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146A -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146A
KR20050024146A KR1020030061989A KR20030061989A KR20050024146A KR 20050024146 A KR20050024146 A KR 20050024146A KR 1020030061989 A KR1020030061989 A KR 1020030061989A KR 20030061989 A KR20030061989 A KR 20030061989A KR 20050024146 A KR20050024146 A KR 200500241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terminal
pin
connecting means
phon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베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베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베이시스
Priority to KR1020030061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4146A/ko
Publication of KR20050024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14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용 단말기와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가능한 모든 기기간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 및 그 이동전화 단말기에 연결가능한 주변기기에 동일한 구조의 연결수단을 장착하고, 양단에 상기 연결수단과 결합되어 신호연결을 하는 동일구조의 연결수단이 구비되어 전원 및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하는 케이블 장치를 구비하여 구성함에 특징이 있고, 그 연결수단은 24핀 컨넥터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용 단말기와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가능한 모든 기기를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가능케 함은 물론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가능한 모든 기기의 전원 공급에 있어서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없이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용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모든 주변 기기의 소형화 및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A connect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for moblie phone between small size printer}
본 발명은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 방법 및 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카메라와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모든 주변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을 단일화하고 이동 전화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전화 단말기(이동전화 단말기)가 다기능화 되면서 음성 통화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기능과, 게임기능, 다양한 컨텐츠 이용, 데이터 통신 기능등으로 그 활용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기존에는 이동 전화 단말기는 PC와의 연결만 활용되고 있었으나, 최근들어 디지털 카메라나, 휴대용 프린터, PDA, 기타 주변기기 등등이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이동 전화 단말기와의 직접 연결하여 상호간 정보 전달의 필요성이 많아지게 되었다.
그렇지만, 기존의 이동전화 단말기들은 모델별로 각기 다른 데이터 포트를 구비하고 있고 데이터 통신용 포트와, 충전용 단자들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는것이 보통이고 충전 장치들도 각각 모델별로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었다. 이로인해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대두되어 근래들어서는 이동전화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일정한 기준으로 접속 규격을 권고하고 있다.
한편, 주변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나, 소형 프린터 등도 기존에는 PC와 연결 하거나 전용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포트들이 구성되어 있고, 충전장치도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서 이동전화 단말기와는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없었다.
즉, 지금까지 이동전화 단말기의 유일한 연결상대인 PC는 USB, 직렬통신등의 연결을 위해서 각각 별도의 연결단자를 가지고 있었고, 이렇게 연결부위가 다른 단자들끼리의 원활한 통신을 위해서는 각각의 서로 다른 데이터 케이블과 각각의 서로다른 별도의 전원 공급 케이블이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형 단말기 및 주변기기의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은 모두 제조업체 및 기종별로 각각 차별화된 것을 사용하여야만 했고, 이와 같은 이유로 제조업체는 생산 단가가 상승하였으며,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형 단말기 및 주변기기는 각각 별도의 충전기 및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등을 구매하는 소비자들도 상승된 원가로 인해 고가의 비용을 지불해야만 했다.
본 발명은 이렇게 이동전화 단말기와 이동전화 단말기에 연결할 수 있는 여러 주변기기(디지털 카메라, 프린터등)들과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간에 공용 케이블을 이용해 연결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의 정보를 주변기기로, 주변정치의 정보를 이동전화 단말기으로 자유롭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주변기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주변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양단 플러그를 동일 구조로 구성하여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모든 기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없이 기존의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형 단말기용 충전장치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충전장치를 제거하여 생산단가를 줄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정보를 직접 인쇄장치에 연결하여 인쇄할 수 없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소형 프린터에 이동전화 단말기에 구성된 입출력단자 연결수단을 동일 컨넥터(24핀 컨넥터)로 설치하고, 이동전화 단말기 연결용 케이블 장치의 양단에 동일 구격의 컨넥터를 구성하여 이를 이용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장치를 연결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직접 프린터로 출력하여 인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이동전화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주변기기에 각각 동일 규격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주변기기의 입출력 단자 연결수단에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양단에 동일 규격의 연결수단을 구비한 연결 케이블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 또는 주변 기기간에 상기 케이블 장치로서 연결하여 전원 및 데이타 통신을 할수 있도록 함에 특징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주변기기에 각각 동일 규격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주변기기의 입출력 단자 연결수단에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한 양단에 동일 규격의 연결수단을 구비한 연결 케이블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입출력단자에는 USB, 직렬인터페이스, 파워단자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24핀/18핀 등의 컨넥터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에 따른 작용들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서 100은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형 단말기이며, 200은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주변기기이다. 또한, 도 1에서 110은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형 단말기에 마련된 연결수단을 나타내며, 210은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가능한 모든 주변기기에 데이터 및 충전을 위해 마련한 연결수단을 말한다.
