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1220A - Coil separator - Google Patents

Coil sepa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1220A
KR20050031220A KR1020030067450A KR20030067450A KR20050031220A KR 20050031220 A KR20050031220 A KR 20050031220A KR 1020030067450 A KR1020030067450 A KR 1020030067450A KR 20030067450 A KR20030067450 A KR 20030067450A KR 20050031220 A KR20050031220 A KR 2005003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piece
groove
correction iron
coil separator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4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병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1220A/en
Publication of KR2005003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22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2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 H01J29/823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electron-optical or ion-optical arrangements around the neck of the tube
    • H01J29/826Deflec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A coil separator is provided to allow for ease of adjustment of deflection yoke characteristics by permitting correcting iron pieces with a wide variety of shapes to be easily assembled. A coil separator comprises a correcting iron piece assembly unit arranged at an outer surface of a neck portion. The correcting iron piece assembly unit includes a groove(21), fixing pieces(22a,22b), and correcting iron piece anti-release pieces(25a,25b). The groove is formed into a predetermined depth at the neck portion such that a correcting iron piece is slide-inserted into the groove. The fixing pieces are arrang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groove, with a predetermined gap from the groove. The fixing pieces are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groove so as to hold both ends of the correcting iron piece. The iron piece anti-release pieces are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groove, with a predetermined gap from the groove.

Description

보정철편 조립부가 구비된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 Coil Separator with Correction Steel Assembly Assembly {COIL SEPARATOR}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코일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향요크의 특성을 미세 조정하기 위해 설치되는 보정철편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separator of a deflection yok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il separator that facilitates assembling of a correction iron piece provided for finely adjus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lection yoke.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스크린에 대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켜 이 전자빔이 스크린의 형광체에 랜딩되도록 함으로써 화상을 구현하는 전자관으로서, 통상적으로는, 내면으로 형광막 스크린을 형성하는 장방형의 패널(panel)과, 내주면으로 전자총이 장착되는 넥크(neck)부와, 상기 패널과 넥크부를 연결하는 나팔관 형상의 펀넬(funnel)과, 상기 펀넬의 콘(cone)부 외주면에 장착되어 수평 및 수직 편향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전자빔을 특정의 화소로 편향시키는 편향 요크(DY :deflection yoke)를 포함한다.A cathode ray tube is an electron tube that realizes an image by deflecting an electron beam emitted from an electron gun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screen so that the electron beam is landed on a phosphor of the screen. A panel, a neck portion on which an electron gun is mount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 fallopian-shaped funnel connecting the panel and the neck portion, and a cone portion of the funnel is mount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a deflection yoke (DY)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to a specific pixel by generating a deflection magnetic field.

상기 편향요크는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되어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는 R빔(적색빔), G빔(녹색빔), B빔(청색빔)의 3색 전자빔을 자계를 이용하여 편향시킴으로써, 전자빔이 섀도우마스크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과하여 스크린의 형광면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eflection yoke is mounted on the neck portion of the cathode ray tube and deflects three-color electron beams of the R beam (red beam), G beam (green beam), and B beam (blue beam) by using a magnetic field to generate an electron beam. It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s formed in the shadow mask to accurately reach the fluorescent surface of the screen.

보다 상세하게,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된 전자빔은 직진성을 갖기 때문에,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별도의 편향수단이 없는 경우, 형광면의 중심에 집중됨으로써 스크린 전체, 특히 스크린의 가장자리에 화상을 구현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편향요크는 전자빔의 진행궤적을 변화시키는 자계를 형성하여, 상기 전자빔이 형광면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형광면 전체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More specifically, since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electron gun has a straightness, in the absence of a separate deflection means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t is impossible to implement an image on the entire screen, especially the edge of the screen, by concentrating on the center of the fluorescent surface. Therefore, the deflection yoke forms a magnetic field that changes the trajectory of the electron beam, and serves to accurately reach the entire fluorescent surface, including the edge of the fluorescent surface.

