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5232A - Rack structure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 - Google Patents

Rack structure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5232A
KR20050025232A KR1020040050210A KR20040050210A KR20050025232A KR 20050025232 A KR20050025232 A KR 20050025232A KR 1020040050210 A KR1020040050210 A KR 1020040050210A KR 20040050210 A KR20040050210 A KR 20040050210A KR 20050025232 A KR20050025232 A KR 20050025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storage
shelf structure
storage case
storage c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09143B1 (en
Inventor
카츠마타사다하루
Original Assignee
텐마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마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텐마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25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2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9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9143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A rack assembly and a storage unit with a simple rack are provided to effectively utilize a dead space between storage cases. The storage unit(1) includes a rack assembly(10) disposed between storage cases(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rack assembly is horizontally installed between a pair of storage cases and upper storage cases. The storage unit includes a first member of a pipe type and a second member of a pipe ty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ember, in which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first member.

Description

선반구성체 및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RACK STRUCTURE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Rack structure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shelf {RACK STRUCTURE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

본 발명은 선반 구성체 및 간이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을 이용하여 선반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elf structure and a storage unit with a simple shel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suitable for forming a shelf using a space existing between a pair of storage cases.

반침이나 벽장(이하, '반침 등'이라 함) 등에는 의류나 소품 등을 수납한 수납 케이스를 넣는 곳이 있다. 이 경우, 수납 케이스 등에는 반침 등의 폭이나 높이에 맞추어서 옆으로 배열하거나 윗쪽으로 쌓아올려서 사용하기도 한다.Half-cups and cupboa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half-needles") are places where storage cases containing clothes and accessories are stored. In this case, the storage case or the like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or piled up in accordance with the width or height of the half needle.

이러한 종류의 수납 케이스로서 여러가지가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으며, 높이 방향으로 쌓아올리도록 연구된 것들도 있다 (예를 들면, 특개평 11-216027호 공보 (제 4 - 5 페이지, 도 1, 도 2) 참조).Various types of storage cases of this kind have been proposed and put into practical use, and some have been studied to b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216027 (pages 4 to 5, FIGS. 1 and 2). ).

그런데, 상기 수납 케이스를 반침 등에 넣었을 경우, 반침 등의 사이즈에 따라서는 수납 케이스를 가로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when the storage case is placed in a half needle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torage cases cannot b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half needle and the like.

즉, 반침 등에 적용하는 다다미 사이즈가 관서식이나 관동식으로 각각 다를 뿐 아니라 단지(團地)사이즈와 같은 특수한 사이즈 규격이 존재하므로, 수납 케이스를 가로 방향으로 정렬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높이 사이즈에 맞추어 상하 방향으로 쌓아올리는 것도 불가능한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수납 케이스를 반침 등에 넣었을 때, 수납 케이스와 그와 동일한 면위에 배치되는 또 다른 수납 케이스의 사이 뿐만 아니라 그 윗쪽에도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하여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the tatami size applied to the half needle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Kanto or Kanto, and there are special size standards such as the complex size. It was also impossible to stack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storage case is placed in a half needle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in that dead space occurs not only between the storage case and another storage case disposed on the same surface thereof, but also on the upper side thereof, so that the space cannot be effectively utiliz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수납 케이스와 수납 케이스의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해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확실하게 형성하여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선반 구성체 및 간이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even if a dead space occurs between the storage case and the storage case, the shelf structure and the simple shelf which can effectively utilize the dead space by reliably forming a shelf in the dead space. The object is to provide an attachment receiving uni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안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he following means.

제 1 항에 따른 발명은,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가설되어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구성체로서,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상기 한 쌍의 수납 케이스에 마련된 걸림부에 고정되는 피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is a shelf structure which is constructed between a pair of storage cases at interval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constitutes a shelf, and is provided in the pair of storage cases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hypothesiz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ught portion fixed to the engaging portion is provided.

제 2 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선반구성체를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elf structure described above can be freely extended or re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struction.

제 3 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선반구성체가,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으로 최대한 늘린 범위내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판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described shelf structure has a plurality of shelf plate member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maximum extens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talled.

제 4 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선반구성체가,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의 한 쪽 끝에 걸져지는 제 1 선반판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의 다른 한 쪽 끝에 걸쳐지는 제 2 선반판부재로 구성되며, 제 1 선반판부재와 제 2 선반판부재의 대향면이 상호 상하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shelf structure described above comprises a first shelf plate member which is caught at one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shelf plate member which is caught at the other end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first shelf plate member and the second shelf plate member may overlap each other vertically.

제 5 항에 따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간격으로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수납 케이스와, 이들 수납 케이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가설되는 상기 앞에서 기재된 선반구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comprising at least one pair of storage case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above-described shelf structure hypothesiz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se storage cases. Unit.

제 6 항에 따른 발명은, 상기 기재된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에서, 상기 한 쌍의 수납 케이스의 걸림부가 상기 선반구성체의 피걸림부를 고정할 때 해당 피걸림부를 충분히 감쌀 정도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in the storage unit with a simple shelf described above, the locking portions of the pair of storage cases are recessed to a depth sufficient to sufficiently cover the caught portions when the caught portions of the shelf structure are fixe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제 1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납 케이스에 선반구성체가 가설됨으로써 양 수납 케이스 사이에 선반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반침이나 벽장 드에 수납 케이스를 넣었을 때, 데드 스페이스가 생겨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용이하고 훌륭히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a shelf structure is installed in a pair of storage cases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each other so that a shelf can be formed between the storage cases. When a dead space occur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helf can be easily and wonderfully formed in the dead space.

