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815A -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 Google Patents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815A
KR20050034815A KR1020030070503A KR20030070503A KR20050034815A KR 20050034815 A KR20050034815 A KR 20050034815A KR 1020030070503 A KR1020030070503 A KR 1020030070503A KR 20030070503 A KR20030070503 A KR 20030070503A KR 20050034815 A KR20050034815 A KR 20050034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lines
low pass
main strip
coupler
pas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0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우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0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4815A/ko
Publication of KR20050034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8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5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strip lin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 H01P5/18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consisting of two coupled guides, e.g. directional coupl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115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inductors and capaci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ceivers (AREA)
  • Filters And Equa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기기 송신 회로부에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송신 신호가 전송되는 제1,2주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부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의 입,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되는 용량성 소자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이 인덕터(L)가 되고 상기 용량성 소자가 커패시터(C)가 되어 저역통과필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나의 커플러를 통해 듀얼 밴드 신호의 전력을 공통으로 검출함으로써, 커플러에 의한 삽입 손실[dB]이 감소하고 장치가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A MODULE OF COUPLER AND LOW PASS FILTE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기기 송신 회로부에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의 전력을 공통으로 검출하는 커플러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통과필터를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1을 참조하면, 상기 송신 회로부는 전력증폭기(1), λ/4 스트립 라인을 이용한 커플러(2), 송신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는 저역통과필터(3),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분리하는 스위치(4)(또는 듀플렉서, 다이플렉서 사용) 및 신호를 송, 수신하는 공용 안테나(5)를 포함한다.
상기 전력증폭기(1)로 입력된 고조파(마이크로파)의 송신 신호는 증폭된 뒤, 상기 커플러(2), 저역통과필터(3) 및 스위치(4)를 거쳐서 상기 공용 안테나(5)를 통해 공중으로 방사된다. 또한, 상기 공용 안테나(5)로 수신되는 수신 신호는 상기 스위치(4)를 거쳐 수신 회로부(도시생략)로 전송된다.
상기 커플러(2)는 주스트립 라인(2a) 및 그것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커플링되는 부스트립 라인(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스트립 라인(2a)은 상기 전력증폭기(1)에서 증폭된 송신 신호가 전송되고, 상기 부스트립 라인(2b)은 상기 주스트립 라인(2a)과의 결합비율에 따라 상기 송신 신호의 전력을 검출한다. 상기 부스트립 라인(2b)에서 검출된 송신 신호의 전력은 전력증폭기 제어부(10)로 공급되고, 상기 전력증폭기 제어부(10)는 상기 부스트립 라인(2b)에서 검출된 전력이 기설정된 전력과 동일해지도록 상기 전력증폭기(1)의 게인(Gain)을 제어한다.
상기 저역통과필터(3)는 일반적으로 상기 전력증폭기(1)의 고조파 왜곡을 제거하는 위해서, 상기 커플러(2)와 스위치(4) 사이에 설치된다.
무선통신기기의 소형화, 고성능화, 복합화 추세에 따라서 무선통신기기에 사용되는 부품 역시 소형화, 고성능화, 복합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상기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는 개별 회로 또는 부품으로 각각 설계되어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에 편입된다.
따라서, 무선통신기기의 사이즈(Size)가 증가하여 소형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커플러 및 저역통과필터 두 부품사이의 부정합으로 인한 전력 손실이 발생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의 부정합을 해소하기 위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12)의 주스트립 라인(12a)의 양단에 용량성 소자(13a)를 병렬로 연결하여 커플러(12)와 저역통과필터(13)를 하나의 모듈로 구현한다. 즉, 상기 저역통과필터(13)는 상기 주스트립 라인(12a)이 인덕터가 되고, 상기 용량성 소자(13a)가 커패시터가 되는 직렬 저역통과필터가 되는 것이다.
도2에 도시된 종래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은 단일 주파수 대역의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고 필터링하는 수단이고, 도3은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 수신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의 구성도로서, 상기 도2에 도시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을 사용한다.
