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9061A -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9061A
KR20050029061A KR1020030065377A KR20030065377A KR20050029061A KR 20050029061 A KR20050029061 A KR 20050029061A KR 1020030065377 A KR1020030065377 A KR 1020030065377A KR 20030065377 A KR20030065377 A KR 20030065377A KR 20050029061 A KR20050029061 A KR 20050029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s
total
indicator
measurement
lifesty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광호
Original Assignee
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광호 filed Critical 변광호
Priority to KR102003006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9061A/ko
Publication of KR20050029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9061A/ko

Links

Landscapes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활 습관병의 진단, 관리 및 치료등 총괄 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심리상태 평가(생활 스트레스 평가, A/B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측정), 오랫동안 유지된 생활습관에 의한 인체의 생리변화를 나타내는 생화학 지표 평가(카테콜아민 측정, 콜티솔 측정, 글리코실레이티드 헤모글로빈 수준 측정, 혈중 총콜레스테롤 측정, 혈중 HDL 콜레스테롤 측정, 혈중 DHEA-S 측정),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혈관, 뇌, 심장 또는 간 등에 대한 병리적 소견에 따라, MRI, CT 등을 촬영하고, 대사증후군의 소견에 따라 비만도, 혈중지방, 혈당, 혈압 등 체크)를 측정하고, 이들 측정 항목들을 점수로 산정하여, 생활 습관병에 대한 진단/예보 및 관리를 사전에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한 생활 습관병의 총괄 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The scoring system of life style diseases for total evaluation}
본 발명은 생활 습관병(심인성 또는 스트레스성 성인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주는 심리상태 평가, 생활습관에 의한 생리변화를 나타내는 생화학 지표 평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도를 점수로 산정하여, 생활 습관병에 대한 진단/예보 및 관리를 사전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한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보건사업 시장에서 건강진단 및 건강증진분야가 급속히 신장하고 있는 추세에 있고, 이러한 추세로부터 성인병과 연계한 삶의 질이 일반인들에게 최대 이슈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의료체계 정체성에 의하여 아직도 이미 발병된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주목표로 하고 있으면서, 이들 질병의 발병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심인성요인(psychosomatic factor)은 진단이나 치료 및 관리에 거의 고려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정이다.
질병의 발병이나 진행에는 개인적 특성, 즉 개인 차이가 있기 마련이고, 이에는 개개인의 심인성요소가 중요하게 관여하고 있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체계는 개개인의 심인성요소를 거의 무시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뿐만아니라, 병이 발병하기 전의 병리진행상태를 미리 측정하여 발병 전에 예측하는 예보진단을 함으로써, 성인병의 발병 자체를 예방하는 시스템의 도입 또한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의료시장의 성장과 함께 유명의료원들의 종합건강 진단사업에서도 동일한 프로토콜(protocol)의 진단 방법을 사용하여, 동일한 표준(standard)안으로 진단하고 있을 뿐, 소위 심인성요소에 대한 진단이나 관리, 치료 또는 예보진단 등이 전혀 고려되고 있지 않다.
또한, 진단 후의 관리나 치료도 소홀하게 취급되고 있어서, 토탈 케어(total care) 또는 홀리스틱 케어(holistic care) 등의 맞춤 의료개념이 전혀 도입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기존의 성인변 진단 프로토콜에 심인성 또는 스트레스성 요인을 추가하여 생활 습관병을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한 의료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로서, 심리상태 평가(생활 스트레스 평가, A/B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측정), 생화학 지표 평가(카테콜아민 측정, 콜티솔 측정, 글리코실레이티드 헤모글로빈 수준 측정, 혈중 총콜레스테롤 측정, 혈중 HDL 콜레스테롤 측정, 혈중 DHEA-S 측정),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혈관, 뇌, 심장 또는 간 등에 대한 병리적 소견에 따라, MRI, CT, Sono 등을 촬영하고, 대사증후군의 소견에 따라 비만도, 혈중지방, 혈당, 혈압 등 체크)를 측정하고, 이들 측정 항목들을 점수로 산정하여, 생활 습관병에 대한 진단/예보 및 관리를 사전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한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와,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을 실시하되,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는:
1)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 측정(총10점)과,
2) A/B 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총10점)과,
3)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스코어(Spielberger Trait Anger Score) 측정(총10점)의 합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는:
1) 스트레스 호르몬중 하나인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에 포함된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1지표 측정과;
2) 스트레스 호르몬중 하나인 콜티솔(Cortisol)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2지표 측정과;