상기 편향요크는 전자빔을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수평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수평편향코일,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편향자계를 발생시키는 수직편향코일, 및 상기 수평편향코일과 수직편향코일의 위치를 구분 배치함과 아울러 양자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기 위한 코일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는 대략 나팔관 형상이며, 수평편향코일은 코일 세퍼레이터의 내주면에 장착되고, 수직편향코일은 코일세퍼레이터의 외주면에 장착된다.The deflection yoke includes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for generating a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 vertical deflection coil for generating a vertical deflection magnetic field for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It includes a coil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positions and electrically insulating the two. The coil separator has an approximately fallopian tube shape,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eparator, and a vertical deflection coil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il separator.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편향요크를 음극선관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편향코일의 권선산포 또는 자계특성의 불균형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전자빔의 편향이 불량하게 이루어져 화면상의 미스 컨버전스(Miss-Convergence) 즉, G/D(기하학적 왜곡;Gemetric Distortion)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However, even when the deflection yok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the cathode ray tube, the deflection of the electron beam is poor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the winding dispersion of the deflection coil or the imbalance of the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D (Gemetric Distortion) phenomenon occurs.

이러한 미스 컨버전스의 예로서, 화면상의 상하측에서 B빔과 R빔이 일치하지 않아 발생하는 B빔과 R빔의 Yv 미스 컨버전스와, 화면이 좌우로 기울어져 평행사변형 형상으로 나타나는 G빔 틸트 등이 있다. Examples of such miss convergence include Yv miss convergence of B beams and R beams caused by mismatching B beams and R beam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creen, and G beam tilts that appear in a parallelogram with the screen tilted left and right. have.

이러한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기 위하여, 당업자는 페라이트 시트 및/또는 퍼멀로이 보정철편을 채용하는 바,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R빔과 B빔의 Yv 미스 컨버전스 보정에 주로 사용되며, 상기 보정철편은 R빔과 B빔의 Yv 미스 컨버전스 보정 뿐만 아니라 G빔 틸트의 보정에도 사용된다. In order to correct this misconvergenc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employs a ferrite sheet and / or a permalloy correction iron bar, and the ferrite sheet is mainly used to correct Yv misconvergence of the R beam and the B beam, and the correction iron pieces are R beam and B beam. It is used not only for the Yv miss convergence correction of the beam, but also for the correction of the G-beam tilt.

상기 페라이트 시트는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로서, R빔과 B빔의 Yv 미스 컨버전스가 발생하는 경우, 수평편향코어에 부착되어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자계를 변화시켜 R빔과 B빔의 Yv 미스 컨버전스를 보정하게 된다. The ferrite sheet is a sheet coated with an adhesive on one surface, and when Yv miss convergence of the R beam and the B beam occurs, the ferrite sheet is attached to the horizontal deflection core to change the horizontal deflection magnetic field of the deflection yoke to cause the Yv miss of the R beam and the B beam. The convergence is corrected.

한편, 상기 보정철편은 통상적으로 퍼멀로이 재질로 이루어진 얇은 평판상의 직사각형 철편으로서, 보정하고자 하는 미스 컨버전스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보정철편이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상면에 다양한 조합으로 배치되어 R빔과 B빔의 Yv 미스 컨버전스 뿐만 아니라 G빔 틸트도 보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correction iron piece is typically a thin flat rectangular iron piece made of permalloy material, at least one or more correction iron pieces are arranged in various combina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ck of the coil separator to correspond to the miss convergence to be corrected R beam and B Not only the Yv miss convergence of the beam, but also the G-beam tilt can be corrected.

이때, 상기 보정철편은 접착제 등으로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 상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네크부 상면에 마련된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기구적으로 삽입 고정된다. At this time, the correction iron piece is directly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eck portion of the coil separator with an adhesive, or mechanically inserted and fixed by a separate fixing mean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eck portion.

첨부한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정철편 조립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보정철편이 삽입고정되는 코일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il separator into which a corrected iron piece is inserted and fixed as a view for explaining a corrected iron piece assembly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이하의 설명에서, 전후,상하,좌우의 방향에 대해서 말할때는 도면에 있어서 상하를 상하의 방향으로 하고, 좌우는 그대로 좌우의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hen referring to the directions of front, rear, top, bottom, left and right,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will be described as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they are.

도 1에 도시한 코일 세퍼레이터는 일체형 코일 세퍼레이터로서, 코일 세퍼레이터는 통상적으로 분할형 또는 일체형으로 제조되는바, 코일 세퍼레이터가 분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넥크 캡이 세퍼레이터와 일체로 제조되는 반면, 코일 세퍼레이터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넥크 캡은 코일 세퍼레이터의 후방측으로부터 세퍼레이터에 조립되는 분리형 타입으로 제조된다.The coil separator shown in FIG. 1 is an integral coil separator, and the coil separator is usually manufactured in a split type or an integral type. When the coil separator is split, the neck cap is manufactured integrally with the separator, whereas the coil separator is When formed integrally, the neck cap is manufactured in a detachable type which is assembled to the separator from the rear side of the coil separator.

