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525A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525A
KR20050036525A KR1020030072226A KR20030072226A KR20050036525A KR 20050036525 A KR20050036525 A KR 20050036525A KR 1020030072226 A KR1020030072226 A KR 1020030072226A KR 20030072226 A KR20030072226 A KR 20030072226A KR 20050036525 A KR20050036525 A KR 2005003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torage container
lamp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2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3505B1 (ko
Inventor
최용석
박종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2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505B1/ko
Publication of KR2005003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4Direct backlight with 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를 개시한다. 액정표시장치는 확산판 및 램프와의 이격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지지부재는 확산판측으로 돌출되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요철부의 하부면에는 수납 용기와 결합하기 위한 고정 클립이 형성된다. 수납 용기는 요철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요철부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돌출부에는 고정 클립을 삽입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되고, 고정 클립은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홈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는 고정 클립이 수납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 과정이나 운반 과정에서 지지 부재가 수납 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전기적 특성을 갖는 액정을 이용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액정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광을 발생하는 광원의 위치에 따라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로 분류된다.
에지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도광판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광원이 구비된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액정표시패널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표시 영역에 대응하여 다수의 광원이 구비되고, 다수의 광원은 액정표시패널의 전면으로 광을 직접 조사한다.
직하형 백라이트 어셈블리는 다수의 광원 및 액정표시패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확산판, 다수의 광원 및 확산판간의 이격 거리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다수의 광원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확산판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 및 다수의 광원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용기를 포함한다.
지지부재는 반사판 및 확산판의 사이에 개재되고, 반사판 또는 수납 용기와 결합한다. 지지부재는 확산판을 지지하여 다수의 광원 및 확산판간의 이격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한다. 지지부재는 반사판 또는 수납 용기와의 결합력이 저하될 경우에는 그 위치가 변하므로 확산판 및 램프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없으므로, 표시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성 및 표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광을 발생하는 램프, 확산부재, 지지부재 및 수납 용기로 이루어진다.
확산 부재는 램프 및 액정표시패널과의 사이에 개재되고, 램프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액정표시패널로 제공한다. 지지부재는 확산부재를 지지하여 램프와의 이격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한다. 수납 용기는 지지부재를 수납한다. 수납 용기는 램프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램프 사이에 위치하고, 지지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제1 돌출부를 갖는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에 의하면, 수납 용기는 제1 돌출부에 의해 형성된 홈을 이용하여 지지부재의 일부분이 수납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액정표시장치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500)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00), 상기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00)로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200),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을 수납하기 위한 제1 몰드 프레임(300) 및 탑 샤시(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Thin Film Transistor : 이하 TFT)(110), 상기 TFT 기판(110)과 서로 대향하여 결합하는 컬러필터 기판(120) 및 상기 TFT 기판(110)과 상기 컬러필터 기판(120)과의 사이에 주입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TFT 기판(110)은 스위칭 소자인 TFT(미도시)가 매트릭스 형태로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상기 TFT 기판(110)에 대향하여 구비되는 상기 컬러필터 기판(120)은 상기 광을 이용하여 소정의 색을 발현하는 색화소인 RGB 색화소가 박막공정에 의해 형성된 투명한 기판이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아래에는 균일한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00)로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600)가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는 상기 광을 발생하는 다수의 램프(210), 상기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220) 및 확산시트(230), 상기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확산판(220) 간의 이격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40), 반사판(250), 상기 다수의 램프(210)를 수납하기 위한 제2 몰드 프레임(260), 수납 용기(270) 및 상기 수납 용기(27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 표시 영역의 하부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전면으로 조사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100)과의 사이에는 상기 확산판(220) 및 상기 확산 시트(230)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확산판(220) 및 상기 확산 시트(230)는 상기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0)로 출사한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상기 확산판(220)을 지지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확산판(220) 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한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수납 용기(270)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반사판(25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재(240)의 개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500)의 크기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상기 반사판(250)과 서로 접하는 베이스 기판(241),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홀더, 상기 확산판(2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43), 상기 수납 용기(270)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고정 클립(24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램프 홀더는 제1 및 제2 램프 홀더(222a, 22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222a, 222b)는 상기 베이스 기판(22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40)는 두 개의 램프 홀더를 구비하나, 램프 홀더의 개수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개수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램프 홀더(242a)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 중에서 제1 램프(211)와 결합하여 상기 제1 램프(211)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1 램프 홀더(222a)는 상기 제1 램프(211)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싼다.