3) 2-3개월 전의 혈당 대사 이상을 의미하는 글리코실레이티드 헤모글로빈 수준(Glycosylated Hemoglobin level)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3지표 측정과;
4) 혈중 총콜레스테롤(Total Serum Cholesterol) 수치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4지표 측정과;
5) 혈중 HDL 콜레스테롤(Serum HDL(High Density Lopoprotein) Cholesterol)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5지표 측정과;
6) 스트레스 호르몬의 억제 역할을 하는 혈중 DHEA-S(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6지표 측정을 한 후, 각 지표에서 얻어진 배점을 합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은
1) 혈관, 뇌, 심장 또는 간 등에 나타나는 성인병의 병리적 소견에 따라, MRI, CT, Sono 등으로 각 장기의 병변을 판단하여, 각 상태에 따라 최고 25점 이하로 차등 배점하는 제1병리적 변화 측정과;
2) 대사 증후군의 병리적 소견들, 즉 복부비만도와 혈압과 공복시 혈당(Fasting Glycose)을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 범위를 넘으면 각 10점을 부과하고, 중성지방인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와 혈중 HDL 콜레스테롤을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 범위가 아니면 각 5점을 부과하여, 총합이 25점 이상이면 25점으로 배점하는 제2병리적 변화의 측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와,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의 종료와 함께 합산을 함으로써, 합산된 점수별로 생활 습관병의 종합 판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체크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의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 측정(총10점)은 개인의 1년간 경험한 스트레스 설문지(미국 워싱턴 대학의 Tomas Holmes 와 Richard Rahe 교수에 의한 검사법)를 이용하여 총 300점 이상의 점수가 합산될 수 있는 측정 방법으로서, 300점 이상이면 10점, 250-299점이면 8점, 200-249점이면 6점, 150-199점이면 4점, 100-149점이면 2점, 100점 이하이면 0점을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의 A/B 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총10점)은 A/B 생활 스타일 설문지(미국 휴스턴의 Baylor 의대의 Edward Chalesworth 와 Louisiana 주립 의대의 Ronald Nathan이 발표한 "The A/B Life-Style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총 200 만점의 점수가 합산될 수 있는 측정 방법으로서, 180-200점이면 10점, 160-179점이면 8점, 148-159점이면 6점, 135-147점이면 4점, 100-134점이면 2점, 100점 이하이면 0점을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의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스코어(Spielberger Trait Anger Score) 측정(총10점)은 10개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화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31-40점이면 10점, 27-30점이면 8점, 23-26점이면 6점, 19-22점이면 4점, 15-18점이면 2점, 10-14점이면 0점을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의 제1지표 측정에 있어서,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에 포함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 혈청(serum)검사 결과 330-410pg/㎖이면 +1을 부과하고, 410pg/㎖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뇨(urine)검사 결과 60-80㎍/day이면 +1을 부과하고, 80㎍/day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에 포함된 에피네프린(Epinephrine)이 혈청검사 결과 90-120pg/㎖이면 +1을 부과하고, 120pg/㎖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뇨(urine)검사 결과 30-40㎍/day이면 +1을 부과하고, 40㎍/day이상이면 +2를 부과하여, 이들 부과점중 제일 높은 부과점수(+1 또는 +2) 한가지만을 제1지표 측정의 측정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콜티솔(Cortisol)을 측정하는 제2지표 측정에 있어서, 콜티솔이 혈청검사 결과 20-25㎍/㎗이면 +1을 부과하고, 25㎍/㎗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뇨검사(8PM-8AM) 결과 73-90㎍/㎗이면 +1을 부과하고, 90㎍/㎗이상이면 +2를 부과하여, 이들 부과점중 제일 높은 부과점수(+1 또는 +2) 한가지만을 제2지표 측정의 측정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글리코실레이티드 헤모글로빈 수준(HbAlc:Glycosylated Hemoglobin level)을 측정하는 제3지표 측정에 있어서, 상기 HbAlc의 수치가 5.9-6.4%이면 +1을 부과하고, 6.4%이상이면 +2를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혈중 총콜레스테롤(Total Serum Cholesterol) 수치를 측정하는 제4지표 측정에 있어서,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200-250mg/㎗이면 +1을 부과하고, 250mg/㎗이상이면 +2를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혈중 H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제5지표 측정에 있어서, 혈중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남자의 경우는 35-40mg/㎗이면 +1을 부과하고, 35mg/㎗이하이면 +2를 부과하며 여자의 경우 40-50mg/dl이면 +1을 부과하고, 40mg/dl이하면 +2를 부과하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혈중 DHEA-S를 측정하는 제6지표 측정에 있어서, 혈중 DHEA-S 수치가 남자의 경우 80-200㎍/㎗이면 +1을 부과하고, 80㎍/㎗이하이면 +2를 부과하며, 여자의 경우 35-130㎍/㎗이면 +1을 부과하고, 35㎍/㎗이하이면 +2를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1,2,3,4,5,6지표 측정으로 부과된 각 측정치를 합산하여 +6 이상이면 생화학 지표 평가의 총점인 30점을 배점하고, +5이면 25점, +4이면 20점, +3이면 15점, +2이면 10점, +1이면 5점을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의 제1병리적 변화 측정에 있어서, MRI, CT, Sono 등에 의한 각 장기의 병변을 판단하여, 심한 병변을 보인 경우 25점을 배점하고, 중증도 정도의 병변을 보인 경우 20점을 배점하며, 경도의 병변을 보일 경우 15점을 차등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의 제2병리적 변화 측정에 있어서,
