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8335A - Displayer for user caption - Google Patents

Displayer for user cap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8335A
KR20050038335A KR1020030073608A KR20030073608A KR20050038335A KR 20050038335 A KR20050038335 A KR 20050038335A KR 1020030073608 A KR1020030073608 A KR 1020030073608A KR 20030073608 A KR20030073608 A KR 20030073608A KR 20050038335 A KR20050038335 A KR 20050038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user
key
input
subti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6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상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30073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8335A/en
Publication of KR2005003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8335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자막을 입력하고 사용자 자막 표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기능키를 포함한 복수의 입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와,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OS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OSD의 표시 위치와 옵션을 포함한 OSD 데이터가 저장된 OSD 데이터 저장부와,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처리하거나 자막을 입력받기 위한 키처리 테이블이 저장되는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와, 입력되는 키 신호를 키처리 테이블에 따라 처리하여 입력받은 사용자 자막 데이터가 저장되는 자막 데이터 저장부와, OSD의 표시 위치와 옵션에 따라 저장된 사용자 자막 데이터가 포함된 OSD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생성된 자막 OSD 화면을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OSD 처리부를 포함하며, 셋톱박스와 텔레비전 또는 튜너를 내장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등과 같이 영상 출력 장치와 연동하는 전자 제품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자막을 OSD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기억해야 할 메모와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모 등을 입력 및 설정하여 해당 전자 제품을 메모 전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subtitle display device, and provides a OSD input interface with a key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including a function key so that a user can input a subtitle and set a user subtitle display function, and an image output device. OSD data storage unit that stores the OSD data including the display position and options of the OSD for storing the key, and a key processing table for executing or processing a corresponding command or receiving subtitles in response to a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 processing table storage unit, a caption data storage unit storing input user caption data by processing an input key signal according to a key processing table, and an OSD screen including stored user caption data according to the display position and options of the OSD. OSD for displaying the control unit and the generated subtitle OSD screen on the screen of the image output device It includes a processing unit and displays the subtitles set by the user through the OSD screen in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set-top box, a television or a video cassette player with a built-in tuner, through the OSD screen. By inputting and setting a memo to be delivered to another pers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onic product can be used as a memo delivery means.

Description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DISPLAYER FOR USER CAPTION}User caption display device {DISPLAYER FOR USER CAP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셋톱박스와 텔레비전 또는 튜너를 내장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등과 같이 영상 출력 장치와 연동하는 전자 제품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자막을 오에스디(On Screen Display; OSD)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한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subtitle display device, and includes an on-screen display (OSD) screen for subtitles set by a user in an electronic product interoperating with an image output device such as a set-top box and a television or a video cassette player with a tuner. It relates to a user subtitle display device to display through.

주지와 같이, 셋톱박스와 텔레비전 및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등과 같은 전자 제품은 현대사회에서 있어서 가정 필수품으로 자리 매김 하였으며, 영상 출력 장치와 연동하는 대부분의 전자 제품에 채용된 OSD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와 제품 사이의 인터페이스 강화에 활용되고 있다. As is well known,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et-top boxes, televisions, and video cassette players have become home necessities in the modern world, and the OSD user interface employed in most electronic products that interoperate with video output devices is used between the user and the product. It is used to enhance the interface.

통상의 OSD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OSD 스트럭처 등이 포함된 기초 정보와 메뉴창·스크롤바 등의 속성이 포함된 폰트 정보와 표시 위치·옵션 등의 코드 정보가 하나의 프로그램 데이터 형태로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되며, OSD 처리과정에서 제어부는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프로그램 데이터를 독출하여 CRT 등의 영상출력장치를 통해 OSD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In a typical OSD user interface, basic information including an OSD structure, font information including attributes of a menu window and a scroll bar, and code information such as display position and options are stored in a data storage unit in the form of one program data. In the OSD processing, the controller reads program data from the data storage and outputs an OSD user interface screen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such as a CRT.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OSD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작 및 텔레비전 등에 탑재시 특정한 OSD 화면 형태와 자막이 결정되며, 수정 및 추가는 불가능하였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particular OSD screen type and subtitle are determined when the OSD user interface is manufactured and mounted on a television, and the modification and addition are not possible.

한편, 근래의 전자 제품들은 고유의 기능 이외에도 각종 부가 기능들을 지원하여 그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기능 확장형 전자 제품들은 사용상의 넓은 유용성을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신뢰성을 확보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electronic products have tended to improve their utilization by supporting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in addition to inherent functions, and these function-expandable electronic products provide wide usability in use to secure reliability from users.

