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6757A -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 Google Patents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6757A
KR20050026757A KR1020030062379A KR20030062379A KR20050026757A KR 20050026757 A KR20050026757 A KR 20050026757A KR 1020030062379 A KR1020030062379 A KR 1020030062379A KR 20030062379 A KR20030062379 A KR 20030062379A KR 20050026757 A KR20050026757 A KR 20050026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rr
information
recording
area
pad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6757A/ko
Priority to EP09156887A priority patent/EP2096641A3/en
Priority to RU2006104550/28A priority patent/RU2355047C2/ru
Priority to KR1020067000909A priority patent/KR101049135B1/ko
Priority to CN200910128274.8A priority patent/CN101521035B/zh
Priority to CA2532371A priority patent/CA2532371C/en
Priority to PCT/KR2004/001700 priority patent/WO2005006314A1/en
Priority to JP2006520114A priority patent/JP4750027B2/ja
Priority to EP04748404A priority patent/EP1644920B1/en
Priority to BRPI0412556-8A priority patent/BRPI0412556A/pt
Priority to MXPA06000588A priority patent/MXPA06000588A/es
Priority to ES04748404T priority patent/ES2325441T3/es
Priority to AU2004256684A priority patent/AU2004256684B2/en
Priority to DE602004020992T priority patent/DE602004020992D1/de
Priority to AT04748404T priority patent/ATE430976T1/de
Priority to US10/887,905 priority patent/US7372792B2/en
Priority to TW093121023A priority patent/TWI279780B/zh
Publication of KR20050026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6757A/ko
Priority to US12/060,735 priority patent/US7542389B2/en
Priority to JP2009190943A priority patent/JP4786736B2/ja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5Status of the record carrier, e.g. space bit maps, flags indicating a formatting status or a write permis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20/1873Temporary defect structures for write-once discs, e.g. TDDS, TDMA or TDFL

Abstract

본 발명은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SRR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SRR정보내에 SRR정보임을 인식가능하게 하는 헤더(Header)와, SRR의 종류를 식별하는 SRR종류정보(Status)가 포함되어 있는 SRR엔트리 리스트(List)와, SRR정보의 종료를 표시하는 종료표시부 (Terminator)로 구분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통해 새로운 물리적 구조를 가지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도 관리정보의 효과적인 기록관리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Method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optical disc write once}
본 발명은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 기록매체로서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최근에는 고화질의 비디오 데이터와 고음질의 오디오 데이터를 장시간 동안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광기록 매체(HD-DVD), 예를 들어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가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HD-DVD 기술인 블루레이 디스크(Blu-ray Disc)는 기존의 DVD를 현저하게 능가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차세대 광기록 솔루션으로 근래에 이에 대한 세계 표준의 기술사양이 정립되고 있다.
HD-DVD 세계 표준중의 하나인 블루레이 디스크는 650nm 파장의 적색 레이저를 사용하는 현재의 DVD 보다 훨씬 조밀한 405nm의 청자색 레이저를 사용하며, 0.1mm의 광투과층을 가진 두께 1.2mm, 직경 12cm의 디스크에 현재의 DVD 보다 월등한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블루레이 디스크에 관련된 표준안이 마련되고 있으며, 재기록 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RE)에 이어서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에 대한 각종 표준안이 마련되고 있다.
특히,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표준안중에는 디스크의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리정보에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로서의 특징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정보란,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호스트(Host)나 사용자(User)가 기록가능한 영역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일종의 현재 디스크내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라 할 것이다. 기존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는 이러한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정보를 다양한 명칭으로 사용하였는 바, CD계열에서는 트랙정보(Track Information), DVD계열에서는 알존 (RZone), 또는 프래그먼트(Fragment)등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본발명에서는 블루레이디스크(BD)의 연속기록모드에 적용되는 의미로서 상기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정보를 통칭하여 "SRR정보(Sequential Recording Range Information : 이하 "SRRI"라고도 한다)로 명명하고, 또한 디스크내에 복수의 영역을 형성하고 해당영역에 기록을 수행하는 경우에 상기 형성하는 영역 각각을 "SRR(Sequential Recording Range)"이라 명명할 것이며 이는 명칭에 상관없이 그 의미로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발명에서의 상세한 "SRR" 및 "SRR정보(또는 SRRI)"에 관한 내용은 본발명의 구성부분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1은 기존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특히 DVD-R규격) 기록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의 명확한 이해 및 상호간의 대비를 위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의 광디스크는 디스크의 관리정보를 RMD(recording management Data)영역내에 기록하여 관리하며, 특히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는 상기 RMD영역중 RMD 필드(field) 4~12 를 사용하여 관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표시하는 정보로서 "알존(RZone)"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알존(RZone)의 종류에는 추가기록이 가능한 오픈알존 (open RZone) 및 인비지블알존 (Invisible RZone)과, 추가기록이 불가능한 클로즈알존(close RZone)이 있다. 오픈알존(open RZone)은 디스크내에서 2개만이 존재하며, 각각의 위치는 도1의 RMD Field4내에 "First Open RZone number" 및 "Second Open RZone number"로서 관리된다. 또한 RMD Field4내에는 각각의 알존(RZone)에 대한 "첫번째 어드레스 정보"와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어드레스 정보 (LRA: Last Recorded Address, 이하 "LRA"라 한다)"를 구비하고 있다.
이후 RMD Field5~12 까지는 RMD Field4의 내용에 이어서 계속적으로 알존(RZone)에 대한 어드레스 정보와 LRA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기록할 필요가 없을 경우는 모두 zero로 셋팅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기록되는 디스크 기록상태 정보(DVD-R의 경우 알존(RZone)정보)는 호스트등에서 디스크에 추가기록을 위하여 추가 기록가능한 위치를 요구할 경우에 드라이브에서는 첫번째 오픈알존(open RZone) 및 두번째 오픈알존(open RZone)의 LRA를 확인하여 일반적으로는 "LRA+1"이 되는 위치를 추가기록가능한 위치로 호스트등에 전송하게 되고(이를 NWA:Next Writable Address라고 한다), 전송된 NWA정보로부터 호스트등은 유효하게 디스크에 추가기록등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DVD-R방식에서는 재생전용 드라이버(ex, DVD-ROM)에서 재생가능하도록 하기위해, 복수의 알존(RZone)으로 구성된 보드 (Border)개념을 도입하여, 특정된 복수개 알존(RZone)의 시작과 종료위치에 각각 보드-인(Border-in)/보드-아웃(Bordeer-out)을 추가적인 영역으로 할당하였다. 동일개념으로서 CD-R에서는 이를 세션(session)이라 하여 명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DVD-R을 포함한 종래 일반적인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는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와는 그 물리적구조 및 사용환경이 상이함에 따라 상기의 종래방식을 그대로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에 적용할 수 없게 된다. 특히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는 드라이브 자체에서 디스크의 결함을 관리하는 방식(이를 일반적으로 Physical Defect Management 라 한다)을 채택하고 있어, 디스크내에 결함관리를 위한 특별한 영역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는 등 복잡한 디스크 구조를 가지고 있어 더욱 더 종래방식의 디스크 기록상태정보를 적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디스크의 기록상태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관리정보의 기록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할 것이며, 특히 이는 규격화된 정보로서 제공되어야 상호간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할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경우가 아니더라도 결함관리가 수행되는 1회 기록가능한 고밀도 광디스크에서 적용가능한 새로운 디스크 관리정보의 기록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1 회 기록 가능한 광 디스크에서의 디스크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특히 디스크의 기록상태정보를 효율적으로 기록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바, 다음과 같은 특징적인 기술적 과제를 가지고 있다.