상기 복부비만도의 기준치는 남자의 경우 90cm(35인치)이상, 여자의 경우는 80cm(31인치)이상이고, 상기 혈압의 기준치는 ≥130mmHg(수축기 혈압), ≥85mmHg(이완기 혈압)이며, 상기 공복시 혈당(Fasting Glucose)의 기준치는 ≥110mg/㎗이며, 상기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의 기준치는 ≥150mg/㎗이며, 상기 혈중 HDL 콜레스테롤의 기준치는 남자의 경우는 < 40mg/㎗, 여자의 경우 < 50mg/dl로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병리적 변화 측정에 따른 배점(최고 25점)과 제2병리적 변화 측정에 따른 배점(최고 25점)의 합산이 40점 이상이더라도,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 결과의 점수를 40점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최종적으로,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와,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의 종료와 함께 합산된 점수별로 이루어지는 생활 습관병의 종합 판독은:
80점 이상이면, 심각한 수준의 성인병(생활습관병)이 진행된 상태;
70점-80점이면, 심각한 수준의 성인병이 임박한 상태;
50점-70점이면, 이미 경증의 성인병이 시작 또는 진행 가능성이 높은 상태;
30점-50점이면, 경도의 성인병 진행 가능성이 있는 상태;
30점 이하이면, 건강한 상태로 성인병 진행 가능성이 별로 없는 상태로 판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와,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을 실시하여, 그 총점을 기준으로 생활 습관병(심인성 또는 스트레스성 성인병)에 진단/예보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기존의 종합검진 프로토콜에 성인병 예보진단과 스트레스 축적정도, 스트레스 반응 타입 및 성격 분류 등을 추가하여 개인특성을 나타내는 맞춤형 종합검진 프로토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먼저,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심리상태 평가는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 측정(총10점)과, A/B 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총10점)과,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스코어(Spielberger Trait Anger Score) 측정(총10점)의 합산으로 이루어지는 바, 총점은 30점이 되도록 한다.
상기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 측정은 총10점 만점으로서, 개인의 지난 1년간 경험한 삶의 사건들이 얼마만큼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건강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진단해 볼 수 있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미국 워싱턴 의과 대학의 Tomas Holmes 와 Richard Rahe 교수가 개발한 것으로서, 질병 전의 생활 사건에 대한 조사를 한 후 각각에 가중치를 주어서 숫자화 한 것을 합계하는 검사법이다.
위의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 측정을 위한 설문지(총 48문항)는 다음 표 1-1과표 1-2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의 표1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상기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를 측정한 결과, 각 문항에 대한 합산 점수가 300점 이상이면 10점, 250-299점이면 8점, 200-249점이면 6점, 150-199점이면 4점, 100-149점이면 2점, 100점 이하이면 0점을 배점하게 된다.
한편, 스트레스와 관련된 개인의 성격과 행동 유형을 A,B,C,D 타입 즉, A타입은 과도한 경쟁심, 강한 성취욕, 조급성, 도전성, 적개심 등의 특징적인 행동을 보이고 B타입은 상기 A타입과 상반된 타입이며, C타입은 남들이 나이스(nice)하다는 평을 하고 자기 희생이 강한 반면에 결단성이 없고, 화가 나는 것 등 부정적인 감정을 억누르는 경향이며, D타입은 부정적인 감정들을 억누르는 경향이 있으면서 남들과 관계가 소원하고 사회로부터 소외감을 느끼는 말 수가 적은 타입으로 구분하게 된다.
이러한 A,B,C,D 성격 유형은 본인이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는 바, 본인이 직접 자가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상기 A/B 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이다.
상기 A/B 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은 A/B 생활 스타일 설문지를 통하여 본인이 직접 스코어링하는 측정법으로서, 미국 휴스턴의 Baylor 의대의 Edward Chalesworth 와 Louisiana 주립 의대의 Ronald Nathan이 발표한 "The A/B Life-Style Questionnaire"(Stress Management, A Comprehensive Guide to Wellness, Ballantine Books, NY.1984. 참조)를 이용한 것이며, 그 설문지는 다음 표 2와 같다.
위의 표 2에 나타낸 설문지의 각 항목에 대한 합산 점수는 총 200 만점이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합산 점수가 180-200점이면 10점, 160-179점이면 8점, 148-159점이면 6점, 135-147점이면 4점, 100-134점이면 2점, 100점 이하이면 0점을 배점하게 된다.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중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스코어(Spielberger Trait Anger Score) 측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를 자주 오래내는 특징의 성격을 트레잇 앵거(trait anger)라 하고, 이를 10개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화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Ref. Spielberger CD,et al. Assessment of anger: the State-Trait Anger Scale. In:ButcherJN, Spielberger CD, eds. Advances in Personality Assessment. vol.2 1983 참조).