도3을 참조하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2송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는 주파수 대역별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제1,2전력증폭기(14,16)와, 상기 제1,2전력증폭기(14,16)와 제1,2스위치(17,18) 사이에서 주파수 대역별 신호를 검출하고 필터링하는 제1,2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의 모듈(15',15")을 포함하고, 상기 제1,2전력증폭기 제어부(21,22)는 상기 제1,2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의 모듈(15',15")에서 검출된 전력에 따라 상기 제1,2전력증폭기(14,16)의 게인(Gain)을 제어한다.
그러나, 종래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의 모듈은 무선통신기기가 송신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그 개수가 증가함으로써, 각 모듈이 자치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소형화를 추구하는 최근의 무선통신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에서 송신하는 송신 신호의 주파수 대역별로 상기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의 개수를 증가함으로써, 다수의 모듈에 의한 삽입 손실[dB]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삽입 손실[dB]은 무선통신기기의 소비전력의 증가를 초래하므로, 배터리의 용량을 제한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그 목적은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에 있어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의 부정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감쇄 손실[dB] 및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의 소자 개수별 발생되는 삽입 손실[dB]을 개선하여 전력 손실을 방지하고, 무선통신기기의 소형화 및 비용절감을 위해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하나의 모듈로 형성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의 전력을 하나의 커플러를 이용해 검출하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기기 송신회로부에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에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송신 신호가 전송되는 제1,2주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부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의 입,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되는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이 인덕터(L)가 되고 상기 용량성 소자가 커패시터(C)가 되어 저역통과필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커플러 및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은 다수의 유전체 기판 또는 반도체 기판에 도전성 패턴으로 구현되고, 상기 다수의 기판은 적층되어 하나의 모듈이 된다.
상기 적층된 기판에 형성되는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은 상호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구현되고, 상기 부스트립 라인은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 사이에 구현되는데,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 및 부스트립 라인은 하나의 커플러(Coupler)를 이룬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주스트립 라인, 제2주스트립 라인 부스트립 라인 및 부스트립 라인간의 소정간격은 상기 기판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층된 기판에 형성된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에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되는 용량성 소자가 구현하여,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이 인덕터(L)가 되고 상기 용량성 소자가 커패시터(C)가 되는 하나의 저역통과필터(Low Pass Filter)를 형성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상기 저역통과필터는 다수의 LC회로를 종속 접속하여, 제1,2주스트립 라인을 통해 전송되는 송신 신호의 제2,3,4..고조파를 억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병렬 LC회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제l고조파의 감쇄 특성[dB]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고, 상기 병렬 LC회로를 거친 송신 신호가 인가되는 인덕터(L)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제m고조파 신호의 감쇄 특성[dB]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용량성 소자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직렬 LC회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제n고조파 신호의 감쇄 특성[dB]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참조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들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을 포함한 송신 회로부의 블록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제1,2송신 신호(Tx1,Tx2)를 송신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는, 주파수 대역별 송신 신호를 증폭하는 제1,2전력증폭기(25,26)와, 상기 제1,2전력증폭기(25,26)에서 증폭된 송신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고, 송신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한한 모듈(30)과, 상기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30)을 통과한 송신 신호와 안테나(ANT)를 통해 인가된 수신 신호(Rx1,Rx2)가 상호 