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923A -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923A
KR20050033923A KR1020030069617A KR20030069617A KR20050033923A KR 20050033923 A KR20050033923 A KR 20050033923A KR 1020030069617 A KR1020030069617 A KR 1020030069617A KR 20030069617 A KR20030069617 A KR 20030069617A KR 20050033923 A KR20050033923 A KR 200500339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electric stimulation
electrosti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9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완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69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3923A/ko
Publication of KR2005003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92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단말기를 통해 재생되는 멜로디에 따라 전기자극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조작부와, 표시부와,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증폭된 전기자극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자극 구동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의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electrostimulation facility}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통신단말기를 통해 재생되는 멜로디에 따라 전기자극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최근 현대인들의 필수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급변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아가며 살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현대인들의 스트레스를 해소시켜 주는 많은 기능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접목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뇌파, 그 중에서 알파파를 발생하여 사용자의 긴장을 이완시켜 피로를 회복하게 함과 동시에 스트레스를 해소하게 하는 뇌파발생기를 들 수 있다.
본 발명 또한 이러한 취지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스트레스를 해소시킬 수 있는 기능을 접목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자극기를 접목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기자극기는 단독기기로 구성 및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줄 뿐만 아니라, 별도로 휴대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휴대에 따른 불편함 및 사용 장소가 실내로 국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전기자극기의 전기자극 기능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음원 재생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증폭된 전기자극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자극 구동부와,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의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기자극 구동부의 출력 신호를 펄스 발생기가 아닌 음원 재생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출력함으로써, 음악을 재생하면서 전기자극을 제공하게 된다. 이 때 전기자극기의 배터리는 보통 3.6V를 사용하기 때문에 3.4∼4.2V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로도 충분히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듣는 곡의 멜로디에 따라 전기자극을 받을 수 있어 피로나 스트레스로 인해 뭉친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게 되며, 전기자극을 통해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기자극 기능을 제공받음으로써, 장소 및 시기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용이하게 전기자극을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가 전기자극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전기자극 구동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조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극 패드를 통해 전해지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마사지 효과는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지압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또 추가적인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는 조작부(100)와, 표시부(200)와, 통신부(300)와, 음원 재생부(400)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부(4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증폭된 전기자극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자극 구동부(500)와, 상기 조작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500)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500)의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11)를 포함한다.
조작부(100)는 예를 들면 이동 통신 단말기(1)의 전면 및 측면에 구비된 각종 키 버튼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통신부(300)는 기지국과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원 재생부(400)는 메모리에 저장된 밸 소리나 통신부(300)를 통해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된 음원을 재생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음원 재생부(400)는 YAMAHA사의 모바일 오디오 칩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는 음원 재생부(400)를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또는 밸 소리를 스피커 또는 이어폰으로 재생 출력함과 동시에 재생되는 음원의 멜로디, 즉 박자에 따라 오디오 칩의 LED 점등 제어 신호를 전기자극 구동부(500)로 출력한다.
전기자극 구동부(500)는 상술한 음원 재생부(400)에서 출력되는 신호, 즉 재생되는 음원의 멜로디(박자)에 따른 오디오 칩의 LED 점등 제어 신호에 따라 증폭된 전기자극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자극 구동신호는 전기자극기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접촉되어 전기자극을 제공하는 전극패드(31)로 출력되는 저주파 신호를 의미한다.
제어부(600)는 조작부(100)의 조작 신호에 따라 전기자극 구동부(500)의 온/오프를 제어하고, 단말기를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상용화된 대부분의 단말기에 있어서, 제어부(600)는 예를 들면 Qualcomm사의 MSM 계열 칩과 같은 하나의 집적회로로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기자극을 발생하는 전극 패드의 구동신호를 펄스 발생기가 아닌 음원 재생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다양한 전기자극 구동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듣는 곡의 멜로디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전기자극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술한 전기자극 구동부(500)에서 출력되는 전기자극 구동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조정부(70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조정부(700)는 전기자극 구동부(500)의 출력단에 연결된 가변 저항에 의해 전기 구동신호의 세기가 조정된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작부(700)는 단말기의 일측면에 가변 저항기의 저항값을 가변시키는 별도의 조정부 조절 버튼들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필수적인 것이 아니며, 전기자극 구동신호의 세기 조정은 화면 메뉴를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전기자극 구동부(500)를 통해 출력되는 전기자극 구동신호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극 구동부(500)의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단말기(1)의 커넥터(1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즉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커넥터(11)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전기자극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패드 전극 모듈(3)을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패드 전극 모듈(3)은 전기자극기에 사용되는 것으로, 본 건 출원일 이전에 이미 공지된 기술이다. 이에 따라 패드 전극 모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패드 전극 모듈(3)의 연결단을 커넥터(11)에 접속한 후 이어폰을 통해 음악을 들으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자극 구동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패드 전극 모듈(3)의 전극 패드(31)를 원하는 신체 부위에 부착하여 전기자극을 받게 된다. 이 때 사용자는 상술한 조정부 조절 버튼을 이용하여 전극 패드(31)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자극의 세기를 조절하게 된다.
즉 신체의 특정 부위, 예를 들면 얼굴 부위에 전기자극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자극 구동신호의 세기를 약하게 하여 전기자극을 받음으로써, 미용 마사지 및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전기자극 구동신호의 세기를 강하게 설정함으로써, 뭉친 근육 예를 들면 어깨 부위나 목 부위 등과 같이 일정 부위를 음악을 들으면서 지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패드 전극 모듈이 커넥터를 통해 상호 연결됨으로써, 사무실이나 가정은 물론 야외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음악을 들으면서 시간이나 장소에 관계없이 전기자극 기능을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는 기존의 펄스발생기가 아닌 음원 재생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전기자극 구동신호가 출력됨으로써, 사용자는 음악을 들으면서 전기자극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듣는 곡의 멜로디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전기자극을 받을 수 있어 피로나 스트레스로 인해 뭉친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게 되며, 전기자극을 통해 혈액 순환을 촉진시켜 보다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기자극 기능을 제공받음으로써, 장소 및 시기의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든 용이하게 전기자극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기자극 구동신호의 세기가 조정부에 의해 조절됨으로써, 그 세기에 따라 미용 마사지 및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효과 및 뭉친 근육을 풀어주는 지압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통신 단말기 11 : 커넥터
3 : 패드 전극 모듈 31 : 전극 패드
100 : 조작부 200 : 표시부
300 : 통신부 400 : 음원 재생부
500 : 전기 자극 구동부 600 : 제어부
700 : 조정부

