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560A -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 Google Patents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560A
KR20050025560A KR1020040013920A KR20040013920A KR20050025560A KR 20050025560 A KR20050025560 A KR 20050025560A KR 1020040013920 A KR1020040013920 A KR 1020040013920A KR 20040013920 A KR20040013920 A KR 20040013920A KR 20050025560 A KR20050025560 A KR 20050025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pair
body housing
locker
commun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17740B1 (en
Inventor
김재식
김홍배
김준
박인곤
이창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917,97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50054397A1/en
Priority to EP04021057A priority patent/EP1513323A1/en
Priority to CNA2004100687852A priority patent/CN1595943A/en
Publication of KR2005002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5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740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A sliding-up type mobi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its locking unit are provided to enhance users' convenience by continuously exposing one portion of a display unit and selectively exposing the other remaining portion, and protect a camera lens when not used. A main body housing(10) includes the first display region visually exposed at its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display region disposed to be connected with the first display region and exposed or covered according to closing or opening. A sliding cover(20) is slidably moved in a direction of being closed to the main body housing(10) or becoming distanced from the main body housing(10) in order to close/open the second display region(111). Holding parts, which includes a pair of first protrusions, a pair of first recesses, a pair of second protrusions and a pair of second recesses, are formed at each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10) and the sliding cover(20) and hold a final coupling position of the sliding cover(20).

Description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및 그 락킹 장치{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셀룰러 폰(cellular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HHP(Hand Held Phone) 등을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라이딩-업 타입의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cellular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nd-held phones (HHP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s of the sliding-up type.

통상적인 개념의 "휴대용 통신 장치"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상대방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성을 고려하여 소형화, 슬림화, 그립화 및 경량화되어가는 추세에 있으며, 보다 다양한 기능을 추구할 수 있는 멀티 미디어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점점 추후의 휴대용 단말기는 소형화, 경량화, 다기능, 다목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다양한 멀티 미디어 환경이나 인터넷 환경에 적응되도록 변형될 것이다. 아울러,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 세계 어디에서도 통용되는 전자 장치로서, 항시 휴대하고 다녀야 할 필수품으로 인식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The ter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of a conventional concept refers to an electronic device that a user can carry out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unterpart while carrying. Such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trending toward miniaturization, slimness, grip, and light weigh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and are moving toward a multi-mediaization direction to pursue more various functions. In particular, more and more portable terminals will be used for miniaturization, light weight, multifunction, and versatility, and will be modified to adapt to various multimedia environments or the Internet environment.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is an electronic device commonly used anywhere in the world, men and women, and is being recognized as a necessity to carry around at all times.

보편화된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관상으로 여러 타입으로 분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통신 장치는 외형에 따라서 바-형(bar-type), 플립-형(flip-type) 또는 폴더-형(folder-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된다. 바-형 통신 장치는 단일 하우징이 바-형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고, 플립-형 통신 장치는 바-형의 하우징에 힌지장치에 의해 플립이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의미하며, 폴더-형 통신 장치는 단일의 바-형 하우징에 폴더가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접는 방식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arious types in appearance. For examp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re classified as bar-type, flip-type, or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s depending on their appearance. The bar-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single housing is configured as a bar-type, the flip-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flip is rotatably configured by the hinge device in the bar-type housing, the folder-type communication device is It is meant that the folder in a single bar-shaped housing is configured to be rotatably connected and folded by a hinge device.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신체 착용 위치 또는 착용 방식에 따라서 목걸이-형(neck wearable-type) 또는 손목착용-형(wrist-type)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목걸이-형 통신 장치는 끈을 이용하여 단말기를 목에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하고, 손목착용-형 통신 장치는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는 휴대 방식을 의미한다.In additio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may be classified into either a neck wearable type or a wrist wear type according to a wearable position or a manner of wearing. A necklace-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neck using a string, and a wrist-wear type communication device refers to a portable method of wearing a terminal around a wrist.

또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개폐 방식에 따라서 회전-형(rotation-type) 또는 슬라이딩-형(sliding-type) 통신 장치로 분류되기도 한다. 회전-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마주보면서 대면한 상태를 계속 유지한 채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개폐되는 것을 의미하고, 슬라이딩-형 통신 장치는 두 개의 하우징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열거된 다양하게 분류된 통신 장치는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rotation-type or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e rotation-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and opened while remaining facing each other, and the sliding-type communication device means that the two housings ar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means. The variously classified communication devices listed above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아울러,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는 음성 통신 기능 이외에 고속의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구조로 변환되고 가고 있다. 즉, 소비자의 욕구가 증대됨에 따라서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In additio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es are being converted into structures capable of communicating high-speed data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functions. That is, as the needs of consumers increase, the service will be provid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high speed data.