혼입되지 않도록 스위칭하는 제1,2스위치(27,28)와, 상기 안테나(ANT)와 송신 회로부 및 수신 회로부(도시생략) 사이에 설치되어 다중 주파수대역의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를 상호 아이솔레이션(Isolation)하는 다이플렉서(29)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3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1,2송신 신호(Tx1,Tx2)의 전력이 기설정된 전력설정값과 같아지도록 상기 제1,2전력증폭기(25,26)의 게인(Gain)을 제어하는 전력증폭기 제어부(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도4에 도시된 상기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30)은 상기 제1,2전력증폭기(25,26)에서 증폭된 송신 신호(Rx1,Tx2)의 전력을 공통으로 검출하는 공통 커플러(31)와, 상기 송신 신호(Tx1,Tx2)의 왜곡을 각각 제거하는 제1,2저역통과필터(3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4에 도시된 상기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30)은 도5와 같은 등가회로로 나타낼 수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30)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송신 신호가 전송되는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과,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의 전력을 동시에 검출하는 부스트립 라인(31b)에 의해 커플러(3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과,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의 입,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되고 그라운드(Ground) 전극과 연결되는 용량성 소자(C1,C6)에 의해서,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이 인덕터(L)가 되고 상기 용량성 소자가 커패시터(C)가 되어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제1,2저역통과필터(32,33)를 형성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커플러(31)의 부스트립 라인(31b)은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을 통해 송신되는 제1,2송신 신호(Tx1,Tx2)의 전력을 공통으로 검출하여, 상기 전력증폭기 제어부(40)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2저역통과필터(32,33)는 상기 주스트립 라인(31a,31c)을 인덕터(L)로 하고 상기 용량성 소자(C1,C6)를 커패시터(C)로 하는 LC 저역통과필터로서, 상기 주스트립 라인(31a,31c)의 길이 또는 두께를 조절하거나 상기 용량성 소자(C1,C6)의 면적을 조절하여 원하는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LC필터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2저역통과필터(32,33)는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병렬 LC회로(C2,L2)(C7,L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병렬 LC회로(C2,L2)(C7,L7)는 각각의 L과 C값을 조정하여 상기 제1,2송신 신호(Tx1,Tx2)의 제2고조파의 감쇄 특성[dB]을 개선함으로써, 상기 제2고조파에 의한 상기 제1,2송신 신호(Tx1,Tx2)의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1,2저역통과필터(32,33)는 상기 용량성 소자(C1,C6)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직렬 LC회로(C3,L3)(C4,L4)(C8,L8)(C9,L9)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2송신 신호(Tx1,Tx2)의 제3고조파 신호의 감쇄 특성[dB]을 개선함으로써, 상기 제3고조파에 의한 상기 제1,2송신 신호(Tx1,Tx2)의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렬 LC회로(C3,L3)와 직렬 LC회로(C4,L4)의 공진 주파수가 근접하도록 상기 C3, L3, C4 및 L4를 조정함으로써, 감쇄 특성[dB]이 개선된 제3고조파의 주파수 영역을 넓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1,2저역통과필터(32,33)는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고, 상기 병렬 LC회로(C2.L2)(C7.L7)를 거친 제1,2송신 신호(Tx1,Tx2)가 인가되는 인덕터(L)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1,2송신 신호(Tx1,Tx2)의 제4고조파 신호의 감쇄 특성[dB]을 개선하여, 상기 제4고조파에 의한 상기 제1,2송신 신호(Tx1,Tx2)의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제1,2저역통과필터(32,33)는 다수의 LC회로가 종속 접속한 구성으로서, 상기 종속 접속된 LC회로는 각각의 공진 주파수에 따른 제l,m,n..고조파 신호의 왜곡을 순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도5의 등가회로에 도시된 커플러(31)와 제1,2저역통과필터(32,33)는 다수의 유전체 기판(또는 반도체 기판)에 스트립 라인 또는 용량성 소자로 구현되고, 상기 다수의 기판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구조를 이룬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의 적층 구성도로서, 도5에 도시된 등가회로를 갖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예이다.
본 발명의 커플러(31)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립 라인(31b)은 일단이 상기 전력증폭기 제어부(40)와 연결되고, 타단이 기판(50)에 형성된 비어홀을 통해 그라운드(Ground) 전극(51)에 연결된다. 상기 제1주스트립 라인(31a)이 구현된 기판(57)과 상기 제2주스트립 라인(31c)이 구현된 기판(55)은 상기 부스트립 라인(31b)이 구현된 기판(56)을 사이에 두고 각각 상부와 하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31a,31c) 및 부스트립 라인(31b)의 소정간격(g1.g2)은 기판(50)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저역통과필터(32,33)에 있어서, 상기 기판(50)에 패턴된 제1,2저역통과필터(32,33)는 상기 부스트립 라인(31b)이 구현된 기판(56)을 기준으로 유사한 대칭구조를 이루므로, 상기 제1저역통과필터(32)가 패턴된 적층 구성도를 도5의 등가회로에 기초하여 대표적으로 설명한다.