새로운 SRR의 종류를 정의하고 이를 SRR정보내에 기록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또한, 물리적 결함관리가 수행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도 적용가능한 디스크 기록상태정보로서의 SRR정보를 기록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1 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은,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SRR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SRR정보내에 SRR정보임을 인식가능하게 하는 헤더(Header)와, SRR의 종류를 식별하는 SRR종류정보(Status)가 포함되어 있는 SRR엔트리 리스트(List)와, SRR정보의 종료를 표시하는 종료표시부 (Terminator)로 구분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또다른 관리정보 기록방법은, 임시결함관리영역을 구비하고 임시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결함리스트정보와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SRR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SRR정보내에는 해당SRR의 종류를 표시하는 SRR종류정보와, 해당SRR의 첫번째 어드레스를 알려주는 정보와, 해당SRR에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어드레스를 알려주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는, 디스크의 특정영역에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결함리스트정보와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SRR정보를 기록할수 있는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SRR정보내에는 해당SRR의 종류를 표시하는 SRR종류정보와, 해당SRR의 첫번째 어드레스를 알려주는 정보와, 해당SRR에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어드레스를 알려주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기록방법은, 디스크내에 기록을 위한 구분된 영역을 생성한 후, 해당 영역에 더이상 기록을 수행하지 않기 위해 영역을 클로즈(close)함에 있어서, 상기 영역내에 기록가능한 영역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을 특정데이터로 패딩(padding)하거나 또는 패딩(padding)하지 아니하고 클로즈를 수행하고, 상기 영역을 클로즈 한후에는, 디스크내의 관리영역에 상기 패딩(padding)에 의한 클로즈영역인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영역인지를 구분하는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또다른 기록방법은, 디스크가 로딩되면, 관리영역내에 기록된 디스크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정보로부터 디스크내에 클로즈된 복수의 영역이 패딩(padding)에 의한 클로즈영역인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영역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영역에 대해서는 패딩(padding)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는, 디스크내 특정영역에 기록을 위한 구분된 영역을 생성한 후 기록명령을 전달하고, 해당영역에 더이상 기록을 수행하지 않을시에는 해당영역을 클로즈(close)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클로즈명령을 수신한 후, 해당영역내에 기록가능한 영역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을 특정데이터로 패딩(padding)하거나 또는 패딩(padding)하지 아니하고 클로즈를 수행하고, 디스크내의 관리영역에 상기 패딩(padding)에 의한 클로즈영역인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영역인지를 구분하는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재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의 디스크 관리정보 기록방법 및 기록재생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1회 기록가능한 블루레이 디스크(BD-WO)의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두고자 한다.
관련하여 본발명의 설명에서 사용할(또는 사용된) "SRR"은 디스크내의 기록을 위해 구분된 영역을 의미하는 용어이고, "SRR정보(또는 SRRI)"는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통칭하여 적용하는 용어이며, "패딩(padding)"은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또는 기록재생부(도11, 10)의 자체판단으로 클로즈SRR내의 미기록영역을 정상적인 사용자 데이터가 아닌 더미데이터(dummy) 또는 제로(zero)값으로 기록해 두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또한, "세션(session)"은 상기 SRR이 적어도 하나이상으로 구성되고, 재생전용규격과의 호환성을 위해 SRR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 개념을 통칭하여 적용하는 용어임을 다시 한번 밝혀두고자 한다.
< SRR종류 & 세션종류 >
도2,3,4를 통해 본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크내의 SRR종류 및 세션종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SRR은 BD-WO에서는 기록을 위해 생성된 영역으로, 필요에 따라 또는 기록진행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그 종류를 정의가능한 바, 이하 본발명에서 새롭게 정의되는 SRR의 종류에 대해 도2,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a~도2d는 SRR중 오픈 SRR의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오픈(opened) SRR이란 해당영역에 기록이 가능한 SRR을 의미하며, 기록이 가능함은 "NWA(Next Writable Address)"정보를 가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오픈 SRR은 NWA정보를 가지는 SRR를 의미하고, NWA를 가지지 않고 기록이 불가능한 SRR은 클로즈(closed) SRR이라한다. 클로즈 SRR에 대해서는 도3a~도3e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2a는 오픈 SRR중 첫번째로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을 도시한 것으로, 항상 디스크의 최외주 구간 또는 최초 블랭크(blank) 디스크에서 형성되는 SRR로서 아직 기록이 수행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한다. 즉, 본 SRR은 시작위치(start address)만 정의되고 영역의 끝은 없으며, 아직 기록이 수행되지 않음에 따라 "LRA"도 "zero"값을 가지게 될 것이며, NWA는 시작위치(start address)와 동일한 값이 된다.
도2b는 오픈 SRR중 두번째로 인컴플릿-SRR (Incomplete SRR)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2a의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상태에서 일부 기록이 수행된 영역을 의미한다. 즉, 본 SRR은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과 마찬가지로 시작위치(start address)만 정의되고 영역의 끝은 없으나, 일부 기록이 수행됨에 따라 LRA는 정상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위치를 의미하고 따라서 NWA는 LRA의 다음위치에 해당하는 정보가 되는 경우이다.
도2c는 오픈 SRR중 세번째로 엠티-SRR (Empty SRR)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2a,도2b의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 및 인컴플릿-SRR (Incomplete SRR)과는 달리 디스크내의 최외주가 아닌 중간영역에서 기록을 위해 형성된 SRR을 의미한다. 즉, 호스트나 사용자가 기록을 위해 오픈 SRR을 형성한 후 아직 기록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되는 것으로, 시작위치(start address)와 마지막위치(End address)를 가지지만 아직 기록되기 전이므로, LRA는 zero가 될 것이며, NWA는 시작위치(start address)와 동일한 값이 된다.
도2d는 오픈 SRR중 마지막 네번째로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도2c의 엠티-SRR (Empty SRR)상태에서 일부 기록이 수행된 SRR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작위치(start address)와 마지막위치(End address)를 가지며, 일부 기록이 수행됨에 따라 LRA는 기록된 마지막 위치를 의미하고, NWA는 LRA의 다음위치에 해당하는 정보가 되는 경우이다.