상기 제2 램프 홀더(242b)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 중에서 제2 램프(212)를 삽입하여 상기 제2 램프(212)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242a, 242b)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243)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243)는 상기 베이스 기판(241)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램프 홀더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확산판(220)을 지지한다.
상기 다수의 고정 클립(244)은 상기 베이스 기판(241)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사판(250) 및 상기 수납 용기(270)와 결합한다. 상기 다수의 고정 클립(244)은 제1 및 제2 고정 클립(224a, 224b)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40)는 두 개의 고정 클립을 구비하나, 상기 고정 클립의 개수는 상기 베이스 기판(241)의 길이 및 상기 램프 홀더의 개수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 클립(244a)은 상기 제1 램프 홀더(242a)와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고정 클립(244b)은 상기 제2 램프 홀더(242b)와 대응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244a, 244b)는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 용기(270)에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재(240)의 아래에는 상기 반사판(250)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판(250)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누설된 광을 상기 확산판(220)측으로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반사판(250)은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클립(244a, 244b)을 삽입하기 위한 상기 다수의 결합공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60)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 상기 확산판(220) 및 확산 시트(230)를 수납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60)은 일부분이 개구된 바닥면 및 상기 바닥면을 둘러싼 측벽을 갖는다. 상기 바닥면에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가 수납된다. 상기 측벽에는 상기 확산판(220) 및 상기 확산 시트(230)를 순차적으로 수납하기 위한 단턱(26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산판(220) 및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0)로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단턱(261)은 상기 확산판(220)의 에지 영역을 지지하므로, 상기 확산판(220)의 중앙부가 상기 다수의 램프(210)측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40)는 상기 확산판(220)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상기 확산판(220) 및 상기 다수의 램프(210) 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60)은 상기 수납 용기(270)와 결합한다. 상기 수납 용기(270)는 상기 반사판(250) 및 상기 지지부재(240)를 순차적으로 수납한다. 상기 수납 용기(270)는 상기 지지부재(240)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24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클립(244a, 244b)은 상기 다수의 결합공 및 다수의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 용기(27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고정 클립(244a, 244b)은 일부분이 상기 수납 용기(27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몰드 프레임(300)이 안착된다. 상기 제1 몰드 프레임(300)은 일부분이 개구되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200)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투과한다. 상기 제1 몰드 프레임(30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을 수납하고,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60)과 결합하여 상기 확산판(220) 및 상기 확산 시트(230)를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60)에 고정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상부에는 상기 탑 샤시(400)가 구비된다. 상기 탑 샤시(400)는 상기 수납 용기(270)와 서로 대향하게 결합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을 상기 제1 몰드 프레임(30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탑 샤시(40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을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 표시 영역이 개구되도록 덮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장치(700)는 지지부재(610), 반사판(620), 수납 용기(630) 및 빛샘 방지 시트(640)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액정표시장치(700)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액정표시장치(5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 번호를 병기하고,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액정표시장치(700)는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100), 상기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00)로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600),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을 수납하기 위한 제1 몰드 프레임(300) 및 탑 샤시(4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아래에는 균일한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00)로 제공하기 위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600)가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600)는 상기 광을 발생하는 다수의 램프(210), 상기 광을 확산하기 위한 확산판(220) 및 확산시트(230), 상기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확산판(220) 간의 이격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610), 반사판(620), 상기 다수의 램프(210)를 수납하기 위한 제2 몰드 프레임(260), 수납 용기(630) 및 상기 수납 용기(630)에 부착되어 상기 광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빛샘 방지 시트(6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화상이 표시되는 유효 표시 영역의 하부에 병렬로 배치되어 상기 광을 상기 액정표시패널(100)의 전면으로 조사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100)과의 사이에는 상기 확산판(220) 및 상기 확산 시트(230)가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610)는 상기 확산판(220)을 지지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확산판(220) 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한다. 상기 지지부재(610)는 다수의 램프(210) 및 상기 수납 용기(640)에 결합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반사판(620) 상에 안착된다. 상기 지지부재(610)의 개수는 상기 액정표시장치(700)의 크기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아래에는 상기 반사판(620)이 구비된다. 상기 반사판(620)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누설된 광을 상기 확산판(230)측으로 반사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60)은 상기 다수의 램프(210), 상기 확산판(220) 및 확산 시트(230)를 수납한다.
상기 확산판(220) 및 상기 다수의 램프(210)는 상기 액정표시패널(100)로 균일한 광을 제공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단턱(261)은 상기 확산판(220)의 에지 영역을 지지하므로, 상기 확산판(220)의 중앙부가 상기 다수의 램프(210)측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610)는 상기 확산판(230)의 중앙부를 지지하여 상기 확산판(230) 및 상기 다수의 램프(210) 간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한다.
