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589A -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589A
KR20050027589A KR1020030063897A KR20030063897A KR20050027589A KR 20050027589 A KR20050027589 A KR 20050027589A KR 1020030063897 A KR1020030063897 A KR 1020030063897A KR 20030063897 A KR20030063897 A KR 20030063897A KR 20050027589 A KR20050027589 A KR 20050027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unter
mobile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3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3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7589A/ko
Publication of KR20050027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5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지자기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지자기센서와,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로 웨이크업(wake-up)하여 보행횟수를 나타내는 상기 카운터의 값을 독출하고, 상기 카운터 값을 표시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표시데이터를 표시창에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 보행을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실시간이 아닌 소정 주기로 처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최소의 전원소모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MPLEMENTING FUNCTION OF STEP COUN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소의 전원으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들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특별한 기능을 갖는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 리듬 기능은, 사용자의 건강보조를 위해 부가되는 기능으로, 사용자의 생년월일에 따른 바이오리듬을 통계적 수치에 근거해서 화면에 보여주는 기능이다. 그러나 상기 바이오 리듬 기능은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과 무관한 단순한 통계적 수치를 보여주는 것으로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만보기는 사용자가 도보시 몇 보를 걸었는지 알려주는 기기로서, 크기가 작고 사용자의 허리에 부착될수 있도록 제조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내용을 고려할 때, 만보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출시가 예상되어진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어떤 장치(기기)를 탑재시킬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전원의 사용이다. 이유는, 한정된 전원으로 휴대 전화기라는 원안의 목적을 추구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원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할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최소의 전원소비로 만복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보행을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소정 주기로 처리하여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지자기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지자기센서와,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로 웨이크업(wake-up)하여 보행횟수를 나타내는 상기 카운터의 값을 독출하고, 상기 카운터 값을 표시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표시데이터를 표시창에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견지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보행을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사용자 보행을 나타내는 센싱데이터를 카운팅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로 웨이크업(wake-up)하여 보행횟수를 나타내는 상기 카운팅 값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카운팅 값을 표시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는 대기모드에서 자신에게 할당된 페이징 슬롯동안만 웨이크업(wake-up)하여 페이징 신호를 감시하고, 자신에게 할당되지 않은 슬롯동안은 슬립(sleep)하는 슬롯모드(slotted mode)를 수행한다. 즉, 단말기는 슬립기간동안 최소 제어를 위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로 제공되는 전원(구동전원)을 차단하여 전원의 소비를 최소화한다. 이와 같이, 이동단말기에서 전원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즉,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보행을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의 센싱데이터(sensing data)를 소정 주기로 처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최소의 전원소비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MPU : Micro-processor Unit)(10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보행을 감지하는 센서부(124)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소정주기로 처리하여 표시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통상적인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메모리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및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ROM : Read Only Memory)은 상기 제어부(1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 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 보행을 감지하는 상기 센서부(124)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소정주기로 처리하여 표시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램(RAM : Random Access memory)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플래쉬롬(flash ROM)은 전화번호부(phone book)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패드(key pad)(108)는 0 ∼ 9의 숫자 키들과, 메뉴(menu), 문자전송키, 통화(TALK), 지움(CLR), 종료(END), *, #, 스크롤키(UP/DOWN key)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칼라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에 연결된 코덱(CODEC : COder-DECoder)(112)과, 상기 코덱(112)에 접속된 스피커(116) 및 마이크(114)는 전화 통화 및 음성 녹음에 사용되는 음성 입출력 블록이다. 상기 코덱(112)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제공되는 PCM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피커(116)를 통해 송출하고, 상기 마이크(114)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PCM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또한, RF부(Radio Frequency unit)(120)는 안테나(118)를 통해 수신되는 래디오주파수 신호를 주파수 하강시켜 기저대역처리부(122)로 제공하고,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로부터의 기저대역신호를 주파수 상승시켜 상기 안테나(118)를 통해 송신한다.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상기 RF부(120)와 상기 제어부(1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신호를 역확산(despreading) 및 채널복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기저대역처리부(122)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각종 채널신호들(호출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복조하거나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각종 채널신호들(억세스 채널, 트래픽 채널 등)을 생성한다.
전원공급부(106)는 배터리(104)로부터 전압을 인가받아 적정한 레벨로 다운시켜 DC 전압으로 각 구성에 공급한다. 상기 배터리(104)는 충전기에 장착되어 제공받은 충전전압을 보유하며, 상기 충전전압을 상기 전원공급부(106)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원공급부(106)를 제어하여 각 구성으로 전원(구동전원)을 공급 및 공급 중단한다.
상기 센서부(124)는 A/D(Analog to Digital)컨버터(126)와 지자기센서(128)로 구성된다. 상기 지자기센서(128)는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지자기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A/D컨버터(126)는 상기 지자기센서(128)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센싱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내에 소프트웨어적 혹은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되는 카운터(counter)는 상기 A/D컨버터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카운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미리 정해진 주기로 상기 카운터의 값(보행횟수)을 독출하고, 상기 카운터 값을 표시데이터(숫자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0)가 상기 센서부(124)로부터의 데이터를 실시간이 아닌 소정주기로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기 때문에 전원 소비를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보행을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소정 주기로 처리하여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00)는 201단계에서 대기모드를 수행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기모드 수행시, 단말기는 소정주기로 웨이크업(wakeup)하는 슬롯모드(slotted mode)를 수행하여 전원소비를 최소화한다. 상기 대기모드 수행중, 상기 제어부(100)는 203단계에서 만보기 동작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만보기 동작키는 별도의 버튼 혹은 상기 키패드(108)에 구비된 버튼들을 이용한 단축키로 구현할수도 있다. 또는, 메뉴항목으로 구현할수도 있다.
만일, 상기 만보기 동작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19단계로 진행하여 해당모드(대기모드, 통화모드 등)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만보기 동작키 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0)는 205단계에서 상기 센서부(124)로 구동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센서부(124)를 동작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전원공급부(106)를 제어하여 상기 센서부(124)로 구동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센서부(124)는 구동되어 사용자의 보행이 감지될 때마다 디지털 신호를 상기 제어부(100)로 출력하게 된다.
상기 센서부(124)를 동작시킨후, 상기 제어부(100)는 207단계에서 상기 센서부(124)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사용자의 보행을 나타내는 신호)를 내부 카운터를 이용해 카운팅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209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값을 주기로 하는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값은, 디스플레이 갱신 주기(display update time)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조자에 의해 정해지거나 사용자가 설정하게 할수도 있다.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킨후, 상기 제어부(100)는 211단계에서 상기 타이머가 소멸(expire)되는지 검사한다. 상기 타이머가 구동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13단계에서 상기 만보기의 동작을 중지하기 위한 키가 입력되는지 검사한다. 만일 상기 만보기 동작 중지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계속해서 타이머 소멸을 검사하기 위해 상기 211단계로 되돌아간다. 만일 상기 만보기 동작 중지키가 입력된 경우 상기 제어부(100)는 2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센서부(124)로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차단시켜 상기 센서부(124)의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217단계에서 상기 카운터를 초기화한후 상기 219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타이머 소멸시, 상기 제어부(100)는 221단계에서 보행횟수를 나타내는 상기 카운터 값을 독출하고, 223단계에서 상기 독출된 카운터 값을 표시데이터(숫자데이터)로 변환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225단계에서 상기 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110)로 출력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이, 보행횟수를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한후,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209단계로 되돌아가 다시 상기 타이머를 구동시킨후 이하 단계를 재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 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해 운동량을 측정할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은 만보기로부터의 데이터를 실시간이 아닌 소정 주기로 처리하여 표시함으로써, 최소의 전원소모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할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보행을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소정 주기로 처리하여 표시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

