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2806A -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 Google Patents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2806A
KR20050032806A KR1020030068776A KR20030068776A KR20050032806A KR 20050032806 A KR20050032806 A KR 20050032806A KR 1020030068776 A KR1020030068776 A KR 1020030068776A KR 20030068776 A KR20030068776 A KR 20030068776A KR 20050032806 A KR20050032806 A KR 20050032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al band
dipole
feeder
dipole antenna
fe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8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일
최원규
김종면
표철식
전순익
최재익
김창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30068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2806A/ko
Publication of KR20050032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8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16Resonant antennas with feed intermediate between the extremities of the antenna, e.g. centre-fed dipole
    • H01Q9/28Conical, cylindrical, cage, strip, gauze, or like elements having an extended radiating surface; Elements comprising two conical surfaces having collinear axes and adjacent apices and fed by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01Q9/285Planar di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이중공진 다이폴 안테나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급전될 때, 급전라인과 다이폴 사이에 테이퍼형 발룬(Balun)을 위치시켜서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유전체층의 상단에 존재하는 다이폴 암과 하단에 존재하는 또 다른 다이폴 암 사이에 적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미세 튜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접지면, 이중대역의 제 1 다이폴 암 및 상기 제 1다이폴 암에 급전하기 위한 제 1급전선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다른 일면에 배치된 마이크로스트립 방식의 제 2급전선, 이중대역의 제 2다이폴 암 및 상기 제 2다이폴 암에 급전하기 위한 제 3급전선을 구비하여,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과 상기 제 1급전선 및 상기 제 2급전선과 상기 제 3급전선은, 각각 테이퍼 형상의 발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다이폴 암과 상기 제 2다이폴 암은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랜 시스템에 이용됨.

Description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Printed Dual Band Dipole Antenna}
본 발명은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랜 접근점(Access Point; AP)에서 두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지원할 수 있는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 안테나는 2.4GHz 대역과 5.8GHz 대역용으로 나눠지는데, 용도에 따라 단말기와 접근점용 안테나로 구분할 수 있다.
무선랜 접근점용 안테나는 무지향성의 모노폴이나 다이폴, 지향성의 패치 안테나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헬리컬 안테나를 응용한 제품들도 출시되고 있다.
다이폴 안테나는 무지향성 특성이 요구되는 무선랜 접근점용 안테나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저렴한 가격에 대량 생산이 유리한 인쇄형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이하, 간단히 'PCB'라 함)을 이용해 인쇄형으로 구현되기도 한다.
이와 같이, PCB를 이용해 다이폴 안테나를 구현한 구조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84310호인 "이중대역 프린트 안테나"에 개시되어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의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구조도로, 각각 평면도, 저면도 및 상부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실용신안이 제시하는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는 PCB에 이중대역 특성의 다이폴 안테나를 구현한 구조로서, PCB의 앞면 및 뒷면에 각각 다이폴 복사체를 구현함으로써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면서도, 제작공정을 단순하게 하는 이중대역 인쇄형 안테나이다.
상기 등록실용신안이 제시하는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에서, 서로 다른 두 개의 공진주파수를 갖는 다이폴 안테나를 급전하기 위한 급전선(120, 150)은 유전체의 상단과 하단에서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전류를 두 개의 다이폴에 여기한다. 유전체의 상단과 하단에 존재하는 다이폴 암(Arm)(100, 130)은 저주파 대역에서 공진하고, 다이폴 암(110, 140)은 고주파 대역에서 공진한다.
따라서, 하나의 급전으로 두 주파수 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저가이면서 구조가 간단한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이다.
