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926A -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926A
KR20050033926A KR20030069621A KR20030069621A KR20050033926A KR 20050033926 A KR20050033926 A KR 20050033926A KR 20030069621 A KR20030069621 A KR 20030069621A KR 20030069621 A KR20030069621 A KR 20030069621A KR 20050033926 A KR20050033926 A KR 20050033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s
broadcast transmission
message
sms message
related fiel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3006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69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3926A/ko
Publication of KR20050033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926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은 하나의 대상에 대한 SMS 메세지 전송 만을 정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때문에 한번의 호 연결을 통해서는 하나의 수신 대상에 대한 SMS 메세지 전송만 가능하여 동보 전송의 경우 전송할 대상의 수만큼 호 연결 및 해제를 반복 하면서 동일한 메세지를 반복 전송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단말기측에서는 과도한 전력 소모와 통신 지연이 유발되고, 통신망에서는 잦은 호 연결 및 해제 요구에 의한 부하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SMS 프로토콜 스택의 최상위층인 SMS 원격 서비스층에 동보 전송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들을 추가한 후 SMS 메세지 전송시 사용되는 트래픽 채널의 데이터 버스트 메세지의 메세지 페이로드 영역에 메세지를 수신 받을 모든 전화번호들을 포함한 동보 전송 관련 정보를 함께 실어 단 한번의 호 연결 중에 SMS 메세지 센터에 전송하도록 하고, 이를 수신한 메세지 센터가 해당 동보 전송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들에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한번의 호 연결을 통해 SMS 동보 전송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가 반복 호 연결을 시도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모와 통신 시간이 줄어들고, 통신망의 부하 역시 감소되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MULTI-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전달 대상에 동일한 단문 메세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한번의 호 연결을 통해 모든 정보를 단문 메세지 서비스 센터에 일괄 전송하고, 이를 수신한 단문 메세지 서비스 센터가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동보 전송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으로 단말기의 전송 시간과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 되면서,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정보 전달의 필요성이 점차 커져 가고 있다. 특히 동일한 정보를 동시에 여러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단문 메세지 서비스(SMS)의 동보 전송 기능은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선에 힘입어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연락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전화번호부 기능이 보강되면서 등장한 그룹 관리 기능을 이용하게 되면, 해당 그룹을 지정한 후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그룹원들 모두에게 동보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어 전달 대상의 전화번호들을 일일이 입력하거나 검색하여 지정하는 수고를 하지 않더라도 쉽게 다수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들은 그룹 관리 기능이 보다 능동적이고 복합적으로 개선됨에 따라 적용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보다 많은 사용자들이 단문 메세지 서비스의 동보 전송 기능을 사용하게 되기에 이르렀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단문 메세지 서비스는 한번에 하나의 전달 대상에게만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는 프로토콜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동보 전송 기능을 이용하는 경우 동보 전송할 대상의 수 만큼 호를 연결하여 개별 전송을 실시한다. 즉, 현재 사용되는 동보 전송은 사용자의 단말기가 입력된 메세지와 전달 대상 전화번호 목록들을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한번에 하나씩 새로운 호 연결과 호 종료를 통해 메세지를 전송하도록 관리해주는 기능일 뿐이다.
따라서, 전송 단말기 입장에서는 많은 시간을 단문 메세지 전송에 소비해야 하며, 많은 호 연결을 시도해야 하므로 전력 소비가 크며 통신망과 기지국의 입장에서도 지속적으로 통신망이 사용되기 때문에 부하가 커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단문 메세지 서비스(SMS)를 실시하기 위한 SMS 프로토콜 스택들의 구조와 관계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재 사용되는 SMS가 한번의 호 연결에서 하나의 SMS 메세지 전송만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측에서 사용되는 SMS 프로토콜 스택(10)을 보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 메세지가 실리는 SMS 원격 서비스층(SMS Teleservice Layer)(11)과, 전달 대상의 전화번호가 존재하는 SMS 전송층(SMS Transport Layer)(12)과, 전달 관련 정보가 있는 SMS 중계층(SMS Relay Layer)(13)과, 그리고 최하위의 연결층(Link Layer)(14)이 존재한다. 상기 최하위 연결층(14)은 코드 분할 다중접속(CDMA) 1x 프로토콜일 수 있다.
