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846A - Tc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Tc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846A
KR20050038846A KR1020030074134A KR20030074134A KR20050038846A KR 20050038846 A KR20050038846 A KR 20050038846A KR 1020030074134 A KR1020030074134 A KR 1020030074134A KR 20030074134 A KR20030074134 A KR 20030074134A KR 20050038846 A KR20050038846 A KR 2005003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mobile
node
source node
transm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164B1 (ko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4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8164B1/ko
Publication of KR2005003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1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0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 H04W40/12Communication route or path selection, e.g. power-based or shortest path routing based on transmission quality or channel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C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데이터패킷을 송출하는 소스노드, 복수의 이동노드, 및 소스노드에 의해 송출된 데이터패킷을 복제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며,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1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라우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라우터는 제1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된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2 이동노드에 전송한다. 이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소스노드와 하나의 이동노드 사이에 발생된 성능저하 문제로 인해 다른 이동노드까지 영향을 받았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TC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promoting TCP throughput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데이터 전송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TCP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CP는 인터넷상의 컴퓨터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Internet Protocol)와 함께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IP가 실제로 데이터의 배달처리를 관장하는 동안, TCP는 데이터 패킷을 추적 관리한다. 예를 들면,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파일이 웹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보내질 때, 서버 내에 있는 TCP 프로그램 계층은 파일을 여러 개의 패킷들로 나누고, 패킷 번호를 붙인 다음, IP 프로그램 계층으로 보낸다. 각 패킷이 동일한 수신지 주소(IP주소)를 가지고 있더라도, 패킷들은 네트웍의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한쪽 편(사용자 컴퓨터 내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있는 TCP는, 각 패킷들을 재조립하고, 사용자에게 하나의 완전한 파일로 보낼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TCP는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메시지들이 각단의 응용 프로그램들에 의해 교환되는 시간동안 연결이 확립되고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TCP는 IP가 처리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여러 개의 패킷들로 확실히 나누고, 반대편에서는 완전한 메시지로 패킷들을 재조립할 책임이 있다.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통신모델에서, TCP는 4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에 속한다.
기존의 유선망 환경에서 대부분의 패킷 손실은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러한 네트워크 혼잡으로 인한 패킷의 손실이 발생할 경우 TCP는 데이터 전송량을 억제하는 혼잡제어(congestion control) 메커니즘을 구동하게 된다. TCP 혼잡제어 메커니즘으로는 Slow start, Congestion avoidance, Fast retransmit/recovery 방법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메커니즘을 통하여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전송량을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유선망과는 달리 무선망에서는 패킷의 손실 대부분이 네트워크의 혼잡이 아닌 무선 링크의 특성 즉, 높은 에러율과 핸드오프로 인한 패킷의 손실 발생의 빈도가 더욱 크다. 따라서, 유선망 환경의 특성에 맞게 제시된 TCP의 제어 메커니즘은 이동 무선망 환경에서 적절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된다. 즉, 무선상에서 일어난 패킷 에러에 의한 손실도 네트워크의 혼잡 상황 발생시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Slow start 또는 Fast recovery 메커니즘의 경우 혼잡 현상에 의한 손실과 마찬가지로 혼잡 윈도우 사이즈(congestion window size)를 줄이게 된다. 그러므로, 유선망의 TCP를 무선망에 그대로 적용한다면 TCP는 발생하는 패킷 손실을 모두 네트워크에 혼잡이 발생하였다고 가정하고 불필요하게 전송 속도를 낮춘다. 결국, 반복되는 패킷의 손실로 인하여 링크의 대역폭을 낭비하게 되며, 따라서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이유로, 유선망에 적합하게 발전해온 TCP를 무선망의 특성에 맞게 개선하여 패킷의 손실원인을 혼잡에 의한 패킷 손실보다는 오류에 의한 것으로 보고 적절하게 대처함으로써, 무선망에서 TCP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무선망 환경에서의 TCP 성능저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기술은 크게 스플릿 커넥션(split connection), 프락시 기반(proxy-based), 엔드투엔드(end-to-end)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스플릿 커넥션 방식의 대표적인 기술로는 I-TCP(Indirect-TCP) 방식을 들 수 있다. I-TCP 방식은 무선 링크상에서의 패킷의 손실을 소스 노드에게 감추기 위해 하나의 TCP 연결을 소스 노드에서 무선 라우터와 무선 라우터에 이동 노드의 두 개의 연결로 나누어 제어하는 방식이다.