본 발명은 셋톱박스와 텔레비전 또는 튜너를 내장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등과 같이 영상 출력 장치와 연동하는 전자 제품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자막을 OSD 화면을 통해 표시하도록 한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기억해야 할 메모와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모 등을 입력 및 설정하면 영상 출력 장치에 자막 형태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해당 전자 제품을 메모 전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subtitle display device which allows a user to display a subtitle set by a user on an OSD screen, such as a set top box and a video cassette player with a built-in television or tuner, through an OSD screen. When a memo to be memorized and a memo to be delivered to another person are input and set, the purpose is to output a caption form to a video output device so that a user can use the electronic product as a memo delivery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자막을 입력하고 사용자 자막 표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기능키를 포함한 복수의 입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와,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OS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OSD의 표시 위치와 옵션을 포함한 OSD 데이터가 저장된 OSD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처리하거나 상기 자막을 입력받기 위한 키처리 테이블이 저장되는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와, 상기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키처리 테이블에 따라 처리하여 입력받은 사용자 자막 데이터가 저장되는 자막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OSD의 표시 위치와 옵션에 따라 상기 저장된 사용자 자막 데이터가 포함된 OSD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생성된 자막 OSD 화면을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OSD 처리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user subtit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including a function key so that a user inputs a subtitle and sets a user subtitle display function, and an image output device. The OSD data storage unit stores OSD data including the display position and options of the OSD for providing the OSD user interface, and executes / processes a corresponding command or inputs the subtitles in response to a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A key processing table storage for storing a key processing table for receiving, a caption data storage for processing the input key signal according to the key processing table, and storing input user caption data, and a display position and options of the OSD 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n OSD screen including the stored user subtitle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title OSD screen includes the OSD processing unit for display on the screen of the image output devic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는 도 1의 블록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입력부(111), 제어부(121), 기초 데이터 저장부(131), 폰트 데이터 저장부(133), 코드 데이터 저장부(135), 속성 데이터 저장부(141),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143), 자막 데이터 저장부(151), OSD 처리부(1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user cap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block diagram of FIG. 1, a key input unit 111, a controller 121, a basic data storage unit 131, a font data storage unit 133, and code data storage are provided. The unit 135 includes an attribute data storage unit 141, a key processing table storage unit 143, a caption data storage unit 151, and an OSD processing unit 161.

키입력부(111)는 사용자가 자막을 입력하고 사용자 자막 표시 기능 및 자막 표시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기능키를 포함한 복수의 입력키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가 탑재될 텔레비전 등의 전자제품에서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조작패널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key input unit 111 includes a plurality of input keys including a function key so that a user can input subtitles and select a user subtitle display function and a subtitle display environment, and th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television on which the user subtit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the control panel or a remote controller provided in the product so that a user can input a control command.

기초 데이터 저장부(131)에는 OSD 스트럭처 등이 포함된 기초 정보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며, 폰트 데이터 저장부(133)에는 메뉴창·스크롤바 등의 속성이 포함된 폰트 정보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형태로 저장되고, 코드 데이터 저장부(135)에는 표시 위치·옵션 등의 코드 정보 데이터가 프로그램 데이터 형태로 저장된다. 이러한 복수의 데이터 저장부(131)(133)(135)는 각종 OSD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일의 OSD 데이터 저장부로 구현할 수 있다.The basic data storage unit 131 stores basic information data including an OSD structure in the form of program data, and the font data storage unit 133 includes font information data including attributes such as a menu window and a scroll bar in the form of program data. The code data storage unit 135 stores code information data such as display positions and options in the form of program data. The plurality of data storage units 131, 133, 135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OSD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various OSD data.

속성 데이터 저장부(141)에는 폰트 데이터 저장부(133) 및 코드 데이터 저장부(135)에 저장되어진 폰트 정보 프로그램 데이터 및 코드 정보 프로그램 데이터가 OSD 제어부(121)에 의해 복사되어 그 사본이 저장된다.In the attribute data storage unit 141, font information program data and code information program data stored in the font data storage unit 133 and the code data storage unit 135 are copied by the OSD control unit 121, and a copy thereof is stored. .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143)에는 키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처리하거나 사용자 자막을 입력받기 위한 키처리 테이블이 저장된다.The key processing table storage unit 143 stores a key processing table for executing or processing a corresponding command or receiving a user subtitle in response to a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자막 데이터 저장부(151)에는 키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143)의 키처리 테이블에 따라 처리하여 입력받은 사용자 자막 데이터가 저장된다. 이러한 사용자 자막 데이터는 정정, 추가, 삭제가 가능하여야 하므로 자막 데이터 저장부(151)는 데이터의 쓰기·읽기·소거가 가능하면서 불휘발성인 EEPROM 또는 플래쉬(FLASH) 등으로 구현된다.The caption data storage unit 151 stores the received user caption data by processing a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ccording to the key processing table of the key processing table storage unit 143. Since the user caption data needs to be corrected, added, or deleted, the caption data storage unit 151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EEPROM or FLASH capable of writing, reading, and erasing data.

