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635A - 캔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캔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635A
KR20050036635A KR1020030072347A KR20030072347A KR20050036635A KR 20050036635 A KR20050036635 A KR 20050036635A KR 1020030072347 A KR1020030072347 A KR 1020030072347A KR 20030072347 A KR20030072347 A KR 20030072347A KR 20050036635 A KR20050036635 A KR 20050036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hole
electrolyte injection
welding
electrode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1888B1 (ko
Inventor
박정만
김광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1888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1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1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캔형 이차 전지와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용기를 이루는 캔, 캔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전해액 주입공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와 전해액 주입공을 밀폐하도록 전해액 주입공에 용접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며 전해액 주입공과 마개의 용접부는 용접봉 공급이 추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용접면의 전해액이 용접을 방해하고, 스파터와 같은 오염부를 통해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을 막아 제품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Description

캔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Can type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캔형 이차 전지에서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 구조 및 밀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캔형 이차 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캔형 이차 전지로는 현재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를 전해질 종류에 따라 구분해 보면,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와 고체 폴리머 전해질 혹은 겔 상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의 경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리튬과 수분(H2O)의 반응성 때문에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한다. 비수성 전해질을 사용함에 따라 리튬 이온 전지는 충전시 물의 분해전압의 지배를 받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높은 전지 전압을 가질 수 있다.
액체 전해질은 리튬염이 유기 용매에서 해리된 상태를 가진다. 리튬염이 용해되는 용매로는 대개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또는 다른 알킬기 함유 카보네이트나 이와 유사한 유기 화합물이 사용된다.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서는 전해액의 누액 문제가 없을 것이나 액상의 전해질을 사용하는 캔형 리튬 이온 전지의 경우 누액을 방지하는 것은 화학전지 일반의 경우와 같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온 전지가 전원으로 사용되는 휴대용 전화기, 컴퓨터, 개인 정보 단말기, 캠코더 등이 고가 정밀기기임을 감안할 때 누액 방지의 문제는 더욱 중요해 진다.
도1은 종래의 이차 전지의 일 예로 각형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온 전지의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각형의 리튬 이온 전지는 양극(13), 세퍼레이터(14), 음극(15)으로 구성되는 전극 조립체(12), 전극 조립체(12)를 수용하는 캔(11)과, 상기 캔(11)과 결합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극 조립체(12)는 통상 전기 용량을 높이기 위해 양극(13) 및 음극(15)을 넓은 판형으로 형성한 뒤 세퍼레이터(14)를 양극(13)과 음극(15) 사이에 개재하여 적층하고 와형으로 권취하여 이른바 '젤리 롤(Jelly Roll)' 형태로 만든다. 음극(15) 및 양극(13)은 각각 구리 및 알미늄 포일로 이루어진 집전체 각각에 음극 활물질인 탄소 혹은 양극 활물질인 코발트산 리튬 등을 코팅시켜 형성할 수 있다.
젤리 롤을 형성할 때 음극 및 양극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깥쪽을 향하는 전극면 위에 분리막을 덧붙이고 권취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전극 조립체(12)에는 각 전극과 연결된 양극 및 음극 리드(16,17)가 인출되어 있다.
캔(11)은 도시된 바와 같은 각형 리튬 이온 전지에서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금속재질의 용기이며, 딥 드로잉(deep drawing) 등의 가공방법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캔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캔을 이루는 재질로는 경량의 전도성 금속인 알미늄 또는 알미늄 합금이 바람직하다. 캔(11)은 전극 조립체(12)와 전해액의 용기가 되고, 전극 조립체(12)가 투입되도록 개방된 위쪽은 캡 조립체에 의해 봉해진다. 통형 리튬 이온 전지에서는 캔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캡 조립체에는 캡 플레이트(110)가 구비되고, 캡 플레이트(110)의 중공(111)에는 가스켓(120)을 개재하여 전극 단자(130)가 장착되어 있다. 캡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캔(11)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전해액 주입공(112)은, 전해액 주입공보다 직경이 큰 보올(ball)을 전해액 주입공 입구에 놓고 기계적으로 전해액 주입공으로 압입하여 마개(160)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밀폐할 수 있다.
