베이스와 결합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프런트 캐비넷과 백 커버를 선택적으로 착탈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캐비넷과 백 커버에 서로 상응하게 마련되는 착탈부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세트를 벽에 걸어 놓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프런트 캐비넷과 도전막 필터 고정용 브라켓을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체방전에 의해 생성된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aly Panel, 이하 편의상 'PDP'라 칭한다)에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PDP와, PDP의 측면과 후면을 고정하며 그 후면에 다수의 구동회로 기판을 탑재하는 샤시 베이스와, PDP의 전방에 위치하고 정전기 방지를 위한 도전막 필터를 구비하는 프런트 캐비넷과, 샤시 베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 커버로 이루어지며, 샤시 베이스가 프런트 캐비넷 및 백 커버와 함께 일체로 조립된다.
종래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백 커버가 샤시 베이스에 결합되고, 프런트 캐비넷과 PDP 사이에 도전막 필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이 위치하며, 고정 브라켓과 프런트 캐비넷이 샤시 베이스에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전막 필터에 기포가 생기거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도전막 필터와 PDP 사이에 내재된 경우, 프런트 캐비넷, 고정 브라켓, PDP가 조립된 샤시 베이스 및 백 커버를 분리하여 도전막 필터를 교체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전막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백 커버를 샤시 베이스로부터 분리하고, 고정 브라켓이 결합된 프런트 캐비넷과 샤시 베이스를 분리한 다음, 다시 고정 브라켓을 프런트 캐비넷으로부터 분리해야 하는 바, 세트의 분해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벽걸이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필터를 교환하기 위해 세트를 벽에서 탈거하고 백 커버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분해 및 조립 작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세트 조립시 PDP의 전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하면서 샤시 베이스를 프런트 캐비넷 위에 올려 놓고 조립한 다음, 샤시 베이스 위에 백 커버를 올려 놓고 조립해야 하므로, 세트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트의 분해 및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도전막 필터의 교체와 같은 기기의 점검 및 유지 보수 작업이 용이하도록 세트를 벽에 걸어 놓거나 기립한 상태에서 프런트 캐비넷과 도전막 필터 고정용 브라켓을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후면을 지지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구동회로부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캐비넷과; 상기 샤시 베이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샤시 베이스와 결합하는 백 커버; 상기 프런트 캐비넷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막 필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샤시 베이스와 결합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프런트 캐비넷과 백 커버를 선택적으로 착탈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캐비넷과 백 커버에 서로 상응하게 마련되는 착탈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샤시 베이스의 가장자리변에 위치하는 각각의 단위 브라켓을 구비하고, 각각의 단위 브라켓이 상기 샤시 베이스의 가장자리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위 브라켓이 도전막 필터의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하는 끼움홈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프런트 캐비넷과 백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에 서로 상응하게 형성되는 결착 구멍과, 상기 결착 구멍에 암수식으로 결합하는 결착 돌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착 돌기가 결착 구멍에 가이드되면서 착탈되도록 상기 결착 돌기에 가이드면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착 돌기가 삼각 리브 형상의 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부의 기체 방전에 의한 진공 자외선으로 형광막을 여기시켜 화상을 구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이하, 편의상 'PDP'라 칭한다)과, PDP(2)의 측면과 후면을 고정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4)와, 샤시 베이스(4)의 후면에 장착되는 다수의 구동회로 기판(6)과, PDP(2)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캐비넷(8)과, 구동회로 기판(6)을 감싸면서 샤시 베이스(4) 후방에 위치하는 백 커버(10)를 포함한다.
