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4153A -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4153A
KR20050034153A KR1020030069990A KR20030069990A KR20050034153A KR 20050034153 A KR20050034153 A KR 20050034153A KR 1020030069990 A KR1020030069990 A KR 1020030069990A KR 20030069990 A KR20030069990 A KR 20030069990A KR 20050034153 A KR20050034153 A KR 2005003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cket
usb host
comman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태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톰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톰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톰블루
Priority to KR1020030069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4153A/ko
Publication of KR2005003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415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7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different data processing systems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e.g. protocol converters for incompatible systems, open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ad Only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컴팩 플래시 커넥터와, USB 호스트 커넥터와,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패킷을 해석하며, 데이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 중 어드레스 및 기록할 데이터를 추출하여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 출력하고,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컴팩 플래시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로 출력하며, 데이터 읽기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 패킷에서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 출력하고,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고, 이를 컴팩 플래시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Adapter device for flash memory}
본 발명은 휴대용 플래시 메모리에 관한 것이다.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란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 기억장치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이다.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를 기록하거나 소거시 전기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지울 때는 칩(chip) 전체 또는 블록(block) 단위로 데이타를 지우고 기록할 때는 바이트 단위로 한다. 데이타 기록을 한 바이트씩 할 수 있는 EEPROM은 한 비트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여러개의 트랜지스터를 이용해야 하지만 플래시 메모리는 한 개만 사용하므로 크기가 작고 가격이 싸다.
컴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메모리 카드는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카드로써 컴퓨터, PDA, 디지탈 카메라 등의 보조기억장치로 널리 사용하는 메모리 카드이다. 특히 CF 메모리 카드는 고용량을 지원하므로 휴대형 저장장치의 저장 매체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그러나 CF 메모리 카드는 PC와 데이터 교환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용 단말기가 필요하다. 즉, CF용 읽기/쓰기 단말기를 통해 PC와 접속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의 경우, PC와 직접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디지탈 기기는 자체에 USB 호스트를 내장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같은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를 직접 액세스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서 도출된 것으로, PC로부터 데이터를 저장받거나, PC로 데이타를 저장하는 경우에 별도의 전용 읽기/쓰기 단말기의 사용을 수반하지 않는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를 장착한 상태에서 디지탈 기기에 연결되어 플래시 메모리 카드로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는 자체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고, USB 호스트가 내장되어, 접속되는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를 인식한다. 그리고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컴팩트 플래시 인터페이스 방식에 맞게 데이터 변환하여 CF 커넥터를 통해 디지털 기기로 출력한다. 또한 CF 커넥터를 통해 디지털 기기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를 USB 인터페이스 방식에 맞게 변환하여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그리고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만을 분리시켜 PC와 데이터 교환을 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컴팩트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PC와의 데이터 교환시, 전용 읽기/쓰기용 단말기를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디지탈 기기에 연결하여 디지탈 기기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로도 사용 가능하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는 컴팩 플래시 커넥터(12)와, USB 호스트 커넥터(14)와,
컴팩 플래시 커넥터(12)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패킷을 해석하며,
데이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 중 어드레스 및 기록할 데이터를 추출하여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14)로 출력하고,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14)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컴팩 플래시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12)로 출력하며,
데이터 읽기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 패킷에서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14)로 출력하고,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14)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고, 이를 컴팩 플래시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12)로 출력하는 제어부(10)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는 컴팩 플래시 커넥터(12), USB 호스트 커넥터(14), 제어부(10)를 포함한다. CF 커넥터(12)는 디지털 카메라, PDA, MP3 등의 디지탈 기기와 접속되어, 디지탈 기기와의 데이터 입출력 경로를 제공한다. USB 호스트 커넥터(14)는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와 접속되어 USB 메모리 스틱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는 막대 모양의 USB 메모리 스틱이 사용될 수 있으며, USB 단자를 구비하고 있어 PC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컴퓨터와의 접속이 가능한 외장형 메모리이다.
제어부(10)는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되어, USB 인터페이스 방식과 CF 인터페이스 방식을 모두 제어한다. 제어부(10)는 CF 커넥터(12)에 접속된 디지탈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받는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논리 어드레스와 기록할 데이터를 추출한다. 제어부(10)는 추출된 논리 어드레스와 기록할 데이터를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USB 호스트 커넥터(14)를 통해 접속된 USB 메모리 스틱으로 출력한다. USB 메모리 스틱은 논리 어드레스로부터 물리 어드레스를 번역한 후, 번역된 물리 어드레스에 입력받은 데이터를 기록한다. 데이터 기록 후, 제어부(10)는 USB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USB 호스트 커넥터(14)를 통해 상태 응답 패킷 혹은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제어부(10)는 수신된 패킷을 해석하여 그에 대한 결과 데이터, 예를 들어 데이터 기록 여부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CF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타 패킷으로 변환하여 CF 커넥터(12)를 통해 디지탈 기기로 출력한다.