그러나, 상기 등록실용신안이 제시하는 다이폴 안테나와는, 마이크로스트립 라인 급전구조에 대한 별도의 정합회로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즉, 급전방법에 따른 정합 방법이 무시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이중공진 다이폴 안테나가 마이크로스트립 라인으로 급전될 때, 급전선과 다이폴 사이에 테이퍼형 발룬(Balun)을 위치시켜서 임피던스 정합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유전체의 상단에 존재하는 다이폴 암과 하단에 존재하는 또 다른 다이폴 암 사이에 적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미세 튜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접지면, 이중대역의 제 1 다이폴 암 및 상기 제 1다이폴 암에 급전하기 위한 제 1급전선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다른 일면에 배치된 마이크로스트립 방식의 제 2급전선, 이중대역의 제 2다이폴 암 및 상기 제 2다이폴 암에 급전하기 위한 제 3급전선을 구비하여,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과 상기 제 1급전선 및 상기 제 2급전선과 상기 제 3급전선은, 각각 테이퍼 형상의 발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다이폴 암과 상기 제 2다이폴 암은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접지면 및 제 1급전선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다른 일면에 배치된 마이크로스트립 방식의 제 1급전선 및 제 3급전선을 구비하여,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제 1급전선의 양측에 배치된 두개의 부가선로; 상기 제 2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제 1다이폴 암; 및 상기 제 1다이폴 암의 동일면에 상기 제 1다이폴 암과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 2다이폴 암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면과 상기 제 1급전선 및 상기 제 2급전선과 상기 제 3급전선은, 각각 테이퍼 형상의 발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다이폴 암과 상기 제 2다이폴 암 및 상기 제 1급전선과 두개의 부가선로는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를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제 1실시예 평면도이고, 도 2b 및 도 2c는 각각 상기 도 2a의 일실시예 저면도 및 상부에서 바라본 일실시예 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인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는, 유전체(100)의 하면 일부에 접지면(2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지면(210)은 테이퍼 형태의 발룬 접지면(2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퍼 형태의 발룬 접지면(208)은 이중대역 특성을 갖는 다이폴 암(202, 20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선(20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전체(100)의 상단에는 마이크로스트립 형태의 급전선(209)이 있으며, 상기 급전선(209)은 테이퍼 형태의 발룬(20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테이퍼 형태의 발룬(207)은 다이폴 암(201, 203)에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선(20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다이폴 안테나를 여기하는 급전선, 즉, 상기 유전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급전선(205, 206)에는 서로 180도의 위상차를 갖는 전류가 여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는, 공진 길이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다이폴 안테나(201과 202 및 203과 204)가 급전선로(205, 206) 양쪽에 배치된 구조로서, 길이 의 다이폴(201, 202)은 2.4GHz 대역에서 동작하고, 길이 의 다이폴(203, 204)은 5.8GHz 대역에서 각각 동작하게 되는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두 쌍의 다이폴 암은 서로 다른 층에 존재하게 된다.
다이폴 암(201과 203 및 202와 204)은 그 사이에 크기 의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그 간격은 임피던스 정합에 적합하도록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즉, 의 반(202, 204)은 비유전율 인 상기 유전체(100)의 하단에 존재하고, 또 다른 반(201, 203)은 상기 유전체(100)의 상단에 존재하게 된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제 2실시예 평면도이고, 도 3b 및 도 3c는 각각 상기 도 3a의 일실시예 저면도 및 상부에서 바라본 일실시예 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는, 유전체(100)의 하면 일부에 접지면(3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지면(312)은 테이퍼 형태의 발룬 접지면(3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퍼 형태의 발룬 접지면(310)은 이중대역 특성을 갖는 안테나를 여기하기 위한 급전선(308)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는, 배열 형태로 급전선(308, 309)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길이 의 다이폴(301과 302 및 303과 304)이 2.4GHz 대역에서 동작하고, 길이 의 다이폴과 급전선로 양쪽에 배치된 길이 인 부가선로(305, 306)의 조합을 통하여 5.8GHz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급전선(308, 309)의 양쪽에 배치된 부가선로(305, 306)의 길이 와 간격 는 5.8GHz 대역의 공진주파수와 임피던스 정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길이 인 두 개의 다이폴 안테나(301과 302 및 303과 304)는 비유전율 인 상기 유전체(100)의 상단에 존재하고, 길이 인 부가선로(305와 306)는 상기 유전체(100)의 하단에 존재한다.