제 2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서,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의 간격이 수납 케이스의 폭보다 좁거나 넓어도 선반구성체의 길이를 그 치수에 맞추어 조정함으로써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확실히 가설할 수 있어서, 선반을 훌륭히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2, it is possible to freely increase or decreas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torage cases is narrower or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torage cas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helf structure to its dimensions It can be hypothesized between the storage cases of the product, and there is an effect which can form a shelf wonderfully.

제 3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선반판부재가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접되게 배치되므로, 선반에 올려진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선반구성체로서의 기능을 훌륭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3, since the plurality of shelf board members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bjects placed on the shelf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and thus the function as the shelf structure can be excellently performed.

제 4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 1 선반판부재와 제 2 선반판부재가 상하로 겹쳐지므로, 선반에 올려진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어서, 선반구성체로서의 기능을 훌률히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since the first shelf plate member and the second shelf plate member are overlapped up and dow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bjects placed on the shelf fall, thereby effectively performing the function as a shelf structure There is.

제 5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납 케이스에 선반구성체가 가설됨으로써, 해당 선반구성체에 의해 양 수납 케이스 사이에 선반을 형성할 수 있어서, 반침이나 벽장 등에 수납 케이스를 넣었을 때 데드 스페이스가 생겨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가 있고, 따라서 한정된 공간 내에 수납 케이스를 넣음으로써 발생한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관동식, 관서식, 단지식 등의 다다미 사이즈의 공간 내부를 휼륭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공간 뿐만 아니라, 옷장 위의 공간도 훌륭히 활용할 수 있어서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의 이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5, the shelf structure is installed in a pair of storage case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a shelf can be formed between the storage cases by the shelf structure, and thus a half needle or a closet Even if a dead space is created when the storage case is placed on the back, a shelf can be easily formed in the dead space, and thus, the dead space generated by putting the storage case in a limited space can be effectively utilized. You can make good use of the tatami-size space on your back. In addition, the space above the closet as well as such a space can be excellently utilized, thereby maximizing the advantages of the storage unit with a simple shelf.

제 6 항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선반구성체의 길이 방향의 한쪽 끝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와, 다른 한쪽 끝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가 선반구성체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선반구성체를 늘리거나 줄여도 어느 선반판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수납 케이스 사이에 가설된 선반구성체가 상하 방향으로 항상 막고 있기 때문에 물건이 떨어질 염려가 없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쉽게 제거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가 한층 더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6, the shelf plate member that extends over one end of the shelf structure and the shelf plate member that extends over the other end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elf structure. There is no need to remove any shelf board member, and the shelf structure between the storage cases is always block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so there is no fear of falling objects, and it can be easily removed if necessary, making it more convenient to use. There is a repelling effect.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부터 도1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형태에 관한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낸 것이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1 to 13 show a simple shelf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는, 선반구성체(10)가 가장 하단에 설치된 좌측의 수납 케이스(2)와 이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우측으로 배치된 수납 케이스(2)의 사이에 걸쳐지면서 선반을 형성하게 되고, 또한 그 하단의 좌측 수납 케이스(2) 위에 겹쳐진 중간단의 수납 케이스(2)와 하단의 우측 수납 케이스(2) 위에 겹쳐진 중간단의 수납 케이스(2)의 사이에 마찬가지로 걸쳐지면서도 선반을 형성할 수가 있으며, 따라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의 사이나 그 윗단의 수납 케이스(2), (2)의 사이 등에 수평으로 각각 가설되어 있다. 도 1 에 있어서, 부호 S 는 반침의 기둥이다.As shown in FIG. 1, the storage unit 1 with the simple shelf of this embodiment has the storage case 2 of the left side in which the shelf structure 10 was installed in the lowest stage, and the storage arrange | positioned to the right at intervals in this and horizontal direction. The shelf is formed while being spanned between the cases 2, and the intermediate stage storage case 2 overlapped on the left storage case 2 at the lower end and the intermediate storage case 2 overlapped on the lower right storage case 2. A shelf can also be formed while being similarly stretched between the cases 2, and thus, between the pair of storage cases 2 and 2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 the storage cases 2 and 2 at the upper end thereof. Are horizontally arranged between each other. In FIG. 1, the code | symbol S is a half needle | pillar.

상기 선반구성체(10)는, 도 2 에 나타낸 화살표 X 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파이프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 1 부재(11)와 이 제 1 부재(11)보다 직경이 작고 여기에 한쪽 끝이 삽입된 파이프 모양의 제 2 부재(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즉, 선반 구성체(10)는 제 1 부재(11)의 한쪽 끝의 내측에 제 2 부재(12)의 한쪽 끝을 안쪽까지 삽입함으로써 전체 길이가 축소되는 한편 제 2 부재(12)의 한쪽 끝부분을 끌어냄으로써 전체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The shelf structure 10 is formed to extend or contract fre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by the arrow X shown in FIG. 2, and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member 11 and the first member 11 having a pipe shape. It is provided with the pipe-shaped 2nd member 12 in which the one end was inserted. That is, the shelf structure 10 reduces the overall length by inserting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12 to the inside of one end of the first member 11 to the inside while one end of the second member 12. By extending the overall length can be extended.

그리고, 이 선반구성체(10)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두 수납 케이스(2), (2)의 한 쪽 전후로 각각 가설되도록 2개를 사용한다.In addition, the shelf structure 10 uses two pieces so that each one of the two storage cases 2 and 2 arrange | position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installed before and after each.

