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484A -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Google Patents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31484A KR20050031484A KR1020030067625A KR20030067625A KR20050031484A KR 20050031484 A KR20050031484 A KR 20050031484A KR 1020030067625 A KR1020030067625 A KR 1020030067625A KR 20030067625 A KR20030067625 A KR 20030067625A KR 20050031484 A KR20050031484 A KR 2005003148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xygen
- packing
- lower case
- vacuum
- nitroge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3/00—Oxygen; Ozone; Oxides or hydroxides in general
- C01B13/02—Preparation of oxygen
- C01B13/0229—Purification or separation processes
- C01B13/0248—Physical processing only
- C01B13/0259—Physical processing only by adsorption on so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01D53/0476—Vacuum pressure swing adsorp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xygen, Ozone, And Oxides In General (AREA)
- Separation Of Gases By Ad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도가 높은 요동 피스톤식 질소진공펌프와 자력에 의해 진동ㆍ펌핑하는 진공도가 낮은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로 산소와 질소를 배기하는 진공스윙흡착(VSA : Vacuum Swing Adsorption)방식 산소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진공도가 높은 요동 피스톤식 질소진공펌프와 자력에 의해 진동ㆍ펌핑하는 진공도가 낮은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로 산소와 질소를 배기하는 진공스윙흡착(VSA : Vacuum Swing Adsorption)방식 산소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로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선등록된 실용신안등록 제325459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산소발생기에서는 흡착베드 내의 산소와 질소를 흡입ㆍ배기하는 요동 피스톤식(또는 요동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와 요동 피스톤식(요동 다이어프램식) 질소진공펌프를 하나의 모터에 의해 구동시키고 있다.
그런데, 요동 피스톤식 진공펌프는 진공도가 높아 양측의 진공펌프에서 나는 소음이 보강하여 큰 소음이 발생한다. 이를 억제시키기 위해 별도의 소음기 설치가 요구된다.
또한, 산소를 안정적으로 얻기 위해, 산소는 진공도가 낮은 펌프가, 질소는 진공도가 높은 펌프가 채택된다. 이를 위해, 질소진공펌프의 피스톤 로드와 모터의 회전축간의 편심거리가 산소진공펌프의 피스톤 로드와 모터의 회전축간의 편심거리보다 더 길게 구현하고 있다.
이 편심거리의 차이로 인해 양 펌프간의 밸런스가 맞지 않아, 진동이 심해 소음기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소음이 매우 크고 펌프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트러블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소음을 줄이면서 산소를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는 공기 유입측으로부터 공급된 공기 중의 질소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충전된 제1흡착베드와, 상기 공기 유입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의 질소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충전되는 제2흡착베드와, 상기 제1흡착베드의 제1산소토출측 및 상기 제2흡착베드의 제2산소토출측과 접속되는 산소흡입포트와 산소토출포트를 갖는 산소진공펌프와, 상기 공기 유입측과 상기 제1흡착베드의 제1공기공급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흡착베드의 제2공기공급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와 접속되는 질소흡입포트와 질소토출포트를 갖는 질소진공펌프를 포함하되,
상기 질소진공펌프는 요동 피스톤식 진공펌프이고, 상기 산소진공펌프는 자력에 의해 진동ㆍ펌핑하는 다이어프램식 진공펌프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소음을 줄이면서 산소를 안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는 교류전원을 인가 받는 전자석; 산소흡입구와 상기 산소토출포트, 흡입밸브와 배기밸브를 갖는 밸브시트로 구성되는 밸브체; 고무캡; 상기 고무캡을 상기 밸브시트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고무캡을 압축ㆍ팽창시키는 진동자; 상기 전자석과 대향하는 상기 진동자의 일단에 부착되는 자석; 상기 진동자의 타단을 상기 밸브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지지부재; 상기 산소흡입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산소토출포트가 노출된 채 상기 구성들을 감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에 형성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고무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되면, 