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049A -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 Google Patents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049A
KR20050024049A KR1020030061854A KR20030061854A KR20050024049A KR 20050024049 A KR20050024049 A KR 20050024049A KR 1020030061854 A KR1020030061854 A KR 1020030061854A KR 20030061854 A KR20030061854 A KR 20030061854A KR 20050024049 A KR20050024049 A KR 20050024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directional
sensitivity
sup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8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44276B1 (en
Inventor
김정민
한미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이
Priority to KR102003006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4276B1/en
Publication of KR20050024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0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4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4276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PURPOSE: A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is provided to reduce a directional angle and to stabilize a low band operation by adjusting an output gain by mixing audio signals outputted from directional microphones having preset sensitivity levels. CONSTITUTION: A microphone has a specific direction characteristic to an audio signal with a specific direction. At least one omni-directional microphone unit has the same sensitivity in audio signals with all directions. A phase of at least one directional microphone unit is changed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valu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 amplification converter adjusts a gain of the audio signal which is received according to a preset sensitivity level of each of the microphone unit. A mixer mixes the audio signals from the amplification converte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output level of the mixed signal.

Description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본 발명은 특정 방향의 음향만을 캐취하는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레벨을 각각 설정하고 설정된 감도 레벨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신호들을 혼합하여 차동으로 예민한 초지향성을 구현하는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per directional microphone that catches only a sound in a specific direction, and more particularly, sets a sensitivity level of a plurality of directional microphones and mixes acoustic signals output according to a set sensitivity level to differentially sensitive super directionality. A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for implementing.

일반적으로,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이란 샷건(shot-gun) 마이크이나 샷건 마이크 뒤에 파라볼라 안테나와 같은 집음판이 장착된 마이크와 같이 특정하게 좁은 각도에서의 소리만 픽업할 수 있도록 제작된 마이크를 말하는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이다. In general, a super-directional microphone refers to a microphone designed to pick up sound only at a specific narrow angle, such as a shot-gun microphone or a microphone equipped with a sound collecting plate such as a parabola antenna behind the shotgun microphone. And as shown in FIG. 2.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a superdirectional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conventional superdirectional microphon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초지향성 마이크로폰(1)은 길다란 막대 형태의 봉 형상으로, 이러한 봉에는 다수의 틈(slit; 이하 '슬롯'이라 함)(11)이 주기적으로 뚫여 있다. 따라서, 음파는 이러한 슬롯(11)을 통과하는 동안에 서로 간에 간섭을 하게 되는데, 측면에서 들어오는 음파는 상쇄되고 정면에서 들어오는 음파가 보강되어 마이크 진동판에 도달됨으로써 정면에서 들어오는 음파만을 픽업하도록 된 것이다. As shown in FIG. 1, the superdirectional microphone 1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rod-shaped rod having a long rod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slits 11 are periodically drilled. . Therefore, the sound waves interfere with each other while passing through the slot 11, and the sound waves coming from the side are canceled and the sound waves coming from the front are reinforced to reach the microphone diaphragm to pick up only the sound waves coming from the front.

즉,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 또는 후방에서 일정 간격의 슬롯(11)을 통하여 들어오는 음파는 주기적(또는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슬롯(11)에 의해 각 음파의 파장(λ)이 상호 배수(2λ, 3λ, 4λ...)가 되어 위상이 서로 반대가 되어 상쇄되고, 전방(축방향)에서 들어오는 음은 아무런 장해없이 진동판(12)에 도달하여 출력됨으로써, 주위의 잡음은 최소화하고 특정 음역에 대해서는 예민한 지향성을 가지는 초지향성 특성을 구현하고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2 (a), the sound waves coming in through the slots 11 at regular intervals from the side or the rear side have the wavelength λ of each sound wave by the slots 11 formed periodically (or at regular intervals). Phases are mutually canceled by mutual multiples (2λ, 3λ, 4λ ...) and canceled, and the sound coming from the front (axial direction) reaches and outputs the diaphragm 12 without any obstacle, thereby minimizing ambient noise. In addition, it implements super-directional characteristics with sensitive directivity for specific ranges.