선반구성체(10)를 구성하는 제 1 부재(11) 및 제 2 부재(12)에는 피걸림부(13), (14)가 각각 마련되며, 상기 피걸림부(13), (14)가 도 10 에 나타낸 수납 케이스(2)의 걸림부인 오목부(5)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피걸림부(13)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부(基部)(15)와 일체형으로 마련되며, 그 기부(15)가 제 1 부재(11)의 앞단에 끼워진다. 피걸림부(14)도 기부(16)와 일체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기부(16)가 제 2 부재(12)의 앞단에 끼워짐으로써 상호 대향하여 설치되게 된다. 이들 피걸림부(13), (14)는 모두 후크 모양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피걸림부(13), (14)를 "후크부(13)", "후크부(14)"라고 한다.The first member 11 and the second member 12 constituting the shelf structure 10 are provided with caught portions 13 and 14, respectively, and the caught portions 13 and 14 are shown in FIG. The recessed part 5 which is a locking part of the storage case 2 shown in FIG. The caught portion 13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15 as shown in FIG. 4, and the base 15 is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member 11. The caught portion 14 is also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base 16, and the base 16 is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member 12 so as to face each other. These caught parts 13 and 14 all have a hook shape. Hereinafter, the caught parts 13 and 14 are called "hook part 13" and "hook part 14".

한편, 걸림부인 오목부(5)는 수납 케이스(2)의 윗면 일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cessed part 5 which is a locking part, the upper part of the storage case 2 is formed in concave shape.

여기서, 수납 케이스(2)에 대해 아래와 같이 설명하도록 한다. 즉, 수납 케이스(2)는 의류, 소품류 등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 부터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케이스부(3)와 서랍부(4)를 구비하며, 이른바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케이스부(3)는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면쪽이 열리고 그 주위가 둘러싸인 4각의 통 모양이다. 서랍부(4)는 외부 케이스(3)에 수납가능한 크기이며 윗쪽이 개방된 사각 상자 모양이며, 외부 케이스부(3)에 정면으로 삽입되었을 때 도 7 ∼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전판(4a)이 외부 케이스부의 입구를 막도록 되어 있다.Here, the storage case 2 will be described below. That is, the storage case 2 is for storing clothes, small items, and the like. As shown in Figs. 6 to 11, the storage case 2 is provided with an outer case portion 3 and a drawer portion 4, and is constituted by a so-called drawer type. . As shown in FIG. 11, the outer case part 3 is a quadrangular tubular shape with the front side open and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surrounding it. The drawer section 4 is of a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outer case 3 and has a rectangular box shape with an open upper side, and the front plate 4a as shown in FIGS. 7 to 10 when inserted into the outer case section 3 in front. ) Is to block the entrance of the outer case portion.

외부 케이스부(3)는, 도 7 ∼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판(6) 주위를 따라 다리부(8)가 아래쪽을 향해 마련되며, 또한 윗면에는 도 6, 도 12,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부(8)를 삽입하는 삽입홈(9)이 주위를 따라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쪽의 수납 케이스(2) 위에 수납 케이스(2)를 쌓아 올릴 때,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의 삽입홈(9) 내에 수납 케이스(2)의 다리부(8)가 삽입됨으로써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에 수납 케이스(2)의 바닥판(6)이 겹쳐지며, 따라서 수납 케이스(2), (2)가 안정된 상태에서 높이 방향으로 쌓아지게 된다. 상기 수납 케이스(2)는 합성수지제 또는 천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합성수지제인 경우에는, 내부에 수납하고 있는 물건이 무엇인지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투명하게 내지는 반투명하게 해도 좋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미관을 좋게 하기 위해 채색하여도 좋다.As for the outer case part 3, as shown to FIGS. 7-9, the leg part 8 is provided downward along the periphery of the bottom plate 6, and the upper surface is shown in FIG. 6, FIG. 12, FIG. As shown, an insertion groove 9 for inserting the leg 8 is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For example, when the storage case 2 is piled up on one storage case 2, as shown in FIG. 1, it is accommodated in the insertion groove 9 of the storage case 2 as shown in FIG. By inserting the leg part 8 of the case 2, the bottom plate 6 of the storage case 2 overlaps the top plate 7 of the storage case 2, so that the storage cases 2, 2 are Stacked in the height direction in a stable state. The storage case 2 is made of synthetic resin or cloth. In the case of a synthetic resin, in order to be able to identify what is stored therein, it may be transparent or translucent,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colored to improve aesthetics.

이와 같은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에는 선반구성체(10)의 피걸림부를 고정하는 걸림부의 역할을 하는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5)는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의 양측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오목부(5)는 피걸림부를 고정했을 때 피걸림부의 윗면이 천장판(7)의 윗면에서 윗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천장판(7)과 대략 일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오목부(5)는 피걸림부(13), (14)의 높이에 상당하는 치수만큼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In the ceiling plate 7 of the storage case 2 is formed a recess 5 that serves as a locking portion for fixing the caught portion of the shelf structure 10. The recesses 5 are provided at both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ceiling plate 7 of the storage case 2, respectively. In this case, in the recessed part 5, when the caught part is fixed, the upper part of the caught part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eiling plate 7, but 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ceiling plate 7. Therefore, the recessed part 5 is formed concave by the dimension corresponded to the height of the to-be-engaged part 13 and 14. As shown in FIG.

