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0980A - 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using ear-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using ear-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0980A
KR20050030980A KR1020030067123A KR20030067123A KR20050030980A KR 20050030980 A KR20050030980 A KR 20050030980A KR 1020030067123 A KR1020030067123 A KR 1020030067123A KR 20030067123 A KR20030067123 A KR 20030067123A KR 20050030980 A KR20050030980 A KR 20050030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put
music file
ear microphone
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1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7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30980A/en
Publication of KR20050030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0980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usic file reproducing method using an ear microphone of a mobile terminal is provided to prevent an additional cost from incurring because of designing an additional button outside a mobile terminal and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mobile terminal. It is checked whether a button of an ear microphone is inputted for longer than a certain time in an initial stage(301,303). When the button is inputted for longer than the pre-set time, a music file list is displayed(305). With the music file list displayed, button inputting is sensed(307). If the button is inputted once for a short time, a currently selected music file is reproduced(309,311). When the button is inputted twice for a short time, a next music file is selected(333,335). When the button is inputted for more than the pre-set time, the music file reproduction function is terminated(339,341).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음악파일 재생 방법{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USING EAR-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ow to play music file using ear 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USING EAR-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어마이크로폰(ear-micro phone)을 이용해 주문형 음악(MOD : Music On Demand)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laying a music fil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implementing a music on demand (MOD) function using an ear-microphone.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rapidly spreading due to the convenience of portability, and thus service providers (terminal manufacturers) are competitively developing terminals having more special functions to secure a large number of users.

한편, 이어마이크로폰(또는 "이어폰")은 소형, 경량화를 위한 버튼이 하나 존재한다. 사용자가 이어폰의 버튼을 누르면, 단말기는 최근 통화목록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고, 그 상태에서 다시 버튼을 누르면 통화를 시도한다. 이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ear microphone (or "earphone") has a button for reducing the size, lightweight.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of the earphone, the terminal displays the recent call list on the display window and presses the button again in that state to attempt the call. This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1 illustrates a procedure for processing a button input of an ear 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기 제어부는 101단계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될시, 상기 제어부는 103단계에서 최근 통화 목록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105단계에서 다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다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107단계에서 상기 목록중 마지막 전화번호(마지막 통화 번호)로 통화를 시도(발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109단계에서 다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111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시도를 중지한다.Referring to FIG. 1, first, in step 101, the terminal controller checks whether a button of an ear microphone is input. When the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is detected, the controller displays the recent call list on the display window in step 103. In step 105,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input again. When the button of the microphone is input again, the controller attempts to make a call to the last telephone number (last call number) in the list in step 107. In step 109, the controller checks whether a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input. When the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is detected, the controller proceeds to step 111 to stop the call attempt.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르면, 단말기는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짧게 입력되는지 길게 입력되는지를 체크하지 않고 처음 버튼이 입력되면 최근 통화 목록을 보여주고 두 번째 버튼이 입력되면 입력시간에 관계없이 마지막 통화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the terminal does not check whether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short or long, and shows the recent call list when the first button is input, and the last time regardless of the input time when the second button is input. Try to call the phone number.

한편, VOD단말기, 뮤직 단말기, MP3 단말기 등과 같이, 음악파일 재생이 가능한 단말기는 폴더가 열려 있을 때만 음악파일의 재생을 지원하거나, 폴더가 닫혀 있을 때는 기구적으로 외부에 별도의 3-4개의 버튼을 디자인해서 그 버튼을 이용해 MOD 기능을 제공함으로 해서 단말기의 부피가 커진다거나 별도의 기구 디자인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terminal capable of playing music files, such as a VOD terminal, a music terminal, or an MP3 terminal, supports playback of music files only when the folder is open, or when the folder is closed, a separate 3-4 button is externally mechanically. By designing the MOD function by using the butt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f the terminal is increased or a separate device design is required.