도5에서, 제1저역통과필터(32)는 공진 주파수(fo)로 정합되는 제1송신 신호(Tx1)가 전송되는 상기 제1주스트립 라인(31a)과, 그에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된 커패시터(C6)로 구성되는데, 도6에서, 상기 제1주스트립 라인(31a)은 기판(57)에 구현되고, 상기 커패시터(C6)는 상기 기판(57)의 제1주스트립 라인(31a)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용량성 소자(C6') 및 기판(58)에 구현된 용량성 소자(C6")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저역통과필터(32)는 제2고조파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제1주스트립 라인(31a)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병렬 LC회로(C7,L7)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인덕터(L7)는 상기 기판(57)의 제1주스트립 라인(31a)에 연결되는 스트립 라인(L7')으로 구현되고, 상기 커패시터(C7)는 상기 제1주스트립 라인(31a) 및 스트립 라인(L7')에 연결되는 용량성 소자(C7') 및 기판(58)에 구현된 용량성 소자(C7")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저역통과필터(32)는 제3고조파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커패시터(C6)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직렬 LC회로 (C8,L8)(C9,L9)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인덕터(L8)는 일단이 비어홀을 통해 상기 기판(57)의 제1주스트립 라인(31a) 및 용량성 소자(C6')와 접속되고, 타단이 용량성 소자(C8')와 접속된다. 상기 커패시터(C8)는 상기 용량성 소자(C8')와 기판(60)에 구현된 용량성 소자(C8")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용량성 소자(C8")는 비어홀을 통해 기판(61)의 그라운드(Ground) 전극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덕터(L9)는 기판(58) 및 기판(59)에 스트립 라인(L9') 및 스트립 라인(L9")으로 구현되는데, 상기 인덕터(L9)의 크기에 따라서 스트립 라인(L9') 및 스트립 라인(L9")은 하나의 기판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커패시터(C9)는 상기 기판(59)에 구현된 용량성 소자(C9') 및 기판(60)에 구현된 용량성 소자(C9")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용량성 소자(C9")는 비어홀을 통해 기판(61)의 그라운드(Ground) 전극과 연결된다.
상기 제3고조파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는 상기 직렬 LC회로(C8,L8)(C9,L9)에서, 상기 C8 및 L8에 의한 공진 주파수와 상기 C9 및 L9에 의한 공진 주파수는 인접한 주파수로 설정하여, 제3고조파 신호의 왜곡을 억제하는 공진 주파수 대역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즉, 도6에 도시된 용량성 소자(C8',C8")(C9',C9")의 면적 및 상기 스트립 라인(L8',L9')의 두께 및 길이를 조절하여 제3고조파 신호의 왜곡을 억제하는 인접한 공진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제1저역통과필터(32)는 제4고조파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제1주스트립 라인(31a)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고, 상기 병렬 LC회로(C7,L7)를 거친 제1송신 신호(Tx1)가 인가되는 인덕터(L10)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인덕터(L10)는 상기 기판(57)에 스트립 라인(L10')으로 구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은 다수의 스트립 라인과 용량성 소자가 패턴된 기판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커플러의 결합비율은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 및 부스트립 라인의 두께 및 길이에 의해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 및 부스트립 라인이 구현된 기판의 두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저역통과필터는 상기 커플러의 제1,2주스트립 라인을 인덕터(L)로 하는 필터를 기본으로 하고, 제2,3,4..고조파 신호의 왜곡을 제거하기 위해서 다수의 LC회로를 종속 접속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에 있어서, 송신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커플러와 단일 밴드 신호의 잡음을 필터링하는 제1,2저역통과필터를 하나의 모듈로 구현함으로써, 하나의 커플러를 통해 듀얼 밴드 신호의 전력을 공통으로 검출할 수 있고, 커플러의 수가 감소하여 삽입 손실[dB]이 감소하고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가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 구성도이다.
도2는 종래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의 등가회로이다.