상기 유전체(100)의 상단에 존재하는 두 개의 다이폴 안테나(301과 302 및 303과 304)와 상기 유전체(100)의 하단에 존재하는 부가선로(305, 306) 및 급전선(308, 309)은 비아홀(Via Hole)(307)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 길이 의 다이폴 왼쪽 암(301, 303)의 길이는 주로 2.4GHz 대역의 공진주파수를 결정하는 반면, 오른쪽 암(302, 304)의 길이는 5.8GHz 대역의 공진주파수와 방사패턴, 그리고, 2.4GHz 대역의 임피던스 정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2.4GHz 대역과 5.8GHz 대역에서 적절한 대역폭 특성과 이득 특성을 얻기 위해선 적절한 , 이 선택되어야 하고, 임피던스 정합을 위하여 다이폴 암 사이의 간격 과 상기 급전선(308)과 상기 부가선로(305 또는 306) 사이의 간격 가 적절하게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상기 도 2 및 상기 도 3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반사손실 대역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그래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는 무선랜 접근점을 위한 802.11 표준의 2.4GHz 대역과 5.8GHz 대역에서 모두 정재파비(VSWR (Voltage Standing Wave Ratio; 이하, 간단히 'VSWR'이라 함)이 1.5 이하인 특성을 얻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도 2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두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그래프로서, 각각 2.45GHz 및 5.75GHz에서의 방사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도 3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두 주파수 대역에서의 방사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그래프로서, 각각 2.45GHz 및 5.75GHz에서의 방사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실시예에 따른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는, 그 방사패턴이 모두 1.7dBi 이상의 이득 특성을 얻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무선랜 접근점용을 위한 802.11 표준의 2.4GHz 대역과 5.8GHz 대역에서 모두 VSWR이 1.5 이하인 특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랜 접근점용을 위한 802.11 표준에서 정하고 있는 2.4GHz 대역과 5.8GHz 대역에서 전형전인 다이폴 안테나 패턴인 "8"자형 패턴과 전방향성(Omni-directional) 패턴을 가지면서, 1.7 dBi 이상의 최대 이득(Peak Gain)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무선랜 접근점용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저가이면서 특성이 우수한 안테나 구현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의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평면도,
도 1b는 상기 도 1a의 저면도,
도 1c는 상기 도 1a의 상부에서 바라본 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제 1실시예 평면도,
도 2b는 상기 도 2a의 일실시예 저면도,
도 2c는 상기 도 2a를 상부에서 바라본 일실시예 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제 2실시예 평면도,
도 3b는 상기 도 3a의 일실시예 저면도
도 3c는 상기 도 3a를 상부에서 바라본 일실시예 투시도,
도 4a는 상기 도 2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반사손실 대역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그래프,
도 4b는 상기 도 3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반사손실 대역폭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그래프,
도 5a는 상기 도 2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2.45GHz 대역에서의 방사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그래프,
도 5b는 상기 도 2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5.75GHz 대역에서의 방사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그래프,
도 6a는 상기 도 3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2.45GHz 대역에서의 방사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그래프,
도 6b는 상기 도 3의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의 5.75GHz 대역에서의 방사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일실시예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유전체
201, 202, 203, 204, 301, 302, 303, 304 : 다이폴
205, 206, 209, 308, 309, 313 : 급전선
207, 208, 310, 311 : 발룬 210, 312 : 접지면
305, 306 : 부가선로 307 : 비아홀

Claims (6)

  1.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접지면, 이중대역의 제 1 다이폴 암 및 상기 제 1다이폴 암에 급전하기 위한 제 1급전선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다른 일면에 배치된 마이크로스트립 방식의 제 2급전선, 이중대역의 제 2다이폴 암 및 상기 제 2다이폴 암에 급전하기 위한 제 3급전선을 구비하여,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접지면과 상기 제 1급전선 및 상기 제 2급전선과 상기 제 3급전선은, 각각 테이퍼 형상의 발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다이폴 암과 상기 제 2다이폴 암은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다이폴 암과 상기 제 2다이폴 암은,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는 전류에 의하여 급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상차는,