상기 코일 세퍼레이터(1)는 대략 나팔관 형상을 가지며, 상부의 네크부(2)에 보정철편을 고정하기 위한 보정철편 조립부(10)가 구비된다.The coil separator 1 has a substantially fallopian tube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10 for fixing the correction iron piece to the neck portion 2 of the upper portion.

상기 보정철편 조립부(10)는 네크부(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네크부(2)의 외주면을 4등분하여 1구간에 한 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10 is formed integr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2, a total of four are formed in one section by divi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2 into four equal parts.

첨부한 도 2a는 도 1에서의 'A'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에서의 'A'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2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part 'A' in FIG. 1, and FIG. 2B is a plan view showing part 'A' in FIG. 1.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일 세퍼레이터(1)의 네크부(2)에 형성된 보정철편 조립부(10)는 보정철편이 슬라이드식으로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네크부(2)에 소정깊이로 형성된 홈(11)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portion 10 formed on the neck portion 2 of the coil separator 1 has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neck portion 2 so that the correction iron pieces are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downward in a sliding manner. The groove 11 formed is provided.

상기 홈(1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며, 그 하단의 양측에는 상기 보정철편이 삽입되면 보정철편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정철편의 양단을 잡아주는 고정편(12a)(12b)이 코일 세퍼레이터(1)에 일체로 형성된다. The groove 11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fixing pieces 12a and 12b that hold both ends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to prevent deviation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whe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thereof are inserted into the coil separator (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1).

상기 고정편(12a)(12b)은 상기 홈(1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홈(11)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도 2b와 같이, 상부에서 내려다보면 좌측의 고정편(12a)은 '└'의 형상이고, 우측의 고정편(12b)은 '┘'의 형상이다. The fixing pieces 12a and 12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groove 11, and are formed to extend inwardly of the groove 11 so that the fixing pieces 12a on the left side when viewed from the top, as shown in FIG. Is the shape of '└', and the fixing piece 12b on the right side is the shape of '┘'.

또한, 상기 홈(11)의 하부에는 홈(11)의 외면과 일체로 복수개의 고정돌기(13a)(13b)가 형성되어 있는데, 종래의 경우 상기 고정돌기(13a)(13b)는 일정간격을 두고 2개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13a and 13b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roove 11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roove 11, and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fixing protrusions 13a and 13b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Two are formed.

상기 고정돌기(13a)(13b)는 소정길이를 갖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홈(11)에 일체로 약간 돌출되어 있다.The fixing protrusions 13a and 13b are formed in a b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otrude slightly integrally with the groove 11.

첨부한 도 3a 내지 도 3d는 일반적인 보정철편의 타입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보정철편(3)(4)(5)(6)은 얇은 판형의 철편이며, 코일 세퍼레이터(1)의 네크부(2)의 굴곡면에 부착가능하도록 상기 네크부(2)에 맞는 곡률을 갖는 형상이다.3A to 3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shape of a general correction iron piece by type, wherein the correction iron pieces 3, 4, 5, and 6 are thin plate-shaped iron pieces, and the neck of the coil separator 1 is shown. It is a shape having a curvature suitable for the neck portion 2 so as to be attachable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portion 2.

상기 보정철편(3)(4)(5)(6)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As the correction iron pieces (3), (4), (5) and (6), as shown in the drawings, various shapes may be used.

이와 같은 보정철편(3)(4)(5)(6)은 양단이 상기 고정편(12a)(12b)에 끼워지도록 그 양단이 상하측 또는 하측으로 연장형성된 모양을 가지며, 도 3c에 도시된 보정철편(5)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상기 고정돌기(13a)(13b)가 끼워질 수 있는 2개의 슬롯(5a)이 형성되어 있다.The correction iron pieces (3) (4) (5) and (6) has a shape in which both ends extend upwardly or downwardly or downwardly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fitted to the fixing pieces 12a and 12b. The correction iron piece 5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in which two slots 5a into which the fixing protrusions 13a and 13b can be fitted are formed.