따라서, 단말기의 외부에 별도의 버튼을 만들지 않고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도 음악파일을 재생할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function of playing a music file even when a folder is closed without making a separate button outside the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이마이크로폰의 버튼 조작으로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producing a music file by button manipulation of an e-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이마이크로폰을 이용해 주문형 음악(MOD)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erforming a MOD function using an e-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해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이,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설정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설정시간 이상 입력될 경우, 음악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 상기 음악파일 목록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버튼이 짧게 한번 입력될 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버튼이 짧게 두 번 입력될 시, 다음 음악파일을 선택하는 과정과, 상기 버튼이 설정시간 이상 입력될 시, 음악파일 재생 기능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playing a music file using an ear 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input for more than a set time, and the set time When the input is abnormal, a process of displaying a list of music files, a process of detecting the button input in the state of displaying the list of music files, and a process of playing the currently selected music file when the button is briefly inputted And, when the button is input twice, selecting a next music file, and when the button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terminating a music file playing func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해 주문형 음악(MOD : Music On Demand)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 method for performing a music on demand (MOD) function using an ear 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셀룰라 전화기(cellular phone) , 개인휴대통신 전화기(PCS :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복합무선단말기(PDA : Personal Data Assistant), IMT2000(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단말기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 설명은 상기 예들의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고 설명할 것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a cellular phone, a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CS), a personal data assistant (PDA), an international mobile communication-2000 (IMT2000) terminal, and the lik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described with the general configuration of the above examples.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200)는 상기 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해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동작을 기능을 처리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2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2, a control unit (MPU: Micro-processor unit)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it performs processing and control for voice calls and data communications, and processes operations for playing music files using ear microphon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usual functions. Therefor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 about the process and control of the normal control part 200 is abbreviate | omitted.

메모리(20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상기 무선전화기 동작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는 램(Rando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단축 다이얼링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등록되는 전화번호 및 시스템 파라미터(system parameter) 등을 저장한다.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는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플래쉬 메모리는 다수의 음악파일(예 : MP3 파일)들을 저장하고 있다. The memory 201 includes a program memory, a data memory, a nonvolatile memory, and the like. The program memory stores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ogram memory may use a flash memory. The data memory temporarily stores data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telephone. The data memory may use random access memory (RAM). The nonvolatile memory stores telephone numbers and system parameters registered to perform functions such as speed dialing. The nonvolatile memory may use an EEPR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sh memory stores a plurality of music files (eg, MP3 files).

키입력부(key pad)(202)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 버튼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표시부(203)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203)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The key pad 202 is composed of 0 to 9 numeric key buttons, a menu button, a cancel button, a confirm button, a call button TALK, an end button END, and an internet access button. And a plurality of function keys such as navigation key buttons (▲ / ▼ / ◀ / ▶), and provide key input data corresponding to a key pressed by the user to the controller 200. The display unit 203 displays status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limited number of characters, a large amount of video and still images, and the like. The display unit 203 may us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상기 제어부(2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204)과, 상기 코덱(204)에 접속된 마이크 및 스피커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204)은 상기 제어부(2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제공한다.A coder (Coder-Decoder) 204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a microphone and a speaker connected to the codec 204 are voice input / output blocks used for phone calls and voice recording. The codec 204 converts the PCM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200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sends the same through the speaker,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microphone into PCM data to the controller 200. to provide.

한편, 이어마이크로폰(208) 통화시, 통화경로는 상기 스피커 및 마이크로가 아닌 잭접속부(207)에 접속된 이어마이크로폰(208)의 리시버와 마이크(미도시)로 연결된다. 상기 잭접속부(207)는 상기 이어마이크로폰(208)의 접속 및 이어마이크로폰(208)의 버튼 입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call of the ear microphone 208, the call path is connected to the receiver and the microphone (not shown) of the ear microphone 208 connected to the jack connection portion 207 instead of the speaker and the microphone. The jack connection unit 207 detects the connection of the ear microphone 208 and the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208 and outputs it to the control unit 200.

또한, RF모듈(Radio Frequency module)(205)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모뎀부(206)로 제공하고, 상기 모뎀부(206)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모뎀부(206)는 상기 RF모듈(205)과 상기 제어부(2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RF module 205 lowers the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o the modem unit 206 and raises the baseband signal from the modem unit 206 to increase the frequency. Transmit via antenna The modem unit 206 processes baseband signals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RF module 205 and the control unit 200. For example, in case of transmission, channel coding and spreading of data to be transmitted are performed, and in case of reception, despreading and channel decoding of a received signal are performed. .