이러한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스코어(Spielberger Trait Anger Score) 측정은 다음의 표 3의 질문지에 본인이 직접 스코어링하여 이루어진다.
Spielberger Trait Anger Scale
위의 표 3에 나타낸 설문지의 각 항목을 합산한 점수는 총 40점 만점이며, 본 발명에 따르면, 31-40점이면 10점, 27-30점이면 8점, 23-26점이면 6점, 19-22점이면 4점, 15-18점이면 2점, 10-14점이면 0점을 배점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생화학 지표 평가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생화학 지표 평가는 총 6개의 지표 측정을 하여, 총 30점 만점으로 차등 배점하게 된다.
1) 제1지표 측정은 스트레스 호르몬중 하나인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에 포함된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측정 방법이다.
즉, 상기 카테콜아민에 포함된 노르에피네프린을 혈청 또는 뇨 검사를 선택 실시하며, 혈청(serum)검사 결과 330-410pg/㎖이면 +1을 부과하고, 410pg/㎖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뇨(urine)검사 결과 60-80㎍/day이면 +1을 부과하고, 80㎍/day이상이면 +2를 부과한다.
또한, 상기 카테콜아민에 포함된 에피네프린을 혈청 또는 뇨 검사를 선택 실시하며, 혈청검사 결과 90-120pg/㎖이면 +1을 부과하고, 120pg/㎖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뇨(urine)검사 결과 30-40㎍/day이면 +1을 부과하고, 40㎍/day이상이면 +2를 부과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에피네프린을 혈청 또는 뇨 검사, 그리고 상기 노르에피네프린을 혈청 또는 뇨검사를 한 후, 이 4가지 검사 결과중 제일 높은 부과점수(+1 또는 +2) 한가지만을 제1지표 측정의 측정치로 정하게 된다.
2) 제2지표 측정은 스트레스 호르몬중 하나인 콜티솔(Cortisol)을 혈청 또는 뇨 검사중 선택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측정 방법이다.
즉, 콜티솔이 혈청검사 결과 20-25㎍/㎗이면 +1을 부과하고, 25㎍/㎗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뇨검사(8PM-8AM) 결과 73-90㎍/㎗이면 +1을 부과하고, 90㎍/㎗이상이면 +2를 부과하여, 이들 부과점중 제일 높은 부과점수(+1 또는 +2) 한가지만을 제2지표 측정의 측정치로 정하게 된다.
3) 제3지표 측정은 2-3개월 전의 혈당 대사 이상을 의미하는 글리코실레이티드 헤모글로빈 수준(Glycosylated Hemoglobin level, HbA1c)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측정 방법이다.
즉, 상기 HbAlc의 수치가 5.9-6.4%이면 +1을 부과하고, 6.4%이상이면 +2를 부과하여, 이 부과된 점수(+1 또는 +2)를 제3지표 측정의 측정치로 정하게 된다.
4) 제4지표 측정은 혈중 총콜레스테롤(Total Serum Cholesterol) 수치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측정 방법이다.
즉, 상기 혈중 콜레스테롤(Total Serum Cholesterol) 수치를 측정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가 200-250mg/㎗이면 +1을 부과하고, 250mg/㎗이상이면 +2를 부과하여, 이 부과된 점수(+1 또는 +2)를 측정치로 정하게 된다.
5) 제5지표 측정은 혈중 H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측정 방법으로서, 혈중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남자의 경우35-40mg/㎗이면 +1을 부과하고, 35mg/㎗이하이면 +2를 부과하며, 여자의 경우 40-50mg/dl이면 +1을 부과하고, 40mg/dl이하이면 +2를 부과하여, 성별로 부과된 점수(+1 또는 +2)를 측정치로 정하게 된다.
6) 제6지표 측정은 스트레스 호르몬의 억제 역할을 하는 혈중 DHEA-S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측정 방법으로서, 혈중 DHEA-S 수치가 남자의 경우 80-200㎍/㎗이면 +1을 부과하고, 80㎍/㎗이하이면 +2를 부과하며, 여자의 경우 35-130㎍/㎗이면 +1을 부과하고, 35㎍/㎗이하이면 +2를 부과하여, 성별로 부과된 점수(+1 또는 +2)를 측정치로 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생화학 지표 평가를 제1,2,3,4,5,6지표 측정으로 실시하여, 각 지표에서 정해진 점수(측정치)를 합산하여, +6 이상이면 생화학 지표 평가의 총점인 30점을 배점하고, +5이면 25점, +4이면 20점, +3이면 15점, +2이면 10점, +1이면 5점으로 차등 배점하게 된다.
여기서,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은 제1병리적 변화 측정과 제2병리적 변화 측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병리적 변화 측정은 혈관, 뇌, 심장 또는 간 등에 나타나는 성인병의 병리적 소견에 따라, MRI, CT, Sono 등으로 각 장기의 병변을 판단하여, 각 상태에 따라 최고 25점 이하로 차등 배점하는 방법이다.