Claims (3)

  1. 조작부(100)와, 표시부(200)와, 음성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00)와,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을 재생하는 음원 재생부(400)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음원 재생부(4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증폭된 전기자극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전기자극 구동부(500)와;
    상기 조작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500)를 제어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500)의 출력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1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
    상기 조작부(100)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따라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500)에서 출력되는 전기자극 구동신호의 세기를 조정하는 조정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가 :
    상기 커넥터(11)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전기자극 구동부(500)의 전기자극 구동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패드 전극 모듈(3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30069617A 2003-10-07 2003-10-07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339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17A KR20050033923A (ko) 2003-10-07 2003-10-07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9617A KR20050033923A (ko) 2003-10-07 2003-10-07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923A true KR20050033923A (ko) 2005-04-14

Family

ID=37237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9617A KR20050033923A (ko) 2003-10-07 2003-10-07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39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61B1 (ko) * 2005-08-25 2007-11-23 박병원 다중모드 생리기전 활성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원격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US9555240B2 (en) 2012-12-28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keletal muscle stimul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61B1 (ko) * 2005-08-25 2007-11-23 박병원 다중모드 생리기전 활성화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원격건강관리 서비스 방법
US9555240B2 (en) 2012-12-28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keletal muscle stimul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88523B (zh) 耳机装置以及配备有该耳机装置的声音产生设备
US20050267544A1 (en) Low frequency stimulator provided in a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80033229A1 (en) Music-synchronized low frequency stimulator
CN101108267A (zh) 音乐同步的低频刺激器
EP2352547A2 (en) Cranial electrostimulation method and equipment
JP3401217B2 (ja) 低周波刺激装置
KR200467353Y1 (ko) 골 전도 기능을 갖는 마사지기
US20150343214A1 (en) Low-Frequency Application Device
KR100846179B1 (ko) 음악 파일에 연동된 저주파 치료기
US11691000B2 (en) Bone conduction apparatus having tens therapy function
KR200388405Y1 (ko) 휴대용 음향기기를 이용한 저주파 음향 귀 경혈자극기
KR20060125442A (ko) 음악과 동기화된 저주파 자극장치
KR20050033923A (ko) 전기자극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13876487A (zh) 一种兼具眼部按摩与音乐欣赏的眼罩实现方法及眼罩
KR101648195B1 (ko) 오디오형 tens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1014234B1 (ko) 오디오 기기에서의 맥동 잡음 발생장치 및 방법
TWI232114B (en) Apparatus for generating composite wave to reaction point
JP2022540774A (ja) 外耳道フォトバイオモジュレーション装置
AU2006202960B2 (en) Music-synchronized low frequency stimulator
CN113117214A (zh) 一种可穿戴式抑郁症治疗仪
CN220139716U (zh) 一种头戴式多功能蓝牙耳机
KR20060115952A (ko) 휴대용 두뇌 개발장치
CN214670157U (zh) 一种利用音频律动信号驱动电机按摩的电路
CN212235261U (zh) 一种声波康复理疗仪
CN213285158U (zh) 一种用于缓解睡眠障碍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