현재에는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채용되어져서 영상 신호 등의 전송이 이루어져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보편화된 휴대용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 모듈을 외장형이나 내장형으로 구비하여 상대방과의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Currently, camera lenses have been adopted in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nd transmission of video signals and the like has been mad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gener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have been equipped with a camera lens module as an external type or a built-in type to perform a video call with a counterpart or photograph a desired subject.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통신 장치 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에서 채용된 카메라 렌즈는 항시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서 이물질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기 어려운 구조였다. 따라서, 종래의 통신 장치는 카메라 렌즈가 더렵혀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통신 장치는 자주 오래 사용하다 보면, 슬라이딩 동작이 원할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However, among the conventional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the camera lens employed in the sliding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s always been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so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Therefore,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camera lens is dirty.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mmunication device has a problem that the sliding operation is undesired if used frequently for a long tim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홀딩 수단을 이용하여 슬라이딩 결합 및 분리 동작이 정확해진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sliding engagement and detachment operations are accurate by using holding mean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이동 유무에 따라서 그의 일부 영역이 노출되거나 숨겨지는 표시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display device in which a partial region thereof is exposed or hidden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that can facilitate sliding movement of a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by configuring a locking device unit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a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cover. .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그의 상면에 항시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과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개폐 유무에 따라서 노출되거나 숨겨지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A main body housing hav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which is always visibl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display area which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display area and exposed or hidden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커버; 및 A sliding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second display area by slidingly moving in a direction closer to or farther from the body housing; And

상기 본체 하우징과 슬라이딩 커버의 후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 최종 결합 위치를 잡아주는 홀딩 수단으로 구성된다. It is formed on the rear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sliding cover is composed of holding means for holding the sliding movement final coupling position of the sliding cover.

또한,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그의 상면에 항시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과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개폐 유무에 따라서 노출되거나 숨겨지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A main body housing hav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which is always visibl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display area which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display area and exposed or hidden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커버;A sliding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second display area by slidingly moving in a direction closer to or farther from the body housing;

상기 슬라이딩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 및Guide means coupled to the sliding cover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housing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in the body housing; And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수단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한쌍의 락킹 장치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t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air of locking device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uide means.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슬라이딩-업 타입의 통신 장치이다. 언급된 "슬라이딩-업(sliding-up)"이란 슬라이딩 커버(20)(sliding cover)가 본체 하우징(10)(body housing)에서 위로 자동,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올라가는 방식으로 열리는 것을 의미하며, 자동, 수동 또는 반 자동으로 올려진 슬라이딩 커버(20)를 본체 하우징(10)에 잠입시킬 수 있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 커버(20)는 본체 하우징(10)의 소정 영역을 외부로 노출시키거나 숨길 수 있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슬라이딩-업은 달리 표현하면, "팝-업(pop-up)"으로 표기할 수도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는 자동, 수동 또는 반자동으로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언급된 자동은 공지의 모터가 이용된다.As shown in Figs. 1 to 5, a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liding-up type communication device. By referring to "sliding-up" it is meant that the sliding cover 20 is opened in an automatic, manual or semi-automatic way up from the body housing 10. Means a way that the sliding cover 20, which is manually or semi-automatically raised, can be immersed in the body housing 10. At this time, the sliding cover 20 is responsible for exposing or hiding a predetermined area of the main body housing 10 to the outside. In other words, the sliding-up may be referred to as "pop-up". As mentioned abov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liding cover 20 can be configured automatically, manually or semi-automatically. The motor mentioned is used a known motor.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는 그의 상면(10a)에 장착되어 그의 일부 영역이 개폐 유무에 따라서 노출되거나 숨겨지는 표시 장치(110,111)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10)과,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슬라이딩 커버(20)와, 상기 본체 하우징(10)과 슬라이딩 커버(20)의 각각의 후면(10b,20b)에 형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정확하게 잡아주는 홀딩 수단(holding means)으로 구성된다.Th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0) having display devices (110, 111) mounted on an upper surface (10a) of which a part thereof is exposed or hidden in accordance with opening / closing thereof, and the main body housing (10). Sliding cover 20 and the sliding cover 20 in the direction of moving closer or farther away, and formed on the rear surface (10b, 20b)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the sliding cover 20,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cover 20 It consists of holding means that hold it accurately.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그의 상면(10a)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112)와, 상기 제1키 어레이(112)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마이크 장치(114)와, 그의 측면(10b)에 대칭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2키 어레이(11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10)은 항시 가시적으로 노출되어서 디스플레이된 데이터를 항시 확인할 수 있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110)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110)과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의 이동 유무에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인출되어 가시적으로 노출되거나 잠입되어서 숨겨지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111)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를 구비한다. The body housing 10 includes a first key array 112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on an upper surface 10a thereof, a microphone device 114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key array 112, and It consists of a second key array 116 disposed symmetrically spaced apart on the side surface 10b. In addition, the main body housing 10 is always exposed to the first display area 110 that can be always visible to check the displayed data, and the first display area 110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sliding cover 20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second display area 111 that is drawn out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is hidden by being exposed or immersed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ce or absence of movement.