OSD 처리부(161)는 통상의 OSD 장치에서와 같이 OSD 제어부(121)에 의해 생성된 OSD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한다. The OSD processing unit 161 displays the OSD user interface screen generated by the OSD control unit 121 on the screen of the image output device as in a conventional OSD device.

OSD 제어부(121)는 키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를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143)의 키처리 테이블에 따라 처리하여 입력받은 사용자 자막 데이터를 자막 데이터 저장부(151)에 저장하며, 키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OSD 표시 명령에 따라 폰트 데이터 저장부(133) 및 코드 데이터 저장부(135)에 저장되어진 폰트 정보 프로그램 데이터 및 코드 정보 프로그램 데이터를 복사하여 그 사본을 속성 데이터 저장부(141)에 저장하고, 폰트 정보 프로그램 데이터와 코드 정보 프로그램 데이터 및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143)에 저장된 키처리 테이블에 따라 키입력부(111)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응답하여 OSD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OSD 처리부(161)로 전달한다.The OSD controller 121 processes the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ccording to the key processing table of the key processing table storage unit 143 and stores the received user caption data in the subtitle data storage unit 151. In accordance with the OSD display comm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the font information program data and the code information program data stored in the font data storage unit 133 and the code data storage unit 135 are copied and the copy thereof is the attribute data. OSD user in response to a key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1 and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ccording to the key information table stored in the font information program data and code information program data and the key processing table storage unit 143. The interface screen is transferred to the OSD processor 161.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사용자 자막 설정 과정 및 표시 과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user subtitle setting process and a display process performed by the user subtitle displa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사용자가 키입력부(111)에 마련된 소정의 자막 설정 기능키를 선택하면 이를 신호 받은 제어부(121)는 자막 설정 모드로 진입하며, 이러한 자막 설정 모드에서 사용자는 키입력부(111)의 숫자키 및 각종 기능키 등에 부여된 문자 입력 기능을 이용하여 요망하는 사용자 자막에 대응하는 숫자키 또는 기능키를 입력한다(S201).First, when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subtitle setting function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11, the controller 121 receiving the signal enters the subtitle setting mode. In this subtitle setting mode, the user enters the numeric key of the key input unit 111. And a numeric key or a function key corresponding to the desired user subtitle using the character input function assigned to various function keys or the like (S201).

그러면, 제어부(121)는 키입력부(111)에서 발생되는 입력키 신호를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143)의 테이블과 비교하여 입력키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자모 또는 글자를 인식하여 자막 데이터 저장부(151)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키입력부(111)를 통한 키입력과 제어부(121)에 의한 키인식이 반복되면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입력 요청한 자막 데이터가 자막 데이터 저장부(151)에 저장된다(S202).Then, the control unit 121 compares the input key signal generated by the key input unit 111 with the table of the key processing table storage unit 143 and recognizes the letters or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signals, respectively, and the caption data storage unit ( 151). When such key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111 and key recognition by the controller 121 are repeated, the caption data requested by the user is finally stored in the caption data storage unit 151 (S202).

다음으로, 사용자는 키입력부(111)에 마련된 소정의 자막 표시 환경 기능키를 선택하여 자신이 입력한 사용자 자막을 영상 출력 장치에 표시할 환경을 설정하며, 제어부(121)는 키입력부(111)에서 발생되는 입력키 신호를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143)의 테이블과 비교하여 입력키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자막 표시 환경을 코드 데이터 저장부(135)에 저장한다(S203∼S204).Next, the user selects a predetermined subtitle display environment function key provided in the key input unit 111 to set an environment in which the user subtitle input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device, and the controller 121 controls the key input unit 111. The input key signal generated in the subfield is compared with the table of the key processing table storage unit 143, and the caption display environment corresponding to the input key signal is stored in the code data storage unit 135 (S203 to S204).