상기 제2 몰드 프레임(260)은 상기 수납 용기(630)와 결합한다. 상기 수납 용기(630)는 상기 반사판(620) 및 상기 지지부재(610)를 수납한다. 상기 수납 용기(630)는 상기 지지부재(610)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61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수납 용기(630)의 바닥면의 배면에는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가 결합된다.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는 상기 수납 용기(630)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공을 통해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발생된 광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다수의 체결공을 통해 이물질이 상기 수납 용기(6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납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지지부재(610) 및 상기 수납 용기(630)간의 결합관계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상기 확산시트(230) 및 제2 몰드 프레임(260)을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재(610)는 상기 반사판(620)과 서로 접하는 베이스 기판(611),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홀더, 상기 확산판(2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13) 및 고정 클립(614)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은 상기 확산판(220)측으로 돌출되는 요철부(61)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램프 홀더는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10)는 두 개의 램프 홀더를 구비하나, 램프 홀더의 개수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의 크기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램프 홀더(612a)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 중에서 제1 램프(211)를 삽입하여 상기 제1 램프(211)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제1 램프(211)가 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램프 홀더(612a)는 상기 제1 램프(211)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는 제1 및 제2 날개부(62, 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62, 63)는 서로 대향하여 위치한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제1 램프 홀더(612a)를 일례로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2 램프 홀더(612b)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 램프 홀더(612b)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 중에서 제2 램프(212)를 삽입하여 상기 제2 램프(212)의 위치를 고정하고, 상기 제2 램프(212)의 휨을 방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613)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613)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확산판(22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613)는 상기 요철부(61)에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610)는 하나의 지지부(613)를 중심으로 두 개의 램프 홀더가 상기 지지부(61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나, 상기 액정표시장치(700)의 크기 및 램프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지지부(613)를 중심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램프 홀더의 개수가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클립(614)은 상기 요철부(61)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 기판(611)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사판(620) 및 상기 수납 용기(630)와 결합한다. 따라서, 상기 요철부(61)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부(613)가 위치하고, 상기 요철부(61)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 클립(614)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10)는 하나의 고정 클립을 구비하나, 상기 고정 클립의 개수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의 길이에 따라 증가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클립(614)은 상기 지지부(613)와 대응하여 위치한다. 상기 고정 클립(614)은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 용기(630)에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재(610)는 상기 반사판(620)에 안착된다. 상기 반사판(620)은 상기 지지부(61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수의 램프로부터 입사된 광을 정면 반사하기 위한 반사 돌기(6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61)는 상기 반사 돌기(621)에 안착된다. 상기 반사 돌기(621)에는 상기 고정 클립(614)을 삽입하기 위한 결합공(622)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판(620) 및 상기 지지부재(610)는 상기 수납 용기(630)에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 용기(630)는 상기 반사판(620)이 안착되는 바닥면(631) 및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바닥면(631)을 둘러싼 측벽(632)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631)에는 상기 지지부(61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반사판(620)의 반사 돌기(621)에 삽입되는 돌출부(63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33)는 상기 확산판(220)측에서 볼 때,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33)에는 상기 결합공(622)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 클립(614)을 삽입하기 위한 체결공(63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클립(614)은 상기 결합공(622) 및 상기 체결공(63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납 용기(63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631)의 배면에는 상기 돌출부(633)에 의해 소정 공간의 홈(30)이 형성되며, 상기 홈(30)에는 상기 고정 클립(614)이 위치한다.