또한, 도 1에서 300은 본 발명의 연결 케이블 장치이며, 310은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형 단말기(100)에 마련된 연결수단(110)에 연결되는 24PIN 연결수단을 말하며, 320은 본발명의 케이블 장치 중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모든 기기(200)에 마련된 연결수단(210)에 연결되는 24PIN 연결수단을 말하고, 330은 상기 양단의 24PIN 플러그를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케이블부를 말한다.
도 1에서 접선으로 예시한 주변기기(200)는 소형 프린터를 예시한 것으로서, 통상 소형 프린터는 PC와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컨넥터부와 전원연결 잭이 구비되어 구성되나,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연결수단(210)을 구성하고, 그 연결수단(210)과 전원 및 데이터 통신 인터페이스를 하는 인터페이스부(220)와, 그 인터페이스부9220)를 통해 이동전하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고 프린터 모터(24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부(23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220)를 통해 이동전화 단말기의 충전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 및 전원공급을 하는 전원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소형 프린터는 데이터 및 전원 을 입출력하기 위한 연결수단(210)을 단일 구성으로 구성한것으로서, 이는 이동전화 단말기(100)의 인출력수단(110)과 동일 구성으로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주변기기중 특히 소형 프린터를 실시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며, 현재 제품화되어 있는 소형 프린터는 그 컨넥터가 USB포트나 직렬통신인터페이스 포드가 구비되고, 충전용 컨넥터가 구비되며, 데이터 통신용 케이블과, 충전장치가 별도로 구비되어 구성된다. 즉, 현재 소형 프린터는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고, 이동전화 단말기와 통신할 수도 없었다. 그러므로 이동전화 단말기에서 직접 인쇄출력을 할 수 없으며, 이동전화 단말기의 정보를 PC로 연결하여 PC에서 인쇄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는 소형 프린터와 이동전화 단말기간에 서로 통신 연결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함으로서, 프린터에서는 별도의 통신용 케이블이 필요치 않고, 별도의 충전장치도 필요치 않게 되는 것이다. 이는 소형 프린터의 컨넥터를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의 컨넥터와 같은 형태의 컨넥터로서 구성함으로써, 이동전화 연결용 케이블 장치를 이용해 이동전화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연결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동전화 단말기의 충전장치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참조 도 4)
도 2a는 도 1에서 언급한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형 단말기(100)에 마련된 연결수단(110)과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가능한 모든 주변기기(200)에 데이터 및 충전을 위해 마련한 연결수단(210)으로 사용되는 컨넥터의 기구적 물리 구조를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상기 연결수단(110, 210)과 결합시켜 연결되는 케이블 장치(300)의 연결수단(310, 320)의 구조를 보인 것이다.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00) 및 주변기기(200)의 연결수단(110, 210)은 동일 구조로서, 소켓 하우징(111)에 홈부(111a)가 형성되고, 그 홈부(111a)의 중앙에 핀플러그 부(112)가 형성되며, 그 핀플러그부(112)에 입출력단자 핀(113)이 배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홈부(111a)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114)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110, 210)에 대응해서 결합되는 케이블 장치(300)의 연결수단(310, 320)은 동일 구조로서, 상기 소켓 홈부(111a)에 삽입되는 핀소켓부(312)가 몸체부(311)에 돌출 형성되고, 그 핀소켓부(312)에는 상기 핀플러구부(112)가 삽입되는 소켓홈(312a)이 형성되며, 핀소켓부(312)의 일측 내측면에 상기 핀플러그부(112)에 배열형성된 핀(113)과 접촉되어 연결되는 복수개의 핀(313)이 배열형성되며, 상기 소켓홈(312a)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14)와 일치되어 삽입 가이드를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홈(314)이 형성되고, 상기 핀소켓부(312)의 양측 부에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잠금후크(315)가 형성되고, 몸체부(311)의 양측면에 상기 잠금후크(315)를 눌러서 잠금해제를 시켜 분리시킬수 있도록 하는 잠금 해제버튼(315a)이 형성되고 구성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모든 기기간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 장치(300)의 편면도 및 배면도이다. 