상기 연결층(14)과 무선 통신망(Um)을 통해 SMS 메세지가 기지국에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SMS 메세지는 연결층(21)과 번호를 인식하는 No7층(22)을 통해 유선 연결(N)된 메세지 센터에 전달된다.
상기 메세지 센터는 SMS 메세지를 수신한 후 이를 파싱(Parsing)한다. 즉, SMS 프로토콜 스택(30) 기능을 처리하게 되는데, 상기 SMS 전송층(32)과 SMS 중계층(33)을 통해 지정된 수신자에게 SMS 메세지를 전송한다.
따라서, 종래의 SMS 프로토콜 스택은 수신할 단일 대상의 정보를 SMS 전송층(12, 33)을 통해 처리하기 때문에 한번의 호 연결을 통해서는 하나의 수신자에게만 SMS 메세지 전송을 실시할 수 있다.
즉, 동보 전송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전달할 대상의 수 만큼 호를 연결하고 해제하는 과정과 함께 메세지 전송이 매번 실시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동보 전송을 실시할 대상의 수가 증가하면 단말기의 통신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심하고 통신망 점유 시간 역시 길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은 하나의 대상에 대한 SMS 메세지 전송만을 정의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프로토콜을 이용하기 때문에 한번의 호 연결을 통해서는 하나의 수신 대상에 대한 SMS 메세지 전송만 가능하여 동보 전송의 경우 전송할 대상의 수만큼 호 연결 및 해제를 반복 하면서 동일한 메세지를 반복 전송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단말기측에서는 과도한 전력 소모와 통신 지연이 유발되고, 통신망에서는 잦은 호 연결 및 해제 요구에 의한 부하 증가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SMS 프로토콜 스택의 SMS 원격 서비스층에 동보 전송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들을 추가한 후 SMS 메세지 전송시 사용되는 트래픽 채널의 데이터 버스트 메세지에 있는 메세지 페이로드 영역에 메세지를 수신 받을 모든 전화번호들을 포함한 동보 전송 관련 정보를 함께 실어 SMS 메세지 센터에 전송하도록 하고, 이를 수신한 상기 SMS 메세지 센터가 해당 동보 전송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들에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한번의 호 연결을 통해 SMS 동보 전송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발명은, 문자 메세지 서비스(SMS) 프로토콜 스택에 복수의 수신자 전화번호들이 저장될 필드를 포함하는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을 더 정의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 메세지 전송 시 한번의 호 연결 중에 상기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이 포함된 SMS 메세지를 SMS 메세지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와; 한번의 호 연결을 통해 상기 SMS 메세지를 수신한 SMS 메세지 센터는 포함된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의 정보를 추출하여 동보 전송인 경우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들 모두로 SMS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이 포함된 SMS 메세지를 수신한 SMS 메세지 센터는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의 정보를 추출하여 동보 전송인 경우 동보 전송 관련 필드에 저장된 복수의 수신자 전화번호들 모두로 SMS 메세지를 전송하며, 만일 동보 전송이 아닌 경우라면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을 무시하고 SMS 전송층이 지시하는 단일 수신자 전화번호에 SMS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개념을 나타내는 SMS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종래 SMS 프로토콜과 달리 SMS 원격 서비스층(41)에 SMS 동보 전송층(42)이라는 새로운 층을 더 부가되어 있다. 이는 새로운 층이라기 보다는 동보 전송을 위한 새롭게 정의되는 필드들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CDMA 시스템을 이용하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최상위 프로토콜인 SMS 원격 서비스층(41)에 다중으로 문자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동보 전송 정보 필드들을 정의하는데, 기본적으로 수신 대상 전화번호들을 저장하는 MIN_FIELD를 새롭게 정의한다. 그리고, 원활한 동보 전송 판단을 위해 동보 전송을 실시할 대상의 수를 저장하는 RCV_NUM 필드를 더 추가할 수 있다. 그 외에 다른 동보 전송 필드들을 더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MIN_FIELD 영역에 RCV_NUM 정보를 함께 실을 수도 있다는데 주의한다.