이러한 초지향성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측방의 지향각을 줄여 좁은 각도(더욱 상세하게는 30도 이내)내에서만 예민한 반응을 보이고, 다른 각도에서 들어오는 음파에 대해서는 반응이 상당히 약한 극성을 가지고 있다. As shown in Fig. 2 (b), the hyperdirectionality generally shows a sensitive response only within a narrow angle (more specifically, within 30 degrees) by reducing the directional angle of the side. It has a weak polarity.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초지향성 마이크로폰(1)은 주로 촬영시 인터뷰나 자연 다큐멘터리를 위하여 특정한 동물의 소리를 픽업하여야 하는 경우에 사용되고 있으며, 슬롯(11)이 있는 관의 길이를 길게 할수록 입사되는 저주파수대 음의 파장까지 감쇠시킬 수 있어 비교적 예민한 지향성을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conventional super-directional microphone 1 is mainly used in the case of picking up the sound of a specific animal for an interview or a natural documentary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attenuated to a negative wavelength has a relatively sensitive directivity.

그러나, 슬롯(11)을 이용한 종래의 초지향성 마이크로폰(1)은 입사되는 저주파수 음성 대역까지 받아들이기 위하여 필요한 슬롯(11)의 수량은 물론 초지향성 마이크로폰 기구의 크기가 증가될 수 밖에 없게 되므로 마이크로폰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며, 더욱이 외부의 연계장치에 적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superdirectional microphone 1 using the slot 11, the size of the superdirectional microphone mechanism as well as the number of the slots 11 necessary to receive the incident low frequency voice band can be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re is a limit in reducing the size, and furthermor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external linkage.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서, 슬롯을 이용한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의 단점을 개선하여, 다수의 지향성 마이크를 이용하되 각 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레벨을 각각 설정하고 설정된 감도 레벨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신호들을 혼합하여 차동으로 최종 출력신호의 이득을 조정함으로써 음향신호에 대한 지향각을 줄임과 동시에 저주파수대 음파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된 초소형의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the super-directional microphone using the slot, using a plurality of directional microphones, but sets the sensitivity level of each directional microphone, respectively, and outputs according to the set sensitivity level The purpose of this invention is to provide an ultra-compact zoom microphone that can stably operate on low-frequency sound waves while reducing the direct angle of the sound signal by differentially adjusting the gain of the final output signal by mixing the sound signals.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초지형성 줌 마이크로폰을 모바일폰(mobile phone) 등과 같은 개인휴대 무선단말기에 적용함으로써 화상통신이나 노이즈 환경 하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개인휴대 무선단말기의 특성을 극대화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ximize the characteristics of a person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by enabling the communication in a video communication or a noise environment by applying the above-mentioned papermaking zoom microphone to a person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have.

전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은, 모든 방향의 음향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감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마이크유니트;와, 지향방향에 따라 위상이 정 또는 역으로 변화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향성 마이크유니트; 및 각 마이크유니트의 감도 레벨을 설정하여 설정된 감도 레벨에 따라 입사되는 음향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각각의 증폭변환부와, 상기 증폭변환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다수의 음향신호를 혼합하여 차동으로 출력신호를 상승 또는 상쇄시키는 혼합부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t least one non-directional microphone unit having the same sensitivity to the acoustic signal in all directions; One or more directional microphone units; And an amplifying converter for adjusting the gain of the incident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set sensitivity level by setting the sensitivity level of each microphone unit, and mixing a plurality of acoustic signals output through the amplifying converter to differentially output the output signal.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ircuit portion consisting of a mixing portion to raise or cancel.