캡 플레이트(110)에는 양극 리드(16)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가스켓(120)에 의하여 캡 플레이트(110)와 절연된 전극 단자(130)에는 음극 리드(17)가 역시 전기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양극 및 음극 리드(16,17)는 도시되지 않은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와 보호회로부에 각각 극성 따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리튬 이온 전지에서 전지의 이상유무로 인하여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보호회로부가 전류의 흐름을 신속하게 차단, 제어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높이게 된다.
도2는 캡 플레이트의 전해액 주입구 및 마개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계속 설명하면, 캡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공(112)에는 보올 압입에 의해 형성된 마개(160)가 캡 플레이트(110)에 용접되어 있다. 이는 기계적 압입만으로는 마개(160)와 캡 플레이트(110) 사이의 미세 갭으로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차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캡 플레이트(110)나 보올은 대개 알미늄을 사용하여 형성하는데, 전기 및 열 전도성이 우수한 소재 특성상 이들을 용접하는 방법으로 레이져(100)를 이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마개(160)의 가장자리 부분인 용접부(162)에 레이져 빔이 조사되면 용접부(162)에서 마개(160) 및 캡 플레이트(110)의 전해액 주입공(112) 내면이 부분 용융하여 용접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전해액 주입공(112)을 통해 전해액을 주입한 뒤, 볼을 전해액 주입공에 압입하기 전에 이미 전해액이 전해액 주입공 내면에 묻어 있을 수 있다. 혹은, 주입된 전해액의 과잉으로 인하여 전해액이 전해액 주입공(112) 입구까지 올라와 있을 수 있다. 또한, 마개(160) 형성 후 전해액이 마개(160)에 의해 캡 플레이트(110) 상면까지 누출되지는 않아도, 마개(160)와 전해액 주입공(112)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미세 갭에 전해액이 채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들 경우, 마개(160)와 전해액 주입공(112) 사이의 용접면을 전해액이 오염시키고 있으므로 이 상태로 용접이 이루어지면 전해액이 용접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또한, 오염된 용접부에 '스팟터(spatter)'라고 불리는 불순물 개재 영역이 형성되고 이 불순물층을 통해 혹은 이 불순물이 제거된 틈을 통해 전해액 누출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해액 주입공 밀폐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캔형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해액 주입공과 마개의 용접시 '스파터 발생'과 같은 전해액 누출 요인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캔형 이차 전지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형성된 캔형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캔형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상기 양극판 및 음극판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용기를 이루는 캔;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전해액 주입공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와 상기 전해액 주입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전해액 주입공에 용접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캔형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공과 상기 마개의 용접부는 용접봉 공급이 추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캡 조립체에 구비되는 캡 플레이트는 캔과 결합시킬 때의 용접성 향상을 위해 캔과 동일한 금속, 가령, 알미늄이나 알미늄 합금으로 형성하며, 마개 및 용접봉도 역시 캡 플레이트와의 용접성을 높이도록 알미늄 혹은 알미늄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용접봉 공급에 의해 이루어지는 용접부는 용접 강도를 높이고 용접이 용이하도록 캡 플레이트와 마개의 연결부가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캡 플레이트의 평면과 마개의 가장자리는 직각에 가깝도록 형성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캔형 이차 전지 제조 방법은,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캔의 개방부를 통해 캔 내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를 넣고 상기 개방부에 전해액 주입공을 가지는 캡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전해액 주입공을 통해 전해액을 상기 캔 내부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전해액 주입공을 마개로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캔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공을 밀봉하는 단계는 상기 전해액 주입공에 모재를 압입하여 마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개와 상기 캡 조립체가 닿는 부분을 용접봉 용접을 통해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캡 플레이트나 마개를 알미늄을 함유하는 물질로 형성할 때 용접은 레이져 스폿 용접이나 레이져 연속 용접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전해액 주입구와 마개에 대한 용접봉 용접이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레이져 빔은 용접부에서 용접봉 단부를 직접 조사하는 방식 또는 용접봉 단부와 용접부를 함께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이져 조사(照射)점과 용접봉 단부를, 마개와 전해액 주입부가 연결되는 마개 주변부에서 일치시키기 위해 용접봉을 레이져 해드에 부착된 공급(feeding) 장치를 이용하여 공급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캔형 리튬 이온 전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형 리튬 이온 전지 모듈 상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도3의 전해액 주입공 및 마개의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캔형 리튬 이온 전지는 캔(11)과, 이 캔(11)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12)와, 캔(11)의 개방된 상단과 결합하여 캔 상단을 밀봉하는 캡 조립체를 구비한다.