여기서, 자막 표시 환경이라 함은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다양한 자막 표시 조건으로서, 본 발명의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가 적용된 전자 제품의 초기 구동시에 표시하는 조건, 구동 후 사용자가 표시 기능을 선택할 때에 표시하는 조건, 자막 표시 유지 시간, 자막 표시 위치, 자막 표시 시간 간격, 슬라이드 처리 조건, 전원 오프시 표시하는 조건 등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상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Here, the caption display environment refers to various caption display conditions that can be designated by the user, conditions for displaying upon initial driving of the electronic product to which the user caption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conditions for displaying when the user selects a display function after driving. It is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by supporting the setting of the subtitle display holding time, the subtitle display position, the subtitle display time interval, the slide processing condition, the display condition when the power is turned off, and the like.

상기와 같이 사용자 자막 입력 및 표시 환경 설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가 적용된 전자 제품이 구동되면 먼저 제어부(121)는 코드 데이터 저장부(135)로부터 단계 S204에서 저장된 자막 표시 환경을 추출한다(S301).When the electronic product to which the user subtitl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driven in the state where the user subtitle input and display environment setting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121 first starts the subtitle display environment stored in step S204 from the code data storage unit 135. Extract (S301).

그리고, 추출된 자막 표시 환경과 현재 환경을 비교하여 현재의 구동 환경이 자막 표시 조건에 만족하는 지를 판별한다. 즉 초기 구동시에 표시하는 조건, 구동 후 사용자가 표시 기능을 선택할 때에 표시하는 조건, 자막 표시 유지 시간, 자막 표시 시간 간격, 자막 표시 위치, 슬라이드 처리 조건, 전원 오프시 표시하는 조건 등의 표시 환경 중에서 기 설정된 환경이 현재의 구동 환경에 부합하는 지를 판별하는 것이다(S302∼S303).The extracted caption display environment is compared with the current environment to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driving environment satisfies the caption display conditions. That is, from the display environment such as the condition to be displayed at the time of initial driving, the condition to be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the display function after driving, the caption display holding time, the caption display time interval, the caption display position, the slide processing condition, and the condition to be displayed at power off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set environment corresponds to the current driving environment (S302 to S303).

여기서, 현재의 구동 환경과 기 설정된 표시 환경이 부합되면 제어부(121)는 자막 데이터 저장부(151)에 저장된 사용자 자막 데이터를 확인하여 자막이 존재하면 단계 S204에서 저장된 사용자 자막 데이터를 추출한다(S304∼S306).Here, if the current driving environment and the preset display environment match, the controller 121 checks the user caption data stored in the caption data storage unit 151 and extracts the user caption data stored in step S204 if a caption exists. S306).

다음으로, 제어부(121)는 자막이 포함된 OSD 화면을 생성하여 OSD 처리부(161)로 전달하며, OSD 처리부(161)는 제어부(121)에 의해 생성된 자막 OSD 화면을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한다(S307).Next, the controller 121 generates an OSD screen including the subtitles and transmits the OSD screen to the OSD processing unit 161. The OSD processing unit 161 displays the subtitle OSD screen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21 on the screen of the image output apparatus. (S307).

이와 같이,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 자막을 표시하는 중에 제어부(121)는 단계 S302에서처럼 자막 표시 환경과 현재 환경을 비교하여 현재의 구동 환경이 자막 표시 조건에 만족하는 지를 다시 한번 판별한다(S308).As described above, while displaying the user caption through the image output apparatus, the controller 121 compares the caption display environment with the current environment as in step S302 and once again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driving environment satisfies the caption display conditions (S308). .

이후, 현재의 구동 환경과 기 설정된 자막 표시 환경이 부합되지 않을 경우, 즉 구동 환경이 변화되어 자막 제거 조건에 해당할 경우에는 OSD 처리부(161)로 더 이상 자막 OSD 화면을 전달하지 않으며, 이로서 OSD 처리부(161)에 의하여 영상 출력 장치에 표시되던 자막 OSD 화면이 제거된다(S309∼S310).Subsequently, when the current driving environment and the preset subtitle display environment do not match, that is, when the driving environment is changed and the subtitle elimination condition is met, the subtitle OSD screen is no longer transmitted to the OSD processing unit 161. The subtitle OSD screen displayed on the image output apparatus is removed by the processor 161 (S309 to S31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but limit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셋톱박스와 텔레비전 또는 튜너를 내장한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등과 같이 영상 출력 장치와 연동하는 전자 제품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자막을 OSD 화면을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기억해야 할 메모와 다른 사람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모 등을 입력 및 설정하여 해당 전자 제품을 메모 전달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ubtitle set by the user through an OSD screen in an electronic product that works with a video output device such as a set-top box, a television, or a video cassette player with a built-in tuner. By inputting and setting a memo and a memo to be delivered to another person,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used as a memo delivery mea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의 블록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user caption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가 자막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setting a caption by a user in a user cap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자막이 표시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 caption set by a user in a user caption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2)