상기 오픈 SRR들은 1회기록가능한 디스크에서는 관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그 갯수를 제한하였는 바, 예를들어 종래 도1과 같은 DVD-R의 오픈 RZone은 전영역에서 2개만이 존재가능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본발명의 BD-WO에서는 보다 효율적인 디스크사용을 위해 오픈 SRR의 갯수를 제한하지 않거나, 또는 충분히 활용가능하도록 최대 16개까지 존재가능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이는 결국 종래와는 상이한 관리정보의 기록방법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도3a~도3e는 SRR중 클로즈 SRR의 종류를 도시한 것이다. 클로즈 SRR이란 해당영역에 기록이 불가능한 SRR을 의미하며, 기록이 불가능 하다 함은 "NWA(Next Writable Address)"정보를 가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클로즈 SRR은 해당영역이 모두 기록완료되어 생성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나 호스트의 클로즈명령에 의해 해당영역에 기록가능한 영역이 남아 있더라도 강제적으로 클로즈 시키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3a는 클로즈 SRR중 첫번째로 엠티-SRR (Empty SRR)을 도시한 것으로, 도2c의 오픈 엠티-SRR (Empty SRR)상태에서, 기록없이 클로즈명령에 의해 클로즈된 SRR을 의미한다.따라서 도3a는 클로즈 엠티-SRR (Empty SRR)이 되고, 도2c는 오픈 엠티-SRR (Empty SRR)이 된다.
도3b는 클로즈 SRR중 두번째로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을 도시한 것으로, 도2d의 오픈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상태에서, 기록없이 클로즈명령에 의해 클로즈된 SRR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3b는 클로즈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이 되고, 도2d는 오픈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이 된다.
도3c는 클로즈 SRR중 세번째로 컴플릿-SRR (complete SRR)을 도시한 것으로, 해당 영역의 끝까지 정상적인 유저데이터 기록이 완료된 SRR을 의미한다. 이는 클로즈시에만 존재하는 SRR이다.
도3d는 클로즈 SRR중 네번째로 컴플릿-SRR (complete SRR)의 일종이나, 상기 도3a의 엠티-SRR (Empty SRR)을 클로즈시에 기록가능한 영역을 모두 특정 더미데이터나 제로(zero) 값으로 패딩(padding)한후에 클로즈된 SRR을 의미한다.
도3e는 클로즈 SRR중 마지막 다섯번째로 컴플릿-SRR (complete SRR)의 일종이나, 상기 도3b의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을 클로즈시에 기록가능한 영역을 모두 특정 더미데이터나 제로(zero) 값으로 패딩(padding)한후에 클로즈된 SRR을 의미한다.
즉, 본발명에서는 SRR의 종류를 결정함에 있어, 클로즈명령에 의해 오픈SRR이 클로즈SRR로 변경될때, 기록되지 않고 남아있는 영역을 패딩(padding)없이 클로즈하는 경우(도3a,도3b)와 패딩(padding)한후 클로즈하는 경우(도3d,도3e)를 구분하여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현재 블루레이 디스크의 경우는, BD-RE가 우선적으로 규격화됨에 따라, 미기록영역을 반드시 패딩(padding)하지 않아도 BD-ROM과 같은 동일계열의 재생전용 디스크와 호환이 가능하다는 점에 착안된 것으로, 기록재생장치(도14)가 패딩(padding)여부를 선택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됨에 따라 기록재생장치(도14)의 설계에 자유도가 더 보장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패딩(padding)시는 기록재생장치(도14)내의 기록재생부(도14, 10)가 자동으로 특정데이터를 기록해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반드시 제어부(도14, 20)로부터 특정데이터를 전달받아 패딩 (padding)하는 경우의 시간적 문제를 해결하는 것도 가능해 진다.
도4a~도4g는 상기 복수종류의 SRR이 디스크내에 형성되는 단계를 예를들어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세션(session)"종류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발명에서 세션의 종류는 3가지가 있으며, 첫째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만으로 이루어진 엠티-세션(Empty session), 둘째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을 제외한 적어도 하나이상의 오픈 SRR을 가지고 있는 인컴플릿-세션 (Incomplete session), 세째는 클로즈 SRR만으로 이루어진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으로 나누어진다. 세션에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SRR이 존재하며, 세션클로즈 명령에 의해 인컴플릿-세션 (Incomplete session)이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으로 변경된다.
도4a는 제1단계로서, 디스크가 최초 블랭크(blank) 디스크로서 디스크 전영역에서 기록가능한 상태를 의미하고, 화살표로 표시된 부분은 "NWA"위치를 가리키는 바, 디스크의 처음위치가 NWA가 되고, 이상태는 디스크에 하나의 SRR만이 존재하고 이는 도2a와 같은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이 된다. 따라서 세션은 엠티-세션(Empty session) 하나만이 존재하는 디스크 초기 상태이다.
도4b는 제2단계로서, 상기 블랭크(blank) 디스크에 일부 기록을 완료하였으나 아직 세션클로즈를 하지 않은 경우로, 이상태는 디스크에 하나의 SRR만이 존재하고 이는 도2b와 같은 인컴플릿-SRR (Incomplete SRR)이 되고, 세션은 인컴플릿-세션 (Incomplete session) 하나만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도4c는 제3단계로서, 상기 제2단계에서 세션클로즈명령을 수행한 경우의 상태이다. 세션클로즈 명령에 의해 기존에 데이터가 기록된영역이 독립된 클로즈SRR로 분리되고, 새로운 세션이 생성되게 된다. 즉, 제2단계에서 기록완료된 부분은 컴플릿-SRR (complete SRR)이되고 , 해당영역은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1)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미기록상태로 남은 영역은 도2a와 같이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이되고, 동영역은 엠티-세션(Empty session)이 된다.
도4d는 제4단계로서, 새로운 기록을 위하여 2개의 오픈 SRR을 생성(reserve)한 경우의 상태이다. 따라서 새로 생성된 오픈 SRR은 각각 엠티-SRR (Empty SRR)이되고 NWA를 가진다. 또한 세션은 엠티-세션(Empty session)에서 인컴플릿-세션 (Incomplete session)으로 변경된다.
도4e는 제5단계로서, 도4d의 상태에서 첫번째 엠티-SRR (Empty SRR)과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에 데이터를 기록완료한 상태를 보여준다. 따라서, 첫번째 엠티-SRR (Empty SRR)은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로 변경되고,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은 인컴플릿-SRR (Incomplete SRR)으로 변경된다.
도4f는 제6-1단계로서, 도4e의 상태에서 세션클로즈명령을 수행하되 미기록된 영역을 패딩(padding)하지 않고 클로즈한 한 경우의 상태이다. 세션클로즈 명령에 의해 기존에 데이터가 기록된영역이 독립된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2)으로 되고,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2)에 포함되는 SRR은 모두 클로즈 SRR로 변경되게 된다. 즉,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2)내에는 클로즈SRR로서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 #2)과 엠티-SRR (Empty SRR #3)과 컴플릿-SRR (complete SRR #4)이 생성되게 된다. 나머지 최외주 SRR은 오픈 SRR로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 #5)이 되고, 세션은 엠티-세션 (Empty session #3)이 된다.