이 때, 상기 제1,2디스플레이 영역(110,111)을 보면,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110)에 항시 확인해야 하는 표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111)은 항시 확인할 수 있는 표시 정보 보다 선택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표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when looking at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110 and 111, it is preferable that display information that should always be checked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area 110.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information to be selectively checked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area 111 rather than the display information that can be always checked.

상기 표시 장치(110,111)는 공지의 엘씨디 모듈(LCD module)이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또는 홀로그램 스크린(hologram screen)이 채용될 수 있다. 언급된 홀로그램 스크린은 2차원이나 3차원 홀로그램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10 or 111 may be a known LCD module, a touch screen, or a hologram screen. The hologram screen mentioned may consist of a two-dimensional or three-dimensional hologram screen.

이 때,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표시 장치는 두 개의 제1,2디스플레이 영역(110,111)으로 구분되어진다. 상기 제1,2디스플레이 영역(110,111)은 슬라이딩 유무에 관계없이 항시 노출되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110)과, 상기 슬라이딩 이동에 관계하여 선택적으로 노출되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111)을 지칭한다. 물론, 상기 제1,2디스플레이 영역(110,111)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의 개폐 유무에 관계하여 한 개의 표시 장치를 두 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였을 뿐이다.In this case, as mentioned above, the display device is divided into two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110 and 111.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regions 110 and 111 refer to the first display region 110 which is always exposed regardless of sliding, and the second display region 111 that is selectively exposed in relation to the sliding movement. Of course,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areas 110 and 111 merely divide one display device into two areas in relation to whether the sliding cover 20 is opened or closed.

상기 슬라이딩 커버(20)는 그의 상면(20a)에 스피커 장치(210)가 배치된다.The speaker cover 21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20a of the sliding cover 20.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10c)에 영상 통화나 원하는 피사체 촬영을 위하여 카메라 렌즈(118)가 장착된다. 상기 카메라 렌즈(118)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의 슬라이딩 이동 유무에 따라서 가시적으로 노출되거나 숨겨져서 보호된다. 즉, 상기 슬라이딩 커버(20)는 상기 카메라 렌즈(118)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In addition, the camera lens 118 is mounted on the lower surface 10c of the main body housing for video communication or photographing a desired subject. The camera lens 118 is visually exposed or hidden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cover 20 is protected. That is, the sliding cover 20 is responsible for protecting the camera lens 118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결합 위치를 정확하게 잡아주는 홀딩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의 최종 결합 위치를 소정의 거리 이내에서 정확히 잡아주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의 하면(20b)에 상기 슬라이딩 결합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돌기(132,134)와, 상기 제1돌기(132,134)의 양측방으로 위치하여 상기 슬라이딩 분리 방향으로 움푹 패인 한 쌍의 제1홈(144,146)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10c)에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돌기(136,138)와, 상기 한 쌍의 제2돌기(136,138)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상기 슬라이딩 분리 방향으로 움푹 패인(recessed) 한 쌍의 제2홈(140,142)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5, the holding means for accurately holding the sliding engagement 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o accurately hold the final coupling position of the sliding cover 2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liding cover 20 A pair of first protrusions 132 and 134 extending in the sliding engagement direction on the lower surface 20b of the bottom surface and a pair of first recesses disposed in both sides of the first protrusions 132 and 134 and recessed in the sliding separation direction. The grooves 144 and 146,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136 and 138 extending in the sliding engagement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10c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136 and 138 in the facing directions, respectively. It consists of a pair of second grooves 140 and 142 recessed in the sliding separation direction.