    실질적으로 180도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4. 유전체 기판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일면에 배치된 접지면 및 제 1급전선과, 상기 유전체 기판의 다른 일면에 배치된 마이크로스트립 방식의 제 1급전선 및 제 3급전선을 구비하여, 이중대역에서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에 있어서,
    상기 제 1급전선의 양측에 배치된 두개의 부가선로;
    상기 제 2급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배치된 제 1다이폴 암; 및
    상기 제 1다이폴 암의 동일면에 상기 제 1다이폴 암과 대칭되도록 배치된 제 2다이폴 암
    을 포함하되,
    상기 접지면과 상기 제 1급전선 및 상기 제 2급전선과 상기 제 3급전선은, 각각 테이퍼 형상의 발룬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다이폴 암과 상기 제 2다이폴 암 및 상기 제 1급전선과 두개의 부가선로는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두어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다이폴 암과 상기 제 1급전선은,
    비아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다이폴 암과 상기 두개의 부가선로는,
    비아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KR1020030068776A 2003-10-02 2003-10-02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KR200500328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76A KR20050032806A (ko) 2003-10-02 2003-10-02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8776A KR20050032806A (ko) 2003-10-02 2003-10-02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806A true KR20050032806A (ko) 2005-04-08

Family

ID=3723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8776A KR20050032806A (ko) 2003-10-02 2003-10-02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280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613B1 (ko) * 2006-06-09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발룬이 내장된 광대역 평형 칩 안테나
KR100870725B1 (ko) * 2008-03-06 2008-11-27 주식회사 감마누 기판형 광대역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KR100979437B1 (ko) * 2007-04-20 2010-09-02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모드 안테나 구조물
KR100986344B1 (ko) * 2008-08-07 2010-10-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
CN106099354A (zh) * 2016-08-05 2016-11-09 深圳前海科蓝通信有限公司 一种双频内置天线及其设计方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613B1 (ko) * 2006-06-09 2007-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발룬이 내장된 광대역 평형 칩 안테나
KR100979437B1 (ko) * 2007-04-20 2010-09-02 스카이크로스 인코포레이티드 멀티모드 안테나 구조물
KR100870725B1 (ko) * 2008-03-06 2008-11-27 주식회사 감마누 기판형 광대역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WO2009110679A1 (ko) * 2008-03-06 2009-09-11 주식회사 감마누 기판형 광대역 이중편파 다이폴 안테나
KR100986344B1 (ko) * 2008-08-07 2010-10-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스트립 패치안테나
CN106099354A (zh) * 2016-08-05 2016-11-09 深圳前海科蓝通信有限公司 一种双频内置天线及其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6067B2 (en) Apparatus for wideband directional antenna
KR100485354B1 (ko) 유전체 덮개를 이용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및이를 배열한 배열 안테나
CN1989652B (zh) 天线部件
KR100265510B1 (ko) 전 방향성 안테나
KR100707242B1 (ko) 유전체 칩 안테나
US6489925B2 (en) Low profile, high gain frequency tunable variable impedance transmission line loaded antenna
US20050035919A1 (en) Multi-band printed dipole antenna
JP2004201281A (ja) 無線lanアンテナ及びこれを具備した無線lanカード
JP2004282329A (ja) 無線lan用デュアルバンド全方向性アンテナ
US20040012530A1 (en) Ultra-wide band meanderline fed monopole antenna
KR20000011121A (ko) 평면 안테나장치
US6864854B2 (en) Multi-band antenna
JP2004531990A (ja) 供給ラインの形成体及び関連する方法を有するパッチダイポールのアレイアンテナ
CN110380205B (zh) 一种基于多谐振模式的pifa
US7567210B2 (en) Small size ultra-wideband antenna
JPH07303005A (ja) 車両用アンテナ装置
KR101195831B1 (ko) 패치안테나
US7158087B2 (en) Dual-band dipole antenna
CN112271438B (zh) 一种槽馈电的圆极化全向介质谐振器天线
US10892557B1 (en) Antenna structure and intelligent household appliance using the same
WO2005038984A1 (en) Planar inverted f antenna tapered type pifa with corrugation
KR20050032806A (ko) 이중대역 인쇄형 다이폴 안테나
US20090079659A1 (en) Multi-mode resonant wideband antenna
JPH1131915A (ja) アンテナ及びアレイアンテナ
KR100541080B1 (ko) 무선랜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무선랜 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