한편, 선반구성체(10)에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부재(11)와 다른 쪽 부재(12)간에 걸쳐서 복수의 선반판부재(17)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helf structure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helf plate members 17 between the first member 11 and the other member 12.

선반판부재(17)는 소정 폭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의 판으로, 예를 들면 3개가 준비되어 있으며,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 사이가 가장 길게 연장되었을 때 각각 서로 접한 상태로 배열되며, 또한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느 정도 축소되었을 때 한 개를 빼고 다른 두 개만을 상호 연결한 상태로 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물건을 올려둘 수 있도록 선반판을 구성할 수 있다.The shelf plate member 17 is a rectangular plate which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three are prepared, for example, and as shown in FIG. 5, the longest member 11 and the second member 12 extend the longest. When each of them is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and when it is reduced to some extent, one can subtract one and use the other two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helf board can be placed. Can be configured.

선반판부재(17)의 주위에는 아랫쪽을 향하도록 장변측에 마련된 테두리부(17a) 및 단변측에 마련된 테두리부(17b)가 마련되어 있으며, 테두리부(17a)에는 제 1, 제 2 부재(11), (12)를 걸치기 위한 절개부(18)가 마련되어 있다.The circumference 17a provided in the long side and the rim 17b provided in the short side are provided around the shelf board member 17, and the 1st, 2nd member 11 is provided in the edge 17a. ) And (12) are provided with cutouts 18.

이러한 실시형태의 선반구성체(1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에는 그 처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Since the shelf structure 10 of this embodiment is comprised as mentioned above, the process is demonstrated next.

반침에 복수개의 수납 케이스(2)를 넣으려고 할 때, 반침의 폭방향 사이즈로 인해 수납 케이스(2)를,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3개를 나란히 놓지 못할 경우가 있는데, 그로 인해,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침의 좌측에 수납 케이스(2)를 넣음과 동시에 그 수납 케이스(2)와 간격을 두고 그 우측에 수납 케이스(2)를 배치했을 때, 양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더이상의 수납 케이스가 들어가지 않아서 양 수납 케이스 사이가 데드 스페이스가 되어버릴 우려가 있다.When the plurality of storage cases 2 are intended to be placed in the half needle, the storage case 2 may not be placed side by sid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due to the width direction size of the half needle. As shown in Fig. 2, when the storage case 2 is placed on the left side of the half-needle and the storage case 2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at a distance from the storage case 2, both storage cases 2 and 2 are provided. There may be a dead space between the two storage cases because no further storage case is inserted therebetween.

이러한 경우, 선반구성체(10)를 사용한다. 즉, 하단에 있는 좌측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의 우측 전방부의 오목부(5)에 선반구성체(10)의 제 1 부재(11)의 후크부(13)를 고정하는 한편, 그 제 1 부재(11)에 대해 제 2 부재(12)의 길이를 조정한 후, 그 제 2 부재(12)의 후크부(14)를 하단에 있는 우측 수납 케이스(2) 천장판(7)의 좌측 전방부의 오목부(5)에 고정하고, 또한 이 과정을 상기 쌍방의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 후방부에 존재하는 오목부(5)에 실시함으로써, 제 1 및 제 2 부재(11), (12)의 후크부(13), (14)를 고정시키고, 이에 따라 양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선반을 구성한다.In this case, the shelf structure 10 is used. In other words, the hook portion 13 of the first member 11 of the shelf structure 10 is fixed to the recess 5 of the right front portion of the top plate 7 of the left housing case 2 at the lower end thereof. Afte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2nd member 12 with respect to the 1st member 11, the left side of the right side storage case 2 top plate 7 with the hook part 14 of the 2nd member 12 at the lower end. It is fixed to the recessed part 5 of a front part, and this process is performed to the recessed part 5 which exists in the rear part of the ceiling plate 7 of the said storage case 2, and the 1st and 2nd member 11 is carried out. ), And the hook portions 13 and 14 of (12) are fixed, thereby forming a shelf between the two storage cases 2 and (2).

이 때, 선반구성체(10)의 제 1 부재(11)와 제 2 부재(12) 사이가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길이로 되었을 경우에는, 선반구성체(10) 각각에 선반판부재(17)를 3개 배열하고, 선반판부재(17)의 수를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적절한 길이의 선반을 구성할 수가 있다.At this time, when the length between the first member 11 and the second member 12 of the shelf structure 10 is the length as shown in FIG. 3, the shelf plate member 17 is attached to each shelf structure 10. FIG. By arranging three and changing the number of shelf board members 17 suitably, the shelf of a suitable length can be comprised.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는,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에 선반구성체(10)가 가설됨으로써, 양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선반구성체(10)에 의해 선반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반침이나 벽장 등에 수납 케이스를 넣었을 때 데드 스페이스가 생겨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쉽게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한정된 공간 내에 수납 케이스(2), (2)를 넣어서 발생한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용이하고 훌륭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helf structure 10 is installed in a pair of storage cases 2 and 2 which are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each other, whereby the shelf structure is formed between the two storage cases 2 and 2. Since the shelf can be formed by (10), even if a dead space is created when the storage case is placed in a half-needle or closet, the shelf can be easily formed in the dead space, and thus the storage case (2), (2) You can easily and nicely form a shelf in the dead space generated by putting the.