상기 한 쌍의 제1돌기(132,134)는 상기 한 쌍의 제2홈(140,142)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돌기(136,138)는 상기 한 쌍의 제1홈(144,146)에 결합된다. 물론, 상기 한 쌍의 제1돌기(132,134)와 제2홈(140,142)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2돌기(136,138)와 상기 한 쌍의 제1홈(144,146)은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제1돌기(132,134)와 상기 한 쌍의 제2돌기(136,138)와 상기 한 쌍의 제1홈(144,146)과, 상기 한 쌍의 제2홈(140,142)은 라운딩 형상으로 곡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132,134)와 상기 제2홈(140,142)은 모서리부에 라운딩 형상이 제공된다.The pair of first protrusions 132 and 134 are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grooves 140 and 142, and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136 and 138 are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grooves 144 and 146. Of course, the pair of first protrusions 132 and 134 and the second grooves 140 and 142 ar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136 and 138 and the pair of first grooves 144 and 146 are formed. It is composed of shap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pair of first protrusions 132 and 134, the pair of second protrusions 136 and 138, the pair of first grooves 144 and 146, and the pair of second grooves 140 and 142 are curved in a round shape. The first protrusions 132 and 134 and the second grooves 140 and 142 are provided with rounded shapes at edges thereof.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본체 하우징(10)과 슬라이딩 커버(20)의 슬라이딩 가이드 수단이 사이드 가이드 레일(120)(side guide rail) 구조로 구현된다. 도 3에 금속성 재질의 사이드 가이드 레일(120)이 보여진다. 상기 금속은 경량의 알루미늄 합금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communic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ing guide means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the sliding cover 20 is implemented in a side guide rail structure. 3 shows a side guide rail 120 of metallic material. The metal is preferably composed of a lightweight aluminum alloy.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6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5 as follows. .

도 6 및 도 9와 같이,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는 본체 하우징(10)과, 슬라이딩 커버(20)와, 가이드 수단(300)과, 한쌍의 락킹 장치부(4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6 and 9, the 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includes a main body housing 10, a sliding cover 20, a guide means 300, and a pair of locking device units 400. Is done.

이 상태에서,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는 한쌍의 버튼홀(14)이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버튼홀(14)내에 구비된 상기 락킹 장치부(400)의 버튼부(401)를 누르면, 상기 각각의 버튼부(401)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좌, 우 이동을 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S. 7 and 8, a pair of button holes 14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nd the locking device unit provided in the pair of button holes 14 is formed. When the button portion 401 of the 400 is pressed, the respective button portions 401 move left and right inside the main body housing 10.

이때, 도 9 및 도 10과 같이, 상기 버튼부(401)의 상,하부에는 상기 버튼홀(14)에 구비된 걸림턱(14a)에 걸려 상기 버튼홀(14)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쌍의 버튼측 걸림돌기(401a)가 형성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tton portion 401 are caught by the latching jaw 14a provided in the button hole 14 to prevent them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utton hole 14. A pair of button side locking projections 401a are formed.

이때,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상기 버튼부(401)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한쌍의 버튼부(401)를 누름에 따라서 좌, 우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302)의 락킹 돌기(302b)와 결합 및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쌍의 락커부(402)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각각의 버튼부(401)에 의해 상기 한쌍의 락커부(402)도 함께 좌, 우 이동한다.10 and 11, the locking protrusion 302b of the guide rail 302 is moved left and right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art 401 by pressing the pair of button parts 401. Since a pair of lockers 402 are provided to engage and disengage, the pair of lockers 402 also move left and right together by the respective button units 401.

이때,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한쌍의 락커부(402)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커홈(402a)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302)의 락킹 돌기(302b)가 이탈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302)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에서 멀어지는 길이방향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12 and 13, the locking protrusion 302b of the guide rail 302 is separated from the at least one locker groove 402a formed in the pair of locker portions 402,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rail 302 slides upward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housing 10.

이때,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와 결합된 가이드 수단(300)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수단(300)의 가이드 헤드부(301)에는 상기 슬라이딩 커버(20)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토션 스프링(303)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한쌍의 토션 스프링(30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12 and 13, guide means 300 coupled to the sliding cover 20 are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housing 10, and the guide head part 301 of the guide means 300. Since a pair of torsion springs 303 which provide an elastic force to slide the sliding cover 20 is provided, the sliding cover 20 is the body housing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air of torsion springs 303. It slides upward of 10.

여기서, 도 6과 같이, 상기 토션 스프링(303)의 일단(303a)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스프링 결합부(12)와 결합된다.Here, as shown in FIG. 6, one end 303a of the torsion spring 303 is coupled to the first spring coupling part 12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housing 10.

상기 토션 스프링(303)의 타일단(303b)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20)에 형성된 제 2 스프링 결합부(21)와 상기 가이드 헤드부(301)에 형성된 제 3 스프링 결합부(301a)와 함께 결합되어 상기 토션 스프링(303)의 탄성작용을 가능하도록 한다.The tile end 303b of the torsion spring 303 is coupled with the second spring coupling part 21 formed in the sliding cover 20 and the third spring coupling part 301a formed in the guide head part 301. To allow elasticity of the torsion spring 303.