상기 샤시 베이스(4)는 PDP(2)를 지지하는데 충분한 구조적 강도를 가지며, PDP(2)와 구동회로 기판(6)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시키기 위해 방열성이 양호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런트 캐비넷(8)은 정전기 방지를 위한 도전막 필터(16)를 구비하여 도전막 필터(16)가 PDP(2) 표면에 접촉되게 한다. 아울러, 프런트 캐비넷(8)과 PDP(2) 사이에는 도전막 필터(16)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18)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 브라켓(18)은 샤시 베이스(4)의 전면측 가장자리변에 각각 위치하는 단위 브라켓(19)을 구비하며, 각각의 단위 브라켓(19)에는 도전막 필터(16)의 가장자리 부분이 끼워지는 끼움홈(17)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고정 브라켓(18)은 도전막 필터(16)의 각 장변에 대응하는 상,하단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고, 각 단변에 대응하는 좌,우측 단부의 가장자리 부분을 지지하는 4개의 단위 브라켓(19)으로 이루어진다(도 3 참조). 그리고, 백 커버(10)는 프런트 캐비넷(8)과 함께 PDP 모듈(9)을 감싸면서 프런트 캐비넷(8)에 일체로 조립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 캐비넷(8)과 백 커버(10)에는 이들을 선택적으로 착탈시키기 위한 착탈부재(20)를 구비한다. 착탈부재(20)는 프런트 캐비넷(8)과 백 커버(10)에 서로 상응하게 마련되는 것으로, 프런트 캐비넷(8)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결착 돌기(21)와, 결착 돌기(21)와 암수 결합하도록 백 커버(10)의 가장자리 부분에 형성된 결착 구멍(23)을 구비한다. 대안으로서, 각각의 결착 돌기(21)와 결착 구멍(23)은 프런트 캐비넷(8)과 백 커버(10)에 서로 상응하게 마련되므로, 결착 돌기(21)가 백 커버(10)에 마련될 수 있고, 결착 구멍(23)이 프런트 캐비넷(8)에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결착 돌기(21)는 프런트 캐비넷(8)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각 모서리 부분에 돌기 형태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결착 돌기(21)는 프런트 캐비넷(8) 내측 가장자리의 모서리 부분에 돌출 형성된 삼각 리브 형태의 돌기를 구비한다. 결착 돌기(21)는 결착 구멍(23)에 가이드되면서 결착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가이드면(22)을 구비한다. 마찬가지로, 결착 구멍(23)은 백 커버(10)의 가장자리 부분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고, 각 모서리 부분에 돌기 형태의 결착 돌기(21)가 착탈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결착 구멍(23)은 삼각 리브 형태의 돌기가 결착되도록 백 커버(10) 내측 가장자리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구멍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순서를 살펴보면, 우선, 샤시 베이스(4)의 한쪽 면에 PDP(2)를 위치시키고, PDP(2)와 샤시 베이스(4) 사이에 열전도 매체(3)를 위치시킨다.
이어서, 열전도 매체(3)를 둘러싸도록 PDP(2)의 배면판 후면 가장자리에 양면 테이프와 같은 결합재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PDP(2)와 샤시 베이스(4)를 결합시킨다. 그러면, 샤시 베이스(4)와 PDP(2)가 조립된 PDP 모듈(9)의 제조가 완료된다.
다음, 백 커버(10)의 가장자리 부분에 나사(S)를 체결하여 그 백 커버(10)를 샤시 베이스(4)의 후면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서, 각각의 단위 브라켓(19)에 도전막 필터(16)의 가장자리 부분을 끼우고, 각각의 단위 브라켓(19)을 샤시 베이스(4)의 전면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시킨다. 그러면, 도전막 필터(16)가 PDP(2)의 전면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다음, 프런트 캐비넷(8)을 도전막 필터(16)의 전방에 위치시키고,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런트 캐비넷(8)의 가장자리 부분을 외측으로 잡아 당겨 결착 돌기(21)를 결착 구멍(23)에 결착시킨다. 이 때, 결착 돌기(21)는 그 가이드면(22)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결착 구멍(23)에 자연스럽게 결착된다. 이와 같이, 프런트 캐비넷(8)이 백 커버(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속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도전막 필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도전막 필터(16)를 교체하기 위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백 커버(10)와 결속된 프런트 캐비넷(8)의 가장자리 부분을 도면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잡아 당겨 결착 돌기(21)를 결착 구멍(23)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러면, 프런트 캐비넷(8)이 백 커버(10)로부터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그리고 샤시 베이스(4)의 전면 가장자리변에 결합된 고정 브라켓(18)을 분리하고, 도전막 필터(16)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각각의 단위 브라켓(19)을 잡아 당긴다. 그러면, 도전막 필터(16)의 가장자리 부분이 단위 브라켓(19)의 끼움홈(17)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착탈부재를 이용하여 프런트 캐비넷을 백 커버로부터 분리하고,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도전막 필터를 분리해 낼 수 있으므로, 세트를 벽에 걸어 놓거나 기립된 상태에서도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해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세트를 벽에 걸어 놓은 상태에서 프런트 캐비넷과 고정 브라켓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빈번하게 요구되는 도전막 필터의 교체 작업이 단순화 되고, 세트의 점검 및 유지 보수 작업이 편리하다.