프락시 기반 방식의 대표적인 예는 스누프(snoop) 방식을 들 수 있다. 스누프 방식은 무선 링크에서 패킷의 손실 발생시 무선 라우터에서 패킷을 재 전송하는 방식이다. 인터넷 표준화 단체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스누프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무선 링크에서 장시간의 단절(long disconnection)이 발생될 경우, TCP의 성능저하를 개선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즉, 스누프 방식은 무선 링크상에서 패킷의 손실 발생시 소스 노드에서의 패킷의 재 전송이 아닌 무선 라우터에서 국부적인 재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패킷 재 전송시에 특정 단말기와의 무선 링크의 열화상태가 지속되는 경우, 그 특정 단말기로의 반복된 재 전송 시도로 인해 다른 단말기로의 패킷의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TCP의 성능저하가 개선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종단간 제어방식(end-to-end 방식)의 예로는 F-TCP(Freeze-TCP)방식이 있으며, F-TCP 방식은 무선 링크에서의 패킷의 손실 발생시 소스 노드에게 에러 발생 이전의 상태를 유지할 것을 통보함으로써, 성능저하 문제를 개선하는 방식이다. F-TCP 방식은 핸드오프시의 성능저하 문제를 개선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무선망 환경에서의 TCP 성능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 중 IETF에서 권장하고 있는 프락시 기반 방식을 근간으로, 장시간의 단절이 발생될 경우에 성능저하 문제를 개선함과 동시에, 전체 TCP 성능(throughput)을 높일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통신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데이터패킷을 송출하는 소스노드, 복수의 이동노드, 및 상기 소스노드에 의해 송출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제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1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라우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제1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2 이동노드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라우터는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상기 데이터패킷을 라운드 로빈(Round-robin) 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이동노드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제1 이동노드의 차례가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재전송하는 재전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홀딩하는 홀더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제1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삭제하는 삭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a) 소스노드가 데이터패킷을 송출하는 단계, (b) 상기 소스노드에 의해 송출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제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송출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1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2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상기 데이터패킷을 라운드로빈 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방법은, (e) 상기 제1 이동노드의 차례가 되면, 저장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상기 제1 이동노드에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방법은, (f)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홀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통신방법은, (g) 상기 제1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삭제하는 단계, 및 (h)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은, 무선링크의 상태가 나쁜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 무선 링크의 성능이 저하된 상황하에서의 반복적인 재전송으로 인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소스노드(100), 라우터(200), 및 복수의 이동노드(310, 320, 330)를 구비한다.
여기서, 소스노드(100)는 일방으로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의 관점에서, 데이터패킷을 송출하는 무선통신기기를 말하며, 이동노드(310, 320, 330)는 소스노드(100)와 무선으로 접속되어 소스노드(100)로부터 데이터패킷을 수신하는 이동가능한 무선통신기기를 말한다. 또한, 라우터(200)는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소스노드(100)와 이동노드(310, 320, 330)를 서로 연결한다.
하나의 소스노드(100)가 복수의 이동노드(310, 320, 330)에 대하여 데이터패킷을 전송하는 경우, 라운드로빈(Round robin) 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데이터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라운드로빈 방식은 순환 순서 방식이라고도 하며, 그룹 내의 공유된 자원을 일정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즉, 그룹 내의 공유자원을 a, b, c, 및 d 라고 가정하면, 각각의 공유자원에 대하여 일정한 시간동안 a -> b -> c -> d와 같은 순서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라우터(200)는 소스노드(100)에 의해 순차적으로 전송된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각각의 이동노드(310, 320, 330)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패킷의 스케줄링을 담당하는 스케줄러(200a), 스케줄러(200a)의 스케줄링에 따라 현재 전송되는 데이터패킷을 버퍼링하는 Tx버퍼(210), 이동노드(310, 320, 또는 330)에 전송된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를 수신하여 버퍼링하는 Rx버퍼(230), 수신된 응답신호를 소스노드(100)에 전송하며, 소스노드(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패킷 및 소스노드(100)로 전송되는 응답신호에 대한 인터럽트를 담당하는 인터럽트 핸들러(220), 및 소스노드(1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패킷의 각각의 큐상태를 모니터링하는 LMA(Link Monitor Agent)(240)를 구비한다.
또한, 데이터패킷에 대한 스케줄링의 관점에서 보면, 라우터(200)는 저장부(201), 재전송부(203), 홀더(205), 및 삭제부(207)를 구비한다.
