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178A - 이동통신단말기, 피디에이등의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개인정보관리시스템을 전송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 피디에이등의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개인정보관리시스템을 전송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178A
KR20050024178A KR1020030062051A KR20030062051A KR20050024178A KR 20050024178 A KR20050024178 A KR 20050024178A KR 1020030062051 A KR1020030062051 A KR 1020030062051A KR 20030062051 A KR20030062051 A KR 20030062051A KR 20050024178 A KR20050024178 A KR 2005002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data
stored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순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4178A/ko
Publication of KR2005002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나 PDA에 저장되어있는 PIMS의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 데이터 중 원하는 자료를 선택하여, 블루투스, MMS, e-mail, 적외선 통신 등의 방법으로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고, 전송을 받은 사용자는 그 정보를 다시 자신의 전화부 영역의 필드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는 개인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대부분 문자메시지로만 전송을 하도록 하였었다. 때문에 개인정보 데이터가 단말기에서 지원하는 텍스트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엔트리를 2회 이상 나누어 전송을 해야 했었다. 이를 보안하여, 본 발명은 문자메시지로 개인정보를 전송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MMS,e-mail,적외선 통신방식, 블루투스 통신방식도 함께 이용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자신들이 정한 규격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전송이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개인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정보관리와 전화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망사업자의 개인정보관리시스템 규격을 지키면서 개인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단말기 제조사가 달라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 피디에이등의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관리시스템을 전송하는 방법{ Method for PIMS transmission which saved in mobile phone and PDA }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나 PDA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관리시스템(Personlay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PIMS)의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 데이터 중 원하는 자료를 선택하여 블루투스, MMS, e-mail, 적외선 통신 등의 방법으로 다른 단말기에 전송하고, 전송을 받은 사용자는 그 정보를 다시 자신의 전화부 영역의 필드(field)로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는 단순한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기능 의외에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기능, 전화번호부 기능, 주소록 기능, 일정관리 기능과 같은 다양한 부가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상대방에게 메일이나, 문자메시지를 전송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인정보들을 단말기 내에 저장해 둠으로써, 필요할 때마다 손쉽게 검색하여 이용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우리가 상대방에게 친구의 이메일 주소나, 전화번호와 같은 개인 정보 데이터를 알려주려면, 직접 전화를 걸어서 상대방에게 불러주거나 다시 전화번호부에서 확인하여 문자메시지를 전송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문자메시지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었으나, 문자메시지에서 지원하는 텍스트의 크기는 한글 40자, 영문 80자로 제한되어있기 때문에 많은 양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여러 번 나누어서 전송해야하거나 개인정보에 맞추어 문자데이터를 구성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 데이터를 MMS나 이메일, 블루투스, 적외선 통신방법을 이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문자메시지로 개인정보를 전송할 경우에 개인정보에 맞추어 문자데이터를 구성하고, 개인정보 데이터를 여러번 나누어서 전송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망 사업자의 개인정보관리시스템 규격을 지켜 개인정보를 전송하고, 다른 제조사 단말기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말기 내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관리시스템(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PIMS)필드를 데이터 서비스로 전송하고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 영역에 저장되는 필드(field)의 엔트리(Entry)는 단말기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기본적인 규격은 망사업자가 무선 인터넷으로 제공하는 개인정보관리시스템 규격을 만족하고 있다. 따라서, MMS, 블루투스, 이메일, 적외선통신 등으로 전송하는 기본적인 필드의 엔트리 규격은 망 사업자의 개인정보관리시스템 규격을 따르면 제조사가 달라도 정상적인 작동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낸다.
단말기의 전화부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 데이터는 그룹아이디, 엔트리 아이디, 이름 16바이트, 집 전화번호 24바이트, 집 주소 60바이트, 이동전화번호 24바이트, 호출기 전화번호 24바이트, 직장/학교 전화번호 24바이트, 직장/학교 주소 60바이트, 팩스번호 24바이트, 이메일주소 50바이트 등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 데이터 영역의 구조를 보여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부에 개인정보를 저장할 때는 데이터 식별 번호와 개인정보 데이터를 연속해서 개인정보 데이터 영역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를 식별하는 번호 1을 저장하고 그룹아이디를, 데이터 식별번호 2를 저장하고 엔트리 아이디를, 데이터 식별번호 3을 저장하고 이름을, 데이터 식별번호 4를 저장하고 집 전화번호를 저장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전화부의 일예를 보여준다.