즉, 이러한 간이 선반 부착 유니트(1)에 따르면, 수납 케이스(2), (2)를 넣어서 생겨난 데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가 있다. 때문에, 관동식, 관서식, 단지식 등의 다다미 사이즈의 공간 내부를 훌륭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그러한 공간뿐 아니라 옷장 등의 윗공간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such a simple shelf-mounted unit 1, the dead space created by putting the storage cases 2 and 2 can be utilized effectively. Therefore, the interior of tatami-sized spaces such as Kanto, Kansai, and complex can be used well, and not only such space, but also the upper space such as a wardrobe can be fully utilized.

더구나,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가 수납 케이스(2), (2)의 오목부(5)에 고정되었을 때 오목부(5)가 후크부(13), (14)를 전부 감쌀 정도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케이스(2), (2)의 천장판(7)이 윗쪽으로 돌출하는 일도 없다. 때문에, 양 수납 케이스(2), (2)의 위에 다른 수납 케이스(2), (2)를 쌓아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윗단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도 마찬가지로 선반구성체(10)를 가설하여 또다른 선반을 형성할 수도 있어서 데드 스페이스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when the hooks 13 and 14 of the shelf structure 10 are fixed to the recesses 5 of the storage cases 2 and 2, the recesses 5 are hooks 13 and ( Since the recess 14 is formed to a depth enough to wrap all 14, the ceiling plates 7 of the storage cases 2 and 2 do not protrude upward. Therefore, not only can the other storage cases 2 and 2 be stacked on both storage cases 2 and 2, but also the shelf structure 10 is similarly arranged between the storage cases 2 and 2 at the upper end. Hypothesis can form another shelf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dead space.

또한, 선반구성체(10)를 그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서,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의 간격이 수납 케이스(2)의 폭보다 좁거나 넓어도 선반구성체(10)의 길이를 칫수에 맞게 조정하여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확실히 가설할 수 있어서 선반을 훌륭히 형성할 수가 있다.In addition, the shelf structure 10 can be freely extended or re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shelf structure (2) 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torage case (2), (2) is narrower or wider than the width of the storage case (2) The length of 10) can be adjusted to fit the dimensions so that it can be reliably installed between the pair of storage cases 2 and 2, so that the shelf can be formed well.

또한, 복수의 선반판부재(17)가 선반구성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선반에 배치되는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선반구성체(10)로서 훌륭히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shelf plate members 17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lf structure 10, the objects placed on the shelf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and thus, the shelf plate member 17 can function well as the shelf structure 10.

더구나, 선반구성체(10)를 축소시켜서 사용하는 경우, 선반판부재(17)는 그 길이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제 1, 제 2 부재(11), (12)에서 불필요한 것을 제거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착탈가능하므로 사용하기가 편리하다.In addition, when the shelf structure 10 is reduced in size, the shelf plate member 17 can be fre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first and second members 11 and 12 so as to remove unnecessary things. It is easy to use because it is possible.

도 1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낸 것이다.Fig. 14 shows a storage unit with a simple shelf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에 선반구성체(10)의 피걸림부인 후크부(13), (14)를 고정하기 위해, 삽입홈(9)과는 독립적으로 걸림부인 오목부(5)가 마련된 예를 나타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삽입홈(9)의 전후 위치에 상기 오목부(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order to fix the hook portions 13 and 14 which are the caught portions of the shelf structure 10 to the top plate 7 of the storage case 2, they are locked independently of the insertion groove 9. Although the example in which the female recessed part 5 was provided was shown, in this embodiment, the example in which the said recessed part 5 was integrally formed in the front-back position of the insertion groove 9 is shown.

즉,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홈(9)의 전후 위치에 삽입홈보다 더 깊이 오목부(5)를 각각 마련하고, 각각의 오목부(5)에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가 고정되어 선반을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수납 케이스(2) 위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수납 케이스(2)를 겹쳐올렸을 때 그 수납 케이스(2)의 다리부(8)가 후크부(13), (14) 위에 놓여지므로 상단의 수납 케이스(2)가 선반구성체(10)를 하단의 수납 케이스(2)에 눌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선반구성체(10)의 제 1 부재(11)에 마련된 후크부(13)의 시작부(13a)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한편, 수납 케이스의 천장판(7)의 양측에는 시작부(13a)를 지지할 수 있는 단차부(7a)가 마련되어 있다. 이 경우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선반구성체(10)의 제 2 부재(12)의 후크부(14)도 후크부(13)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14, recesses 5 are provided deeper than the insertion grooves in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insertion grooves 9, and the hook portions of the shelf structure 10 are formed in the respective recesses 5. 13) and (14) are fixed to form a shelf. And when the other storage case 2 is piled up on this storage case 2 as shown by the broken line, the leg part 8 of the storage case 2 is put on the hook parts 13 and 14, and the upper end is shown. The storage case 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ress and fix the shelf structure 10 to the storage case 2 at the bottom. Therefore, the start portion 13a of the hook portion 13 provided on the first member 11 of the shelf structure 10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le the start portion 13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iling plate 7 of the storage case. ) Is provided with a stepped portion 7a. In this case, although not shown, the hook portion 14 of the second member 12 of the shelf structure 10 is also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hook portion 13.

따라서, 이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하단의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선반구성체(10)가 걸쳐질 때, 그 위에 수납 케이스(2), (2)를 쌓아올리면 그 상단의 수납 케이스(2), (2)에 의해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를 누르게 되므로 선반구성체(10)가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간이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의 신뢰성을 높일 수가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shelf structure 10 i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storage cases 2 and 2 at the lower end, when the storage cases 2 and 2 are stacked thereon, Since the hooks 13 and 14 of the shelf structure 10 are pressed by the storage cases 2 and 2 of the shelf case 10, the shelf structure 1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so that the storage unit with a simple shelf 1 ) Reliability can be improved.