캔(11)은 대략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캔(11)의 외부 바닥면이 양극단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캔(11)의 개방된 상단을 통해 전극 조립체(12)가 수용된다.
양극(13)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컨대 알미늄 호일로 된 양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리튬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양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양극(13)에는 양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의 영역에 양극 리드(16)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음극(15)은 전도성의 금속 박판, 이를테면 구리 호일로 된 음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코팅된 탄소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음극 활물질층을 포함하고 있다. 음극(15)에도 음극 활물질층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의 영역에 음극 리드(17)가 접속되어 있다.
양극(13) 및 음극(15)과, 양극 및 음극 리드(16,17)는 극성을 달리하여 배치될 수도 있으며, 양극 및 음극 리드(16,17)가 전극 조립체(12)로부터 인출되는 경계부에는 두 전극(13,15)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테이프(18)가 각각 감겨져 있다.
세퍼레이터(14)는 폴리 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져 있다. 세퍼레이터(14)는 양극 및 음극(13)(15)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극판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캡 조립체에는 캔(11)의 개방된 상단에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의 캡 플레이트(110)가 마련되어 있다. 캡 플레이트(110)의 중앙부에는 전극 단자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단자용 통공이 형성된다. 캡 플레이트(11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전극 단자(130) 외측에는 전극 단자(130)와 캡 플레이트(110)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튜브 형상의 가스켓(120)이 설치되어 있다. 캡 플레이트(110) 중앙부, 단자용 통공 근방에는 캡 플레이트 하면에 절연 플레이트(140)가 배치되어 있다. 절연 플레이트(140)의 아랫면에는 단자 플레이트(150)가 설치되어 있다.
전극 단자(130)는 가스켓(120)이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단자용 통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있다. 전극 단자(130)의 저면부는 절연 플레이트(140)를 개재한 상태에서 단자 플레이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캡 플레이트(110) 하면에는 양극(13)으로부터 인출된 양극 리드(16)가 용접되어 있으며, 전극 단자(130)의 하단부에는 음극(15)으로부터 인출된 음극 리드(17)가 사행으로 접혀진 상태에서 용접되어 있다.
한편, 전극 조립체(12)의 상면에는 전극 조립체(12)와 캡 조립체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전극 조립체(12)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절연 케이스(190)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 케이스(190)는 절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이며, 폴리 프로필렌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조립체(12)의 중앙부와 음극 리드(17)가 통과할 수 있도록 리드 통공(191)이 형성되고, 다른 측방에는 전해액 통과공(192)이 형성되어 있다. 전해액 통과공은 별도로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양극 리드(16)를 위한 리드 통공이 음극을 위한 중앙의 리드 통공(191) 옆에 형성될 수도 있다.
캡 플레이트(110)의 일측에는 전해액 주입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해액 주입공(112)에는 전해액이 주입된 다음에 전해액 주입공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마개(260)가 설치된다. 마개(260)는 통상 알미늄이나 알미늄 함유 금속으로 만든 볼형 모재를 전해액 주입공 위에 놓고 기계적으로 전해액 주입공으로 압입하여 형성한다. 따라서 볼은 전해액 주입공(112)보다 큰 직경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전해액 주입공(112)과 마개(260)의 연결부에는 마개(260)의 주위를 둘러가면서 레이져(200)를 이용한 용접이 이루어진다. 용접부(262)는 용접봉(264)이 공급되면서 이루어지므로, 전해액 주입공(112)과 마개(260) 사이의 연결부에는, 마개와 전해액 주입공 자체를 부분 용융하여 용접하는 모재 용접에 비해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한 용접부(262)가 형성되기 쉽다.