이렇게 새롭게 정의한 필드들을 포함한 SM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한번의 호 설정으로 SMS 메세지의 동보 전송을 실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단말기 사용자가 SMS 메세지의 동보 전송을 원하는 경우 메세지를 입력 및 선택하고 동보 전송을 위한 다수의 전화번호들을 입력 또는 선택하여 전송을 지시하는 경우, 호 설정을 통해 기지국으로부터 트래픽 채널을 할당 받는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할당 받은 트래픽 채널의 넓은 대역폭을 이용하여 동보 전송 정보들(수신받을 전화번호들의 수 및 수신 받을 전화번호들 모두)을 입력 혹은 선택한 메세지와 함께 데이터 버스트 메세지의 메세지 패이로드(payload) 영역에 실어 기지국에 전송한다. 상기 메세지 패이로드 영역에는 일반적인 SMS 프로토콜 관련 정보와 새롭게 정의한 동보 전송 관련 정보(MIN_FIELD, RCV_NUM)가 기록된다.
상기 기지국은 상기와 같은 데이터 버스트 메세지를 트래픽 채널을 통해 SMS 메세지 센터로 전달하면, 상기 SMS 메세지 센터는 해당 메세지를 파싱(parsing)하면서 새롭게 추가된 동보 전송 정보 필드들의 값을 추출한다. 즉, 기존의 SMS 프로토콜 스택 기능을 그대로 처리하면서 추가된 NUM_FIELD와 RCV_NUM의 값을 파싱하는 것이다.
상기 SMS 메세지 센터는 추출된 동보 전송 정보들 중에서 상기 RCV_NUM 필드의 값을 먼저 확인하여 그 값이 0이 아닌 경우(동보 전송인 경우) 해당 수 만큼 MIN_FIELD 정보(수신자 전화번호)를 얻어와서 얻어진 전화번호들 각각에 SMS 메세지를 송신한다. 만일 그 값이 0인 경우(동보 전소이 아닌 경우) 해당 메세지는 기존의 SMS 전송 방식과 같이 처리하면서 동보 전송 정보를 무시하고, SMS 전송층(53)이 지시하는 단일 수신자 전화번호에 SMS 메세지를 전송한다.
상기 동보 전송의 경우 다수의 수신자에게 SMS 메세지를 전송하는 방식은 기존의 프로토콜에서 사용된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면 되고, SMS 메세지를 수신하는 수신 단말 역시 수신 과정과 방법은 종래와 동일하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서 SMS 메세지 송신을 시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존의 프로토콜 스택 정보에 부가적으로 SMS 동보전송층(동보 전송 정보 필드들)의 기능이 더 부가되고, 이를 수신하는 SMS 메세지 센터에서도 SMS 동보전송층 기능이 추가되어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외의 수신 단말기로의 SMS 메세지 전송 및 수신 단말의 SMS 메세지 수신은 기존의 SMS 프로토콜 스택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한다. 따라서, 간단한 프로토콜의 변경을 통해 최근 사용이 급증하고 있는 SMS 동보 전송을 보다 빠르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전력 소모나 통신망의 부하를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은 SMS 프로토콜 스택의 최상위층인 SMS 원격 서비스층에 동보 전송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들을 추가한 후 SMS 메세지 전송시 사용되는 트래픽 채널의 데이터 버스트 메세지의 메세지 페이로드 영역에 메세지를 수신 받을 모든 전화번호들을 포함한 동보 전송 관련 정보를 함께 실어 단 한번의 호 연결 중에 SMS 메세지 센터에 전송하도록 하고, 이를 수신한 메세지 센터가 해당 동보 전송 관련 정보를 추출하여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들에 메세지를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한번의 호 연결을 통해 SMS 동보 전송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단말기가 반복 호 연결을 시도할 필요가 없어 전력 소모와 통신 시간이 줄어들고, 통신망의 부하 역시 감소되는 획기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단문 메세지 서비스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 구조들을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프로토콜 스택 구조들을 보이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말기 프로토콜 스택 20: 기지국 프로토콜 스택
30: 메세지 센터 프로토콜 스택 40: 단말기 프로토콜 스택
41: SMS 원격 서비스층 42: SMS 동보 전송층
43: SMS 전송층 44: SMS 중계층
45: 연결층 50: 메세지 센터 프로토콜 스택
51: SMS 원격 서비스층 52: SMS 동보 전송층
53: SMS 전송층 54: SMS 중계층
55: 연결층

Claims (4)

  1. 문자 메세지 서비스(SMS) 프로토콜 스택에 복수의 수신자 전화번호들이 저장될 필드를 포함하는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을 더 정의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SMS 메세지 전송 시 한번의 호 연결 중에 상기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이 포함된 SMS 메세지를 SMS 메세지 센터에 전송하는 단계와; 한번의 호 연결을 통해 상기 SMS 메세지를 수신한 SMS 메세지 센터는 포함된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의 정보를 추출하여 동보 전송인 경우 포함된 수신자 전화번호들 모두로 SMS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MS 프로토콜 스택에 정의되는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은 전송할 대상의 수가 기록되는 필드와 전송할 모든 