도 1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를 나타낸 것이다.Fig. 15 shows a simple shelf storage unit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경우, 수납 케이스(2)에 마련된 걸림부인 오목부(5)가 외부 케이스부(3)를 구성하는 천장판(7)의 벽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납 케이스(2)의 천장판(7)의 끝테두리(7a)가 측벽(3a)과 걸림 결합됨으로써 외부 케이스부(3)가 구성되며, 천장판(7)에서 끝테두리(7a)의 내측에 오목부(5)가 마련된다.In this case, the recessed part 5 which is a locking part provided in the storage case 2 is formed in the wall edge of the ceiling board 7 which comprises the outer case part 3. That is,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15, the outer edge part 3 is comprised by engaging the edge 7a of the top plate 7 of the storage case 2 with the side wall 3a, and the top plate 7 ), A recess 5 is provided inside the edge rim 7a.

그리고, 선반을 형성하기 위해 오목부(5)에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가 고정되는데, 이 수납 케이스(2) 위에 다른 수납 케이스(2)가 겹쳐졌을 때 그 상단의 수납 케이스(2)의 외부 케이스부(3)에 마련된 리브(3b)에 의해 후크부(13), (14)가 탈락하지 않게 누르도록 되어 있다. 때문에, 수납 케이스(2)의 외부 케이스(3)의 측벽(3a)에는 오목부(5)와 대응하는 위치에 리브(3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리브(3b)는 외부 케이스부(3)의 측벽(3a)에 하부부터 윗쪽으로 연장되는데 측벽(3a)의 높이 방향의 중간 위치까지여도 괜찮다.In addition, the hook portions 13 and 14 of the shelf structure 10 are fixed to the recesses 5 to form the shelf, when the other storage case 2 is superimposed on the storage case 2. The ribs 3b provided in the outer case portion 3 of the upper storage case 2 are pressed so that the hook portions 13 and 14 do not fall off. Therefore, the rib 3b is provided in the side wall 3a of the outer case 3 of the storage case 2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cessed part 5. The rib 3b extends from the bottom to the side wall 3a of the outer case part 3, but may be up to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ide wall 3a.

외부 케이스부(3)는, 바닥판(6)측에서 천장판(7) 방향으로 갈수록 약간이나마 점점 폭이 넓어지는 절구모양이다. 때문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외부 케이스부(3)에 넣어지는 서랍부(4)도 그에 대응하여 절구형으로 형성되어서 수납하기 쉽게 되어 있다.The outer case portion 3 is a mortar shape that gradually increases in width toward the top plate 7 from the bottom plate 6 side. Therefore, although not shown, the drawer portion 4 to be placed in the outer case portion 3 is also formed in a mortar shape to facilitate storage.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단의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선반구성체(10)가 걸쳐졌을 때, 그 위에 수납 케이스(2), (2)를 쌓아올리면 그 상단의 수납 케이스(2), (2)의 리브(3b)가 선반구성체(10)의 후크부(13), (14)를 누르게 되므로, 기본적으로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고, 또한 외부 케이스부(3)에 리브(3b)가 마련되면 그만큼 외부 케이스부(3)의 강도가 세지므로 수납 케이스(2)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생긴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shelf structure 10 is sandwiched between a pair of storage cases 2 and 2 at the bottom, the storage cases 2 and 2 are stacked thereon to store the upper end. Since the ribs 3b of the cases 2 and 2 press the hook portions 13 and 14 of the shelf structure 10, basically the same effect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obtained, and the external If the rib part 3b is provided in the case part 3, the intensity | strength of the outer case part 3 will become strong by that much, and the effect which can raise the rigidity of the storage case 2 will arise.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를 나타낸 것이다.Fig. 16 shows a simple shelf storage unit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선반구성체(10)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로서, 선반구성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2개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선반판부재(171), (172)가 있다. 이 경우, 제 1 선반판부재(171)와 제 2 선반판부재(172)는,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3 개를 이용하는 선반판부재(17)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선반구성체(10)를 늘리거나 줄여서 사용할 때, 예를 들면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늘리거나 혹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소해서 사용했을 경우에도 제 1, 제 2 선반판부재(171), (172)의 상호 대향하는 단부가 서로 겹쳐지도록 되어 있다. 이들 쌍방의 선반판부재(171)의 테두리부(도시하지 않음) 및 선반판부재(172)의 테두리부(172a)에는 선반구성체(10)에 걸치는 절개부(18)가 마련되어 있다.In this embodiment, as the shelf board member which spans the above-mentioned shelf structure 10, there are two first and second shelf plate members 171 and 17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lf structure 10. . In this case, the 1st shelf board member 171 and the 2nd shelf board member 172 are formed wider than the shelf board member 17 which uses three like the 1st Embodiment. For example, when the shelf structure 10 is used to increase or decrease, even when the shelf structure 10 is used as it is shown in FIG. 3 or as it is reduced in size as shown in FIG. 5, the first and second shelf plate members ( The mutually opposing ends of 171 and 172 overlap each other. The cutout portion 18 covering the shelf structure 10 is provided at the edge portion (not shown) of the shelf plate member 171 and the edge portion 172a of the shelf plate member 172.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선반구성체(1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끝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171)과, 다른 한쪽 끝에 걸쳐지는 선반판부재(172)는 선반구성체(10)에 자유롭게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선반구성체(10)가 늘어나거나 줄어들어도 어느 한 쪽의 선반판부재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가설된 선반구성체(10)를 상하로 연결할 필요가 없이 항상 막을 수 있으므로, 물건이 낙하할 우려가 없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탈착이 손쉽게 되므로 사용하기에 한층 더 편리해졌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elf plate member 171 spanning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elf structure 10 and the shelf plate member 172 spanning the other end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helf structure 10. Therefore, even if the shelf structure 10 increases or decreases, there is no need to remove either shelf plate member, and the shelf structure 10 installed between the storage cases 2 and 2 needs to be connected up and down. There is no risk of falling, because it can always be blocked. However, it is more 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easy to remove and, if necessary.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를 나타낸 것이다.Fig. 18 shows a simple shelf storage unit 1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반구성체(10)는 판체(17a)의 양끝에 후크부(13) 및 후크부(14)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구성된 것으로, 바꿔말하면 상술한 실시형태의 선반판부재와 각 후크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도 선반을 훌륭히 형성할 수가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helf structure 10 is constituted by providing the hook portion 13 and the hook portion 14 at each end of the plate body 17a, in other words, the shelf plate member and each hook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ddition is formed in one piece. Also in the said embodiment, a shelf can be formed splendidly.