이와 같은 보정철편(5)을 상기 보정철편 조립부(10)에 삽입시키는 것을 도 4a에 도시하였는바,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보정철편(5)을 보정철편 조립부(10)의 홈(11)에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삽입하여 끼우면 상기 보정철편(5)의 양단이 상기 고정편(12a)(12b)과 홈(11)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때 상기 보정철편(5)에 형성된 슬롯(5a)에 상기 고정돌기(13a)(13b)가 끼워지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4A, the correction iron piece 5 is inserted into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10. As shown in FIG. 4, the correction iron piece 5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10. 11) inserted and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direction, both ends of the correcting iron piece 5 ar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fixing pieces 12a and 12b and the grooves 11, and are formed on the correcting iron piece 5 The fixing protrusions 13a and 13b are inserted into the slot 5a to be more firmly fixed.

이와 같은 보정철편(3)(4)(5)(6)은 편향요크의 제조가 완료된 후 시뮬레이션 시 브라운관에 나타나는 화면을 보면서 다양한 형상의 보정철편(3)(4)(5)(6)을 끼워 R빔과 B빔의 Yv 미스 컨버전스 보정 뿐만 아니라 G빔 틸트의 보정하여, 최적화를 이루는 것이다. The correction iron pieces (3) (4) (5) (6) are made of correction iron pieces (3) (4) (5) (6) of various shapes while watching the screen appearing in the CRT during simulation after the manufacture of the deflection yoke is completed. In addition, the Y-beam misconvergence correction of the R beam and the B beam, as well as the correction of the G-beam tilt, are optimized.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보정철편(3)(4)(5)(6)이 모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Therefore, the correction iron pieces (3) (4) (5) (6) of various shapes as described above should be applicable to all.

그러나, 종래의 코일 세퍼레이터(1) 보정철편 조립부(10)는 보정철편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인 고정편(12a)(12b)이 보정철편 조립부(10)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서, 보정철편의 양단만을 잡아주도록 되어 있으므로, 보정철편의 크기의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il separator 1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10, fixing pieces 12a and 12b, which are means for fixing the correction iron piec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10, Since only the both ends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to hol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respond to changes in the size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크기의 보정철편(6)을 끼우는 경우에는 보정철편(6)을 잡아주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보정철편(6)이 보정철편 조립부(10)의 홈(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없으므로, 효율적인 조립 구조를 갖는 형상 설계가 요구되었다.That is, as shown in FIG. 4B, when the correction iron piece 6 having a small size is fitted, there is no structure to hold the correction iron piece 6 so that the correction iron piece 6 is formed in the groove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10. Since it cannot be firmly fixed in Fig. 11, a shape design with an efficient assembly structure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편향요크의 특성 미세조정을 목적으로 코일 세퍼레이터에 보정철편을 조립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형상의 보정철편이 조립가능하도록 효율적이 조립구조를 갖는 코일 세퍼레이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 assembling the correction iron piece in the coil separator for the purpose of fine-tu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lection yoke, the coil having an assembling structure efficiently so that the correction iron pieces of various shapes can be assembl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eparator.

상기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보정철편을 고정하기 위한 보정철편 조립부가 네크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코일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상기 보정철편 조립부는 보정철편이 슬라이드식으로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네크부에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홈, 상기 홈의 하단 양측에 상기 홈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홈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보정철편의 양단을 잡아주기 위한 고정편, 상기 홈의 하단에 상기 홈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가 제공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il separator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for fixing the correction iron piece,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is a slide type can be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downwards A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neck portion, form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ove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groove, extending inwardly of the groove to hold both ends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nd the groove At the bottom of the groove is provided a coil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여기서, 상기 보정철편 조립부는 상기 홈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더 포함된다.Here,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groove.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상기 고정돌기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rojections.

상기 고정돌기와 일체로 형성된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상기 고정돌기의 양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더 연장형성되어 평면형상이 '┸' 형상으로 되거나, 상기 고정돌기의 우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더 연장형성되어 평면형상이 '┖' 형상으로 되거나, 상기 고정돌기의 좌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더 연장형성되어 평면형상이 '┙'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rojections are formed to extend further by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rojections to form a '형' shape or to extend to the right of the fixing projections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hape may be a '형상' shape, or further extends by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left side of the fixing projections, characterized in that the planar shape is a '┙' shape.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상기 고정돌기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projections.