펌핑시 돌출부와 결합되지 않는 부분에서 움직임에 여유가 생겨 고무캡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이 상기 고무캡의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 형성되면, 돌출부에 고무캡의 결합이 매우 편리해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선회지지부재는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는 블록; 상기 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진동자의 타단이 배치되며, 상기 진동자의 진동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요홈; 상기 개구쪽으로 상기 진동자의 타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되면, 진동자의 진동에 따른 블록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편; 상기 폐쇄편을 상기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요홈의 일측 블록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폐쇄편에 천공 설치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하는 스크루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요홈의 타측 블록에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폐쇄편에는 노치가 형성되면, 스크루 체결시 폐쇄편의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실링하는 패킹을 더 포함하되, 상기 패킹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상기 산소토출포트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제1패킹과,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에 접속된 케이블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제2패킹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는 제3패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패킹과 상기 제2패킹, 상기 제2패킹과 상기 제3패킹, 또는 상기 제1패킹과 상기 제2패킹과 상기 제3패킹이 일체로 형성되면, 케이스의 밀폐도와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또 다른 한편, 상기 진동자는 스테인리스의 재질로 이루어지면, 가볍고 녹을 방지하고 강도가 커서 진동에 따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는데,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요동 피스톤식 질소진공펌프(30)는 전술한 공보를 참조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1)는 도 2에 도시한 같이, 제1흡착베드(BA)와 제2흡착베드(BB), 제1흡착베드(BA)와 제2흡착베드(BB)의 일단에 접속되는 요동 피스톤식 질소진공펌프(30), 제1흡착베드(BA)와 제2흡착베드(BB)의 타단에 접속되는 진동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10), 질소진공펌프(30)와 제1흡착베드(BA) 사이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SA), 질소진공펌프(30)와 제2흡착베드(BB) 사이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SB)로 구성되어 있다.
위 구성들에서,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3)의 외부에 장착되고, 나머지 구성들은 하우징(3)에 탑재되어 있다.
제1흡착베드(BA)와 제2흡착베드(BB)는 각각 공기 중의 질소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충전되어 있는데,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가 바람직하다.
제1흡착베드(BA)와 제2흡착베드(BB)의 일단에는 흡입필터(IF)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고, 산소가 농축된 후에는 질소토출구의 기능을 반면에, 제1흡착베드(BA)와 제2흡착베드(BB)의 타단은 산소토출구의 기능을 한다. 예컨대, 제1흡착베드(BA)의 타단에서 산소가 토출되면, 제2흡착베드(BB)의 일단은 질소가 토출되게 된다. 반대로, 제2흡착베드(BB)의 타단에서 산소가 토출되면, 제1흡착베드(BA)의 일단은 질소가 토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산소와 질소의 토출은 서로 교대로 행하게 된다. 여기서, 제1흡착베드(BA)와 제2흡착베드(BB)의 타단에는 각각 체크밸브(CVA)(CVB)가 설치되어, 산소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흡착베드(BA)와 제2흡착베드(BB)에는 서로 연통하는 오리피스(OF)가 천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오리피스(OF)는 예컨대, 흡착베드(BB)의 타단에서 산소가 토출될 때, 질소가 토출되는 흡착베드(BA)로 산소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 기능을 통해 제올라이트 흡착제의 수명을 높일 수 있다. 이 오리피스(OF)의 위치와 직경은 흡착베드의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0.3㎜ 또는 0.4㎜의 직경으로 흡착베드의 타단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솔레노이드밸브(SA)는 제1흡착베드(BA)의 공기공급측(또는 질소토출측)과 질소진공펌프(30)의 질소흡입포트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솔레노이드밸브(SA)는 제1흡착베드(BA)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제1흡착베드(BA)에 흡착된 질소를 질소흡입포트로 토출시키는 절환 밸브이다.