이때,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락커부(402)의 일측면 중심부에는 상기 버튼 돌기(401b)의 끝단과 접촉되는 돌기 접촉부(402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튼부(401)를 누르면, 상기 돌기 접촉부(402b)가 좌, 우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락커부(402)도 함께 좌, 우 이동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4 and 15, because the projection contact portion 402b is forme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button projection (401b)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of the locker 402, when pressing the button portion 401 The protrusion contact part 402b moves left and right, and the locker part 402 also moves left and right together.

이때, 도 15와 같이, 한쌍의 락커부(402)의 내측에는 상기 락커부(402)의 좌, 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코일 스프링(403)이 구비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5, a pair of coil springs 403 are provided inside the pair of locker parts 402 to provide elastic force to move the locker part 402 to the left and right.

이때, 상기 한쌍의 코일 스프링(403)은 상기 락커부(402)의 타측면 중심부에 형성된 지지돌기(402c)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403)의 탄성작용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In this case, the pair of coil springs 403 are coupled to the support protrusion 402c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locker 402 to support the elastic action of the coil spring 403.

또한, 후술하는 한쌍의 안착부(15) 중심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403)과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홈(16a)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spring coupling groove 16a coupled to the coil spring 40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pair of seating portions 15 to be described later.

여기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각각의 락커부(402)를 안착시킴과 동시에 좌, 우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한쌍의 안착부(15)가 형성된다.Here, as shown in FIGS. 14 and 15, the pair of seating portions 15 may b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10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lockers 402 to provide a space to move left and right, respectively. ) Is formed.

상기 한쌍의 안착부(15)의 상, 하부에는 상기 각각의 락커부(402)에 형성된 상기 락커 가이드 홈(402e)과 결합되어 상기 각각의 락커부(402)를 가이드 하는 한쌍의 락커 가이드 레일(16)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락커부(402)가 좌, 우 이동하면 상기 락커 가이드 레일(16)을 따라서 상기 락커 가이드 홈(402e)이 이동한다.A pair of rocker guide rails coupled to the locker guide grooves 402e formed in the locker parts 402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seating parts 15 to guide the respective locker parts 402. Since the locker 402 moves left and right, the locker guide groove 402e moves along the locker guide rail 16.

이때, 도 12 및 도 15와 같이, 상기 각각의 락커부(402)가 상기 각각의 안착부(1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락커부(402)에 이탈방지돌기(402d)가 형성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402d)와 접촉되어 걸리도록 상기 락커 가이드 레일(16)의 일단에 락커 걸림턱(17)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2 and 15, the departure prevention projections (402d) are formed in the locker portion 402 to prevent the respective locker portion 402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15 The locker engaging jaw 17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cker guide rail 16 to be in contact with the release preventing protrusion 402d.

이때, 도 13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302)에는 상기 레일(302)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버튼부(401)의 버튼돌기와 관통되는 레일측 관통홀(302c)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튼부(401)를 누르면, 상기 버튼 돌기(401b)는 상기 레일측 관통홀(302c)을 관통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302)은 상기 레일측 관통홀(302c)을 따라서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guide rail 302 is provided with a rail side through hole 302c penetrating the button protrusion of the button part 40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302. When the button 401 is pressed, the button protrusion 401b passes through the rail side through hole 302c, and at the same time, the guide rail 302 extends along the rail side through hole 302c of the body housing 10. Sliding upwards.

이때, 도 13 및 도 15와 같이, 상기 한쌍의 가이드 레일(302)에는 상기 레일(302)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13)에 결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돌기(302a)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레일(302)이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돌기(302a)는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슬라이딩 홈(13)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3 and 15, the pair of guide rails 302 are coupled to the sliding groove 1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housing 10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rail 302, a pair of sliding projections Since the 302a is formed, the pair of sliding protrusions 302a slide along the sliding groove 13 of the body housing 10 so that the guide rail 302 can slide upward.

상기 슬라이딩 홈(13)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The sliding groove 13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housing 10.

상기 가이드 레일(302)의 락킹 돌기(302b)는 상기 슬라이딩 홈(13)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스톱퍼부(13a)와 결합되어 상기 레일(302)의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게 한다.The locking protrusion 302b of the guide rail 302 is coupled to the stopper portion 13a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groove 13 to stop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ail 302.

이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커버(20)가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제2디스플레이 영역(111)을 개폐시킨다.As such, the sliding cover 20 slides from the main housing 10 to open and close the second display area 111 of the main housing 10.

이때, 도 12와 같이, 다시 상기 슬라이딩 커버(20)를 원위치 시킬 경우 상기 슬라이딩 커버(20)를 상기 본체 하우징(10)으로 가깝게 하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2, when the sliding cover 20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sliding cover 20 is slidably moved downward toward the main body housing 10.