음악파일 재생부(209)는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하에 상기 메모리(201)로부터 음악파일(예 : MP3 파일)을 독출하여 압축을 해제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재생하여 상기 잭접속부(207)를 통해 이어마이크로폰(208)으로 출력한다. 상기 음악파일 재생부(209)는 MP3(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1 audio layer-3) 플레이어(player)가 될 수 있다. The music file reproducing unit 209 reads and decompresses a music file (for example, an MP3 file) from the memory 20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and decompresses and reproduces the audio file using an analog audio signal. Output to the ear microphone 208 through. The music file reproducing unit 209 may be an MP3 player (MPEG-1 moving layer-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해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3 illustrates a procedure for playing a music file using an ear 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301단계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될시, 상기 제어부(200)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버튼 입력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지속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설정시간 미만으로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353단계로 진행하여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일반 프로세스(Process)를 수행한다. 즉, 통화를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first, in step 301,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a button of an ear microphone is input. When a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is detected,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03 and checks whether the button input continues for a set time or more. If it is detected to be less than the set time,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53 and performs the general proces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other words, it performs a process for calling.

만일, 상기 설정시간 이상으로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201)로부터 MOD 리스트(음악파일 목록)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로, 도 4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라인에는 리스트 상태(◀ List(1/10) ▶)가 디스플레이되고, 두 번째 라인에는 가수이름과 곡명(홍길동-바다)이 디스플레이되며, 세 번째 라인에는 재생시간([03:40])이 디스플레이된다. 여기서, 첫 번째 음악이 선택된 상태를 보여준다.If it is detected that the time is longer than the set time,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05 and displays the MOD list (music file list) from the memory 201 on the display window. For example, as shown in (a) of FIG. As shown, the first line displays the list status (◀ List (1/10) ▶), the second line displays the artist name and song name (Hong Gil-dong), and the third line displays the playback time ([ 03:40]) is displayed. Here, the first music is selected.

상기 MOD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될시, 상기 제어부(200)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버튼이 짧게 한번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짧게 한번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311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33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11단계에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음악을 재생하고, 313단계에서 소정 재생화면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로, 도 4의 (b)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라인에는 가수이름과 곡명이 디스플레이되고, 두 번째 라인에는 이퀄라이저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세 번째 라인에는 재생시간 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In the state where the MOD list is displayed,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05 and checks whether a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input. When the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09 and checks whether the button is briefly input. If it is input once,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11, otherwise proceeds to step 333. The controller 200 plays music currently selected in step 311, and displays a predetermined playback screen on the display window in step 313. For example, as shown in (b) of FIG. As shown, the first line displays an artist name and a song name, the second line displays an equalizer state, and the third line displays a play time state.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33단계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짧게 두 번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짧게 두 번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335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39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35단계에서 다음 음악을 선택하고, 337단계에서 상기 선택된 음악의 정보를 포함하는 MOD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후(도 4의 (c) 참조) 상기 307단계로 되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0 checks whether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shortly input twice in step 333. If it is input twic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35, otherwise proceeds to step 339. The control unit 200 selects the next music in step 335, displays the MOD list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music in step 337 (see FIG. 4C), and returns to step 307.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39단계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지속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설정시간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341단계로 진행하여 주문형 음악(MOD) 기능을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버튼 입력을 다시 검사하기 위해 상기 309단계로 되돌아간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0 checks in step 339 whether the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lasts more than a set time. If the detected time exceeds the set tim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41 to terminate the MOD function, or returns to step 309 to check the button input again.