제2솔레노이드밸브(SB)도 제1솔레노이드밸브(SA)와 마찬가지로, 제2흡착베드(BB)의 공기공급측(또는 질소토출측)과 질소흡입포트 사이에 설치되어, 제1흡착베드(BA)로 공기를 공급하거나 제2흡착베드(BB)에 흡착된 질소를 질소흡입포트로 토출시키는 절환 밸브이다. 이때, 제2솔레노이드밸브(BB)는 제1솔레노이드밸브(BA)와 연통되게 배치된 채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제1흡착베드(BA) 및 제2흡착베드(BB)의 타단은 산소진공펌프(10)의 산소흡입포트(210a)에 접속된다.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1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산소진공펌핑유닛(100)과 케이스(200)로 구성된다.
산소진공펌핑유닛(100)은 교류전원을 인가 받는 전자석(110)과 전자석(110)에서 발생되는 전자력을 이용하여 산소를 펌핑하는 산소펌핑부(130)로 구성된다.
전자석(110)은 "E"자 형상의 철심결합체(111)와, 이 철심결합체(111)의 중앙부에 감겨진 코일(113)로 구성된다. 철심결합체(111)에는 고정용 볼트(115)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공(1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코일(113)은 도시되지 않은 외부의 전원장치와 케이블(119)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산소펌핑부(13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밸브체(140), 고무캡(150), 고무캡(150)을 밸브체(14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60), 고무캡(150)을 압축ㆍ팽창시키는 진동자(170), 진동자(170)의 일단에 설치되는 자석(180) 및 진동자(170)의 타단을 밸브체(140)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지지부재(190)로 구성된다.
밸브체(1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소흡입구(141a;141b), 산소토출포트(143) 및 밸브시트(145)로 구성된다. 좌측의 밸브시트(145)는 산소흡입구(141a)와 연통되는 흡입밸브(145a)와, 산소토출포트(143)와 연통되는 배기밸브(146a)로 구성된다. 우측의 밸브시트(145)는 산소흡입구(141b)와 연통되는 흡입밸브(145b)와, 산소토출포트(143)와 연통되는 배기밸브(146b)로 구성된다. 좌우측의 밸브시트(145)에는 각각 고무캡(150)이 결합 설치된다.
고무캡(150)은 압축 및 팽창됨에 따라 흡입밸브(145a;145b)와 배기밸브(146a;146b)를 작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무캡(150)의 팽창시 산소흡입구(141a;14b)를 통해 산소가 유입되면서 흡기밸브(145a;145b)가 개방되고 배기밸브(146a;146b)는 폐쇄된다.
반대로 고무캡(150)의 압축시에는 흡기밸브(145a;145b)는 폐쇄되고 배기밸브(146a;146b)는 개방되어, 산소는 배기공(147a;147b)을 통하여 산소토출포트(143)측으로 토출되게 된다.
또한, 배기밸브(146a;146b)의 뒤에는 배기밸브(135a,135b)의 개방시 산소가 상대편 실린더(161)로 유동하지 않고 산소토출포트(143)측으로 유도하는 고무마개(미도시;148b)가 구비되어 있다.
결합부재(160)는 밸브시트(145) 주위에 설치되는 실린더(161), 이 실린더(161)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돌출부(163), 및 상기 고무캡(15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165)으로 구성된다.
특히, 돌출부(16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에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본 실시예에서는 180°정도). 이 구성에 의해, 고무캡(150)이 팽창ㆍ압축시, 돌출부(163)와 결합되지 않은 부분의 고무캡(150)은 움직임의 여유가 생겨, 반복적인 작동 또는 과도한 팽창에 의해 고무캡(150)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63)가 에어흡입구(141) 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밸브체(140)를 금형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금형설계가 가능하여, 공정수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돌출부를 반대쪽에 설치한다면, 에어토출구(143)의 밸브체(140)에는 밸브시트(145)의 두께보다 상당히 두껍게 형성되어 있어, 밸브체를 금형에서 분리할 때, 적어도 2번의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결합홈(165)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360°전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결합홈(165)이 돌출부(163)에 대응되는 원호길이 만큼 형성되어 있다면, 결합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조립작업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진동자(170)의 일단에는 전자석(100)과 대향하는 자석(180)이 부착되고, 타단에는 선회지지부재(190)에 의해 밸브체(140)에 설치된다. 진동자(170)의 중심에는 고무캡(150)의 중심과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석(100)에 자력이 발생하면, 자석(180)이 좌우로 진동하게 되고, 이 진동은 진동자(170)를 선회 진동시켜, 고무캡(150)을 압축ㆍ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진동자(170)의 타단에는 진동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방진고무(175)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진동자(170)는 스테인리스의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테인리스는 녹을 방지하고 가볍다. 또한, 진동속도를 높이기 위해 자력이 강한 자석(예컨대, 네오듐 자석 등)이 사용되는데, 이 강한 자석에 견디기 위한 강도를 지니고 있어, 진동자(17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회지지부재(190)는 밸브체(140)에 설치되는 블록(191), 블록(191)에 형성되는 요홈(193), 진동자(170)의 타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95)로 구성된다.