이때,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302)은 상기 본체 하우징(10)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11)내로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락커부(402)의 락커홈(402a)에 상기 레일(302)내측에 형성된 락킹 돌기(302b)가 걸려고정된다.14 and 15, the guide rails 302 are inserted into the guide holes 11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body housing 10, and at the same time, the locker grooves 402a of the locker part 402. The locking protrusion 302b formed inside the rail 302 is locked.

이때, 도 15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락킹 돌기(302b)의 상측면에는 상기 락커홈(402a)에 형성된 걸림턱(402f)에 걸리도록 돌기측 걸림면(303)이 형성되어 있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5,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locking projection 302b is formed with a projection side locking surface 303 to be caught by the locking projection (402f) formed in the locker groove (402a).

또한, 상기 슬라이딩 락킹 돌기(302b)의 하측면에는 상기 락커홈(402a)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304)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304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sliding locking protrusion 302b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locker groove 402a.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딩-업 타입으로 구성되어짐으로서, 표시 장치의 일부 영역은 항시 노출되고, 그 나머지 영역은 선택적으로 노출되어 짐으로써, 사용하기 편리한 이점을 달성하였고, 카메라 렌즈도 비 사용시에 항시 보호받을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동작이 보다 원할하게 수행되는 이점을 달성하였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들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표시 장치가 본체 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표시 장치가 슬라이딩 커버와 일체형으로 장착되어서 그와 함께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게 구성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sliding-up type, so that some areas of the display device are exposed at all times, and the remaining areas are selectively exposed, thereby achieving a user-friendly advantage. It can be protected at all times during non-us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chieved the advantage that the sliding operation is performed more smoothly. Meanwhil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eed not be limited to that the display device is mounted in the body housing,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mounted with the sliding cover to perform sliding movement therewith. shall.

또한, 본체 하우징에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락킹 장치부를 구성함으로써, 단말기의 슬라이딩 개폐을 용이하게 하여 단말기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a locking device for restraining or releas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cover in the main body housin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facilitate the slid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terminal to improve the use of th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우측에 보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shown on the right side of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를 좌측에서 보여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the left side.

도 3은 도 2에서 슬라이딩 하우징이 위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liding housing in an open state in FIG. 2;

도 4는 도 3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FIG. 3.