도4g는 제6-2단계로서, 도4e의 상태에서 세션클로즈명령을 수행하되 미기록된 영역을 패딩(padding)하고 클로즈한 한 경우의 상태이다. 세션클로즈 명령에 의해 기존에 데이터가 기록된영역이 독립된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2)으로 되고,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2)에 포함되는 SRR은 모두 클로즈 SRR로 변경되게 된다. 즉,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2)내에는 패딩(padding)을 수행한 결과 3가지 종류의 컴플릿-SRR (complete SRR)이 생성되는 바, 순서대로 보면 오픈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로부터 패딩(padding)후 클로즈 SRR로 변경된 컴플릿-SRR (complete SRR #2)과 오픈 엠티-SRR (Empty SRR)로부터 패딩(padding)후 클로즈 SRR로 변경된 컴플릿-SRR (complete SRR #3)과 실제 사용자 데이터가 정상기록되어 클로즈 SRR로 변경된 컴플릿-SRR (complete SRR #4)이 생성되게 된다. 나머지 최외주 SRR은 오픈 SRR로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 #5)이 되고, 세션은 엠티-세션 (Empty session #3)이 된다.
즉, 본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SRR을 클로즈시킬때 패딩(padding)여부에 따라 상기 도4f 또는 도4g와 같이 서로다른 종류의 SRR이 생성되게 되고, 따라서 정확한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상기 정의된 SRR종류를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SRR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 광디스크 구조 및 SRR정보 구조 (SRRI Strucrure) >
도5는 본발명이 적용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디스크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해 구체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5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는 하나의 기록층을 가진 싱글레이어(single layer) 디스크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으로, 우선 물리적 결함관리를 위해 결함영역을 대체기록하기 위한 스페어영역 (ISA0/OSA0)과, 결함영역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임시 결함관리영역 (Temporary Defect Management Area 이하 'TDMA' 라 한다)이 필요함을 알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경우에는 한정된 크기의 결함관리영역(Defect Management Area 이하 'DMA' 라 한다)만 구비해도 얼마든지 이 영역에 쓰고 지움을 반복할 수 있기에 많은 크기의 DMA가 필요치 않으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경우에는 한번 기록된 영역은 다시 기록을 위해 사용할 수 없으므로 결함관리를 위해서는 더 큰 크기의 관리영역이 필요하게 되고,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를 더 이상 기록하지 않을 경우에는 최종적인 TDMA의 정보를 DMA로 옮겨 기록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를 DMA와 구별하여 TDMA(Temporary DMA)로 명명한 것이다.
도3에서 TDMA는 2가지 종류가 존재함을 보여주는 바, 첫째는 리드인영역에 고정된 크기로 할당되는 PTDMA0 (Primary TDMA)와 둘째는 아우터스페어영역(OSA0)에 스페어영역의 크기와 연동된 크기로 할당되는 ATDMA0 (Additional TDMA)가 있고, ATDMA0의 크기(P)는 예를들면 P= (N*256)/4 으로서 전체 아우터스페어영역 (OSA0)크기의 약1/4이 적당하다 할것이다.
각각의 PTDMA0, ATDMA0 에는 임시결함리스트정보(Temporary Defect List 이하 "TDFL"이라 한다)와 임시디스크정의구조(Temporary Disc Definition Structure 이하 'TDDS'라 한다)정보가 하나의 기록단위(BD-WO의 경우 1클러스터)로 기록되거나 (TDFL + TDDS), SRR정보와 TDDS가 또다른 기록단위로 기록될 수 있다 (SRRI + TDDS).
여기서, TDFL은 데이터영역내에 결함영역이 발생되면 이를 스페어영역으로 대체하는 과정이 수행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결함영역리스트로서 관리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결함영역리스트의 크기에 따라 1~4클러스터의 크기로 작성한다. SRR정보는 디스크의 특정영역이 기록 또는 미기록 여부를 알려주는 정보로서 특히, 디스크가 연속기록방식일때에 적용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TDDS는 1클러스터내에 32개 섹터중 마지막 섹터에 작성되며 이에는 디스크의 일반관리 및 결함관리를 위한 중요한 정보들이 기록되어 있어 TDMA내에서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할때마다 항상 마지막에 기록되게 된다.
본발명은 BD-WO와 같은 새로운 고밀도 광디스크에 적용되는 디스크 기록상태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상태 정보로서 SRR정보를 이용하고 본발명에서 정의한 도2a~도3e와 같은 다양한 SRR종류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도3의 하단부로부터 알수 있는 본발명의 SRR정보(SRRI)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SRR정보는 크게 3가지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SRR정보임을 인식가능하게 하는 헤더(Header)와, SRR정보를 표시하는 SRR엔트리 리스트(List of SRR entries)와, SRR정보의 종료를 알려주는 종료표시부(SRR List Terminator) 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Header)는 SRR정보내의 선두에 위치하며, SRR정보임을 인식가능하게 하는 "SRRI Structure identifier"필드외에도 해당 SRR정보내에 존재하는 오픈 SRR의 위치를 알려주는 "List of opened SRR"필드, 전체SRR의 갯수를 알려주는 "Number of SRR entries"필드와 오픈SRR의 갯수를 알려주는 "Number of opened SRR"필드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직접적인 SRR엔트리 리스트를 읽기 이전에 전체적인 SRR정보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헤더(Header)에는 상기 필드외에도 필요한 정보들을 새로이 정의하여 구격화하는 것도 가능하며, 후술할 SRR종류정보(SRR Status; 이하 "Status"라고도 한다)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List of opened SRR"필드는 불필요 할 수도 있다.
헤더(Header) 다음에는 SRR엔트리 리스트를 기록하고, SRR엔트리 리스트가 끝나면 SRR종료표시부로서 SRR정보의 종료를 표시하게 된다. 특히 SRR종료표시부는 상기 SRR정보가 가변적인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 해당 SRR정보의 종료지점을 알려주는 정보로서 의미가 있다 할 것이다.
따라서 디스크 관리정보로서, SRR정보는 헤더(Header)와 SRR엔트리 리스트(List)와 SRR 종료표시부(Termintor)로 구성되며 이들 정보들이 업데이트시마다 모두 일괄되어 기록된다 할것이다.
이하 SRR엔트리 리스트(List)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RR엔트리 리스트(List)는 복수의 SRR엔트리가 모여 리스트화 된 것을 의미하며, 하나의 SRR엔트리는 8바이트(bytes)씩 할당하여, 디스크내의 하나의 SRR에 대한 정보를 표현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SRR엔트리(entry)는 해당SRR의 종류정보(Status)와, 해당SRR의 첫번째 어드레스정보(Start address of SRR), 해당SRR에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어드레스정보(LRA of SRR)로 구성되어 진다.