요홈(193)은 블록(191)을 블록(191a)과 블록(191b)으로 구획하며, 진동자(170)의 타단이 진동방향 또는 진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자(170)의 타단에 의해 블록(191a)(191b)이 받는 저항은 매우 미약하고, 또한 블록(191a)(191b) 자체를 단면계수가 큰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진동자(170)를 지지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195)는 요홈(193)의 개구(진동방향측)를 폐쇄하는 폐쇄편(196)과 이 폐쇄편(196)을 블록(19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폐쇄편(196)은 강도가 큰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는 블록(191a)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97a)와, 폐쇄편(196)에 천공 설치된 체결공(197b)과, 체결공(197b)을 통해 암나사부(197a)와 체결하는 스크루(197c)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블록(191b)에 돌기(198)를 형성하고, 이 돌기(198)에 대응되는 폐쇄편(196)에 노치(199)를 형성하면, 스크루(197c) 체결시 폐쇄편(196)이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100)는 케이스(200)에 탑재되어 있다. 이 케이스(200)는 측면에 산소흡입포트(210a)가 설치된 상부 케이스(200a)와 하부 케이스(200b)로 구성된다. 이 상부 케이스(200a)와 하부 케이스(200b)에는 내부를 실링하는 패킹(300)이 설치되어, 추출하는 산소가 외부의 공기와 혼합되는 것을 억제시킨다.
상부 케이스(200a)의 하면과 하부 케이스(200b)의 상면에는 산소토출포트(143)가 인출되는 인출홈(220a)(220b)에 형성되고, 하부 케이스(200b)의 상면에는 케이블(119)이 인출되는 인출홈(230b)과 테두리홈(250b)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300)은 인출홈(220a)(220b), 인출홈(230b) 및 테두리홈(250b)을 각각 실링하기 위한 제1패킹(310), 제2패킹(330) 및 제3패킹(350)으로 구성된다. 제1패킹(310)은 산소토출포트(143)가 인출되는 인출공(310a)이 형성되고, 제2패킹(330)에는 케이블(119)이 인출되는 인출공(330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패킹(310)과 제3패킹(35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2패킹(330)과 제3패킹(35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제1패킹(310), 제2패킹(330) 및 제3패킹(35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패킹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패킹의 모듈화에 따른 조립작업성과 밀폐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진공도가 높은 요동 피스톤식 질소진공펌프와 진공도가 낮은 진동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의 구성을 채택 결합함으로써, 산소와 질소의 추출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진동 다이어프램식으로 산소를 흡입/배기하여 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둘째, 밸브시트에 형성되는 실린더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돌출부가 일부 형성됨으로써, 펌핑시 돌출부와 결합되지 않는 부분에서 움직임에 여유가 생겨, 고무캡의 팽창에 밸런스가 형성되어 고무캡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고무캡의 결합홈이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 형성됨으로써, 돌출부에 고무캡의 결합이 매우 편리해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킨다.