상기 재생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3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될시, 상기 제어부(200)는 317단계에서 상기 버튼이 짧게 한번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짧게 한번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319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43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19단계에서 음악 재생을 일시 중지하고, 319단계에서 일시중지 화면을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일 예로, 도 4의 (d)와 같이 디스플레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라인에는 가수이름과 곡명이 디스플레이되고, 두 번째 라인에는 일시정지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며, 세 번째 라인에는 재생시간 상태가 디스플레이된다.In the state where the playback screen is displayed,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15 to check whether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input. When the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is detected, the controller 200 checks whether the button is briefly input in step 317. If it is input once,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19, otherwise proceeds to step 343. The controller 200 pauses music playback in step 319 and displays the pause screen on the display window in step 319. For example, as shown in (d) of FIG. As shown, the first line displays the artist name and the song name, the second line displays the pause display, and the third line displays the playback time status.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43단계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짧게 두 번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짧게 두 번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345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47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45단계에서 다음 음악을 선택하고, 상기 311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0 checks whether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shortly input twice in step 343. If it is input twice,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45, otherwise proceeds to step 347. The controller 200 selects the next music in step 345 and returns to step 311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47단계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지속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설정시간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349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버튼 입력을 다시 검사하기 위해 상기 317단계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49단계에서 상기 일시중지된 음악의 정보를 포함하는 MOD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307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0 checks in step 347 whether the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last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f it is detected that the time is longer than the set time,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49. Otherwise, the controller 200 returns to step 317 to check the button input again.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MOD list including the paused music information in step 349, and returns to step 307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상기 일시중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200)는 323단계로 진행하여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이 감지될시, 상기 제어부(200)는 32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버튼이 짧게 한번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짧게 한번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11단계로 되돌아가 현재 선택되어 있는 음악을 재생하고, 그렇지 않으면 327단계로 진행한다.In the state where the pause screen is displayed,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23 and checks whether a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input. When the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25 and checks whether the button is shortly input. If it is input once, the control unit 200 returns to step 311 to play the currently selected music, otherwise proceeds to step 327.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27단계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짧게 두 번 입력되었는지 검사한다. 짧게 두 번 입력되었으면 상기 제어부(200)는 351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329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51단계에서 상기 일시중지된 음악의 다음 음악을 선택하고, 상기 321단계로 되돌아가 상기 선택된 음악의 정보를 포함하는 일시중지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0 checks in step 327 whether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shortly input twice. If it is input twice, the control unit 200 proceeds to step 351, otherwise proceeds to step 329. The control unit 200 selects the next music after the paused music in step 351, and returns to step 321 to display a pause screen includ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music.

한편,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29단계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지속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설정시간 이상으로 감지된 경우 상기 제어부(200)는 331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버튼 입력을 다시 검사하기 위해 상기 325단계로 되돌아간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331단계에서 상기 일시중지된 음악의 정보를 포함하는 MOD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307단계로 되돌아가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200 checks in step 329 whether the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last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f it is detected that the time is longer than the set time, the controller 200 proceeds to step 331. Otherwise, the controller 200 returns to step 325 to check the button input again.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MOD list including the paused music information in step 331, and returns to step 307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again.

상술한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MOD리스트, 재생화면, 일시정지 화면)은 폴더가 열려 있을 때는 단말기의 내부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고, 폴더(또는 플립)가 닫혀있을 때는 외부 표시창(전면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splayed screens (MOD list, playback screen, pause screen) are displayed on the internal display window of the terminal when the folder is open, and the external display window (front display window) when the folder (or flip) is closed. Is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not only by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but also by those equivalent to the scope of the claims.