또한, 이상과 같은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2)의 서랍부(4)에 앞판(4a)이 마련된 예를 나타냈으나, 예를 들어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판(4a)이 존재하지 않는 이른바 앞면개방형으로 이루어진 서랍부(4)로 형성하여도 무방함은 물론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front plate 4a was provided in the drawer part 4 of the storage case 2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what is called what the front plate 4a does not exis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Of course, the drawer portion 4 made of an open front may be formed.

또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는 수납 케이스를 반침이나 벽장에 넣어서 사용하는 예를 나타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서랍장 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수납 케이스가 서랍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뚜껑식에 적용해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수납 케이스가 외부 케이스부와 서랍부로 구성된 예를 나타냈으나,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선반구성체로서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동일한 길이로 조절하여 2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예를 나타냈으나, 이들을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술한 기능을 얻을 수 있다면 약간의 변형은 무방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example which showed the example which uses a storage case in the half needle or closet was shown in embodiment shown, it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applicable also to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and used on a chest of drawers. In addition, although the storage case is configured as a drawer type,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even if applied to the lid type. And although the example which the storage case comprised with the outer case part and the drawer part was shown, the specific structure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 of illustration. Moreover, although the example comprised so that two may be adjusted by the same length as shown in FIG. 2 as the shelf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was shown, these can also be formed integrally, Therefore, the function mentioned above in this invention is acquired. If you can, slight variations are fin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1)는, 수납 케이스(2)와 이와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납 케이스(2)의 사이에 선반구성체(10)를 걸쳐지게 하여 선반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 쌍의 수납 케이스(2), (2) 및 그 윗단의 수납 케이스(2), (2) 사이에 수평으로 각각 가설되고. 선반구성체(10)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리거나 줄이도록 형성되며, 파이프 모양의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보다 직경이 작고 한 쪽 끝이 삽입된 파이프 모양의 제 2 부재를 구비함으로써 구성되며, 수납 케이스 사이에 데드 스페이스가 발생해도 그 데드 스페이스에 선반을 확실히 형성하여 데드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unit 1 with the simple shelf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the shelf by placing the shelf structure 10 between the storage case 2 and the storage case 2 arranged at a distance therefrom. By forming,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a pair of storage case 2, (2) and storage case 2, (2) of the upper stage, respectively. Shelf structure 10 is formed so as to extend or contract free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by having a pipe-shaped first member and a pipe-shaped second member smaller in diameter than the first member, one end is inserted, Even if a dead space occurs between the storage cases, the shelf can be surely formed in the dead space to effectively utilize the dead spa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낸 설명도이다.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storage unit with a simple shelf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선반구성체를 나타낸 설명용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helf structure.

도 3은 선반구성체를 늘려서 3 개의 선반판부재를 사용했을 때의 설명용 사시도이다. 3 is an explanatory perspective view when three shelf plate members are used by extending the shelf structure.

도 4는 도 3의 A - A 선에 해당하는 선반구성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helf structure corresponding to line AA of FIG. 3.

도 5는 선반구성체를 축소시켜서 2 개의 선반판부재를 사용했을 때의 설명용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use of two shelf plate members with a reduced shelf structure.

도 6은 수납 케이스를 나타낸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of the storage case.

도 7은 수납 케이스를 나타낸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torage case.

도 8은 수납 케이스를 나타낸 도 7 의 우측면도이다.8 is a right side view of FIG. 7 showing the storage case;

도 9는 도 7 의 C - C 선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도 10은 수납 케이스의 전체 사시도이다.10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case.

도 11은 수납 케이스의 서랍부를 앞으로 당긴 상태의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awer part of the storage case pulled forward.

도 12는 도 6 의 B - B 선에 해당하는 천장판의 확대 단면도이다.FIG. 1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ceiling plate corresponding to line B-B of FIG. 6.