넷째, 선회지지부재가 밸브체에 설치되는 블록과 블록 사이에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블록의 단면계수를 크게 할 수 있는 레이아웃이 형성되어, 진동자의 진동에 따른 블록의 파손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폐쇄편에 이상이 생긴 경우에도, 폐쇄편만 교체하면 진동자를 선회시키는데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아, 밸브체 전체를 교환하는데 드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요홈의 타측 블록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폐쇄편에 노치가 형성됨으로써, 스크루 체결시 폐쇄편의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산소진공펌프가 탑재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의 실링하는 제1패킹과 제3패킹을 일체로, 제2패킹과 제3패킹을 일체로, 또는 제1패킹, 제2패킹 및 제3패킹을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케이스의 밀폐도와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일곱째, 상기 진동자가 스테인리스의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볍고 녹을 방지할 뿐 아니라 강도가 커서 자력이 센 자석의 진동에 대해서도 휘거나 하는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산소진공펌핑유닛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밸브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도 4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결합 단면도.
도 7은 고무캡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3 : 하우징
10 : 진동 다이어프램식 산소진공펌프
30 : 요동 피스톤식 질소진공펌프
100 : 산소진공펌핑유닛 110 : 전자석
130 : 산소펌핑부 140 : 밸브체
141a,141b : 산소흡입구 143 : 산소토출포트
145 : 밸브시트 145a,146a : 흡입밸브
145b,146b : 배기밸브 148b : 고무마개
150 : 고무캡 160 : 결합부재
161 : 실린더 163 : 돌기부
165 : 결합홈 170 : 진동자
180 : 자석 190 : 선회지지부재
191 : 블록 193 : 요홈
195 : 이탈방지부 196 : 폐쇄편
198 : 돌기 199 : 노치
200 : 케이스 210a : 산소흡입포트
300 : 패킹 BA,BB : 흡착베드
SA,SB : 솔레노이드밸브 CVA,CVB : 체크밸브
IF : 흡입필터
Claims (11)
- 공기 유입측으로부터 공급된 공기 중의 질소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충전된 제1흡착베드와,상기 공기 유입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 중의 질소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충전되는 제2흡착베드와,상기 제1흡착베드의 제1산소토출측 및 상기 제2흡착베드의 제2산소토출측과 접속되는 산소흡입포트와 산소토출포트를 갖는 산소진공펌프와,상기 공기 유입측과 상기 제1흡착베드의 제1공기공급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1솔레노이드밸브와,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제2흡착베드의 제2공기공급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와,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 및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와 접속되는 질소흡입포트와 질소토출포트를 갖는 질소진공펌프를 포함하되,상기 질소진공펌프는 요동 피스톤식 진공펌프이고,상기 산소진공펌프는 자력에 의해 진동ㆍ펌핑하는 다이어프램식 진공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식 진공펌프는 교류전원을 인가 받는 전자석; 산소흡입구와 상기 산소토출포트, 흡입밸브와 배기밸브를 갖는 밸브시트로 구성되는 밸브체; 고무캡; 상기 고무캡을 상기 밸브시트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고무캡을 압축ㆍ팽창시키는 진동자; 상기 전자석과 대향하는 상기 진동자의 일단에 부착되는 자석; 상기 진동자의 타단을 상기 밸브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지지부재; 상기 산소흡입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산소토출포트가 노출된 채 상기 구성들을 감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밸브시트에 형성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부 형성되는 돌출부와, 상기 고무캡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에 결합되는 결합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고무캡의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전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식 진공펌프는 교류전원을 인가 받는 전자석; 산소흡입구와 상기 산소토출포트, 흡입밸브와 배기밸브를 갖는 밸브시트로 구성되는 밸브체; 고무캡; 상기 고무캡을 상기 밸브시트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상기 고무캡을 압축ㆍ팽창시키는 진동자; 상기 전자석과 대향하는 상기 진동자의 일단에 부착되는 자석; 상기 진동자의 타단을 상기 밸브체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하는 선회지지부재; 상기 산소흡입포트가 설치되며, 상기 산소토출포트가 노출된 채 상기 구성들을 감싸는 케이스로 이루어지되,상기 선회지지부재는 상기 밸브체에 설치되는 블록; 상기 블록에 형성되어 상기 진동자의 타단이 배치되며, 상기 진동자의 진동방향으로 개구가 형성되는 요홈; 상기 개구쪽으로 상기 진동자의 타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폐쇄편; 상기 폐쇄편을 상기 블록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요홈의 일측 블록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폐쇄편에 천공 설치된 체결공과, 상기 체결공을 통해 상기 암나사부와 체결하는 스크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타측 블록에는 돌기가 형성되고,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폐쇄편에는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실링하는 