Claims (3)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보행에 따른 지자기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는 지자기센서와,
    상기 지자기센서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컨버터와,
    상기 A/D컨버터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카운팅하는 카운터와,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로 웨이크업(wake-up)하여 보행횟수를 나타내는 상기 카운터의 값을 독출하고, 상기 카운터 값을 표시데이터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표시데이터를 표시창에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 보행을 감지하는 센서부로부터의 센싱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로부터의 사용자 보행을 나타내는 센싱데이터를 카운팅하는 과정과,
    미리 정해진 시간 주기로 웨이크업(wake-up)하여 보행횟수를 나타내는 상기 카운팅 값을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카운팅 값을 표시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표시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여 표시창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사용자 보행을 지자기센서를 이용해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63897A 2003-09-16 2003-09-16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500275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897A KR20050027589A (ko) 2003-09-16 2003-09-16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3897A KR20050027589A (ko) 2003-09-16 2003-09-16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589A true KR20050027589A (ko) 2005-03-21

Family

ID=37384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3897A KR20050027589A (ko) 2003-09-16 2003-09-16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75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9155A2 (en) * 2006-05-08 2007-11-15 Nokia Corporatio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9155A2 (en) * 2006-05-08 2007-11-15 Nokia Corporation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WO2007129155A3 (en) * 2006-05-08 2008-04-17 Nokia Corp Improve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US8529407B2 (en) 2006-05-08 2013-09-10 Noki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90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6952571B1 (en) Digital signal processor update of single channel strength signal
US67250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erving power in an integrated electronic device that includes a PDA and A wireless telephone
WO200004693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ower conserv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handset
US20080065918A1 (en) Power saving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power of the electronic apparatus
CN108398988B (zh) 可佩带式智能手表
JP2002051004A (ja) 電力供給装置及び携帯情報機器
KR20050023822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저전력모드 수행 방법
KR20100061894A (ko) 베이스밴드 프로세서를 활용한 저전력 센싱 기술
JP5299314B2 (ja) 携帯端末
JP4010805B2 (ja) 表示装置及び携帯機器
KR20050027589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만보기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및 방법
KR2004004990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장치 및 방법
KR1002703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전류 소모량 표시방법
KR100936583B1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KR1006615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절약방법
KR10065925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방지하는 방법
EP2101479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790153B1 (ko)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KR100630099B1 (ko) 휴대폰에서 스케쥴 표시 방법
KR101647039B1 (ko) 휴대 단말기의 전류 소모 절감을 위한 만보계 기능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040025328A (ko) 건강체크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를이용한 건강 체크 방법
KR20060022018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 인디케이터를 선택적으로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
JP3248479B2 (ja) 表示装置
KR200600667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수평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