그리고, 상기 위상은 상기 지향방향에 대하여 정(+) 방향으로, 상기 지향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해서는 역(-) 방향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정(+) 방향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는 가산되어 출력신호를 상승시키고, 역(-) 방향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는 감산되어 출력신호를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hase is changed in a positive (+)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ng direction and in a reverse (-) direction with respect to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ng direction, so that an acoustic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 direction is added to increase the output signal. The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verse (-) direction is subtracted to cancel the output signa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의 일 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의 구성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혼합부의 상세 회로도이다. 3 is an embodiment of a super directional zoom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the super directional zoom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a block diagram of a super directional zoom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mixing part shown in FIG. 5A.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100)은 다수의 지향성 마이크(121-1,121-2)를 이용하여 예민한 지향성(즉, 초지향성)을 구현하는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마이크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향성 마이크를 이용한다. 그래서, 구비되는 다수의 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레벨을 설정하고 설정된 감도 레벨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신호들을 혼합하여 차동으로 최종 출력신호의 이득을 조정함으로써 슬롯을 통하여 구현되었던 초지향성 패턴을 구현하고, 종래의 마이크보다 소형화를 이루는 특징이 있다. The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sensitive directivity (that is, superdirectional) by using a plurality of directional microphones 121-1 and 121-2, and more preferably at least one omnidirectional microphone. Use at least one directional microphone. Thus, by setting the sensitivity level of the plurality of directional microphones provided, by mixing the acoustic signals output according to the set sensitivity level to differentially adjust the gain of the final output signal to implement the super-directional pattern that was implemented through the slot, It is characterized by smaller size than microphon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121-1,121-2) 즉, 하나의 무지향성 마이크와 하나의 지향성 마이크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실시예를 기술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의 지향성 마이크를 이용하여 다수의 음향신호를 선택적으로 혼합 녹음할 수 있다. Hereinafter,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 embodiment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two directional microphones 121-1 and 121-2, that is, one omnidirectional microphone and one directional microphone,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plurality of sound signals may be selectively mixed by using a plurality of directional microphones.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100)은 크게 상체(12)와 하체(14)로 구분되는 몸체(10), 및 몸체(10) 하단에 설치되어 다른 이용수단과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플러그(20)로 구성되고, 몸체(10)는 상체(12)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상체(12)와 하체(14) 사이에 조인트(13)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상체(10)는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121-1,121-2) 즉, 무지향성 마이크와 지향성 마이크가 내장되어 그릴망(122)으로 마감되어 있으며, 하체(14)는 상체(12)의 지향성 마이크(121-1,121-2)에 해당되는 감도 레벨을 각각 설정하고 설정된 감도 레벨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혼합하는 회로부가 내장되어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ure 3, the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he upper body 12 and the lower body 14, and the lower body 10 is installed with other means of use Consists of a connection plug 20 to be linked, the body 10 is connected by a joint 13 between the upper body 12 and the lower body 14 to enable the direction of the upper body 12 to be switched. The upper body 10 has two directional microphones 121-1 and 121-2, that is, an omnidirectional microphone and a directional microphone, and is closed with a grill net 122, and the lower body 14 is a directional microphone of the upper body 12. A circuit section for setting the sensitivity levels corresponding to (121-1, 121-2) and mixing the sound signals output in accordance with the set sensitivity level is incorporated.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100)의 외형은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외형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the appearance of the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100 made as shown is only one embodiment, it is not limited to the appearance shown in FIG. 3 and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Of course, many variations are possible by the ruler.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두개의 마이크(121-1,121-2)를 적용하여 초지향성을 구현하는 동작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4, an operation principle of implementing superdirectionality by applying two microphones 121-1 and 121-2 as described above is illustrated.

이때, 적용되는 하나의 무지향성 마이크는 도시된 P패턴과 같이 모든 방향에서 똑같은 감도로 음을 포착하는 무지향성(omni-directional)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하나의 지향성 마이크는 도시된 Q패턴과 같이 0도와 180도에서 최대, 90도에서는 최소, 그리고 그 두점 사이의 각도에서는 다양한 감도로 음을 포착하는 8자형의 카디오이도 패턴(cardioid pattern)을 가지고 있다. At this time, one omni-directional microphone applied has an omni-directional pattern that captures sound with the same sensitivity in all directions as in the P pattern shown, and the other directional microphone is shown as the Q pattern shown. It has an eight-character cardioid pattern that captures sounds with varying sensitivity at maximum at 0 and 180 degrees, minimum at 90 degrees, and at an angle between the two points.

따라서, 지향성 마이크의 전방과 후방에서는 8자형의 카디오이도 패턴에 의해 위상이 (+)위상과 (-)위상으로 서로 역상이 되므로, 이러한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121-1,121-2)를 조합하면 R패턴과 같이 0도 방향에 대해서는 최대 감도, 180도 대해서는 출력감도가 0이 되는 지향성을 얻을 수 있다. Therefore,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directional microphone, the phases are reversed from each other in the (+) phase and the (-) phase by an 8-character cardioid pattern. Therefore, when these two directional microphones 121-1 and 121-2 are combined, Like the pattern, the directivity at which the maximum sensitivity is obtained in the 0 degree direction and the output sensitivity is 0 in the 180 degree direction can be obtained.