도 13은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선반구성체를 가설했을 때의 확대 설명도이다.FIG. 13 is an enlarged explanatory diagram when a shelf structure is installed between a pair of storage cases. FIG.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의 요부를 나타낸 도 13 에 해당하는 단면도이다.It is sectional drawing corresponding to FIG. 13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the simple shelf storage unit which concerns on 2n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내는 수납 케이스의 요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It is explanatory drawing which showed the principal part of the storage case which shows the storage unit with a simple shelf which concerns on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내는 선반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helf board member which shows the storage unit with a simple shelf which concerns on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7은 수납 케이스의 외부 케이스부와 앞판을 갖지 않는 앞면개방형의 서랍부를 나타낸 설명용 사시도이다.Fig. 17 is an explanator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uter case part of the storage case and a front open drawer part without the front plate;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따른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를 나타낸 선반구성체의 사시도이다.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helf structure which showed the storage unit with a simple shelf which concerns on 5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Claims (6)

상호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의 수납 케이스 사이에 가설되어 선반을 구성하는 선반구성체로서,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의 양 끝단에 상기 한 쌍의 수납 케이스에 마련된 계지부에 계지되는 피계지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성체.A shelf structure which is constructed between a pair of storage cases at intervals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form a shelf, and a latched portion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engthwise direction in which the hypothesis is held at the locking portions provided in the pair of storage cases. Shelf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성체는,According to claim 1, The shelf structure,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늘이거나 줄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성체.Shelf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freely extended or redu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ypothesi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성체는,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으로 최대한 늘린 범위내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인접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선반판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성체.The shelf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helf structure includes a plurality of shelf plate member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a range extending as far as possi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be install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구성체는, 상기 가설되는 길이 방향의 한 쪽 끝에 걸져지는 제 1 선반판부재와, 상기 길이 방향의 다른 한 쪽 끝에 걸쳐지는 제 2 선반판부재로 구성되며, 제 1 선반판부재와 제 2 선반판부재의 대향면이 상호 상하로 겹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구성체.The shelf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helf structure comprises: a first shelf plate member caught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shelf plate member spann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helf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posite surface of the first shelf plate member and the second shelf plate member overlap each other up and down. 수평 방향으로 간격으로 두고 배치된 적어도 한 쌍의 수납 케이스와, 이들 수납 케이스 사이에 수평 방향으로 가설되는 청구항 1 의 선반구성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And at least one pair of storage case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shelf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se storage case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납 케이스의 계지부는, 상기 선반구성체의 피계지부를 계지했을 때, 해당 피계지부를 전부 감쌀 정도의 깊이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선반 부착 수납 유니트.6. The simple shelf with a shelf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locking portion of the pair of storage cases is formed to be concave to a depth such that when the locking portion of the shelf structure is locked, all of the locking portion are wrapped. Storage unit.
KR1020040050210A 2003-09-05 2004-06-30 Rack structure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 KR1007091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14196A JP2005080768A (en) 2003-09-05 2003-09-05 Rack component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
JPJP-P-2003-00314196 2003-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232A true KR20050025232A (en) 2005-03-14
KR100709143B1 KR100709143B1 (en) 2007-04-18

Family

ID=34414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210A KR100709143B1 (en) 2003-09-05 2004-06-30 Rack structure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80768A (en)
KR (1) KR100709143B1 (en)
CN (1) CN1316930C (en)
HK (1) HK107235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09368A (en) * 2011-03-29 2012-10-25 Kawamura Electric Inc Cabinet array connection structure
CN106037277A (en) * 2016-06-28 2016-10-26 庞雯婧 Combined bookcase with telescoping structure
GB2576347B (en) * 2018-08-15 2022-03-09 Yip Heung Win Leanne Shelf support system
JP7348669B2 (en) 2021-09-03 2023-09-21 株式会社Sanka combination storage box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0215U (en) * 1987-01-10 1987-10-21 顾福生 Multi-purpose assembled frame
CN2142664Y (en) * 1992-08-05 1993-09-29 柯于文 Adjustable goods shelves
JP3973782B2 (en) * 1998-11-12 2007-09-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Cassette storage case
JP2002000382A (en) * 2000-06-19 2002-01-08 Takubo Industrial Corp Supporting tool
CN2509932Y (en) * 2001-11-29 2002-09-11 黄海 Assembled bookshel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80768A (en) 2005-03-31
CN1589701A (en) 2005-03-09
KR100709143B1 (en) 2007-04-18
CN1316930C (en) 2007-05-23
HK1072352A1 (en) 200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8582B2 (en) Storage system
KR100709143B1 (en) Rack structure and storage unit with simple rack
RU2259518C2 (en) Refrigerator door shelf
US20110120906A1 (en) Drawer storage with magnetic connectors
KR101089778B1 (en) Tablet case
KR20130005501U (en) Storage case
KR200471575Y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Clothes
KR101316014B1 (en) Self assembly storage goods for drawer
CN100507414C (en) Plug type container for refrigerating appliance
KR200299535Y1 (en) Shoes arrangement stand used for shoes cabinet
KR101236657B1 (en) A section panel for collection box and section apparatus for the same
KR101859816B1 (en) BOX for a drawer
JP3149900U (en) chest
JP4535593B2 (en) Storage case
KR200484858Y1 (en) Multi-connectable container
KR20210002430U (en) Multi cabinet
KR200474595Y1 (en) Multipurpose standing holder
KR101331715B1 (en) Cabinet suitable for effective use of storage space
JPS6018095Y2 (en) desk legs
JP4525279B2 (en) Desk shelf
KR200269312Y1 (en) Separable a Chest of Drawers
JP6955793B1 (en) Storage container and storage tool
JP7348669B2 (en) combination storage box
KR20220107512A (en) Assembly and slid type slidable container box
JP5671424B2 (en) shel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