또한 SRR의 종류를 표시하는 정보(Status)는 본발명에서 정의된 SRR의 종류를 구분하는 정보로서 사용되는 바, 이하 SRR종류정보를 포함하는 SRR엔트리 (entry)를 기록하는 다양한 방법을 도6부터 도13b까지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SRR엔트리 구조 (SRR entry Structure) >
도6은 본발명에 의한 SRR엔트리를 작성하는 제1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4비트의 SRR종류정보(Status)를 이용하여 상기 도2a~도3e까지의 9가지 경우의 SRR종류를 모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단, 도3d 와 도3e는 모두 패딩(padding)에 의한 컴플릿-SRR (complete SRR)을 표시하는 것으로 하나의 종류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선두 4비트의 SRR종류정보(Status)가 "0000b"이면 오픈 SRR로서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을 의미하고(도2a), "0001b"이면 오픈 SRR로서 인컴플릿-SRR (Incomplete SRR)을 의미하고(도2b), "0010b"이면 오픈 SRR로서 엠티-SRR (Empty SRR)을 의미하고(도2c), "0011b"이면 오픈 SRR로서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를 의미하고(도2d), "0100b"이면 클로즈 SRR로서 엠티-SRR (Empty SRR)을 의미하고(도3a), "0101b"이면 클로즈 SRR로서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을 의미하고(도3b), "0110b"이면 클로즈 SRR로서 컴플릿-SRR (complete SRR)을 의미하되 미기록영역을 패딩(padding)한 경우를 의미하고(도3d,도3e), "0111b"이면 클로즈 SRR로서 컴플릿-SRR (complete SRR)을 의미하되 미기록영역을 패딩(padding)하지 않은 경우(도3c)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해 둔다.
또한 다음번 28비트는 해당SRR의 첫번째 어드레스정보(Start address)를 기록하는 필드로 각 SRR의 시작위치에 대한 어드레스를 기록하되, 일반적으로 이를 "PSN(Physical Sector Number)"으로 하여 표시한다.
또한 다음번 4비트는 여유영역(reserved area)로 남겨두어 향후 규격변동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마지막 28비트는 해당SRR에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어드레스정보(LRA)를 기록하는 필드로서, 각 SRR에서 실질적으로 기록된 사용자 데이터(패딩데이터는 제외)의 마지막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록해 둔다. 즉, 컴플릿-SRR (complete SRR)의 경우는 LRA와 SRR의 마지막 위치(end address)가 일치할 것이나,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의 경우는 LRA와 SRR의 마지막 위치(end address)가 일치하지 않으며, LRA가 SRR영역의 중간에 파셜레코더(Partially recorded)된 영역까지의 위치를 의미하게 되고, 엠티-SRR (Empty SRR)의 경우는 실제 사용자데이터기록된 영역이 없으므로 LRA는 "zero"값으로 대체될 것이다.
도7a와 도7b는 본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SRR엔트리 작성방법에 근거하여 SRR종류정보(Status)를 기록한 경우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7a는 도4f의 경우이고(without padding), 도7b는 도4g의 경우를(with padding) 예로 하였다.
도7a에서 생성된 5개의 SRR은 순서대로 각각 #1 ~ #5 으로 "SRR Number"를 정의해두었으며, 도6의 실시예에 의할때, SRR #1은 패딩(padding)없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11b"가 되고, SRR #2는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로 "Status"는 "0101b"가 되고, SRR #3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 엠티-SRR (Empty SRR)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4는 패딩(padding)없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11b"가 되고, SRR #5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로 "Status"는 "0000b"가 됨을 알 수 있다.
도7b에도 상기와 같이 생성된 5개의 SRR은 순서대로 각각 #1 ~ #5 으로 "SRR Number"를 정의해두었으며, 도6의 실시예에 의할때, SRR #1은 패딩(padding)없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11b"가 되고, SRR #2는 패딩(padding)있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10b"가 되고, SRR #3도 패딩(padding)있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10b"가 되고, SRR #4는 패딩(padding)없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11b"가 되고, SRR #5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로 "Status"는 "0000b"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SRR종류정보(Status)를 정의해 둠에 따라, 발생가능한 모든 SRR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고, 특히 클로즈SRR의 경우에 패딩(padding)유무에 의한 것까지도 구분가능함에 따라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할 것이다.
도8은 본발명에 의한 SRR 엔트리를 작성하는 제2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오픈SRR과 클로즈SRR을 구분하되, 클로즈SRR의 경우는 패딩(padding)유무에 따라 다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RR엔트리의 기본구조는 도6의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SRR종류정보(Status)에 대해서 설명하면, SRR엔트리내의 선두 4비트의 SRR종류정보(Status)가 "0000b"이면 모든 오픈 SRR를 의미하고(도2a~도2d), "0010b"이면 클로즈 SRR로서 패딩(padding)이 없는 엠티-SRR (Empty SRR)과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를 의미하고(도3a,도3b), "0100b"이면 컴플릿-SRR (complete SRR)을 의미하되, 이에는 실제 데이터가 모두 기록된 도3c의 경우와 패딩(padding)에 의해 기록완료된 도3d,도3e의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상기와 같이 간략하게 SRR종류정보(Status)를 정의할 수 있는 이유는 SRR엔트리내에는 또다른 정보로서 "LRA" 및 "Start address" 정보가 있으므로, 예를들어 "Status = 0100b"로서 같은 컴플릿-SRR (complete SRR)을 의미한다고 하더라도, 도3c,도3d,도3e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LRA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므로 이로부터 이들 SRR을 다시 구분이 가능해 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3b와 도3d의 경우를 비교해보면 LRA의 위치가 동일한 클로즈 SRR이므로, 이경우는 LRA를 통한 식별이 어렵게 되므로, 결국 클로즈SRR의 경우는 SRR종류정보(Status)를 통해 패딩 (padding)에 따른 SRR종류를 구별할 필요가 생기게 된다.(도3a와 도3e도 마찬가지임).
도9a와 도9b는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SRR엔트리 작성방법에 근거하여 SRR종류정보(Status)를 기록한 경우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9a는 도4f의 경우이고(without padding), 도9b는 도4g의 경우를(with padding) 예로 하였다.
도9a에서 생성된 5개의 SRR은 순서대로 각각 #1 ~ #5 로 "SRR Number"를 정의해두었으며, 도8의 제2실시예에 의할때, SRR #1은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2는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로 "Status"는 "0010b"가 되고, SRR #3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 엠티-SRR (Empty SRR)로 "Status"는 "0010b"가 되고, SRR #4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5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로 "Status"는 오픈 SRR을 의미하는 "0000b"가 됨을 알 수 있다.