본 발명에서 캡 조립체를 이루는 캡 플레이트(110)는 캔(11)과의 결합을 위한 용접성 향상을 위해 캔(11)과 동일한 알미늄이나 알미늄 합금으로 형성하며, 마개(260) 및 용접봉(264)도 역시 캡 플레이트(110)와의 용접성을 높이도록 알미늄 혹은 알미늄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입공 및 마개의 용접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용접봉(264) 공급에 의해 이루어지는 용접부(262)가 높은 용접 강도를 가지고 용접이 용이하도록 캡 플레이트(110)와 마개(260')의 연결부가 도5와 같은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캡 플레이트(110)의 평면과 마개(260')의 가장자리는 수직에 가깝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차 전지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양극(13), 세퍼레이터(14), 음극(15), 세퍼레이터(14) 순으로 배치된 적층구조체를 젤리-롤형으로 와인딩하게 된다. 와인딩으로 형성된 전극 조립체(12)는 개구부가 형성된 각형 캔(11)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전극 조립체(12)의 상부면에는 절연 케이스(190)를 안착시킨다. 절연 케이스(190)의 상부로는 리드 통공(191)을 통해 양극 및 음극 리드(16,17)가 인출된다.
이어서, 캔(11)의 개구부에는 캡 조립체가 공급된다. 캡 조립체의 형성과정을 보면, 가스켓(120)이 외주면에 개재된 전극 단자(130)는 단자용 통공을 통하여 캡 플레이트(110)에 삽입된다. 캡 플레이트(110)의 하부에서 절연 플레이트(140)을 개재한 상태로 단자 플레이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캡 플레이트(110)의 아랫면에는 양극 리드(16)가 직접적으로 용접되며, 전극 단자(130)의 하단부에는 음극 리드(17)가 사행으로 접혀져 용접된다.
다음으로, 캔(11)에 대하여 캡 플레이트(110)가 접하는 경계부를 따라 용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캔(11)은 양극(13), 양극 리드(16), 캡 플레이트(110)의 경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서 양극성을 가지게 된다. 전극 단자(130)는 음극(15), 음극 리드(17), 단자 플레이트(150)를 따라서 연결되어서 음극성을 띄게 된다.
이어서, 캡 플레이트(110)의 일측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공(112)을 따라 전해액을 주입하게 된다. 전해액이 주입된 전해액 주입공(112) 상에는 상기 전해액 주입공(112)을 밀폐시키기 위하여 보올이 배치된다. 이후, 압입 공정을 통하여, 상기 보올의 단부는 전해액 주입공(112)으로 삽입되어 마개(260)를 형성한다.
전해액 주입공(112)에 대한 마개(260)의 밀폐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마개(260)와 캡 플레이트(110)의 연결부를 따라서 용접을 한다. 캡 플레이트(110)나 마개(260)는 통상 알미늄을 함유하는 물질로 형성하므로 용접은 레이져 스폿 용접이나 레이져 연속 용접같은 레이져 용접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해액 주입구(112)와 마개(260)에 대한 용접봉 용접이 이루어지는 단계에서 레이져 빔은 용접부(262)에서 용접봉(264) 단부를 직접 조사하는 방식 또는 용접봉(264) 단부와 용접부(262)를 함께 조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이져 조사(照射)점과 용접봉 단부를 마개와 전해액 주입부가 연결되는 마개 주변부에서 일치시키기 위해 용접봉(264)을 레이져(200) 해드에 부착된 공급(feeding) 장치를 이용하여 공급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캔형 이차 전지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해액 주입공과 마개 사이의 용접면에 전해액이 존재하여 용접면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용접면의 전해액이 용접을 방해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파터와 같은 오염부를 통해 전해액이 누출되는 것을 막에 제품 신뢰성을 제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본 발명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포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이차 전지의 일 예로 각형 구조를 가지는 리튬 이온 전지의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2는 캡 플레이트의 전해액 주입구 및 마개 부분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캔형 리튬 이온 전지 모듈 상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3의 전해액 주입공 및 마개의 용접 방법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해액 주입공 및 마개의 용접부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캔 12: 전극 조립체
13: 양극 14: 세퍼레이터
15: 음극 16: 양극 리드
17: 음극 리드 18: 절연 테이프
110: 캡 플레이트 111: 통공
112: 전해액 주입공 120: 가스켓
130: 전극 단자 140: 절연 플레이트
150: 단자 플레이트 190:절연 케이스
191: 리드 통공 192: 전해액 통과공
160,260,260': 마개 162,262: 용접부
200: 레이져 264: 용접봉

Claims (7)

  1. 양극, 음극, 상기 양극 및 상기 음극 사이에 개재되는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용기를 이루는 캔;
    상기 캔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며, 전해액 주입공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와 상기 전해액 주입공을 밀폐하도록 상기 전해액 주입공에 용접되는 마개를 구비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캔형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공과 상기 마개를 용접한 용접부는 용접봉 공급이 추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캔과 함께 알미늄 또는 알미늄 합금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에서 상기 캡 플레이트와 상기 마개의 연결부가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 전지.