또한, 장치를 직립하게 기립한 상태로 조립 및 분해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성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도전막 필터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평면 구성도.

Claims (6)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과 후면을 지지하고,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부착되는 면의 반대쪽 면에 구동회로부가 장착되는 샤시 베이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캐비넷과;
    상기 샤시 베이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샤시 베이스와 결합하는 백 커버;
    상기 프런트 캐비넷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도전막 필터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샤시 베이스와 결합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프런트 캐비넷과 백 커버를 선택적으로 착탈하기 위해 상기 프런트 캐비넷과 백 커버에 서로 상응하게 마련되는 착탈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샤시 베이스의 가장자리변에 위치하는 각각의 단위 브라켓을 구비하고, 각각의 단위 브라켓이 상기 샤시 베이스의 가장자리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단위 브라켓이 도전막 필터의 가장자리 부분을 고정하는 끼움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부재는 프런트 캐비넷과 백 커버의 가장자리 부분에 서로 상응하게 형성되는 결착 구멍과, 상기 결착 구멍에 암수식으로 결합하는 결착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 돌기가 결착 구멍에 가이드되면서 착탈되도록 상기 결착 돌기에 가이드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 돌기가 삼각 리브 형상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30074659A 2003-10-24 2003-10-2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0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659A KR100570647B1 (ko) 2003-10-24 2003-10-2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659A KR100570647B1 (ko) 2003-10-24 2003-10-2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229A true KR20050039229A (ko) 2005-04-29
KR100570647B1 KR100570647B1 (ko) 2006-04-12

Family

ID=37241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659A KR100570647B1 (ko) 2003-10-24 2003-10-24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06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73B1 (ko) * 2006-10-19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33270A1 (en) 2010-09-09 2012-03-15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DE202011108257U1 (de) 2010-10-28 2012-03-15 Lg Electronics Inc. Anzeigevorrichtung
KR101134924B1 (ko) 2010-10-28 2012-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2652277B (zh) 2010-10-28 2015-04-08 Lg电子株式会社 显示设备
US8416361B2 (en) 2011-01-12 2013-04-09 Lg Electronics Inc.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96590B2 (ja) * 1999-09-21 2004-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Pdp表示装置輸送時の緩衝方法
KR100731038B1 (ko) * 2001-06-11 2007-06-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의 케이스 결합구조
KR100400754B1 (ko) * 2001-11-06 2003-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평판형 표시장치의 결합구조
KR20040024125A (ko) * 2002-09-13 2004-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73B1 (ko) * 2006-10-19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0647B1 (ko) 200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77955A2 (en) Panel type television and LCD television
KR1020096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분해 방법
US20100315797A1 (en) Display Device
EP2620806B1 (en) Display apparatus with detachable glass panel
KR2003008582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706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4188329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40132877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configuration thereof
JP2009162919A (ja) 表示装置
CN215173742U (zh) 电子设备
CN105676513B (zh) 显示模组和显示装置
KR200285355Y1 (ko) 사진교환이 편리한 자석을 이용한 액자
JP4776327B2 (ja) 表示装置
CN219476084U (zh) 一种显示设备
KR20030056862A (ko) 액정표시장치의 하부커버 결합구조
CN209151274U (zh) 一种液晶电视
CN210742641U (zh) 高稳定的透明触摸展示柜
KR20060133814A (ko) 평판 디스플레이의 형합 구조
CN109167947B (zh) 一种电视机的新型装配结构
KR101191449B1 (ko) 액정 표시 모듈
KR10057066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모듈의 분리장치
KR100582284B1 (ko) 모듈 고정용 교환 코어가 구비된 일체형 브라켓
KR100609913B1 (ko) 지지장치 및 이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CN108344151B (zh) 空调器框架结构及空调器
KR20080003035A (ko) 액정표시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