도9b에도 상기와 같이 생성된 5개의 SRR은 순서대로 각각 #1 ~ #5 으로 "SRR Number"를 정의해두었으며, 도8의 제2실시예에 의할때, SRR #1은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2는 패딩(padding)있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3도 패딩(padding)있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4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5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로 "Status"는 오픈 SRR을 의미하는 "0000b"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실시예와 같이 SRR종류정보(Status)를 정의해 두어도, SRR엔트리내의 "LRA" 및 "Start address" 정보를 참조하여, 발생가능한 모든 SRR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도10은 본발명에 의한 SRR엔트리를 작성하는 제3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4비트의 SRR종류정보(Status)를 이용하여 상기 도2a~도3e까지의 9가지 경우의 SRR종류를 모두 표시하는 것은 물론 세션정보까지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3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에 세션정보를 포함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선두 4비트의 SRR종류정보(Status)를 두부분으로 구분하여, 선두 비트는 세션의 시작SRR을 의미하는 세션플래그(session flag: 이하 "S-flag"라고도 한다)정보로 정의해두고, 나머지 3비트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SRR의 종류를 구별하는 정보로 활용하는 것이다.
즉, SRR종류정보(Status)필드의 선두 1비트(S-flag)가 "1b"이면 해당 SRR은 세션의 시작SRR임을 의미하고, "0b"이면 해당 SRR은 세션의 시작SRR이 아닌 다른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해둔다.
또한, SRR종류정보(Status)필드의 나머지 3비트가 "000b"이면 오픈 SRR로서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을 의미하고(도2a), "001b"이면 오픈 SRR로서 인컴플릿-SRR (Incomplete SRR)을 의미하고(도2b), "010b"이면 오픈 SRR로서 엠티-SRR (Empty SRR)을 의미하고(도2c), "011b"이면 오픈 SRR로서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를 의미하고(도2d), "100b"이면 클로즈 SRR로서 엠티-SRR (Empty SRR)을 의미하고(도3a), "101b"이면 클로즈 SRR로서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을 의미하고(도3b), "110b"이면 클로즈 SRR로서 컴플릿-SRR (complete SRR)을 의미하되 미기록영역을 패딩(padding)한 경우를 의미하고(도3d,도3e), "111b"이면 클로즈 SRR로서 컴플릿-SRR (complete SRR)을 의미하되 미기록영역을 패딩(padding)하지 않은 경우(도3c)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해 둔다.
기타 SRR엔트리 나머지 영역은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11a와 도11b는 본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SRR엔트리 작성방법에 근거하여 SRR종류정보(Status)를 기록한 경우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11a는 도4f의 경우이고(without padding), 도11b는 도4g의 경우를(with padding) 예로 하였다.
도11a에서 생성된 5개의 SRR은 순서대로 각각 #1 ~ #5 으로 "SRR Number"를 정의해두었으며, 세션은 두개의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1, #2)과 하나의 엠티-세션 (Empty session #3)으로 구성된 경우이다. 도11의 제3실시예에 의할때, SRR #1은 패딩(padding)없는 컴플릿-SRR (complete SRR)이자 세션#1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111b"가 되고, SRR #2는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이자 세션#2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101b"가 되고, SRR #3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 엠티-SRR (Empty SRR)이며 세션#2의 시작SRR이 아니므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4는 패딩(padding)없는 컴플릿-SRR (complete SRR)이며 세션#2의 시작SRR이 아니므로 "Status"는 "0111b"가 되고, SRR #5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로 세션#3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000b"가 됨을 알 수 있다.
도11b에도 상기와 같이 생성된 5개의 SRR은 순서대로 각각 #1 ~ #5 으로 "SRR Number"를 정의해두었으며, 세션은 두개의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1, #2)과 하나의 엠티-세션 (Empty session #3)으로 구성된 경우이다. 도11의 제3실시예에 의할때, SRR #1은 패딩(padding)없는 컴플릿-SRR (complete SRR)이자 세션#1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111b"가 되고, SRR #2는 패딩(padding)있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세션#2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110b"가 되고, SRR #3는 패딩(padding)있는 컴플릿-SRR (complete SRR)이나 세션#2의 시작SRR이 아니므로 "Status"는 "0110b"가 되고, SRR #4는 패딩(padding)없는 컴플릿-SRR (complete SRR)이나 세션#2의 시작SRR이 아니므로 "Status"는 "0111b"가 되고, SRR #5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로 세션#3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000b"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SRR종류정보(Status)를 정의해 둠에 따라, 발생가능한 모든 SRR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 세션의 시작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더욱 더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할 것이다.
도12은 본발명에 의한 SRR 엔트리를 작성하는 제4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오픈SRR과 클로즈SRR을 구분함은 물론 세션정보까지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제4실시예는 상기 제2실시예의 경우에 세션정보를 포함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선두 4비트의 SRR종류정보(Status)를 두분분으로 구분하여, 선두 비트는 세션의 시작SRR을 의미하는 세션플래그(S-flag)정보로 정의해두고, 나머지 3비트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SRR의 종류를 구별하는 정보로 활용하는 것이다.
즉, SRR종류정보(Status)필드의 선두 1비트(S-flag)가 "1b"이면 해당 SRR은 세션의 시작SRR임을 의미하고, "0b"이면 해당 SRR은 세션의 시작SRR이 아닌 다른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해둔다.
또한, SRR종류정보(Status)필드의 나머지 3비트가 "000b"이면 모든 오픈 SRR를 의미하고(도2a~도2d), "010b"이면 클로즈 SRR로서 패딩(padding)이 없는 엠티-SRR (Empty SRR)과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를 의미하고(도3a,도3b), "100b"이면 컴플릿-SRR (complete SRR)을 의미하되, 이에는 실제 데이터가 모두 기록된 도3c의 경우와 패딩(padding)에 의해 기록완료된 도3d,도3e의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상기와 같이 3비트를 이용하여 모든 SRR종류를 구분가능한 이유는 SRR엔트리내의 다른 필드들("LRA", "Start address")과의 조합으로 가능해지며, 이에 대해서는 도10의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13a와 도13b는 본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SRR엔트리 작성방법에 근거하여 SRR종류정보(Status)를 기록한 경우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13a는 도4f의 경우이고(without padding), 도13b는 도4g의 경우를(with padding) 예로 하였다.
도13a에서 생성된 5개의 SRR은 순서대로 각각 #1 ~ #5 으로 "SRR Number"를 정의해두었으며, 세션은 두개의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1, #2)과 하나의 엠티-세션 (Empty session #3)으로 구성된 경우이다. 도12의 제4실시예에 의할때, SRR #1은 컴플릿-SRR (complete SRR)이자 세션#1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100b"가 되고, SRR #2는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 파셜레코더-SRR (Partially recorded SRR)로 세션#2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010b"가 되고, SRR #3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 엠티-SRR (Empty SRR)이나 세션#2의 시작SRR이 아니므로 "Status"는 "0010b"가 되고, SRR #4는 컴플릿-SRR (complete SRR)이나 세션#2의 시작SRR이 아니므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5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로 오픈 SRR이면서 세션#3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000b"가 됨을 알 수 있다.