예컨대, 전방 동일한 각도에서 하나의 음향신호가 방사되면 P패턴에 해당되는 무지향성 마이크는 OA직선 크기의 감도로 받아들이고, Q패턴에 해당되는 양지향성 마이크는 +OB직선 크기의 감도로 음향신호를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두 음향신호를 혼합하면 OA직선과 OB직선을 가산한 만큼에 해당되는 즉, OC직선 크기의 감도로 출력감도가 상승되어 출력된다. For example, when one acoustic signal is radiated at the same angle in front,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corresponding to the P pattern accepts the OA linear sensitivity, and the bidirectional microphone corresponding to the Q pattern accepts the acoustic signal with the sensitivity of the + OB linear magnitude. do. When these two sound signals are mixed, the output sensitivity is increased by the sensitivity of the OC linear size, which is equivalent to the addition of the OA straight line and the OB straight line.

반대로, 후방 동일한 각도에서 다른 음향신호가 방사되면 P패턴에 해당되는 무지향성 마이크는 OA'직선 크기의 감도로 받아들이고, Q패턴에 해당되는 양지향성 마이크는 (-)OB'직선의 크기로 감도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러한 두 지향성 마이크(121-1,121-2)로부터 출력되는 두 음향신호를 혼합하면 OA직선에 OB직선을 감산한 만큼에 해당되는 OC'직선 크기의 감도로 출력감도가 상쇄되어 출력된다. On the contrary, when another acoustic signal is radiated at the same rearward angle,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corresponding to the P pattern is taken as the sensitivity of OA 'linear size, and the bidirectional microphone corresponding to the Q pattern is measured at the sensitivity of the (-) OB' linear size. It is accepted. When the two acoustic signals output from the two directional microphones 121-1 and 121-2 are mixed, the output sensitivity is canceled by the sensitivity of the OC 'linear size corresponding to the subtracted OB straight line from the OA straight line.

이와 같이, 두개의 마이크(121-1,121-2)의 조합으로 예민한 초지향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구비되는 무지향성 마이크와 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레벨을 조절해야 하는 바, 무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레벨은 줄이는 방향으로 설정함과 아울러 지향성 마이크의 감도 레벨은 크게 하는 방향으로 설정하면 전체적인 출력감도가 도시된 R패턴에서 지향각이 더욱 작아져 예민한 지향성을 가지는 패턴으로 변화되므로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As such, in order to realize sensitive hyperdirectionality by the combination of the two microphones 121-1 and 121-2, the sensitivity levels of the omnidirectional and directional microphones to be provided should be adjusted. In addition, if the sensitivity level of the directional microphone is set in a direction that increases, the overall output sensitivity is changed from the R pattern shown in the drawing to a pattern having sensitive directivity, thereby effectively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발명의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10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121-1,121-2)의 감도 레벨을 설정하여 입사되는 음향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한편, 설정된 감도 레벨에 따라 출력되는 음향신호들을 조합하는 회로로 구성된다. The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djusts the gain of the incident sound signal by setting the sensitivity levels of the two directional microphones 121-1 and 121-2, as shown in FIGS. 5A and 5B. It is composed of a circuit for combining the sound signals output according to the set sensitivity level.

즉, 무지향성 마이크(121-1)의 감도 레벨을 설정하여 모든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음향신호를 설정된 감도로 동일하게 픽업되게 하는 제1 증폭변환부(141-1)와, 입사되는 음향신호의 입사방향에 따라 정 위상과 역 위상으로 바뀌는 지향성 마이크(121-2)의 감도 레벨을 설정하여 위상에 따라 다양한 감도로 픽업되게 하는 제2 증폭변환부(141-2), 및 무지향성 마이크(121-1)로부터 제1 증폭변환부(141-1)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음향신호와 지향성 마이크(121-2)로부터 제2 증폭변환부(141-2)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혼합하여 가산 또는 감산하는 혼합부(143)로 구성된다. That is, the first amplification converter 141-1 which sets the sensitivity level of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121-1 so that the acoustic signals incident from all directions are equally picked up by the set sensitivity, and the incident of the incident acoustic signals A second amplifying converter 141-2 for setting the sensitivity level of the directional microphone 121-2 that is reversed in the normal phase and the reverse phase in the direction to be picked up with various sensitivity according to the phase, and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121- 1) mixes and adds an acoustic signal output through the first amplification converter 141-1 and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directional microphone 121-2 through the second amplification converter 141-2. Or it consists of a mixing part 143 subtracted.