상술한 바와 같이,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을 이용해 MOD 기능을 수행할 경우,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도 음악파일을 재생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제시되었던 단말기 외부(또는 이어마이크로폰)에 추가 버튼을 디자인함으로써 발생되는 추가 비용 및 단말기의 크기 증가를 해소할수 있다. 아울러, 이어마이크로폰의 효용 가치를 극대화할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when performing the MOD function using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usic file can be played even when the folder is clos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additional cost and increase in the size of the terminal caused by designing an additional button outside the terminal (or ear microphone) proposed in the prior art. In addition, it has the effect of maximizing the utility value of the ear microphon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을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rocessing a button input of an ear 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해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playing a music file using an ear 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MOD 기능 수행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들을 보여주는 도면. 4 is a view showing screens displayed when performing another MOD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해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playing a music file using an ear 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초기 상태에서,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이 설정시간 이상 입력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In the initial state, checking whether the button of the ear microphone is input for more than a set time, 상기 설정시간 이상 입력될 경우, 음악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Displaying a list of music files when the input time exceeds the preset time; 상기 음악파일 목록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the button input while displaying the music file list; 상기 버튼이 짧게 한번 입력될 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과정과,Playing the currently selected music file when the button is shortly input; 상기 버튼이 짧게 두 번 입력될 시, 다음 음악파일을 선택하는 과정과,When the button is input twice, selecting the next music file; 상기 버튼이 설정시간 이상 입력될 시, 음악파일 재생 기능을 종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ending a music file playing function when the button is input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상태에서, 상기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In the state of playing the music file, detecting the button input; 상기 버튼이 짧게 한번 입력될 시, 상기 음악파일 재생을 일시 중지하는 과정과, Pausing the music file when the button is input once briefly; 상기 버튼이 짧게 두 번 입력될 시, 다음 음악파일을 재생하는 과정과,When the button is input twice, playing the next music file; 상기 버튼이 설정시간 이상 입력될 시, 상기 음악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when the button is input for more than a preset time, displaying the music file list.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음악파일 재생이 일시 중지된 상태에서, 상기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the button input while the music file is paused; 상기 버튼이 짧게 한번 입력될 시, 상기 재생이 일시 중지된 음악파일을 다시 재생하는 과정과,Replaying the music file when the playback is paused when the button is briefly input; 상기 버튼이 짧게 두 번 입력될 시, 다음 음악파일을 선택하는 과정과,When the button is input twice, selecting the next music file; 상기 버튼이 설정시간 이상 입력될 시, 상기 음악파일 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when the button is input for more than a preset time, displaying the music file lis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초기상태에서, 상기 버튼이 설정시간 미만 입력될 경우 최근 통화목록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과,In the initial state, displaying a recent call list when the button is input for less than a preset time; 상기 최근 통화목록 디스플레이 상태에서, 상기 버튼이 입력될 시 마지막 통화 전화번호로 통화를 시도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And in the recent call list display state, attempting to call the last call phone number when the button is input.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어마이크로폰을 이용해 음악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for playing a music file using an ear microphon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상기 이어마이크로폰의 버튼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Detecting a button input of the ear microphone; 상기 버튼이 설정시간 미만으로 입력될 경우, 통화시도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과,If the button is input less than the set time, the process of performing a call attempt function; 상기 버튼이 설정시간 이상으로 입력될 경우, 음악파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If the button is input for more than a set tim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erforming a music file playback function.
KR1020030067123A 2003-09-27 2003-09-27 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using ear-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5003098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23A KR20050030980A (en) 2003-09-27 2003-09-27 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using ear-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123A KR20050030980A (en) 2003-09-27 2003-09-27 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using ear-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0980A true KR20050030980A (en) 2005-04-01

Family

ID=37236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123A KR20050030980A (en) 2003-09-27 2003-09-27 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using ear-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30980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0335A (en) Method for saving and playing data in the mobile terminal
KR1006580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orting speaker-phone mode to the calling partner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9374450B2 (en) Method for reproducing music fil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CN101467431A (en) Audio processing in communication terminals
KR100360899B1 (en) Method for playing music in phone
KR20050030980A (en) Method for playing music file using ear-micropho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9222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stereo speak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02636B1 (en) Earmicrophone with assistant memory in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and management method of it
KR2009007821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 conversa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20050067865A (en) Mobile phone capable of playing multimedia contents with a telephone call
KR100617834B1 (en) Method for displaying graphic equalizer in mobile phone capable of reproducing digital audio data
KR20060007089A (en) Method for editing bell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185183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heer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1221599B1 (en) Method for offering sound effect in a music fil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89455B1 (en) Memory expansion pack for offering contents to wireless terminal
KR20030076041A (en) Remote controller for portable audio device with a function of hands-free
KR100683337B1 (en) 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usic file in the portable terminal
KR100754579B1 (en) How to display video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0716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utgoing call waiting sou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7825B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mp3 file in wireless terminal
KR100712899B1 (en) Portable terminal with multi-channel sound system and method using it
KR100594147B1 (en) Video data playback method of portable terminal
KR20000073605A (en) Mobile terminal for storaging audio data and Method for playing the audio data using the same
KR100652505B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playing background by using text recognition func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09996B1 (en) Speake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uising 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