도13b에도 상기와 같이 생성된 5개의 SRR은 순서대로 각각 #1 ~ #5 으로 "SRR Number"를 정의해두었으며, 세션은 두개의 컴플릿-세션 (complete session #1, #2)과 하나의 엠티-세션 (Empty session #3)으로 구성된 경우이다. 도12의 제4실시예에 의할때, SRR #1은 컴플릿-SRR (complete SRR)이자 세션#1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100b"가 되고, SRR #2는 패딩(padding)있는 컴플릿-SRR (complete SRR)이자 세션#2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100b"가 되고, SRR #3은 패딩(padding)있는 컴플릿-SRR (complete SRR)이나 세션#2의 시작SRR이 아니므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4는 컴플릿-SRR (complete SRR)로 세션#2의 시작SRR이 아니므로 "Status"는 "0100b"가 되고, SRR #5는 인비지블-SRR (Invisible SRR)로 오픈 SRR이면서 세션#3의 시작SRR이므로 "Status"는 "1000b"가 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제4실시예와 같이 SRR종류정보(Status)를 정의해 두어도, SRR엔트리의 "LRA" 및 "Start address" 정보를 참조하여, 발생가능한 모든 SRR의 종류를 구분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세션의 시작위치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더욱 더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할 것이다.
도14는 본발명이 적용되는 광디스크에서의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록재생장치는 광디스크에 기록재생을 수행하는 기록재생부(10)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20)로 구성된다. 제어부(20)는 기록재생부(10)로 특정영역에의 기록 또는 재생 명령을 내리고, 기록재생부(10)는 제어부(20)의 명령에 따라 특정영역에의 기록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기록재생부(10)는 구체적으로는,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와 (12), 광디스크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기록하거나 재생하는 픽업부와(11), 픽업부로터 재생신호를 수신하여 원하는 신호값으로 복원해내거나, 기록될 신호를 광디스크에 기록되는 신호로 변조(modulation)하여 전달하는 데이터-프로세서(13)와, 광디스크로부터 정확히 신호를 독출해내거나, 광디스크에 신호를 정확히 기록하기위해 픽업부(11)를 제어하는 서보부(14)와, 관리정보를 포함한 여러정보 및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기록재생부내의 구성요소들의 제어를 담당하는 마이컴(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발명에 의한 광디스크의 기록재생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광디스크가 기록재생장치내로 로딩되면, 해당 광디스크내의 기설정된 관리영역, 예를들어 임시결함관리영역(TDMA)내에 기록되어진 최신의 디스크 관리정보로서 SRR정보를 독출하고, 아울러 상기 SRR정보내에 기록된 SRR헤더(Header)와 SRR엔트리(entry)를 독출하여 기록재생부(10)내의 메모리(15)에 일시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저장된 SRR정보내에는 최신의 디스크 기록상태가 표시되어 있는 바, 특히 SRR종류정보 (Status)와 각 SRR내의 마지막 기록된 데이터정보(LRA)로부터 디스크 전영역의 기록 또는 미기록상태와 특정 세션의 존재 및 위치를 확인가능하게 되어, 이를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시 활용하게 된다.
즉, SRR정보로부터 마이컴(16)은 디스크내에 존재하는 SRR종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확인된 오픈 SRR로부터는 기록가능한 위치(NWA)를 알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인된 클로즈SRR로부터는 패딩(padding)이 있는 경우인지, 없는 경우인지도 확인가능 하게 되어, 이로부터 패딩(padding)이 없이 클로즈되었다면, 해당 영역을 패딩(padding)하므로 사용되지 않는 영역을 클리어(clear)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어부(20)의 클로즈 명령에 의해 SRR을 클로즈시키는 경우에도 패딩(padding)후 클로즈 할 것인지, 패딩(padding)없이 클로즈 할 것인지를 마이컴(16)은 선택할 수 있으며, 설계자에 따라서는 상기의 경우 제어부(20)의 패딩(padding)명령이 없어도 무조건 패딩(padding)후 클로즈하는 것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패딩(padding)에 의해 SRR종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해당 SRR엔트리내의 SRR종류정보(Status)를 변경기록해둠으로서 또 다른 기록재생장치가 이러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기록재생부(10)에 의한 "Automatic padding function"이라고 명명할 수도 있으며, 기록재생부(10)는 제어부(20)의 패딩(padding)명령에 의한 더미데이터(dummy data)를 전달받아 패딩(padding)하는 경우보다 시간상의 장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과 같은 SRR종류의 정의와 이에따른 SRR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이 구비됨에 따라, 기록재생장치를 생산하는 설계자의 입장에서는 원하는 성능을 가진 다양한 방식의 기록재생장치 설계가 가능해 진다 할 것이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은,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새로운 SRR종류 및 세션종류를 정의하고, 아울러 SRR의 종류를 구분하는 식별정보와 세션을 구분하는 식별정보를 SRR정보내에 기록해 둠으로서, 결국 전체적으로는 새로운 물리적 구조를 가지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에서도 그 관리정보의 효과적인 기록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할 것이다.