도3은 종래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 구성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기기의 송신 회로부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의 등가회로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의 적층 구성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5,26: 전력증폭기
27,28: 스위치
30: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31: 커플러
31a,31c: 주스트립 라인
31b: 부스트립 라인
32,33: 저역통과필터
40: 전력증폭기 제어부
51~61: 기판(유전체 또는 반도체)

Claims (6)

  1.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기기 송신회로부에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에 있어서,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의 송신 신호가 전송되는 제1,2주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 사이에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송신 신호의 전력을 검출하는 부스트립 라인과,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의 입,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되는 용량성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이 인덕터(L)가 되고 상기 용량성 소자가 커패시터(C)가 되어 저역통과필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 부스트립 라인 및 용량성 소자는 적층된 다수의 유전체 기판상에 도전성 패턴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은 상호 소정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고,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간의 간격 및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과 부스트립 라인간의 간격은 상기 유전체 기판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의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병렬 LC회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제l고조파의 감쇄 특성[dB]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주스트립 라인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고, 상기 병렬 LC회로를 거친 송신 신호가 인가되는 인덕터(L)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제m고조파 신호의 감쇄 특성[dB]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량성 소자의 양단에 전기적으로 직렬 접속되는 직렬 LC회로를 더 포함하여, 상기 송신 신호의 제n고조파 신호의 감쇄 특성[dB]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KR1020030070503A 2003-10-10 2003-10-10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KR20050034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503A KR20050034815A (ko) 2003-10-10 2003-10-10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0503A KR20050034815A (ko) 2003-10-10 2003-10-10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815A true KR20050034815A (ko) 2005-04-15

Family

ID=3723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0503A KR20050034815A (ko) 2003-10-10 2003-10-10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48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502A1 (en) * 2008-10-16 2010-04-22 Samyoung Electronics Co., Ltd. Dual band pass filter
CN101908881A (zh) * 2010-07-28 2010-12-08 锐迪科创微电子(北京)有限公司 定向耦合器及包含该定向耦合器的射频功率放大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44502A1 (en) * 2008-10-16 2010-04-22 Samyoung Electronics Co., Ltd. Dual band pass filter
CN101908881A (zh) * 2010-07-28 2010-12-08 锐迪科创微电子(北京)有限公司 定向耦合器及包含该定向耦合器的射频功率放大器
CN101908881B (zh) * 2010-07-28 2012-11-07 锐迪科创微电子(北京)有限公司 定向耦合器及包含该定向耦合器的射频功率放大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10291B (zh) 可调滤波器系统、装置以及方法
US7339445B2 (en) BAW duplexer without phase shifter
EP0865095B1 (en) Antenna duplexer
US7454178B2 (en) Low-loss transmitter module
US8699966B2 (en) High-frequency switch module
US20020145490A1 (en) Filter structure including circuit board
KR100979581B1 (ko) 신호 처리 방법, 송신기 및 수신기 모듈, 기판 및 가전 제품
US6903631B2 (en) SAW filt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W filter
CN105514547A (zh) 一种基于新型频率分离结构的低通-带通五工器
US20050073375A1 (en) Single chip-typ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duplexer
US10778261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adio frequency (RF) filter module with stacked coaxial resonators and related methods
JP2004523993A (ja) アンテナインターフェイスユニット
JPH10294634A (ja) フィルタ
US6958663B2 (en) In-band group delay equalizer and distortion compensation amplifier
US10812047B2 (en) Elastic wave filter apparatus
KR100332889B1 (ko) 이동통신용 듀얼폰 단말기의 원칩화된 출력파워 제어장치및 그 제조방법
JP3866989B2 (ja) アンテナ共用器、及びそれを用いた移動体通信機器
KR20050034815A (ko) 커플러와 저역통과필터를 포함한 모듈
US20060091975A1 (en) Front-end circuit comprising thin-film resonators
CN114374369A (zh) 一种基于ltcc工艺的具有低频传输零点的双工器
JP2002171193A (ja) 高周波モジュール基板
KR1007009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프런트 엔드 모듈
KR20070027017A (ko) Rf통신모듈의 기판 구조
CN216873170U (zh) 一种基于ltcc工艺的高性能双工器
US6369668B1 (en)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