수신자 전화번호들이 기록되는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MS 프로토콜 스택에 정의되는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은 SMS 원격 서비스층에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이 포함된 SMS 메세지를 수신한 SMS 메세지 센터는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의 정보를 추출하여 동보 전송인 경우 동보 전송 관련 필드에 저장된 복수의 수신자 전화번호들 모두로 SMS 메세지를 전송하며, 만일 동보 전송이 아닌 경우라면 동보 전송 관련 필드들을 무시하고 SMS 전송층이 지시하는 단일 수신자 전화번호에 SMS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KR20030069621A 2003-10-07 2003-10-07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KR20050033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9621A KR20050033926A (ko) 2003-10-07 2003-10-07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9621A KR20050033926A (ko) 2003-10-07 2003-10-07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926A true KR20050033926A (ko) 2005-04-14

Family

ID=37237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9621A KR20050033926A (ko) 2003-10-07 2003-10-07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392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533B1 (ko) * 2005-07-15 2007-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다중 전송을 위한 발신단말, 메시지 서버 구조 및방법
CN100464593C (zh) * 2006-04-10 2009-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卡多号业务的短消息发送和接收方法及短消息中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6533B1 (ko) * 2005-07-15 2007-07-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 다중 전송을 위한 발신단말, 메시지 서버 구조 및방법
CN100464593C (zh) * 2006-04-10 2009-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卡多号业务的短消息发送和接收方法及短消息中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756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7319880B2 (en) Method of forwarding an SMS messag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1180899B (zh) 在无线电信装置之间的群组通信中分配VoIP数据分组的系统及方法
CN1759630B (zh) 用于移动终端的交换识别信息的系统和方法
US637780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180894B (zh) 用于无线基础设施上的同时话音及数据呼叫的系统及方法
KR100397475B1 (ko) 셀 브로드캐스팅 시스템을 활용한 이동전화방송 서비스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WO2005082111A2 (en) Domain id mapping for wireless device identifiers
KR20070008572A (ko) 통신 시스템 및 방법
ZA200605261B (en) Multicasting data metho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196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 system with multiple communication modes
WO2001058178A2 (en) Set of equipment for the supplementation and forwarding of text messages
KR20080043103A (ko) 통합 ip 메시지 서비스와 단문 메시지 서비스 간에인터워킹 시스템 및 방법
CN102204377A (zh) 通信系统、基站装置、移动站装置及通信方法
KR2005003392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보전송 방법
US20050186955A1 (en) Mobile communications systems, methods and terminals
GB2361603A (en) Transferring browser information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CN1206873C (zh) 广播设施
KR10054149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메시지 다중전송 방법
CN1306833C (zh) 通过广播的具有使用等待时间的组合功能的短消息通信系统和方法
CN107005554B (zh) 语音业务共享方法、设备及系统
RU2008151271A (ru) Асинхронная передача сигналов и доставка данных в системе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CN1599329B (zh) 一种承载操作指令信息的方法
CN105530615A (zh) 基于sctp协议的组呼业务数据分组识别方法
US20070105539A1 (en) Mobile release mess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