도1은 종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의 디스크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2a 부터 도2d는 본발명이 적용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오픈(opened) SRR종류에 대해 도시한 것이고,
도3a 부터 도3e는 본발명이 적용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클로즈(closed) SRR종류에 대해 도시한 것이고,
도4a 부터 도4g는 본발명이 적용되는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의 SRR과 세션(session)이 발생되는 단계를 예를들어 도시한 것이고,
도5은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전체구조 및 디스크 관리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SRR엔트리(entry)를 기록하는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7a와 도7b는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제1실시예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8은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SRR엔트리(entry)를 기록하는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9a와 도9b는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제2실시예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0은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SRR엔트리(entry)를 기록하는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1a와 도11b는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제3실시예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2는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SRR엔트리(entry)를 기록하는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3a와 도13b는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서 제4실시예를 적용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14는 본발명의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 도면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0 : 기록재생부 20 : 제어부
16 : 마이컴 15 : 메모리

Claims (20)

  1.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SRR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SRR정보내에 SRR정보임을 인식가능하게 하는 헤더(Header)와, SRR의 종류를 식별하는 SRR종류정보(Status)가 포함되어 있는 SRR엔트리 리스트(List)와, SRR정보의 종료를 표시하는 종료표시부 (Terminator)로 구분하여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RR엔트리 리스트(List)는 하나의 SRR에 대응하는 하나의 SRR엔트리(entry)로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SRR종류정보는 각각의 SRR엔트리(entry)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SRR종류정보는 해당 SRR이 오픈(opened) SRR인지 클로즈(closed) SRR인지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클로즈 SRR인 경우에는 해당 SRR이 패딩(padding)에 의해 의해 클로즈되었는지, 패딩(padding)없이 클로즈되었는지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SRR종류정보에는 해당 SRR이 세션(session)의 시작 SRR임을 알려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SRR정보는 디스크내에 새로운 SRR이 생성되는 경우에 업데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SRR정보는 업데이트시마다 최소기록단위인 1클러스터에 임시디스크정의구조(TDDS)정보와 함께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9. 임시결함관리영역을 구비하고 임시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결함리스트정보와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SRR정보를 기록함에 있어서,
    상기 SRR정보내에는 해당SRR의 종류를 표시하는 SRR종류정보와, 해당SRR의 첫번째 어드레스를 알려주는 정보와, 해당SRR에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어드레스를 알려주는 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SRR종류정보는 해당 SRR이 오픈(opened) SRR인지 클로즈(closed) SRR인지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클로즈 SRR인 경우에는 해당 SRR이 패딩(padding)에 의해 클로즈 되었는지, 패딩(padding)없이 클로즈 되었는지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SRR종류정보에는 해당 SRR이 세션(session)의 시작 SRR임을 알려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13. 디스크의 특정영역에 임시 결함관리영역이 구비되고, 임시 결함관리영역내에는 임시결함리스트정보와 디스크의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SRR정보를 기록할수 있는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SRR정보내에는 해당SRR의 종류를 표시하는 SRR종류정보와, 해당SRR의 첫번째 어드레스를 알려주는 정보와, 해당SRR에 데이터가 기록된 마지막 어드레스를 알려주는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영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14. 제 13항에 있어서,
    SRR종류정보는 해당 SRR이 오픈(opened) SRR인지, 클로즈(closed) SRR인지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15. 제 14항에 있어서,
    클로즈 SRR인 경우에는 해당 SRR이 패딩(padding)에 의해 클로즈 되었는지, 패딩(padding)없이 클로즈 되었는지를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16. 제 13항에 있어서,
    SRR종류정보에는 해당 SRR이 세션(session)의 시작 SRR임을 알려주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17. 디스크내에 기록을 위한 구분된 영역을 생성한 후, 해당 영역에 더이상 기록을 수행하지 않기 위해 영역을 클로즈(close)함에 있어서,
    상기 영역내에 기록가능한 영역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을 특정데이터로 패딩(padding)하거나 또는 패딩(padding)하지 아니하고 클로즈를 수행하고,
    상기 영역을 클로즈 한후에는, 디스크내의 관리영역에 상기 패딩(padding)에 의한 클로즈영역인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영역인지를 구분하는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18. 디스크가 로딩되면, 관리영역내에 기록된 디스크 기록상태를 알려주는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정보로부터 디스크내에 클로즈된 복수의 영역이 패딩(padding)에 의한 클로즈영역인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영역인지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결과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영역에 대해서는 패딩(padding)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패딩(padding)수행 이후에는 해당영역에 대한 종류를 식별하는 정보를 변경기록하는 단계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의 기록방법.
  20. 디스크내 특정영역에 기록을 위한 구분된 영역을 생성한 후 기록명령을 전달하고, 해당영역에 더이상 기록을 수행하지 않을시에는 해당영역을 클로즈(close)하라는 명령을 전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클로즈명령을 수신한 후, 해당영역내에 기록가능한 영역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해당 영역을 특정데이터로 패딩(padding)하거나 또는 패딩(padding)하지 아니하고 클로즈를 수행하고, 디스크내의 관리영역에 상기 패딩(padding)에 의한 클로즈영역인지, 패딩(padding)없는 클로즈영역인지를 구분하는 식별정보를 기록하는 기록재생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의 기록재생장치.
KR1020030062379A 2003-07-14 2003-09-06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KR200500267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79A KR20050026757A (ko) 2003-09-06 2003-09-06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BRPI0412556-8A BRPI0412556A (pt) 2003-07-14 2004-07-09 meio fìsico de gravação, método e aparelho para gravar informação de gerenciamento no mesmo
MXPA06000588A MXPA06000588A (es) 2003-07-14 2004-07-09 Disco optico de escritura unica, metodo y aparato para grabar informacion de administracion en el disco optico de escritura unica.
KR1020067000909A KR101049135B1 (ko) 2003-07-14 2004-07-09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있어서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CN200910128274.8A CN101521035B (zh) 2003-07-14 2004-07-09 一次写入光盘、在一次写入光盘上记录管理信息的方法和装置
CA2532371A CA2532371C (en) 2003-07-14 2004-07-09 Write-once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PCT/KR2004/001700 WO2005006314A1 (en) 2003-07-14 2004-07-09 Write-once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JP2006520114A JP4750027B2 (ja) 2003-07-14 2004-07-09 追記型光ディスク、追記型光ディスクにおける管理情報の記録方法並びに装置
EP04748404A EP1644920B1 (en) 2003-07-14 2004-07-09 Write-once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EP09156887A EP2096641A3 (en) 2003-07-14 2004-07-09 Write-once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RU2006104550/28A RU2355047C2 (ru) 2003-07-14 2004-07-09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на него информации управления
ES04748404T ES2325441T3 (es) 2003-07-14 2004-07-09 Disco optico grabable una sola vez, metodo y aparato para grabar informacion de gestion en un disco optico grabable una sola vez.
AU2004256684A AU2004256684B2 (en) 2003-07-14 2004-07-09 Write-once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DE602004020992T DE602004020992D1 (de) 2003-07-14 2004-07-09 Einmalbeschreibbarer optischer datenträg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zeichnen von verwaltungsinformationen auf einem einmalbeschreibbaren optischen datenträger
AT04748404T ATE430976T1 (de) 2003-07-14 2004-07-09 Einmalbeschreibbarer optischer datenträg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zeichnen von verwaltungsinformationen auf einem einmalbeschreibbaren optischen datenträger
US10/887,905 US7372792B2 (en) 2003-07-14 2004-07-12 Write-once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TW093121023A TWI279780B (en) 2003-07-14 2004-07-14 Write-once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US12/060,735 US7542389B2 (en) 2003-07-14 2008-04-01 Write-once optical dis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management information on write-once optical disc
JP2009190943A JP4786736B2 (ja) 2003-07-14 2009-08-20 追記型光ディスク、追記型光ディスクにおける管理情報の記録方法ならび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379A KR20050026757A (ko) 2003-09-06 2003-09-06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6757A true KR20050026757A (ko) 2005-03-16

Family

ID=3738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379A KR20050026757A (ko) 2003-07-14 2003-09-06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675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9135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있어서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및 장치
RU2353007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с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ью,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информации управления на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с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ью
KR101041817B1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있어서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및 기록장치
RU2361295C2 (ru) Оптический диск однократной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на нем управляющей информации
KR20050026757A (ko)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KR20050025450A (ko)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KR101019473B1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디스크정보 기록방법
KR101003423B1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디스크정보 기록방법
KR100976473B1 (ko)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디스크정보 기록방법
KR20050008141A (ko)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KR20050035452A (ko)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기록방법과기록재생장치
KR20050015381A (ko) 1회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및 광디스크의 관리정보 기록방법
KR20050111047A (ko) 1회 기록 가능한 광디스크 관리정보 기록방법과 이를이용한 광디스크 기록재생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