저장부(201)는 소스노드(100)에 의해 송출된 데이터패킷을 복제하여 저장한다. 라우터(200)는 소스노드(1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패킷을 복제하여 저장부(201)에 저장시킴과 동시에, 수신된 데이터패킷을 대응되는 이동노드(310, 320, 또는 330)에 전송한다. 복수의 이동노드(310, 320, 330) 중 어느 하나의 이동노드(310, 320, 또는 330)에 전송된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그 이동노드(310, 320, 또는 33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삭제부(207)는 저장부(201)에 복제되어 저장된 데이터패킷을 삭제한다.
복수의 이동노드(310, 320, 330) 중 어느 하나의 이동노드(310, 320, 또는 330)에 전송된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그 이동노드(310, 320, 또는 33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저장부(201)는 복제되어 저장된 데이터패킷을 그대로 유지시킨다. 이때, 라우터(200)는 소스노드(100)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져 수신되는 데이터패킷을 라운드로빈 방식에 따라 복수의 이동노드(310, 320, 330) 중 제1 이동노드(이하, 310으로 한다)와는 다른 제2 이동노드(이하, 320으로 한다)에 전송한다.
라운드로빈 방식에 따라 그룹 내의 복수의 이동노드(310, 320, 330)에 대하여 데이터패킷이 전송된 후, 다시 제1 이동노드(310)의 차례가 되면, 재전송부(203)는 저장부(201)에 복제되어 저장된 데이터패킷을 제1 이동노드(310)에 재전송한다. 이때, 홀더(205)는 소스노드(100)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져 수신되는 데이터패킷 즉, 제1 이동노드(310)에 전송하기 위해 소스노드(100)에 의해 새롭게 송출된 데이터패킷을 홀딩한다.
저장부(201)에 저장된 데이터패킷을 제1 이동노드(310)에 재전송한 후, 라우터(200)는 라운드로빈 방식에 따라, 소스노드(100)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져 수신되는 데이터패킷을 제2 이동노드(320)로 전송한다.
도 3은 도 2에 의한 무선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스노드(100)는 라운드로빈 방식에 따라 그룹 내의 복수의 이동노드(310, 320, 330)에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패킷을 순차적으로 송출한다(S301). 라우터(200)의 저장부(201)는 소스노드(100)에 의해 송출된 데이터패킷을 복제하여 저장한다(S303). 이때, 라우터(200)는 소스노드(100)에 의해 송출된 데이터패킷을 복제하여 저장부(201)에 저장시킴과 동시에, 그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이동노드(310, 320, 330) 중 대응되는 제1 이동노드(310)에 전송한다(S305).
제1 이동노드(310)에 전송된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제1 이동노드(310)로부터 응답신호가 소정시간 즉, 라운드트립 시간(RTT : Rount Trip Time)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S307), 라우터(200)는 소스노드(100)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져 수신되는 데이터패킷을 제2 이동노드(320)에 전송한다(S309).
이와 같은 방법으로, 그룹 내의 모든 이동노드(310, 320, 330)에 대하여 데이터패킷이 전송된 후, 라운드로빈 방식에 따라 다시 제1 이동노드(310)의 차례가 되면, 라우터(200)는 저장부(201)에 복제되어 저장된 데이터패킷을 제1 이동노드(310)에 전송한다(S311). 이때, 제1 이동노드(310)에 전송하기 위하여 소스노드(100)로부터 새롭게 이어지는 데이터패킷은 홀더(205)에 의해 홀딩된다(S313).
제1 이동노드(310)에 전송된 데이터패킷에 대하여 제1 이동노드(310)로부터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라우터(200)의 삭제부(207)는 저장부(201)에 복제되어 저장된 데이터패킷을 삭제한다(S315). 저장부(201)에 저장된 데이터패킷이 삭제된 후, 라우터(200)는 소스노드(100)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져 수신되는 데이터패킷을 제2 이동노드(320)에 전송한다(S317).