이때, 제1 증폭변환부(141-1) 및 제2 증폭변환부(141-2)는 보다 예민한 지향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무지향성 마이크(121-1)의 감도 레벨은 줄이고 지향성 마이크(121-2)의 감도 레벨은 크게 하는 방향으로 증폭기 등을 이용하여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증폭기의 조정을 용이하게 조작하기 위한 조작기가 따로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amplification converter 141-1 and the second amplification converter 141-2 reduce the sensitivity level of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121-1 to achieve more sensitive directivity and reduce the directional microphone 121-2.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sensitivity level using the amplifier in the direction to enlarge. And, a manipulator for easily manipulating the adjustment of such an amplifier may be provided separately.

한편, 혼합부(143)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증폭변환부(141-1) 및 제2 증폭변환부(141-2)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IC소자를 통하여 혼합함으로써 가산 또는 감산을 수행하고 가변저항(VR)에 의한 레벨만큼 조정되어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출력되는 신호는 ENC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이용수단과 연결되어 음향신호를 녹음 또는 더빙하거나 외부로 재생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mixing unit 143 adds or mixes the sound signals output from the first amplifying converter 141-1 and the second amplifying converter 141-2 through the IC element as shown in FIG. 5B. It is configured to perform subtraction and to adjust and output the level by the variable resistor VR. The output signal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means through an ENC terminal to record or dub a sound signal or to reproduce the sound.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모든 방향의 입사음에 대하여 위상이 동일하게 정(+)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는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의 특성과, 음의 입사방향에 따라서 위상이 정(+) 방향과 역(-) 방향으로 바뀌게 되는 지향성 마이크로폰의 특성을 이용한 것으로, 이러한 두 마이크의 특성을 서로 혼합(sum)하면 정(+) 방향에서의 신호는 플러스(+)되어 출력감도가 상승되고, 역(-) 방향에서의 신호는 마이너스(-)가 되어 출력감도가 상쇄되는 원리이다.This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that the phase oscillates in the positive (+)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incident sound in all directions, and the phase is inverse to the (+)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negative incident direction. It u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ional microphone that changes in the direction of), and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two microphones are mixed with each other, the signal in the positive direction is positive to increase the output sensitivity, and the reverse direction is negative. The signal at E is negative and cancels output sensitivity.

따라서, 무지향성 마이크(121-1)를 통하여 입사되는 음향신호는 제1 증폭변환부(141-1)에서 설정된 감도 레벨에 따라 플러스(+)되어 출력되고, 지향성 마이크(121-2)를 통하여 입사된 신호는 제2 증폭변환부(141-2)에서 설정된 감도 크기와 입사방향(예를들어, 전방 또는 후방)에 따라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되어 출력되는데, 이와 같이 출력되는 두 음향신호를 혼합부(143)에서 서로 혼합시키면 지향성 마이크(121-2)를 통하여 입사되는 음향신호의 위상에 따라 출력신호가 상승 또는 상쇄되어 출력될 수 있다. Therefore, the acoustic signal incident through the omnidirectional microphone 121-1 is output by being positively added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level set by the first amplifying converter 141-1, and is output through the directional microphone 121-2. The incident signal is output by being positive (+) or negative (-)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level set in the second amplification converter 141-2 and the incident direction (for example, front or rear). When the sound signals are mixed with each other in the mixing unit 143, the output signals may be increased or canceled according to the phase of the sound signals incident through the directional microphone 121-2 and output.

이때, 지향성 마이크(121-2)의 지향방향은 정(+) 방향으로 하고, 지향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해서는 역(-) 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recting direction of the directional microphone 121-2 is set to the positive (+)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ng direction is set to the reverse (-) direction.