또한, 상기 고정돌기와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is preferably formed two.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보정철편 조립부가 구비된 코일 세퍼레이터의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a coil separator with a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첨부한 도 5는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정철편 조립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형성된 보정철편 조립부만을 확대도시하였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of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only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formed on the neck of the coil separator is enlarged.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세퍼레이터의 네크부에 형성된 보정철편 조립부의 일실시예는 보정철편(3)(4)(5)(6)이 슬라이드식으로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네크부에 소정깊이로 형성된 홈(21)이 구비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one embodiment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formed on the neck portion of the coi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correction iron piece (3) (4) (5) (6) is slidably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neck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oove 21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상기 홈(2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되며, 그 하단의 양측에는 상기 보정철편(3)(4)(5)(6)이 삽입되면 보정철편(3)(4)(5)(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정철편(3)(4)(5)(6)의 양단을 잡아주는 고정편(22a)(22b)이 코일 세퍼레이터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The groove 21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when the correction iron pieces 3, 4, 5, 6 are inserted at both sides of the lower end thereof, the correction iron pieces 3, 4, 5, 6 Fixing pieces 22a and 22b, which hold both ends of the corrected iron pieces 3, 4, 5 and 6,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coil separator to prevent them from being separated.

상기 고정편(22a)(22b)은 상기 홈(2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홈(21)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부에서 내려다보면 좌측의 고정편(22a)은 '└'의 형상이고, 우측의 고정편(22b)은 '┘'의 형상이다. The fixing pieces 22a and 22b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groove 21, and are formed to extend inwardly of the groove 21 to look down from the top. It is shape and the fixed piece 22b of the right side is a shape of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홈(21)의 하부에 상기 홈(2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보정철편 이탈방지편(25a)(25b)이 형성된다.In addition,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 25a, 25b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groove 21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25a)(25b)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얇은 판형부재로서 코일 세퍼레이터에 일체로 형성되며, 작은 크기의 보정철편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25a)(25b)을 일정간격으로 2개 형성하였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s 25a and 25b are integrally formed in the coil separator as a thin plate-shaped member having a rectangular shape, and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fix a small size correction iron piece. In the formation of two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s (25a, 25b) at regular interval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홈(21)의 하단 양측에 고정편(22a)(22b)이 구비되고, 홈(21)의 하단 중앙에는 홈(2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보정철편 이탈방지편(25a)(25b)이 일정간격으로 2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보정철편(3)(4)(5)(6)이 삽입되어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fixing pieces (22a, 22b)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groove 21, the center of the lower end of the groove 2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groove 21 Since two pieces of derailment preventing pieces 25a and 25b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the deformed iron pieces 3, 4, 5 and 6 of various shapes.

첨부한 도 6은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정철편 조립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보정철편 조립부는 보정철편이 슬라이드식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네크부에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홈(31)과, 상기 홈(31)의 하단 양측에 상기 홈(3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홈(31)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보정철편의 양단을 잡아주기 위한 고정편(32a)(32b)과, 상기 홈(31)의 하단에 상기 홈(31)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보정철편 이탈방지편(35)과, 상기 홈(31)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33a)(3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of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is a groove 31 formed in the neck portion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correction iron piece can be slidably inserted. And a fixing piece 32a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groove 31 at both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groove 31 and extending inwardly of the groove 31 to hold both ends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32b), at least one or mor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 35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groove 31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ove 31, and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groove 31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some fixing protrusion 33a, 33b.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개의 고정돌기(33a)(33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슬롯(5a)이 형성된 보정철편(5)을 삽입하는 경우 상기 보정철편(5)의 슬롯(5a)에 상기 고정돌기(13a)(13b)가 끼워지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홈(31)의 하단 중앙에는 보정철편 이탈방지편(3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보정철편(3)(4)(5)(6)이 삽입되어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33a and 33b are formed, the slot 5a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5 is inserted when the correction iron piece 5 having the slot 5a is inserted. The fixing protrusions 13a and 13b may be inserted into the fixing protrusions, and the fixing protrusions 13a and 13b may be firmly fixed thereto. Even if 4) (5) (6) is inserted, it becomes easy to fix.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정철편 조립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45a)(45b)이 상기 홈(41)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와 일체로 형성된다.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of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s (45a, 45b) and the fixing projection protrud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roove (41) It is formed integrally.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45a)(45b)은 상기 고정돌기의 양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더 연장하여 형성된 형상으로, 평면형상이 '┸' 형상을 갖는다.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s (45a, 45b) is a shape formed by further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both sides of the fixing projections, the planar shape has a '┸' shape.