패킹을 더 포함하되,상기 패킹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상기 산소토출포트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제1패킹과,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에 접속된 케이블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제2패킹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는 제3패킹으로 구성되고,상기 제1패킹과 상기 제2패킹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실링하는 패킹을 더 포함하되,상기 패킹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상기 산소토출포트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제1패킹과,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에 접속된 케이블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제2패킹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는 제3패킹으로 구성되고,상기 제2패킹과 상기 제3패킹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2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를 실링하는 패킹을 더 포함하되,상기 패킹은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상기 산소토출포트가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제1패킹과,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석에 접속된 케이블이 인출되는 인출공이 형성된 제2패킹과,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면 테두리에 형성된 홈에 설치되는 제3패킹으로 구성되고,상기 제1패킹, 상기 제2패킹 및 상기 제3패킹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제 2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스테인리스의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7625A KR100555771B1 (ko) | 2003-09-30 | 2003-09-30 |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67625A KR100555771B1 (ko) | 2003-09-30 | 2003-09-30 |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1484A true KR20050031484A (ko) | 2005-04-06 |
KR100555771B1 KR100555771B1 (ko) | 2006-03-03 |
Family
ID=3723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7625A KR100555771B1 (ko) | 2003-09-30 | 2003-09-30 |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5577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63835A (zh) * | 2016-08-24 | 2017-01-04 | 李军安 | 具有磁力摇摆机构的儿童床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99393B1 (ko) | 2011-05-31 | 2011-12-30 | 주식회사 명승정밀 | 휴대용 질소발생기 |
-
2003
- 2003-09-30 KR KR1020030067625A patent/KR10055577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63835A (zh) * | 2016-08-24 | 2017-01-04 | 李军安 | 具有磁力摇摆机构的儿童床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55771B1 (ko) | 2006-03-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1073943A (ja) | リニア圧縮機 | |
KR20100057680A (ko) | 모터-펌프 조립체 | |
KR101039349B1 (ko) | 시트용 허리지지 시스템의 펌프 | |
KR20060039621A (ko) | 리니어 압축기 | |
WO2001061191A1 (en) | Lubricant supplying apparatus of reciprocating compressor | |
KR100555771B1 (ko) |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
CN101096946A (zh) | 封闭式压缩机 | |
KR100480136B1 (ko) | 왕복동식 압축기의 흡입밸브 장치 | |
KR100273421B1 (ko) |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 |
KR100239350B1 (ko) |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 |
KR100246422B1 (ko) |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 |
KR100308266B1 (ko) | 리니어압축기의오일공급장치 | |
KR200325459Y1 (ko) | 차량용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장치 | |
KR200339005Y1 (ko) | 진동 다이어프램식 펌프 | |
KR200336331Y1 (ko) | 진동 다이어프램식 펌프 | |
KR100603186B1 (ko) | 투-헤드 리니어 다이어프램식 에어펌프 및 이 에어펌프를채택한 진공스윙흡착방식 산소발생기 | |
KR102447345B1 (ko) | 왕복동식 압축기 | |
KR100273422B1 (ko) |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 |
KR200321832Y1 (ko) | 자동차 공조장치용 산소발생장치 | |
KR100286312B1 (ko) | 스크롤 압축기의 체크밸브 소음저감장치 | |
KR200373658Y1 (ko) | 기체농축기용 펌프어셈블리 | |
KR100314076B1 (ko) |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 |
KR100301475B1 (ko) |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 |
KR200343771Y1 (ko) | 피스톤식 에어 컴프레서 | |
KR200267897Y1 (ko) | 밀폐형 압축기의 작동유체 흡입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22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