  4.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를 형성하는 단계;
    캔의 개방부를 통해 상기 캔 내부에 상기 전극 조립체를 넣고 상기 개방부에 전해액 주입공을 가지는 캡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단계;
    상기 전해액 주입공을 통해 전해액을 상기 캔 내부에 주입하는 단계;
    상기 전해액 주입공을 마개로 밀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캔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주입공을 밀봉하는 단계는;
    상기 전해액 주입공에 모재를 압입하여 마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개와 상기 캡 조립체가 닿는 부분을 용접봉 용접을 통해 밀봉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은 레이져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이 이루어질 때 레이져 빔이 용접부에서 상기 용접봉 단부를 직접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져의 조사(照射)점과 상기 용접봉 단부를 상기 용접부에 일치시키도록 상기 용접봉을 상기 레이져의 해드부에 부착된 공급(feeding) 장치를 이용하여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20030072347A 2003-10-16 2003-10-16 캔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KR100551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347A KR100551888B1 (ko) 2003-10-16 2003-10-16 캔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347A KR100551888B1 (ko) 2003-10-16 2003-10-16 캔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635A true KR20050036635A (ko) 2005-04-20
KR100551888B1 KR100551888B1 (ko) 2006-02-13

Family

ID=37239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347A KR100551888B1 (ko) 2003-10-16 2003-10-16 캔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188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9456B2 (en) * 2005-05-16 2010-09-2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electrolyte injection opening sealing member
KR101117993B1 (ko) * 2009-04-02 2012-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밀봉 구조의 이차전지
KR101271254B1 (ko) * 2010-10-08 2013-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성이 우수한 각형 전지
WO2023121139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제조 방법 및 이차 전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732B1 (ko) 2005-05-06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670434B1 (ko) 2005-11-29 2007-01-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99456B2 (en) * 2005-05-16 2010-09-21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with electrolyte injection opening sealing member
KR101117993B1 (ko) * 2009-04-02 2012-02-2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밀봉 구조의 이차전지
KR101271254B1 (ko) * 2010-10-08 2013-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해액 주입구의 밀봉성이 우수한 각형 전지
US10033028B2 (en) 2010-10-08 2018-07-24 Lg Chem, Ltd. Prismatic battery having electrolyte injection-hole capable of providing excellent sealing ability
WO2023121139A1 (ko) * 2021-12-21 2023-06-29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제조 방법 및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1888B1 (ko) 2006-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7877B2 (ja) カン型二次電池
US20160049635A1 (en) Rechargeable battery
KR100696791B1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20200108719A (ko) 이차 전지
US20120148884A1 (en) Secondary battery
KR20030042578A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US11289782B2 (en) Secondary battery
KR100580777B1 (ko) 이차전지
US20210098764A1 (en) Secondary battery
KR20100060980A (ko) 이차 전지용 절연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20120183841A1 (en) Secondary battery
KR100624907B1 (ko) 캔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551888B1 (ko) 캔형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 제조 방법
US11476550B2 (en) Secondary battery capable of equalizing internal/external pressure
KR100686857B1 (ko) 캔형 이차 전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889769B1 (ko) 각형 리튬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KR100467702B1 (ko) 각형 리튬이차 전지
KR100440935B1 (ko) 각형밀폐전지
US10181597B2 (en) Electrochemical energy store
KR102288541B1 (ko) 이차 전지
KR100731464B1 (ko) 이차 전지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KR100635744B1 (ko) 이차전지
KR100571232B1 (ko) 리드 플레이트 및 이를 사용한 캔형 이차 전지
KR100496303B1 (ko)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1222255B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