이와 같은 보정철편 이탈방지편(45a)(45b)은 고정돌기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보정철편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보정철편의 크기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45a) (45b) can act as a fixing protrusion and at the same time to hold the correction iron piece so as not to escape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respond to the change in the size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즉,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크기의 보정철편(6)을 끼우는 경우에도 보정철편(6)의 양단을 상기 고정편(42a)과 보정철편 이탈방지편(45a)(45b)이 잡아줌으로서, 상기 보정철편(6)이 보정철편 조립부의 홈(4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서, 효율적인 조립 구조를 갖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B, even when the corrected iron piece 6 of small size is inserted, the fixing piece 42a and the corrected iron piece release preventing pieces 45a and 45b hold both ends of the corrected iron piece 6. As the zoom, the correcting iron piece 6 can be firmly fixed to the groove 41 of the correcting iron piece assembling portion, thus having an efficient assembling structure.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정철편 조립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55a)(55b)(65a)(65b)(75a)(75b)(85a)(85b)은 상기 고정돌기의 우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더 연장형성되어 평면형상이 '┖' 형상으로 되거나, 상기 고정돌기의 좌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더 연장형성되어 평면형상이 '┙' 형상으로 될 수 있다.9A to 9D are plan views showing modified examples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ing unit of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s 55a, 55b, 65a, 65b, 75a, 75b, and 85a. ) 85b is extended to the right side of the fixing protrus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lat shape becomes '┖' shape, or further extended to the left side of the fixing protrus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plane shape becomes '┙' shape. Can be.

이와 같이 '┖' 평면형상의 보정철편 이탈방지편과, '┙' 평면형상의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을 조합하여 구비하면, 도 9a 내지 도 9d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Thus, when the combination of the '┖' flat-shaped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and the '\' flat-shaped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 variety of modifications of FIGS. 9A to 9D.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는 작은 크기의 보정철편(6)을 끼우는 경우에도 보정철편(6)의 양단을 상기 고정편과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이 잡아줌으로서, 상기 보정철편(6)이 보정철편 조립부의 홈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correction iron piece 6 of small size is fitted, the fixing piece and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 hold both ends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6, so that the correction iron piece 6 is corrected iron piece. It can be firmly fixed in the groove of the assembly.

또한,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상기 고정돌기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슬롯이 형성되지 않는 보정철편의 삽입시 고정돌기로 인해 보정철편이 걸리어 보정철편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게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rojections and at the same tim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projection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insertion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is not easy to take the correction iron piece due to the fixing projections when the correction iron piece is not formed slo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나의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을 본질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닌 한, 서술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임을 밝힌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only one embodiment,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is provided unless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에 의하면, 다양한 형상을 가진 보정철편의 조립이 가능하게 하는 효율적인 조립구조로 인하여 편향요크의 특성 미세 조정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ue to the efficient assembling structure that enables the assembly of the corrected iron pieces having various shapes, there is an effect of making it easier to fine-tu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flection yoke.

도 1은 종래의 보정철편 조립부가 구비된 코일 세퍼레이터를 도시한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coil separator with a conventional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도 2a는 도 1에서의 'A'부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 part in FIG.

도 2b는 도 1에서의 'A'부를 도시한 평면도 .FIG. 2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rtion 'A' in FIG. 1.

도 3a 내지 도 3d는 일반적인 보정철편의 타입별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3A to 3D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shapes of types of general correction iron pieces.

도 4a는 종래의 코일 세퍼레이터에 보정철편이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correction iron piece is inserted into a conventional coil separator.

도 4b는 종래의 코일 세퍼레이터에 작은 크기의 보정철편이 삽입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small size correction iron piece is inserted into a conventional coil separator.