이는 양단에 동일 구조의 연결수단(310, 320)을 구비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24PIN용 컨넥터를 적용한 것을 예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전화 단말기와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모든 기기간의 데이터 통신 케이블 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해 이동전화 단말기(100)과 프린터(200)에 각각 동일구조의 연결수단(110, 210)을 구성하여 구비하고, 이를 상기한 케이블 장치(300)에 의해 연결한 것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이동전화 단말기의 충전장치(400)의 케이블(410)을 이동전화 단말기(100)에 결합하는 것과 동일한 커넥터 구조인 프린터(200)의 컨넥터에 결합할 수 있어서 프린터(200)는 별도의 충전장치가 필요치 않고 이동전화 단말기(100)의 충전장치(400)를 그대로 경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린터(200) 대신에 디지털 카메나, 충전장치, 기타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가능한 주변기기를 연결하여 이동전화 단말기와 정보 송수신을 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00) 대신에 충전장치를 연결하여 프린터(200)에 충전시킬수 있으므로, 충전장치를 공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수단은 이동전화 단말기의 24핀 입출력단자 신호 규격에 따라 배터리 충전 입력신호, 핸즈프리 전원 입력신호, 데이터 통신 출력신호, 충전 전원단자, 전원 입력단자, 오디오 입력단자, 복수의 옵션출력 단자, 데이터 통신 송신단자, 수신단자, USB파워단자 등등,,, 입출력단자 핀 신호규격에 모두 대응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각 기기의 내부 프로그램에 의해 데이터신호 송수신 기능등을 제어하여 이용할 수 있는 것이고, 전원 충전기를 공용으로 사용할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 및 이와 유사한 이동형 단말기와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모든 기기간의 데이터 통신을 하나의 케이블 장치만으로 이루어지게 함에 따라, 현재 USB, 직렬통신 인터페이스, 파워 충전등을 하나의 케이블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프린터를 포함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모든 기기에 마련된 각각의 연결수단을 24PIN용 소켓 하나만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기기의 소형화 및 생산단가 절감을 이루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전화 단말기용 충전기를 그대로 주변기기의 충전기로 사용할 수 있어서 프린더등에서 별도의 충전기가 필요하지 않게되고 소비자의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 다이어그램.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수단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장치 평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전화 단말기 110 : 이동전화 단말기의 연결수단
200 : 주변기기 210 : 주변기기의 연결수단
300 : 연결 케이블 장치 310, 320 : 케이블장치의 연결수단
400 : 충전전치 410 : 충전장치 케이블

Claims (5)

  1.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이동전화단말기와 연결하기 위한 주변기기에,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에 설치되는 입출력단자 연결수단과 동일한 규격의 입출력 단자 연결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주변기기의 입출력 단자 연결수단에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양단에 동일 규격의 연결수단을 구비한 연결 케이블 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 또는 주변 기기간에 상기 케이블 장치로서 연결하여 전원 및 데이타 통신을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2.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이동전화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주변기기에 각각 동일 규격의 입출력단자 연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그 주변기기의 입출력 단자 연결수단에 결합하여 연결하기 위하여 양단에 동일 규격의 연결수단을 구비한 연결 케이블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연결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는 입출력단자에는 USB, 직렬인터페이스, 파워단자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와 연결가능한 주변기기는,
    전원 충전장치, 포터블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핸즈프리 중 어느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24핀 또는 18핀중 어느 한 종류의 컨넥터로 구성함에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전화 단말기(100) 및 주변기기(200)의 연결수단(110, 210)은,