즉, MRI, CT, Sono 등에 의한 각 장기의 병변을 판단하여, 심한 병변을 보인 경우 25점을 배점하고, 중증도 정도의 병변을 보인 경우 20점을 배점하며, 경도의 병변을 보일 경우 15점을 차등 배점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병리적 변화 측정은 복부비만도와, 혈압과, 공복시 혈당을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 범위를 넘으면 각 10점을 부과하고, 중성지방인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와 혈중 HDL 콜레스테롤을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 범위가 아니면 각 5점을 부과하여, 총합이 25점 이상이면 25점으로 배점하는 측정 방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복부비만도의 기준치는 남자의 경우 90cm(35인치)이상, 여자의 경우는 80cm(31인치)이상이면 10점을 부과하고, 상기 혈압의 기준치는 130mmHg(수축기 혈압), 85mmHg(이완기 혈압)로서 이와 같던가 이를 넘으면 10점을 부과하며, 상기 공복시 혈당(Fasting Glucose)은 기준치인 110mg/㎗과 같던가 이 이상인 경우 10점을 부과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의 경우는 ≥ 150mg/dl일때 5점을 부과하고, 상기 혈중 HDL 콜레스테롤의 경우 남자는 < 40mg/dl, 여자는 < 50mg/dl일때 5점을 부과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병리적 변화 및 제2병리적 변화 측정 결과, 상기 제1병리적 변화 측정에 따른 배점과 제2병리적 변화 측정에 따른 배점의 합산을 하여,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의 결과치로 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병리적 변화 측정에 따른 배점(최고 25점)과 제2병리적 변화 측정에 따른 배점(최고 25점)의 합산을 하여 40점 이상의 측정치가 나오더라도,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 결과의 점수를 40점으로 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와,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을 한 후, 각각의 배점을 합산하고, 이 합산된 점수별로 생활 습관병의 종합 판독을 하게 된다.
상기 생활 습관병의 종합 판독은 80점 이상이면, 심각한 수준의 성인병(생활습관병)이 진행된 상태; 70점-80점이면, 심각한 수준의 성인병이 임박한 상태; 50점-70점이면, 이미 경증의 성인병이 시작 또는 진행 가능성이 높은 상태; 30점-50점이면, 경도의 성인병 진행 가능성이 있는 상태; 30점 이하이면, 건강한 상태로 성인병 진행 가능성이 별로 없는 상태로 판독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본 발명의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개인(남,녀)에게 적용시킨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 60세의 남성
- 5년전 경도의 뇌졸증,
- 고혈압 치료중,
- 복부비만,
- HDL 콜레스테롤 36mg/㎗
1. 심리상태 평가(총 30점)
1)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를 측정하는 설문지 점수 260점/300점
⇒ 8점 배점
2) A/B 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하는 설문지 점수 152점/200점
⇒ 6점 배점
3)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스코어를 측정하는 설문지 점수 28점/40점
⇒ 8점 배점
위의 측정 결과, 심리상태 평가를 위한 각 배점의 합산 스코어는 22점/총30점이 된다.
2.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
1) 제1지표 측정
뇨중 에피네프린(Epinephrine)이 400pg/㎖로 측정됨 ⇒ +1 부과,
2) 제2지표 측정
혈중 콜티솔(Cortisol)이 20㎍/㎗로 측정됨 ⇒ +1 부과,
3) 제3지표 측정
글리코실레이티드 헤모글로빈 수준(Glycosylated Hemoglobin level)이 5.1%로 측정됨 ⇒ 정상(부과점 없음),
4) 제4지표 측정
혈중 총콜레스테롤(Total Serum Cholesterol) 수치가 180mg/㎗로 측정됨 ⇒ 정상(부과점 없음),
5) 제5지표 측정
혈중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36mg/㎗로 측정됨 ⇒ +1 부과,
6) 제6지표 측정
혈중 DHEA-S 수치가 300㎍/㎗로 측정됨 ⇒ 정상(부과점 없음).
위와 같은 제1 내지 제6지표 측정후, 각 지표에서 얻어진 부과점을 합산하면 +3점이 되고, 이 +3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생화학 지표 평가에서 15점/총30점으로 배점하게 된다.
3.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은
1) 제1병리적 변화 측정
뇌 MRI(5년전 경도의 뇌졸증을 근거로 함) 촬영 결과, 경도의 병변을 보인 경우로 판단하여 15점 배점함.
2) 제2병리적 변화 측정
복부비만 측정 결과 110cm ⇒ 10점 부과,
중성지방 측정 결과 160mg/㎗ ⇒ 5점 부과,
HDL 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36mg/㎗ ⇒ 5점 부과,
혈압 측정 결과 140mmHg/85mmHg ⇒ 10점 부과,
혈당 측정 결과 100mg/㎗ ⇒ 정상(점수 부과 않음).