이에 따르면, 지향성 마이크(121-2)에서 정 위상을 갖는 신호는 제2 증폭변환부(141-2)에서 설정된 감도 레벨로 플러스(+)되어 무지향성 마이크(121-1)를 통하여 입사된 신호와 가산됨으로써 최종 출력신호의 감도가 상승되어 출력되고, 반대로 역 위상을 갖는 신호는 제2 증폭변환부(141-2)에서 설정된 감도 레벨로 마이너스(-)되어 결국 출력신호의 감도가 상쇄되어 출력된다.Accordingly, a signal having a positive phase in the directional microphone 121-2 is positive (+) to the sensitivity level set in the second amplifying converter 141-2 and is incident through the non-directional microphone 121-1. By adding with, the sensitivity of the final output signal is increased and output. On the contrary, the signal having the reverse phase is negative (-) to the sensitivity level set by the second amplification converter 141-2, so that the sensitivity of the output signal is canceled and output. do.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마이크(121-1) 및 지향성 마이크(121-2)를 이용함으로써 기존 마이크의 크기보다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더욱이 각 지향성 마이크(121-1,121-2)의 감도 레벨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먼 거리나 노이즈 환경에 의한 저주파 음성 대역까지 픽업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녹음시 주위의 신호 즉, 잡음은 최소화하고 설정된 특정 방향으로부터 입사되는 음향신호만 크게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배경 효과음으로 더빙동작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than the size of the existing microphone by using at least one omnidirectional microphone 121-1 and the directional microphone 121-2, and furthermore, each directional microphone Sensitivity levels of (121-1, 121-2) can be arbitrarily set, so that low-frequency voice bands can be picked up by a long distance or a noise environment. In addition, when recording, the surrounding signal, that is, noise can be minimized and only an acoustic signal incident from a predetermined direction can be increased, and in some cases, a dubb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 a background effect sound.

한편, 본 발명의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100)은 임의의 특정 방향에 대한 음향신호는 상승시켜 출력하고 이외의 방향의 음향신호는 감쇠시킬 수 있도록 마이크(121-2)의 지향각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rbitrarily set the direction angle of the microphone 121-2 so that the sound signal in any particular direction can be raised and outputted, and the sound signal in other directions can be attenuated. have.

이러한 본 발명의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100)을 모바일폰(5) 등과 같은 개인휴대 무선단말기에 적용한 실시예를 살펴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폰(5)의 하우징에 서로 대향되게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51,52)를 장착하고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51,52)로부터 입사되는 음향신호를 전술한 바와 같이 조합하여 출력하는 회로부를 설치함으로써 화상통신이나 노이즈 환경 하에서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개인휴대 무선단말기 뿐만 아니라, 워크맨이나,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 멀티미디어(Multimedia)에 적용하여 양질의 음성 녹음이 가능케 할 수 있다. Looking at an embodiment in which the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personal portable radio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5, two housings of the mobile phone 5 are oppos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6. The directional microphones 51 and 52 are mounted, and as described above, a circuit section for combining and outputting the acoustic signals incident from the two directional microphones 51 and 52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even in a video communication or noise environment. Communication can be enabled. Furthermore, not only a person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but also a walkman, a CD player, and an MP3 player may be applied to multimedia such as high quality voice recording.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두개의 지향성 마이크를 이용하고서도 양질의 초지향성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에 비하여 그 크기를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되어 콤팩트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저주파수 음성 대역까지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high quality superdirectional image even when using two directional microphones, and to reduce the size significantly compared to a conventional superdirectional microphone, and to realize a compact design. have. Furthermor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operate stably to the low frequency voice band.

나아가, 모바일폰이나 캠코더, 워크맨,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 멀티미디어(Multimedia)에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노이즈 환경에서도 음성녹음 및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enabling voice recording and calling even in a noisy environment by applying variously to multimedia such as a mobile phone, a camcorder, a walkman, a CD player, and an MP3 play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the form of a superdirectional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 초지향성 마이크로폰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념도,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principle of a conventional superdirectional microphon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의 일 실시예,3 is an embodiment of a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의 동작 원리를 나타낸 개념도,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principle of the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의 구성도,5A is a block diagram of a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혼합부의 상세 회로도, 5B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mixing part shown in FIG. 5A;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을 모바일폰에 장착하여 사용한 예. 6 is an example of using a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mounted on a mobile phon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0;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 10;몸체100;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10; body

20;연결플로그 12;상체20; plug 12; upper body

13;조인트 14;하체13; joint 14; lower body

121-1,121-2;지향성 마이크 122;그릴망121-1,121-2; Omnidirectional microphone 122; Grill network

141-1,141-2;제1,2 증폭변환부 143;혼합부141-1,141-2; first and second amplification conversion unit 143; mixing unit

Claims (4)