그룹아이디 7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 저장되어있는 일곱 번째 그룹에 속한다는 것을 알려준다. 엔트리 아이디 8은 일곱 번째 그룹의 여덟 번째 순서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라는 것을 알려준다. 이때 단말기에서 다른 단말기로 개인정보를 보낼 경우에, 그룹아이디와 엔트리 아이디는 전송되지 않는다.
이름 16바이트에는 김사랑, 집 전화번호 24바이트에는 02-123-4567, 집 주소 60바이트에는 서울시 사랑구 사랑동 사랑 아파트 7-777, 이동 전화번호 24바이트에는 011-123-4567, 직장/ 학교주소 60바이트에는 서울시 행복구 행복동 행복 빌딩 5층, 팩스번호 24바이트에는 02-345-6789, 이메일 주소 50바이트에는 love@love.com의 정보가 저장되어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사용자가 개인정보를 입력하면(410), 단말기의 전화부에 사용자가 입력한 개인정보를 저장한다(420).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로 개인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기위해 이동통신단말기에 제공되어진 버튼(또는 확인키)를 누르면, 이동통신단말기는 저장된 개인정보, 즉 이름, 집 전화번호, 집 주소, 이동전화번호, 호출기 번호, 직장/학교 전화번호, 직장/학교 주소, 팩스 번호, 이메일 주소를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켜주고, 이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개인정보 필드를 선택할 수 있다(430).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 데이터 중에서 전송하고 자하는 개인정보 필드를 선택하는 일예를 보여준다.
단말기의 전화부에서 '김사랑'이라는 사람을 선택하면, 도 5에 보여진 것처럼 개인정보 데이터가 화면에 보여지며 사용자가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고자 하는 개인정보 데이터 중에서 전송하고자하는 개인정보 필드를 선택한다. 여기서 단말기의 전화부에서 집 전화번호, 이동 전화번호, 직장/학교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를 전송하고자 한다면, 도 5에 보여진 것처럼 각각의 개인정보에 플래그(flag)를 두고, 세트하여 선택된 개인정보만 블루투스, MMS, 이메일, 적외선 통신의 방법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도 6은 여러 가지의 통신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a)는 MMS 방식을 이용한 전송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방식이란 기존 텍스트만 전송 가능한 SMS에 비해 스틸이미지, 동영상 등을 전송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의미한다. 특히 SMS의 경우 30자로 한정돼 있는 텍스트를 1천~2천자까지 한번에 보낼 수 있어 장문의 텍스트 전송도 가능한 특징이 있다.
MMS 통신 방식은 수신자의 이동통신단말기(600)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를 각종 데이터를 고주파로 변조시켜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셀사이트(Cell site)라고 불리는 기지국과(602), 가입자간 무선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망(603)을 통해서 다시 기지국(604)을 거쳐 상대방 이동통신단말기(605)로 전송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도 6의 (b)는 적외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전송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적외선 통신이란, 적외선을 이용하여 9.6kbps와 4Mbps 속도로 단거리(short-range), 단 대 단(point-to-point)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을 의미한다. 특히, 적외선 통신에서는 쌍방의 장치에 모두 송수신기가 있어야한다. 특별한 마이크로칩이 이 기능을 위해 제공된다. 그 외에도, 통신을 동기화 시켜주는 특별한 소프트웨어가 하나 또는 모든 장치들에 필요하다.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적외선 통신을 할 수 있는 칩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간에서만 전송이 가능하다. 빛을 사용하는 적외선 방식은 전파와는 달리 주변의 지형지물에 따라 영향을 받기 쉽고, 적외선을 사용하면 통신 거리도 짧고, 통신 속도도 상대적으로 느리다. 하지만, 구현이 쉽고, 값이 싸며 이동성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적외선 통신방식이 유용하게 쓰인다.
도 6의 (c)는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한 전송방식을 도시한 도면이다.
블루투스란 도면에서와 같이 PC 나 프린터, 전화 , 팩스, 휴대폰, 개인휴대단말기(PDA) 등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TV 냉장고 등 가전제품까지 무선으로 연결해주는 획기적인 기술을 말한다. 블루투스 방식에서는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PC나 휴대전화기와의 케이블접속 등과 같은 번거로운 절차 없이 일정 거리 안에서는 어떤 상태에서든 그대로 전송할 수 있다.
블루투스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를 PC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은 물론, PC에 저장되어있는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된 개인정보 데이터가 수신자의 단말기에 수신되면(450), 수신자는 자신의 단말기의 전화부 영역에 수신한 개인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460).