사용자가 자막을 입력하고 사용자 자막 표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기능키를 포함한 복수의 입력키를 구비한 키입력부와,A key input unit having a plurality of input keys including a function key for allowing a user to input subtitles and set a user subtitle display function; 영상 출력 장치를 통해 OSD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OSD의 표시 위치와 옵션을 포함한 OSD 데이터가 저장된 OSD 데이터 저장부와,An OSD data storage unit storing OSD data including display position and options of the OSD for providing an OSD user interface through an image output device;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키 신호에 응답하여 해당 명령을 수행·처리하거나 상기 자막을 입력받기 위한 키처리 테이블이 저장되는 키처리 테이블 저장부와,A key processing table storage unit storing a key processing table for executing and processing a corresponding command or receiving the subtitles in response to a key signal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상기 입력되는 키 신호를 상기 키처리 테이블에 따라 처리하여 입력받은 사용자 자막 데이터가 저장되는 자막 데이터 저장부와,A caption data storage unit which processes the input key signal according to the key processing table and stores the received user caption data; 상기 OSD의 표시 위치와 옵션에 따라 상기 저장된 사용자 자막 데이터가 포함된 OSD 화면을 생성하는 제어부와,A controller configured to generate an OSD screen including the stored user subtitle data according to a display position and an option of the OSD; 상기 생성된 자막 OSD 화면을 상기 영상 출력 장치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OSD 처리부An OSD processing unit for displaying the generated subtitle OSD screen on a screen of the image output device;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User captio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입력부는 상기 사용자 자막의 표시 환경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상기 자막 표시 환경을 상기 OSD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한 후에 상기 저장된 자막 표시 환경에 맞추어 상기 자막 OSD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용자 자막 표시 장치.The key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key for selecting a display environment of the user subtitle, and the control unit stores the subtitle display environment input through the key input unit in the OSD data storage unit, and then the stored subtitle display environment. And generating the subtitle OSD screen according to the user.
KR1020030073608A 2003-10-22 2003-10-22 Displayer for user caption KR2005003833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608A KR20050038335A (en) 2003-10-22 2003-10-22 Displayer for user cap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608A KR20050038335A (en) 2003-10-22 2003-10-22 Displayer for user cap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8335A true KR20050038335A (en) 2005-04-27

Family

ID=37240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608A KR20050038335A (en) 2003-10-22 2003-10-22 Displayer for user cap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8335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118B1 (en) * 2004-07-20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reproducing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state of subtitle and method thereof
WO2007119893A1 (en) * 2006-04-18 2007-10-25 Inka Entworks, Inc. Method of providing caption information and system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118B1 (en) * 2004-07-20 2006-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Data reproducing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state of subtitle and method thereof
WO2007119893A1 (en) * 2006-04-18 2007-10-25 Inka Entworks, Inc. Method of providing caption information and system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537B1 (en) TV with input Labeling and Labeling Method the Same
US6876397B2 (en) Menu display apparatus
US5430493A (en) Manufacturers or users on-screen graphic display upon power-off of a television receiver
JP2007181068A (en) Remote controller
USRE48496E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including electronic device and re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960043870A (en) Matrix input / output source sel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in an integrated double / wide television receiver
JP554609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system
KR100218476B1 (en) Melody setting/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input key
US7365803B2 (en) Method for marking label of external AV apparatu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596585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having a hotkey funct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KR20050038335A (en) Displayer for user caption
EP3247119A1 (en) Media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various modes using force input
JP4561772B2 (en) Display device
KR100793798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ultiple user interface picture
KR20070096334A (en) Display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it and method for setting menu thereof
KR100441521B1 (en) 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ting and method therein
US59032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memo function in a display system
JPH06334933A (en) Video/audio equipment with demonstration function
KR100333531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optimum satatus of monitor screen
US1185451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mage rewinding thereof
KR100473601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n screen display
JP2007074027A (en) Image output apparatus
JP2009290335A (en) Video output device
KR0183113B1 (en) Method for return picture before i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100195092B1 (en) Video cassette player and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