위의 5가지 항목의 측정 부과점을 합산하면 30점이 되는 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5점 이상이면 제2병리적 변화 측정치를 최고점인 25점으로 배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1)제1병리적 변화 측정의 결과 배점인 15점과 상기 2)제2병리적 변화 측정의 결과 배점인 25점을 합산하면,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의 최종 배점은 40점/총40점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심리상태 평가는 22점/총30점, 상기 생화학 지표 평가는 15점/총30점,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는 40점/총40점으로 판정되었는 바, 이들의 배점들을 총합산하게 되면, 77점/총100점이 된다.
결과적으로, 최종합계가 77점/총100점은 심각한 수준의 성인병이 임박한 것으로 판단하게 되고, 다음의 표 4에 나타낸 토탈 케어(Total Care)에 의거 1-6단계의 관리 및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실시예2
* 52세의 여성
- 성격이 예민, 항상 걱정이 많음, 화를 자주 내는 타입
1. 심리상태 평가(총 30점)
1)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를 측정하는 설문지 점수 290점/300점
⇒ 8점 배점
2) A/B 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하는 설문지 점수 172점/200점
⇒ 8점 배점
3)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스코어를 측정하는 설문지 점수 30점/40점
⇒ 8점 배점
위의 측정 결과, 심리상태 평가를 위한 각 배점의 합산 스코어는 24점/총30점이 된다.
2.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
1) 제1지표 측정, 2) 제2지표 측정, 3) 제3지표 측정, 6) 제6지표 측정 결과 모두 정상(부과점 없음),
4) 제4지표 측정
혈중 총콜레스테롤(Total Serum Cholesterol) 수치가 210mg/㎗로 측정됨 ⇒ +1 부과,
5) 제5지표 측정
혈중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42mg/㎗로 측정됨 ⇒ +1 부과,
위와 같은 제1 내지 제6지표 측정후, 각 지표에서 얻어진 부과점을 합산하면 +2점이 되고, 이 +2점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생화학 지표 평가에서 10점/총30점으로 배점하게 된다.
3.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은
1) 제1병리적 변화 측정 : 진찰 소견상 의심되는 기관의 병리소견이 없어서 측정안함.
2) 제2병리적 변화 측정
복부비만 측정 결과 95cm ⇒ 10점 부과,
HDL 콜레스테롤 측정 결과 42mg/㎗ ⇒ 5점 부과,
혈압 측정 결과 150mmHg/90mmHg ⇒ 10점 부과,
위의 제2병리적 변화 측정 항목의 측정 부과점을 합산하면 25점이 되는 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25점 이상이면 제2병리적 변화 측정치를 최고점인 25점으로 배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의 최종 배점은 25점/총40점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심리상태 평가는 24점/총30점, 상기 생화학 지표 평가는 10점/총30점,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는 25점/총40점으로 판정되었는 바, 이들의 배점들을 총합산하게 되면, 59점/총100점이 된다.
결과적으로, 최종합계가 59점/총100점은 이미 경증의 성인병이 시작 또는 진행 가능성 높음으로 판정하게 되고, 위의 표 4에 나타낸 토탈 케어(Total Care)에 의거 1-5단계의 관리 및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에 의하면, 심리상태 평가, 생화학 지표 평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를 측정하고, 그 측정 정도를 점수로 산정하여, 생활 습관병에 대한 진단/예보 및 관리를 손쉽게 체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심인성 또는 스트레스성 성인병인 생활습관병을 개인특성에 맞게 예측진단하여, 개개인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15)

  1.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와,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을 실시하되,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는:
    1)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 측정(총10점)과,
    2) A/B 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총10점)과,
    3)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스코어(Spielberger Trait Anger Score) 측정(총10점)의 합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는:
    1) 스트레스 호르몬중 하나인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에 포함된 에피네프린(Epinephrine)과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1지표 측정과;
    2) 스트레스 호르몬중 하나인 콜티솔(Cortisol)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2지표 측정과;
    3) 2-3개월 전의 혈당 대사 이상을 의미하는 글리코실레이티드 헤모글로빈 수준(Glycosylated Hemoglobin level)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3지표 측정과;
    4) 혈중 총콜레스테롤(Total Serum Cholesterol) 수치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상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4지표 측정과;
    5) 혈중 HDL 콜레스테롤(Serum HDL(High Density Lopoprotein) Cholesterol)을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5지표 측정과;
    6) 스트레스 호르몬의 억제 역할을 하는 혈중 DHEA-S(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를 측정하여 기준치 이하이면 +1 또는 +2를 배점하는 제6지표 측정을 한 후, 각 지표에서 얻어진 배점을 합산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은
    1) 혈관, 뇌, 심장 또는 간 등에 나타나는 성인병의 병리적 소견에 따라, MRI, CT, Sono 등으로 각 장기의 병변을 판단하여, 각 상태에 따라 최고 25점 이하로 차등 배점하는 제1병리적 변화 측정과;