따라서, 본 발명은 개인정보를 일일이 입력하지 않고도 전송하여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정보관리가 가능하고 망 사업자의 개인정보관리 시스템 규격을 지키면서 개인정보를 전송하면 다른 제조사 단말기에서도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를 블루투스, MMS, 적외선 통신과 같은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문자메시지로 개인정보를 전송할 경우에 개인정보에 맞추어 문자데이터를 구성하고, 개인정보 데이터를 여러 번 나누어서 전송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망 사업자의 개인정보관리시스템 규격을 지켜 개인정보를 전송하기 때문에 , 다른 제조사 단말기에서도 동작이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서 제공하는 개인정보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 데이터 영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전화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부에 저장된 개인정보 데이터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기는 동작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 데이터 중에서 전송하고 자하는 개인정보 필드를 선택하는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개인정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여러 가지 통신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a)는 MMS 방식을 이용한 전송동작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b)는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전송동작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c)는 블루투스 방식을 이용한 전송동작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Claims (4)

  1. 저장되어있는 개인정보 데이터 중에 전송하기를 원하는 개인정보 필드를 선택하는 제 1단계;
    선택한 개인정보를 전송하는 제 2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관리시스템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 데이터는 집 전화번호, 집 주소, 이동전화 번호, 호출기 번호, 직장/학교 전화번호, 직장/학교 주소, FAX번호, 이메일 주소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관리시스템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개인정보 데이터를 선택할 경우에, 개인정보 데이터의 각각의 개인정보 필드에 플래그를 두어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관리시스템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방식은 블루투스, 적외선통신, MMS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개인정보관리시스템 전송 방법.
KR1020030062051A 2003-09-05 2003-09-05 이동통신단말기, 피디에이등의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개인정보관리시스템을 전송하는 방법 KR20050024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051A KR20050024178A (ko) 2003-09-05 2003-09-05 이동통신단말기, 피디에이등의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개인정보관리시스템을 전송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051A KR20050024178A (ko) 2003-09-05 2003-09-05 이동통신단말기, 피디에이등의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개인정보관리시스템을 전송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178A true KR20050024178A (ko) 2005-03-10

Family

ID=3723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051A KR20050024178A (ko) 2003-09-05 2003-09-05 이동통신단말기, 피디에이등의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개인정보관리시스템을 전송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41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47B1 (ko) * 2006-01-02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246866B1 (ko) * 2006-07-06 2013-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다수의 비쥬얼오브젝트 전송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547B1 (ko) * 2006-01-02 2007-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랜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246866B1 (ko) * 2006-07-06 2013-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다수의 비쥬얼오브젝트 전송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804B2 (en) Message transmitting scheme of mobile terminal
KR1004694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개인정보 관리 방법
US20060099997A1 (en) Portable cellular phone, portable cellular phone system, message format controlling method, and message format controlling program
KR20020060489A (ko) 이동 전화기에서 이미지 파일 송신 및 수신방법
US6763096B2 (e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mail receiving function
KR20050024178A (ko) 이동통신단말기, 피디에이등의 단말기에 저장되어있는개인정보관리시스템을 전송하는 방법
KR100832337B1 (ko) 인터넷 가상저장공간을 이용한 휴대폰의 데이터 관리방법
KR20060071241A (ko) 단문메시지 필터링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109525A (ko) 필드가 추가된 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시스템및 방법
KR100850991B1 (ko) 휴대 단말기의 단축 다이얼을 이용하는 방법
KR10050126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공유 데이터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79161A (ko) 단문 메세지 서비스를 이용한 전화번호부 전송 방법
KR10049697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관리방법
KR1005568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50020385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단문메시지 관리 방법
KR20050028761A (ko) 유,무선통신 단말기시스템의 에스엠에스메시지입력보안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100735329B1 (ko) 휴대 단말기의 수신처 입력 방법
KR2004000705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특정전화번호 송수신방법
KR1010437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에스엠에스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77064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송신 방법
KR100617569B1 (ko) 히스토리관리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및 제어방법
KR100726637B1 (ko)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메신저방법, 기지국의 폰북리스트교환방법
KR20070066405A (ko) 휴대형 단말기에서 서명 추가 메시지 발신 방법
KR20060106237A (ko) Sms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스케줄관리 시스템 및방법
KR20030079477A (ko) 휴대단말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 및 캐릭터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