상기 바닥면(631)의 배면에는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가 결합된다.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는 상기 돌출부(633)와 대응하여 위치한다.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 및 상기 바닥면(631)과의 사이에는 접착 부재가 개재되어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를 상기 수납 용기(630)에 결합시킨다.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는 상기 결합공(622) 및 상기 체결공(634)을 통해 상기 광이 상기 수납 용기(630)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물질이 상기 결합공(622) 및 상기 체결공(634)을 통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는 상기 돌출부(633)에 대응하여 위치하나,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를 상기 바닥면(631)의 전 영역에 부착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 클립(614)은 상기 결합공(622) 및 상기 체결공(634)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 용기(6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돌출부(633)의 높이 즉, 상기 홈(30)의 깊이(H1)는 상기 수납 용기(630)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 클립의 높이(H2) 보다 더 높거나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수납 용기(630)는 상기 고정 클립(614)이 상기 수납 용기(630)의 바닥면(631)보다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고정 클립(614)의 돌출로 인한 상기 액정표시장치(700)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용기(630)는 조립 과정 및 운반 과정에서 상기 고정 클립(614)이 상기 수납 용기(6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액정표시장치(700)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반사판(810)을 제외하고는 도 3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의 설명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60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참조 번호를 병기하고, 그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는 광을 발생하는 다수의 램프(210),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출사된 광을 확산하여 출사하는 확산판(220), 상기 확산판(220)을 지지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210)와의 이격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610), 상기 다수의 램프(210)로부터 누설된 광을 상기 확산판(220)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810), 수납 용기(630) 및 빛샘 방지 시트(6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는, 상기 지지부재(610)는 상기 반사판(810)과 서로 접하는 베이스 기판(611),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 홀더, 상기 확산판(22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613) 및 고정 클립(614)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기판(611)은 상기 반사판(810)에 안착되고, 상기 확산판(22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요철부(61)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램프 홀더는 상기 다수의 램프(210)를 삽입하여 상기 다수의 램프(210)의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다수의 램프 홀더는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다수의 램프(210) 중에서 제1 및 제2 램프(211, 212)를 각각 삽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10)는 두 개의 램프 홀더를 구비하나, 상기 램프 홀더의 개수는 액정표시패널의 크기 및 상기 베이스 기판(611)의 길이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의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613)가 위치한다. 상기 지지부(613)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으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램프 홀더(612a, 612b)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확산판(220)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부(613)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의 상기 요철부(61)에 위치한다.
상기 고정 클립(614)은 상기 베이스 기판(611)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납 용기(630)와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610)는 하나의 고정 클립을 구비하나, 상기 고정 클립의 개수는 상기 베이스 기판(611)의 길이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클립(614)은 상기 요철부(61)에 위치하며, 상기 지지부(613)와 대응하여 위치한다. 이때, 상기 요철부(61)의 상부면에는 상기 지지부(613)가 위치하고, 상기 요철부(61)의 하부면에는 상기 고정 클립(614)이 위치한다. 상기 고정 클립(614)은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납 용기(630)에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재(610)는 상기 반사판(810)에 안착된다. 상기 반사판(810)은 상기 요철부(61)에 대응하여 결합공(811)이 형성된다.
상기 반사판(810)의 아래에는 상기 수납 용기(630)가 구비된다. 상기 수납 용기(630)는 상기 반사판(810) 및 상기 지지부재(610)는 상기 수납 용기(630)에 순차적으로 수납된다.
상기 수납 용기(630)는 상기 반사판(620)이 안착되는 바닥면(631) 및 수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바닥면(631)을 둘러싼 측벽(632)을 포함한다.
상기 바닥면(631)에는 상기 지지부(613)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요철부(61)에 삽입되는 돌출부(63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633)는 상기 결합공(811)을 관통하여 상기 요철부(61)에 삽입된다.
상기 돌출부(633)에는 상기 고정 클립(614)을 삽입하기 위한 체결공(634)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 클립(614)은 상기 체결공(63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수납 용기(630)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바닥면(631)의 배면에는 상기 돌출부(633)에 의해 소정 공간의 홈(30)이 형성되며, 상기 홈(30)에는 상기 고정 클립(614)이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요철부(631)는 상기 고정 클립(614)이 상기 수납 용기(630)의 바닥면 보다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의 조립 과정 및 운반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610)가 상기 수납 용기(6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바닥면(631)의 배면에는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가 결합된다.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는 상기 돌출부(633)와 대응하여 위치한다. 상기 빛샘 방지 시트(640)는 상기 결합공(811) 및 상기 체결공(634)을 통해 상기 광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공(811) 및 상기 체결공(634)을 통해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80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표시장치는 확산판을 지지하여 램프와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지지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용기를 구비한다. 지지부재는 확산판측으로 돌출되는 요철부가 형성된다. 수납 용기는 요철부에 대응하여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는 요철부에 삽입된다. 지지부재의 고정 클립은 요철부에 형성된 체결공을 관통하여 수납 용기에 체결된다. 이때, 상기 고정 클립은 요철부에 의해 형성된 홈 안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수납 용기는 고정 클립이 수납 용기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조립 과정이나 운반 과정에서 지지부재가 수납 용기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용기는 고정 클립의 돌출로 인해서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크기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 클립의 위치를 고려하여 설계해야하는 인쇄회로 기판 및 인버터의 설계 제약 조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수납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표시패널 600, 800 : 백라이트 어셈블리