특정 방향의 음향신호에 대하여 예민한 지향성을 갖는 마이크로폰에 있어서, In a microphone having a directivity to the acoustic signal in a specific direction, 모든 방향의 음향신호에 대하여 동일한 감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무지향성 마이크유니트;와, At least one omnidirectional microphone unit having the same sensitivity to acoustic signals in all directions; and 지향방향에 따라 위상이 정 또는 역으로 변화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향성 마이크유니트; 및At least one directional microphone unit whose phase changes in a positive or inverse direction depending on the directing direction; And 각 마이크유니트의 감도 레벨을 설정하여 설정된 감도 레벨에 따라 입사되는 음향신호의 이득을 조정하는 각각의 증폭변환부와, 상기 증폭변환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다수의 음향신호를 혼합하여 차동으로 출력신호를 상승 또는 상쇄시키는 혼합부로 이루어지는 회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 By setting the sensitivity level of each microphone unit, each of the amplification converter which adjusts the gain of the incident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the set sensitivity level, and a plurality of acoustic signals output through the amplification converter are mixed to increase the output signal differentially. Or a circuit section comprising a mixing section for cancel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은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hase is 상기 지향방향에 대하여 정(+) 방향으로, 상기 지향방향 이외의 방향에 대해서는 역(-)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 A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characterized by changing in a positive (+)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directing direction and in a reverse (-) direction with respect to a direction other than the directing direction.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정(+) 방향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는 가산되어 상기 출력신호를 상승시키고, 상기 역(-) 방향에 대응되는 음향신호는 감산되어 상기 출력신호를 상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And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positive (+) direction is added to increase the output signal, and a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verse (-) direction is subtracted to cancel the output signal.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모바일폰이나 캠코더, 워크맨, CD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와 같은 외부의 멀티미디어와 연결하여 사용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초지향성 줌 마이크로폰.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which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external multimedia such as mobile phones, camcorders, walkman, CD player, and MP3 player.
KR1020030061854A 2003-09-04 2003-09-04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KR1005442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54A KR100544276B1 (en) 2003-09-04 2003-09-04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54A KR100544276B1 (en) 2003-09-04 2003-09-04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49A true KR20050024049A (en) 2005-03-10
KR100544276B1 KR100544276B1 (en) 2006-01-23

Family

ID=3723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854A KR100544276B1 (en) 2003-09-04 2003-09-04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4276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495A (en)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Uni-directional micro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8290177B2 (en) 2007-09-05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nd zoom method, medium, and apparatus
KR101534151B1 (en) * 2013-09-13 2015-07-07 유한회사 청텍 earphone having Zoom microphone function
KR20160131288A (en) 2015-05-06 2016-1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icrophone for measuring nose and method for testing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of compart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748B1 (en) 2015-12-09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icroph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495A (en) * 2004-02-13 2005-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Uni-directional microphone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8290177B2 (en) 2007-09-05 2012-10-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ound zoom method, medium, and apparatus
KR101534151B1 (en) * 2013-09-13 2015-07-07 유한회사 청텍 earphone having Zoom microphone function
KR20160131288A (en) 2015-05-06 2016-11-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Microphone for measuring nose and method for testing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of compar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4276B1 (en) 2006-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4823B2 (en) Headphone device, sound reproduction system, and sound reproduction method
US8948418B2 (en) Noise masking communications apparatus
US7953456B2 (en) Acoustic echo reduction in mobile terminals
US8155364B2 (en) Electronic device with microphone array capable of suppressing noise
US200700415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nvironmental specific noise reduction algorithms
US20050090295A1 (en) Communication headset with signal processing capability
US20090041267A1 (en) Headset capable of being used as external speaker and method for adjusting output an thereof
EP1282335B1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KR20090065255A (en) Directive speaker and mobile station thereof
CN103004233A (en) Electronic apparatus for generating modified wideband audio signals based on two or more wideband microphone signals
JPH0761098B2 (en) Loud phone station
CN102045617A (en) Eyeglasses with a planar of microphones for assisting hearing
US8218785B2 (en) Conversation assistant for noisy environments
JP3226121B2 (en) Intercom equipment
KR100544276B1 (en) Super-directional zoom microphone
JP3254789B2 (en) Hearing aid
JP3845382B2 (en) Mobile phone speaker mounting system and ringing method
KR100874470B1 (en) Variable Directional Microphone Using Analog Signal Processor
KR101290149B1 (en) The Folding type Directional Speaker Array Module
KR100878110B1 (en) An installation for directional speaker of mobile
KR100631285B1 (en) Variable Directional Stereo Microphone
CN107920157A (en) A kind of way of recording, device and equipment
CN215499484U (en) Wireless noise reduction earphone
JPH0870493A (en) Noise cancelling headset for two-way speech
JP2009021657A (en) Sound radiation and pickup device and sound radiation and pickup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