도 5는 도 3의 후면도.5 is a rear view of FIG. 3;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of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cking device of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의 구성 중 가이드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means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of a locking device of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를 나타내는 확대 분해사시도.10 is an enlarged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cking device of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의 구성 중 락커부를 나타내는 정면도.Fig. 1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locker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된 평면도.12 is a cutaway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operation of a locking device of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된 평면도.Fig. 13 is a cutaway plan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2의 A부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락킹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FIG. 1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A of FIG. 12, showing an enlarged plan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n operation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5는 도 12의 A부 확대 평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락킹 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FIG. 1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A of FIG. 12, showing an enlarged plan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the lock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the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그의 상면에 항시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과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개폐 유무에 따라서 노출되거나 숨겨지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A main body housing hav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which is always visibl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display area which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display area and exposed or hidden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커버; 및A sliding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second display area by slidingly moving in a direction closer to or farther from the body housing; And 상기 본체 하우징과 슬라이딩 커버의 후면에 형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의 슬라이딩 이동 최종 결합 위치를 잡아주는 홀딩 수단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And a holding mean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housing and the sliding cover to hold the sliding movement final engagement position of the sliding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은 그의 상면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제1키 어레이와, 상기 제1키 어레이와 이웃하게 배치되는 마이크 장치와, 그의 측면에 대칭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2키 어레이와, 그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의해 노출되거나 숨겨지는 카메라 렌즈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housing comprises: a first key array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microphone devic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key array; And a two-key array and a camera lens mounted on the bottom thereof and exposed or hidden by the sliding co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커버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sliding cover comprises a speaker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수단은 상기 슬라이딩 하우징의 최종 결합 위치를 소정의 거리 이내에서 정확히 잡아주기 위하여 설치된 것으로서,According to claim 1, The holding means is installed to accurately hold the final engagement position of the sliding hous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커버의 하면에 상기 슬라이딩 결합 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1돌기; A pair of first protrusions extending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in the sliding engagement direction; 상기 제1돌기의 양측방으로 상기 슬라이딩 분리 방향으로 패인 한 쌍의 제1홈;A pair of first grooves recessed in the sliding separation direction in both sides of the first protrusion; 상기 본체 하우징의 하면에서 상기 슬라이딩 결합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2돌기; 및A pair of second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housing in the sliding engagement direction; And 상기 한 쌍의 제2돌기의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상기 슬라이딩 분리 방향으로 패인 한 쌍의 제2홈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And a pair of second grooves each recessed in the sliding separation direction in an opposing direction of the pair of second proj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2돌기와 상기 한 쌍의 제1,2홈은 라운딩 형상으로 곡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돌기와 상기 제2홈은 모서리부에 라운딩 형상이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protrusions and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grooves are formed in a round shape with a round shape, and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second groove are provided with a rounded shape at a corner portion.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에 있어서,In the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그의 상면에 항시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제1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제1디스플레이 영역과 접한 상태로 배치되어 개폐 유무에 따라서 노출되거나 숨겨지는 제2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루어진 표시 장치를 구비하는 본체 하우징;A main body housing hav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display area which is always visible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a second display area which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irst display area and exposed or hidden depending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가깝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2디스플레이 영역을 개폐하는 슬라이딩 커버;A sliding cover which opens and closes the second display area by slidingly moving in a direction closer to or farther from the body housing; 상기 슬라이딩 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 수단; 및Guide means coupled to the sliding cover and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housing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in the body housing; And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수단의 슬라이딩 이동을 구속시키거나 해제시키는 한쌍의 락킹 장치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a pair of locking devic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to restrain or releas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guide mean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은, 상기 슬라이드 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는 가이드 헤드부와, According to claim 6, The guide means, The guide head portion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lide cover, 상기 가이드 헤드부의 양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홀내로 삽입되는 가이드 레일과,Guide rails formed at both ends of the guide head and inserted into guide holes form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housing; 상기 가이드 헤드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커버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And a pair of torsion springs provided in the guide head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slide the sliding cove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에는 상기 레일의 내측방향으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에 결합되는 한쌍의 슬라이딩 돌기가 형성되고,According to claim 7, Each of the guide rail is formed with a pair of sliding projections coupled to the slid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housing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rail,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돌기의 하측에는 한쌍의 슬라이딩 락킹 돌기가 형성되며, A pair of sliding locking protrusions are formed below the pair of sliding protrusions,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락킹 돌기의 하측에는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제공되어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 구비된 버튼부의 돌기를 관통시킴과 동시에 상기 레일을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레일측 관통홀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Under the pair of sliding locking projections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is provided with a rail side through hole for penetrating the projections of the butt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housing and at the same time to slide the rail Locking device for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락킹 돌기의 상측면에는 락커홈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도록 돌기측 걸림면이 형성되고,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projection locking sid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locking projection to be caught on the locking projection formed in the locker groove, 상기 슬라이딩 락킹 돌기의 하측면에는 각각의 락커부의 락커홈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면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liding locking projection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locker groove of each locker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제 1 스프링 결합부와 결합되고, 타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커버에 형성된 제 2 스프링 결합부와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제 3 스프링 결합부와 함께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coupled to the first spring coupling portion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housing, the tile end is a second spring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sliding cover and the third spring formed in the head portion Locking device of a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with the engaging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락킹 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락킹 돌기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고,According to claim 6,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is formed with sliding grooves coupled to the locking projections to guide the sliding projections to be slidable, 상기 슬라이딩 홈의 상부 끝단에는 상기 락킹 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멈추게하는 스톱퍼부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end of the sliding groove is further formed a stopper for stopping the sliding movement of the locking proj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락킹 장치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 대칭으로 구비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7. The lock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the pair of locking device units are provided symmetrically to the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락킹 장치부는,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 구비되는 한쌍의 버튼부와,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air of locking device unit, a pair of button portions provided on both sid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main body housing, 상기 버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한쌍의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좌, 우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의 락킹 돌기와 결합 및 이탈되는 한쌍의 락커부와,A pair of locker portions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utton portions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s of the guide rails by moving left and right according to pressing the pair of button portions; 상기 한쌍의 락커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락커부의 좌, 우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쌍의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pair of the locker por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coil springs to provide an elastic force to enabl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locker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에는 상기 한쌍의 버튼부를 누름에 따라서 좌, 우이동할 수 있도록 한쌍의 버튼홀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The locking device of claim 6, wherein a pair of button holes are further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main body housing so as to mov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pressing the pair of button part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의 상, 하부에는 상기 버튼홀에 구비된 걸림턱에 걸려 상기 본체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쌍의 버튼측 걸림돌기가 형성되고,15.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utton por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button side locking projections to preven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housing caught on the locking jaw provided in the button hole, 상기 버튼부의 내측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의 레일측 관통홀에 관통되는 버튼돌기가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And a button protrusion penetrating through the rail side through hole of the guide rail.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는, 상기 락커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의 슬라이딩 이동 및 버튼부의 누름에 따라서 상기 레일의 락킹 돌기와 걸리거나 이탈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커홈와,The locker unit of claim 13, wherein the locker unit comprises: at least one locker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locker unit and engaged or released from the locking protrusion of the rail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rail and the pressing of the button unit; 상기 락커부의 일측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버튼 돌기의 끝단과 접촉되는 돌기 접촉부와,A protrusion contact part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one side of the locker part and contacting an end of the button protrusion; 상기 락커부의 타측면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과 결합됨과 동시에 지지하는 지지돌기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The 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ther side of the locker por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projection coupled to the coil spring and at the same time support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부의 상, 하부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된 락커 걸림턱에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쌍의 이탈방지돌기가 형성되고,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cker portion is formed with a pair of anti-separation projections to prevent being caught off the locker engaging jaw formed in the body housing, 상기 각각의 이탈방지돌기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형성된 락커 가이드 레일과 결합되어 좌, 우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락커 가이드 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of the departure prevention projections is further formed with a locker guide groove coupled to the locker guide rail formed in the body housing to enable left and right movemen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의 양측면 소정 위치에는 상기 락커부를 안착시킴과 동시에 좌,우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한쌍의 안착부가 형성되고,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ousing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ating portions for seating the locker while providing a space for left and right movement, 상기 한쌍의 안착부의 상, 하부에는 상기 락커 가이드 홈과 결합되어 상기 락커부를 가이드 하는 한쌍의 락커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며,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air of seating portions are coupled to the locker guide grooves to form a pair of rocker guide rails to guide the locker portion. 상기 락커 가이드 레일의 일단에는 상기 락커부의 이탈방지돌기와 접촉되는 락커 걸림턱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One end of the locker guide rail is a locking device of the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er engaging jaw in contact with the release prevention projection of the locker portion is further forme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안착부 중심부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 결합되는 스프링 결합홈이 더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업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의 락킹 장치.19. The locking device of claim 18, wherein a spring coupling groove is further formed at a center of the pair of seating portions to engage the coil spring.
KR1020040013920A 2003-09-08 2004-03-02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1006177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17,970 US20050054397A1 (en) 2003-09-08 2004-08-13 Portable sliding-typ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EP04021057A EP1513323A1 (en) 2003-09-08 2004-09-03 Portable sliding-typ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CNA2004100687852A CN1595943A (en) 2003-09-08 2004-09-07 Portable sliding-typ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628 2003-09-08
KR20030062628 2003-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560A true KR20050025560A (en) 2005-03-14
KR100617740B1 KR100617740B1 (en) 2006-08-28