    동일 구조로서, 소켓 하우징(111)에 홈부(111a)가 형성되고, 그 홈부(111a)의 중앙에 핀플러그 부(112)가 형성되며, 그 핀플러그부(112)에 입출력단자 핀(113)이 배열 형성되어 구성되며, 상기 홈부(111a)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114)가 형성되어 구성되고,
    상기 연결수단(110, 210)에 대응해서 결합되는 케이블 장치(300)의 연결수단(310, 320)은 양단이 동일 구조로서,
    상기 소켓 홈부(111a)에 삽입되는 핀소켓부(312)가 몸체부(311)에 돌출 형성되고, 그 핀소켓부(312)에는 상기 핀플러구부(112)가 삽입되는 소켓홈(312a)이 형성되며, 핀소켓부(312)의 일측 내측면에 상기 핀플러그부(112)에 배열형성된 핀(113)과 접촉되어 연결되는 복수개의 핀(313)이 배열형성되며, 상기 소켓홈(312a)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14)와 일치되어 삽입 가이드를 하는 복수개의 가이드 홈(314)이 형성되고, 상기 핀소켓부(312)의 양측 부에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진 잠금후크(315)가 형성되고, 몸체부(311)의 양측면에 상기 잠금후크(315)를 눌러서 잠금해제를 시켜 분리시킬수 있도록 하는 잠금 해제버튼(315a)이 형성되고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 장치.
KR1020030061989A 2003-09-05 2003-09-05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KR200500241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989A KR20050024146A (ko) 2003-09-05 2003-09-05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989A KR20050024146A (ko) 2003-09-05 2003-09-05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8580U Division KR200335676Y1 (ko) 2003-09-05 2003-09-05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146A true KR20050024146A (ko) 2005-03-10

Family

ID=37231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989A KR20050024146A (ko) 2003-09-05 2003-09-05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41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39B1 (ko) * 2006-08-04 2008-07-18 주식회사 페이스테크 20핀 커넥터를 이용한 fm 송출 장치
KR101154131B1 (ko) * 2010-01-29 2012-06-13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239B1 (ko) * 2006-08-04 2008-07-18 주식회사 페이스테크 20핀 커넥터를 이용한 fm 송출 장치
KR101154131B1 (ko) * 2010-01-29 2012-06-13 주식회사 팬택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통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3420B1 (en) Adapter for exchanging data and transmitting power between PC and portable device
US7841903B2 (en) Adap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N208353374U (zh) 一种手机
CN114041249A (zh) 连接器及利用连接器进行充电控制的方法
US20050085278A1 (en) Data and charge adaptor for mobile device
US20050070153A1 (en) Cable assembly
CN114026747A (zh) 连接器和包括连接器的第二电子设备
CN210668856U (zh) 连接线组件、耳机组件及音频传输系统
CN209881017U (zh) 连接器
KR200335676Y1 (ko)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장치
KR20050024146A (ko) 이동 전화 단말기와 주변기기의 연결방법 및 그 연결장치
JPH08237345A (ja) 無線電話機用充電台並びに無線電話機の充電及びデー タ伝送システム
KR10065120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CN110417950A (zh) 一种移动终端
CN209880978U (zh) 连接器和包括连接器的第二电子设备
KR20060120303A (ko) 휴대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연결장치
CN209897239U (zh) 颈挂式换电蓝牙耳机
KR200385821Y1 (ko) 양방향 유에스비 데이터 통신 케이블의 전원을 이용한충전장치
KR10101367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리셉터클과 유에스비 포트를 연결하는연결 커넥터
KR200301731Y1 (ko) 이동전화기용 호환형 입출력플러그
KR20040103201A (ko) 다기능 인터페이스 장치 및 그를 이용한 통신방법
KR20010019758A (ko) 데이터송수신 겸용 충전크레들
CN217607951U (zh) 一种具有蓝牙发射功能的蓝牙耳机盒
CN214256567U (zh) 一种多功能无线耳机及充电装置
KR200428030Y1 (ko) 무전기용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