이로써, 무선통신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소스노드와 하나의 이동노드 사이에 발생된 성능저하 문제로 인해 다른 이동노드까지 영향을 받았던 Head-of-Line blocking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TCP 기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 제공시 소스노드와 하나의 이동노드 사이에 발생하였던 데이터패킷의 손실로 인해 소스노드와 다른 이동노드 사이의 TCP 성능도 저하되었던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무선 링크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에 라우터의 출력측에서 단위 시간당 패킷 전달을 지연시킴으로써, 무선링크의 상태가 일시적으로 좋지 않은 경우에도 반복적인 재전송으로 인하여 자원이 낭비되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은, 핸드오프와 같이 이동단말의 이동이 발생하는 경우에 이동단말이 새로운 네트워크에서 무선 채널을 설정하여 통신을 재개할 수 있는 시간 동안은 그 이동단말에 대한 데이터전송은 일시적으로 중지하게 됨으로써, 핸드오프의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을 스케줄링 관점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도 2에 의한 무선통신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소스노드 200 : 라우터
201 ; 저장부 203 : 재전송부
205 : 홀더 207 : 삭제부

Claims (10)

  1. 데이터패킷을 송출하는 소스노드;
    복수의 이동노드; 및
    상기 소스노드에 의해 송출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제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1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라우터;를 포함하고,
    상기 라우터는 상기 제1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2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상기 데이터패킷을 라운드로빈(round-robin) 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제1 이동노드의 차례가 되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재전송하는 재전송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홀딩하는 홀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재전송부에 의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패킷이 상기 제1 이동노드에 재전송되는 경우,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홀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우터는,
    상기 제1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삭제하는 삭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시스템.
  6. (a) 소스노드가 데이터패킷을 송출하는 단계;
    (b) 상기 소스노드에 의해 송출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제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송출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1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가 소정 시간 이내에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제2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상기 데이터패킷을 라운드로빈 방식에 따라 대응되는 각각의 상기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e) 상기 제1 이동노드의 차례가 되면, 저장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상기 제1 이동노드에 재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f)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홀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g) 상기 제1 이동노드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패킷에 대한 응답신호가 수신되면, 저장된 상기 데이터패킷을 삭제하는 단계; 및
    (h) 상기 소스노드로부터 순차적으로 이어지는 상기 데이터패킷을 복수의 상기 이동노드 중 대응되는 상기 제2 이동노드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KR1020030074134A 2003-10-23 2003-10-23 Tc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8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134A KR100548164B1 (ko) 2003-10-23 2003-10-23 Tc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134A KR100548164B1 (ko) 2003-10-23 2003-10-23 Tc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846A true KR20050038846A (ko) 2005-04-29
KR100548164B1 KR100548164B1 (ko) 2006-02-02

Family

ID=3724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134A KR100548164B1 (ko) 2003-10-23 2003-10-23 Tc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81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8164B1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wn et al. M-TCP: TCP for mobile cellular networks
KR100946108B1 (ko) 종단간 신뢰도가 있는 그룹 통신 방법 및 장치
Balakrishnan et al. Improving reliable transport and handoff performance in cellular wireless networks
Goff et al. Freeze-TCP: A true end-to-end TCP enhancement mechanism for mobile environments
AU2003267317B8 (en) System for permitting control of the purging of a node B by the serving radio network controller
KR100785293B1 (ko) 다중 tcp확인응답을 이용한 tcp 혼잡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US6876639B1 (en)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handoff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04005223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atching multiple TCP packets from communication systems
CN102026281A (zh) 基于rnc实现tcp代理的方法及装置
CN112583874A (zh) 异构网络的报文转发方法及装置
US20030031161A1 (en) Uplink session extension
Hu et al. Hierarchical cache design for enhancing TCP over heterogeneous networks with wired and wireless links
Griffith et al. Performance metrics for IEEE 802.21 media independent handover (MIH) signaling
EP1278348A1 (en) Long-lived TCP connection using ICMP messages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s
Eom et al. Improving TCP handoff performance in Mobile IP based networks
Chen et al. Syndrome: a light‐weight approach to improving TCP performance in mobile wireless networks
KR100548164B1 (ko) Tcp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시스템 및 그 방법
Ding et al. Delay performance of the new explicit loss notification TCP technique for wireless networks
JP2013179486A (ja) パケット監視装置、パケット監視方法およびパケット監視システム
Daniel et al. Employing cross-layer assisted TCP algorithms to improve TCP performance with vertical handoffs
Deshpande TCP Extensions for Wireless Networks
US20060142022A1 (en) Method of operating a base st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nd radio network controller
Leung et al. G-snoop: Enhancing TCP performance over wireless networks
Yoon et al. Tree-based reliable multicast in combined fixed/mobile IP networks
Serhrouchni et al. A solution for improving TCP performance over wireless lin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