CF 커넥터(12)에 접속된 디지탈 기기로부터 데이타 읽기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어부(10)는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에서 논리 어드레스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는 논리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을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다. 그리고 USB 호스트 커넥터(14)를 통해 접속된 USB 메모리 스틱으로 출력한다. USB 메모리 스틱은 논리 어드레스로부터 물리 어드레스를 번역한 후, 번역된 물리 어드레스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이게 된다. 데이터를 읽어들인 후, 제어부(10)는 USB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이에 대한 상태 응답 패킷 혹은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제어부(10)는 수신된 패킷을 해석하여 이로부터 독출된(읽어들인) 데이터 패킷을 추출한다. 그리고 이를 CF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 혹은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CF 커넥터(12)를 통해 디지탈 기기로 출력한다.
상술한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는 자체 플래시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고, 접속되는 USB 메모리 스틱을 메모리로 사용한다. 따라서 USB 메모리 스틱을 PC나 노트북 컴퓨터에 접속시켜 MP3 데이터 등을 다운로드 받은 후, 분리하여 어댑터용 플래시 메모리 장치의 USB 호스트 커넥터(14)에 접속한다. USB 메모리 스틱이 장착된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는 CF 커넥터(12)를 통해 MP3 player와 접속되어 플래시 메모리 카드로 사용되어진다. 그러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컴팩트 플래시 메모리 장치가 PC와 데이터 교환하기 위한 필수 구성품인 전용 읽기/쓰기 단말기는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에 USB 메모리 스틱을 장착하여 디지탈 카메라, MP3 플레이어 등의 디지털 기기에서의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는 일측에 수용공간부(50)가 형성되며, 수용공간부(50) 내부끝단에 USB 호스트 커넥터(14)가 형성되고, USB 메모리 스틱(30)은 USB 호스트 커넥터(14)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어진다. 수용공간부(50)는 예를 들어 CF 커넥터(12)의 반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공간부(50) 내부 끝단에는 USB 호스트 커넥터(14)가 형성된다. USB 메모리 스틱(30)은 USB 호스트 커넥터(14)와 접속이 이루어지며, 수용공간부(50)에 장착되어 일체를 이루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이하 도 1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는 컴팩 플래시 커넥터(12)와, USB 호스트 커넥터(14)와, 컴팩 플래시 제어부(22)와, USB 호스트 제어부(20)를 포함하되, 컴팩 플래시 제어부(22)는 컴팩 플래시 커넥터(12)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패킷을 해석하며, 데이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 중 어드레스 및 기록할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USB 호스트 제어부(20)로 출력하고, 데이터 읽기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 패킷에서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이를 USB 호스트 제어부(20)로 출력하고, USB 호스트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팩 플래시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컴팩 플래시 커넥터(12)로 출력하며,
USB 호스트 제어부(20)는 데이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컴팩 플래시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USB 호스트 커넥터(14)로 출력하고, USB 호스트 커넥터(14)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컴팩 플래시 제어부(22)로 출력하며, 데이터 읽기 명령에 응답하여 컴팩 플래시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USB 호스트 커넥터(14)로 출력하고, USB 호스트 커넥터(14)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값을 추출하고, 이를 컴팩 플래시 제어부(22)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는 CF 제어부(22)와 USB 호스트 제어부(20)인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현된다. CF 제어부(22)는 CF 인터페이스 방식을 제어하며, CF 커넥터(12)에 접속된 디지탈 기기로부터의 데이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받는 데이터 패킷으로부터 논리 어드레스와 기록할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음으로 CF 제어부(22)는 논리 어드레스로부터 메모리 공간의 실제 물리 어드레스를 번역한다. CF 제어부(22)는 물리 어드레스와 기록할 데이터를 USB 호스트 제어부(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출력되는 데이터 포맷은 CF 제어부(22)와 USB 호스트 제어부(20)인 두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공통되기만 하면 임의의 포맷이라도 무관하다.
USB 호스트 제어부(24)는 CF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후, USB 호스트 커넥터(14)를 통해 USB 메모리 스틱으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USB 메모리 스틱에는 지정된 물리 어드레스에 데이터가 기록된다. 데이터 기록 후, USB 호스트 제어부(24)는 USB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USB 호스트 커넥터(14)를 통해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USB 호스트 제어부(20)는 수신된 패킷을 해석하여 그에 대한 결과 데이터를 CF 제어부(22)로 출력한다. CF 제어부(22)는 결과 데이터를 입력받아 이를 CF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CF 커넥터(12)를 통해 디지탈 기기로 출력한다.