    2) 대사증후군의 소견들인 복부비만도와 혈압과 공복시 혈당(Fasting Glycose)을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 범위가 아니면 각 10점을 부과하고, 중성지방인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와 혈중 HDL 콜레스테롤을 각각 측정하여 기준치 범위가 아니면 각 5점을 부과하여, 총합이 25점 이상이면 25점으로 배점하는 제2병리적 변화의 측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와,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의 종료와 함께 합산을 함으로써, 합산된 점수별로 생활 습관병의 종합 판독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의 생활 스트레스 스코어 측정(총10점)은 개인의 1년간 경험한 스트레스 설문지(미국 워싱턴 대학의 Tomas Holmes 와 Richard Rahe 교수에 의한 검사법)를 이용하여 총 300점 이상의 점수가 합산될 수 있는 측정 방법으로서, 300점 이상이면 10점, 250-299점이면 8점, 200-249점이면 6점, 150-199점이면 4점, 100-149점이면 2점, 100점 이하이면 0점을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의 A/B 라이프 스타일 스코어 측정(총10점)은 A/B 생활 스타일 설문지(미국 휴스턴의 Baylor 의대의 Edward Chalesworth 와 Louisiana 주립 의대의 Ronald Nathan이 발표한 "The A/B Life-Style Questionnaire")를 이용하여 총 200 만점의 점수가 합산될 수 있는 측정 방법으로서, 180-200점이면 10점, 160-179점이면 8점, 148-159점이면 6점, 135-147점이면 4점, 100-134점이면 2점, 100점 이하이면 0점을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의 스필버거의 트레잇 앵거 스코어(Spielberger Trait Anger Score) 측정(총10점)은 10개의 아이템을 이용하여 화에 대한 스트레스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31-40점이면 10점, 27-30점이면 8점, 23-26점이면 6점, 19-22점이면 4점, 15-18점이면 2점, 10-14점이면 0점을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의 제1지표 측정에 있어서,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에 포함된 노르에피네프린(Norepinephrine)이 혈청(serum)검사 결과 330-410pg/㎖이면 +1을 부과하고, 410pg/㎖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뇨(urine)검사 결과 60-80㎍/day이면 +1을 부과하고, 80㎍/day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카테콜아민(catecholamines)에 포함된 에피네프린(Epinephrine)이 혈청검사 결과 90-120pg/㎖이면 +1을 부과하고, 120pg/㎖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뇨(urine)검사 결과 30-40㎍/day이면 +1을 부과하고, 40㎍/day이상이면 +2를 부과하여, 이들 부과점중 제일 높은 부과점수(+1 또는 +2) 한가지만을 제1지표 측정의 측정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콜티솔(Cortisol)을 측정하는 제2지표 측정에 있어서, 콜티솔이 혈청검사 결과 20-25㎍/㎗이면 +1을 부과하고, 25㎍/㎗이상이면 +2를 부과하며, 뇨검사(8PM-8AM) 결과 73-90㎍/㎗이면 +1을 부과하고, 90㎍/㎗이상이면 +2를 부과하여, 이들 부과점중 제일 높은 부과점수(+1 또는 +2) 한가지만을 제2지표 측정의 측정치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코실레이티드 헤모글로빈 수준(HbAlc:Glycosylated Hemoglobin level)을 측정하는 제3지표 측정에 있어서,
    상기 HbAlc의 수치가 5.9-6.4%이면 +1을 부과하고, 6.4%이상이면 +2를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중 총콜레스테롤(Total Serum Cholesterol) 수치를 측정하는 제4지표 측정에 있어서, 혈중 총콜레스테롤 수치가 200-250mg/㎗이면 +1을 부과하고, 250mg/㎗이상이면 +2를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중 HDL 콜레스테롤을 측정하는 제5지표 측정에 있어서, 혈중 H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남자의 경우 35-40mg/㎗이면 +1을 부과하고, 35mg/㎗이하이면 +2를 부과하며, 여자의 경우 40-50mg/dl이면 +1을 부과하고, 40mg/dl이하이면 +2를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중 DHEA-S를 측정하는 제6지표 측정에 있어서, 혈중 DHEA-S 수치가 남자의 경우 80-200㎍/㎗이면 +1을 부과하고, 80㎍/㎗이하이면 +2를 부과하며, 여자의 경우 35-130㎍/㎗이면 +1을 부과하고, 35㎍/㎗이하이면 +2를 부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11. 청구항 1, 5, 6, 7, 8, 9, 10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5,6지표 측정으로 부과된 각 측정치를 합산하여 +6 이상이면 생화학 지표 평가의 총점인 30점을 배점하고, +5이면 25점, +4이면 20점, +3이면 15점, +2이면 10점, +1이면 5점을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의 제1병리적 변화 측정에 있어서, MRI, CT, Sono 등에 의한 각 장기의 병변을 판단하여, 심한 병변을 보인 경우 25점을 배점하고, 중증도 정도의 병변을 보인 경우 20점을 배점하며, 경도의 병변을 보일 경우 15점을 차등 배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의 제2병리적 변화 측정에 있어서, 상기 복부비만도의 기준치는 남자의 경우 90cm(35인치)이상, 여자의 경우는 80cm(31인치)이상이고, 상기 혈압의 기준치는 ≥130mmHg(수축기 혈압), ≥85mmHg(이완기 혈압)이며, 상기 공복시 혈당(Fasting Glucose)의 기준치는 ≥110mg/㎗이며, 상기 혈중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의 기준치는 ≥150mg/㎗이며, 상기 혈중 HDL 콜레스테롤의 기준치는 남자의 경우 < 40mg/㎗, 여자의 경우 < 50mg/㎗로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14. 청구항 1, 12, 13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병리적 변화 측정에 따른 배점(최고 25점)과 제2병리적 변화 측정에 따른 배점(최고 25점)의 합산이 40점 이상이더라도, 상기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 결과의 점수를 40점으로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심리상태 평가(총 30점)와, 생화학 지표 평가(총 30점)와, 성인병의 병리적 변화 측정(총 40점)의 종료와 함께 합산된 점수별로 이루어지는 생활 습관병의 종합 판독은:
    80점 이상이면, 심각한 수준의 성인병(생활습관병)이 진행된 상태;
    70점-80점이면, 심각한 수준의 성인병이 임박한 상태;
    50점-70점이면, 이미 경증의 성인병이 시작 또는 진행 가능성이 높은 상태;