Family

ID=37383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920A KR100617740B1 (en) 2003-09-08 2004-03-02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7740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938B1 (en) * 2005-10-27 2007-05-11 주식회사 팬택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973791B1 (en) * 2008-04-22 2010-08-04 주식회사 다이아벨 Cellular Phone for auto Slide Hing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913A (en) * 1998-03-04 1999-10-05 윤종용 Sliding type mobile phone
JP2001245031A (en) * 2000-03-01 2001-09-07 Fuji Seiki Co Ltd Opening/closing mechanism of protective cover for portable telephone set and portable telephone se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7938B1 (en) * 2005-10-27 2007-05-11 주식회사 팬택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973791B1 (en) * 2008-04-22 2010-08-04 주식회사 다이아벨 Cellular Phone for auto Slide Hinge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7740B1 (en) 2006-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41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up/down keys
KR100704031B1 (en)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03495B1 (en) Bi-directional sliding-type portable phone
EP1513323A1 (en) Portable sliding-typ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100790088B1 (en) Sliding sw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678162B1 (en) Sliding and folding combin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575947B1 (en) Sliding sw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606004B1 (en) Double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689410B1 (en) Semi-automatic sliding device for sliding type mobile phone
KR100630102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ing pop up type keypad
KR100663550B1 (en) Folding tyoe portable telephone
KR20050100478A (en) Portable phone with automatic sliding pop-up type display unit
KR100640388B1 (en) Portable telephone with touch key
KR100617740B1 (en)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and locking apparatus thereof
KR100703510B1 (en) Sliding type portable device with optical zoom lens assembly
KR20070021723A (en) Sliding-type portable device with wide display area
KR101058654B1 (en) Two Way Sliding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KR100557067B1 (en) Sliding-up type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device using vertical side guide rail
KR100929104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0469855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499266B2 (en)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20060121483A (en) Sliding-type mobile phone
KR20060091986A (en) Portable apparatus with dual display unit
KR20050022158A (en) Port cover unit for electronic equipment
KR100678191B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