210 : 램프 220 : 확산판
610 : 지지부재 620, 810 : 반사판
630 : 바텀 샤시 640 : 빛샘 방지 시트

Claims (10)

  1. 광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
    상기 광을 발생하는 램프;
    상기 램프 및 상기 액정표시패널과의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램프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하여 상기 액정표시패널로 출사하기 위한 확산부재;
    상기 확산부재를 지지하여 상기 램프와의 이격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수납하고, 상기 램프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서로 인접한 두 개의 램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 제1 돌출부를 갖는 수납 용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램프를 고정하기 위한 램프 홀더;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확산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베이스 기판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어 상기 수납 용기에 체결되는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은 상기 지지부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기판은 상기 제1 돌출부에 대응하여 상기 램프 홀더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수납 용기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고정 클립의 높이 보다 높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수납 용기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누설되는 광을 상기 확산부재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제1 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돌출부를 삽입하는 제2 돌출부 및 상기 체결공과 대응하여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제1 돌출부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용기에 부착되어 상기 체결공을 통한 이물질 유입 및 상기 체결공을 통해 광이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빛샘 방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빛샘 방지 부재는 상기 제1 돌출부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30072226A 2003-10-16 2003-10-16 액정표시장치 KR100983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226A KR100983505B1 (ko) 2003-10-16 2003-10-16 액정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2226A KR100983505B1 (ko) 2003-10-16 2003-10-16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525A true KR20050036525A (ko) 2005-04-20
KR100983505B1 KR100983505B1 (ko) 2010-09-24

Family

ID=37239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2226A KR100983505B1 (ko) 2003-10-16 2003-10-16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50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892B1 (ko) 2007-01-02 2008-06-03 희성전자 주식회사 형광램프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US8046125B2 (en) 2007-12-13 2011-10-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optimal operation point with respect to state of charge in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245113B1 (ko) * 2005-12-15 2013-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고정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표시장치
KR101432501B1 (ko) * 2005-11-02 2014-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484872B1 (ko) * 2012-05-23 2015-01-20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백라이트 모듈 및 백라이트 모듈의 백라이트 램프 가이드
CN113031342A (zh) * 2021-03-18 2021-06-25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架、直下式背光模组及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7499B1 (ko) 2005-12-27 2013-01-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501B1 (ko) * 2005-11-02 2014-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101245113B1 (ko) * 2005-12-15 2013-03-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고정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표시장치
KR100834892B1 (ko) 2007-01-02 2008-06-03 희성전자 주식회사 형광램프 고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직하형 백라이트 장치
US8046125B2 (en) 2007-12-13 2011-10-25 Hyundai Motor Company Method for determining optimal operation point with respect to state of charge in hybrid electric vehicle
KR101484872B1 (ko) * 2012-05-23 2015-01-20 보에 테크놀로지 그룹 컴퍼니 리미티드 백라이트 모듈 및 백라이트 모듈의 백라이트 램프 가이드
US9057509B2 (en) 2012-05-23 2015-06-16 Boe Technology Group Co., Ltd. Backlight module and backlight lamp guide thereof
CN113031342A (zh) * 2021-03-18 2021-06-25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架、直下式背光模组及显示装置
CN113031342B (zh) * 2021-03-18 2024-04-26 绵阳惠科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架、直下式背光模组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505B1 (ko) 201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183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평판표시장치
TWI443421B (zh) 背光總成及具有該背光總成之液晶顯示裝置
KR101511493B1 (ko) 액정 표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세트 및 액정 표시 모듈의 조립 방법
KR101290285B1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7883230B2 (en) Supporting memb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90060748A (ko) 표시 장치, 상부 수납 용기 및 표시 장치의 조립 방법
KR2006001965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33196A (ko) 광학 부재용 지지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090059995A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9708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80012702A (ko) 백 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529574B1 (ko) 액정 표시 장치
CN210835510U (zh)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KR10098350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001975B1 (ko) 액정표시장치용 지지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및 액정표시장치
KR20080036437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284170B1 (ko) 액정 패널 및 확산판 수납용 중공형 몰드,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US20100002417A1 (en) Back bezel for use in a backlight module structure, the backlight module structur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back bezel
KR100943509B1 (ko) 백라이트유닛
KR20060102233A (ko) 표시장치용 지지부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070034678A (ko) 프레임,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 장치
KR20080067851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20060044016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101808526B1 (ko) 백 라이트 유닛과 이를 이용한 액정 표시장치
KR101328662B1 (ko) 인버터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