CF 제어부(22)가 CF 커넥터(12)에 접속된 디지탈 기기로부터 데이타 읽기 명령을 입력받으면,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에서 논리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이로부터 물리 어드레스를 번역해 낸다. 다음으로 CF 제어부(22)는 물리 어드레스가 포함된 데이터를 USB 호스트 제어부(20)로 출력한다. USB 호스트 제어부(20)는 CF 제어부(22)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USB 호스트 커넥터(14)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 USB 메모리 스틱에서는 지정된 물리 어드레스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독출되어진다. USB 호스트 제어부(20)는 USB 호스트 커넥터(14)를 통해 메모리 스틱으로부터 상태 응답 패킷 혹은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다. USB 호스트 제어부(20)는 수신한 패킷으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값을 추출하고, CF 제어부(22)로 출력한다. CF 제어부(22)는 USB 호스트 제어부(20)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CF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한 후, CF 커넥터(12)를 통해 디지탈 기기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가 장착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는 PC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에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만을 PC와 접속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전용 읽기/쓰기 단말기의 사용이 필요없게 되어진다.
또한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에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를 장착하여 디지탈 기기의 플래시 메모리 카드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의 사시도.

Claims (4)

  1. 컴팩 플래시 커넥터와;
    USB 호스트 커넥터와;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패킷을 해석하며,
    데이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 중 어드레스 및 기록할 데이터를 추출하여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 출력하고,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컴팩 플래시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로 출력하며,
    데이터 읽기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 패킷에서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 출력하고,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패킷을 추출하고, 이를 컴팩 플래시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일측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 내부끝단에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가 형성되고, 상기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는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3. 컴팩 플래시 커넥터와;
    USB 호스트 커넥터와;
    컴팩 플래시 제어부와;
    USB 호스트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컴팩 플래시 제어부는 :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명령 패킷을 해석하며,
    데이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데이터 패킷 중 어드레스 및 기록할 데이터를 추출하여 이를 상기 USB 호스트 제어부로 출력하고,
    데이터 읽기 명령에 응답하여 입력된 데이터 패킷에서 어드레스를 추출하여 이를 상기 USB 호스트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USB 호스트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컴팩 플래시 규약에 따른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컴팩 플래시 커넥터로 출력하며,
    상기 USB 호스트 제어부는 :
    데이터 기록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컴팩 플래시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 출력하고,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그 결과 데이터를 컴팩 플래시 제어부로 출력하며,
    데이터 읽기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컴팩 플래시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USB 호스트 규약에 따른 명령 패킷 및 데이터 패킷으로 변환하여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 출력하고,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로부터 입력되는 상태 응답 패킷이나 명령 및 데이터 패킷을 해석하여 이로부터 독출된 데이터 값을 추출하고, 이를 상기 컴팩 플래시 제어부로 출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
    일측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 내부끝단에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과 형성되고, 상기 USB 외장형 플래시 메모리는 상기 USB 호스트 커넥터에 탈착 가능하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KR1020030069990A 2003-10-08 2003-10-08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KR200500341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990A KR20050034153A (ko) 2003-10-08 2003-10-08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990A KR20050034153A (ko) 2003-10-08 2003-10-08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4153A true KR20050034153A (ko) 2005-04-14

Family

ID=3723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990A KR20050034153A (ko) 2003-10-08 2003-10-08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415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686B1 (ko) 메모리 확장 가능한 휴대용 플래쉬 메모리 장치
US8103845B2 (en) Data storage device using two types of storage medium
US7222205B2 (en) Flashtoaster for reading several types of flash-memory cards with or without a PC
KR100524988B1 (ko) Usb 인터페이스 기능을 가지는 mmc 장치 및 이에대한 인터페이스 방법
US20030084220A1 (en) Active adapter chip for use in a flash card reader
US20070168614A1 (en) Secure-Digital (SD) Flash Card with Auto-Adaptive Protocol and Capacity
US20070083689A1 (en) USB system having card-type USB interface connector
JP2005519358A (ja) 標準的なデータ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た携帯型のデータ変換および処理装置
US8677069B2 (en)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2007534034A (ja) 複数のコネクタ標準と互換性を有するメモリカード
JP2008547068A (ja) 複数個のdmaチャンネルを有するusb−sd保存装置及びその保存方法と記録媒体
WO2004047111A1 (ja) データ記憶装置
KR101350981B1 (ko) 복합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구동 방법 및 이를 적용하는 전자 시스템
JP4575410B2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US20040198446A1 (en) Mass storage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20050034153A (ko) 플래시 메모리용 어댑터 장치
JP2008123450A (ja) 記録媒体及びメモリアクセス可能な電子機器
US20080282014A1 (en) Card reading apparatus for mult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KR20050034488A (ko) 플래시 메모리 장치
KR100499685B1 (ko) 휴대용 플래쉬 메모리 장치
KR200329876Y1 (ko) 착탈 방식의 메모리 카트리지 장치
KR20080090065A (ko) 다른 메모리 장치를 호스트와 독립적으로 인터페이스시키기위한 커넥터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
KR20010035042A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와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한 이동식저장장치
KR200369277Y1 (ko) 멀티타입 휴대형 디지털 데이터 보존 어댑터
KR200290107Y1 (ko) 비휘발성 고체 상태 메모리용 드라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