    30점-50점이면, 경도의 성인병 진행 가능성이 있는 상태;
    30점 이하이면, 건강한 상태로 성인병 진행 가능성이 별로 없는 상태로 판독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KR1020030065377A 2003-09-20 2003-09-20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KR20050029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377A KR20050029061A (ko) 2003-09-20 2003-09-20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377A KR20050029061A (ko) 2003-09-20 2003-09-20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9061A true KR20050029061A (ko) 2005-03-24

Family

ID=37385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377A KR20050029061A (ko) 2003-09-20 2003-09-20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90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91B1 (ko) * 2012-08-06 2014-10-06 주식회사 피코팜 스트레스 수치화를 이용한 스트레스 측정 방법
CN109659001A (zh) * 2018-12-18 2019-04-19 延安大学 一种防癌监管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91B1 (ko) * 2012-08-06 2014-10-06 주식회사 피코팜 스트레스 수치화를 이용한 스트레스 측정 방법
CN109659001A (zh) * 2018-12-18 2019-04-19 延安大学 一种防癌监管系统及方法
CN109659001B (zh) * 2018-12-18 2023-08-04 延安大学 一种防癌监管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ydick et al. Interpretation of quality of life changes
Harris et al. Age, gene/environment susceptibility–Reykjavik study: multidisciplinary applied phenomics
Van den Broek et al. Utility of the modified Wisconsin Card Sorting Test in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Marinoski et al. Oral mucosa and salivary findings in non-diabetic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Schatzl et al. Serum androgen levels in men: impact of health status and age
Li et al. Association of cognitive function with serum uric acid level among Chinese nonagenarians and centenarians
Albrecht et al. Longitudinal cognitive decline in the AIBL cohort: The role of APOE ε4 status
Park et al. Developing a biological age assessment equation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inical biomarkers of aging in Korean men
Peng et al. Influencing factors for saliva urea and its application in chronic kidney disease
Kubota et al. Analyses of laboratory data and establishment of reference values and intervals for healthy elderly people
Rondó et al. Relationship between birthweight and arterial elasticity in childhood
Accardo et al. Influence of hypertension and other risk factors on the onset of sublingual varices
Tan et a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Malaysians using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nd modified World Health Organization definitions
Oliveira et al. Cardiovascular risk assessment according to the Framingham score and abdominal obesity in individuals seen by a clinical school of nutrition
Okereke et al. Plasma C-peptide levels and rates of cognitive decline in older, community-dwelling women without diabetes
Sipers et al.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may represent a reproducible and practical tool to assess skeletal muscle mass in euvolemic acutely ill hospitalized geriatric patients
Limor et al. Serum free cortisol as an ancillary tool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low‐dose 1‐μg ACTH test
KR20050029061A (ko) 생활 습관병의 총괄평가를 위한 스코어링 시스템
RU2557928C2 (ru)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риска раннего развития микрососудистых осложнений сахарного диабета i типа у детей
Schupf et al. Preservation of cognitive and functional ability as markers of longevity
Schillaci et al. Subclinical left ventricular dysfunction in systemic hypertension and the role of 24-hour blood pressure
Vardi et al.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MTS), hyperinsulinemia,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Israeli children and adolescents
Perna et al. Predicting visceral adipose tissue in older adults: A pilot clinical study
Gautam et al. Assessment and correlation of uric acid concentration in saliva and serum of patients attending tertiary care centre
Kojić et al. Does sleep apnea affect the outcome of stroke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