도 5는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정철편 조립부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of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정철편 조립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of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정철편 조립부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of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에 작은 크기의 보정철편이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small size correction iron piec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코일 세퍼레이터의 보정철편 조립부의 변형예들을 도시한 평면도.9A to 9D are plan views illustrating modified examples of the corrected iron piece assembly of the coil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

3, 4, 5, 6 : 보정철편 21 : 홈3, 4, 5, 6: correction iron 21: groove

22a, 22b : 고정편 25a, 25b : 보정철편 이탈방지편22a, 22b: Fixed piece 25a, 25b: Corrected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31 : 홈 32a, 32b : 고정편31 groove 32a, 32b fixing piece

33a, 33b : 고정돌기 35 : 보정철편 이탈방지편33a, 33b: fixed protrusion 35: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45a, 45b : 보정철편 이탈방지편45a, 45b: Correction iron deviation prevention piece

Claims (8)

보정철편을 고정하기 위한 보정철편 조립부가 네크부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코일 세퍼레이터에 있어서, In the coil separator provided with a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portion for fixing the correction iron piec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neck portion, 상기 보정철편 조립부는 보정철편이 슬라이드식으로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네크부에 소정깊이로 형성되는 홈;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portion is a groove formed in the neck portion to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correction iron piece can be insert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slide type downward; 상기 홈의 하단 양측에 상기 홈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홈의 내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보정철편의 양단을 잡아주기 위한 고정편;Fixing piec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groove for holding both ends of the correction iron piece; 상기 홈의 하단에 상기 홈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는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Coil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on piece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groov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철편 조립부는 상기 홈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복수개의 고정돌기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The coil separator of claim 1, wherein the correction iron piece assembl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상기 고정돌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The coil separator of claim 2, wherein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상기 고정돌기의 양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더 연장형성되어 평면형상이 '┸'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The coil separator of claim 3, wherein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 is further extended to a predetermined length on both sides of the fixing protrusion so that the planar shape becomes a '┸'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상기 고정돌기의 우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더 연장형성되어 평면형상이 '┖'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The coil separator of claim 3, wherein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 is further extended to the right side of the fixing protrus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a planar shape becomes a '┖'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상기 고정돌기의 좌측으로 소정길이만큼 더 연장형성되어 평면형상이 '┙' 형상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The coil separator of claim 3, wherein the correction iron piece departure preventing piece is further extended to a left side of the fixing protrus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a planar shape becomes a '┙' shap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상기 고정돌기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The coil separator of claim 3, wherein the correction iron piec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xing protrus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와 보정철편 이탈방지편은 2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세퍼레이터.4. The coi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correction iron piec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are formed in two.
KR1020030067450A 2003-09-29 2003-09-29 Coil separator KR200500312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450A KR20050031220A (en) 2003-09-29 2003-09-29 Coil sepa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450A KR20050031220A (en) 2003-09-29 2003-09-29 Coil sepa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220A true KR20050031220A (en) 2005-04-06

Family

ID=3723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450A KR20050031220A (en) 2003-09-29 2003-09-29 Coil sepa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122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31220A (en) Coil separator
JP2636217B2 (en) Color television display tube
KR200317359Y1 (en) Structure for fixing i type core of deflection yoke
KR200202676Y1 (en) Deflection yoke
KR200289349Y1 (en) Insertion structure for compensation plate of deflection yoke
KR200260577Y1 (en) Structure for fixing of permalloy correction plate of deflection yoke
KR200289348Y1 (en) Insertion structure for compensation plate of deflection yoke
KR200258838Y1 (en) Deflection yoke
KR200240122Y1 (en) Structure for adopting double magnetic bar of coil separator
KR200312968Y1 (en) Structure for inserting rubber magnet in deflection yoke
KR100192342B1 (en) Deflection yoke for cathode ray tube
KR100586610B1 (en) A Magnet Fixing Structure of Deflection Yoke
KR200376875Y1 (en) Deflection yoke magnet insertion structure
KR200214313Y1 (en) A Magnet Fixing Structure of Deflection Yoke
KR100603273B1 (en) Electron gun and a cathode ray tube utilizing the same
KR100418039B1 (en) Deflecting yoke of a color cathode ray tube
KR200365174Y1 (en) Magnet insert structure for deflection yoke
KR200289338Y1 (en) flow for prevention structure horizontal deflection coil of a deflection coil
KR200365175Y1 (en) Structure of coil spacer for deflection
KR20020038834A (en) Compensation plate fixing structure of deflection yoke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KR19990037915U (en) Separator structure of deflection yoke
KR20000001179U (en) Vertical deflection coil fixing structure of deflection yoke
KR20060004754A (en) Fixing structure for horizontal deflection coil of deflection yoke
KR20010109419A (en) Deflection yo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