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434A -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434A
KR20050023434A KR10-2005-7000853A KR20057000853A KR20050023434A KR 20050023434 A KR20050023434 A KR 20050023434A KR 20057000853 A KR20057000853 A KR 20057000853A KR 20050023434 A KR20050023434 A KR 20050023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hole
retaining member
bon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르호크쟝-샤를레
류밍얀
죠시루아끄
디크맨커티스에이.
랜지에릭씨.
Original Assignee
에스디지아이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디지아이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디지아이 홀딩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5-7000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3434A/ko
Publication of KR20050023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43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0Cortical plates, i.e. bone plates; Instruments for holding or positioning cortical plates, or for compressing bones attached to cortical pl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은 적어도 제 1 및 제 2 뼈 분절에 체결가능한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한다. 척추 안정화를 위해, 플레이트는 각각의 척추뼈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뼈 패스너에 의해 제 1 및 제 2 척추뼈에 부착된다. 유지 부재들(retaining members)은 뼈 패스너들이 플레이트로부터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하나의 유지 부재는 뼈 패스너들이 서로 방해하지 않으면서 플레이트에 토글되게 하는 가변형 유지 부재(variable retaining members)이다. 제 2 유지 부재는 뼈 패스너들을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고정형 유지 부재 (fixed retaining member)이다.

Description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PLATING SYSTEM FOR STABILIZING A BONY SEGMENT}
본 발명은 2002년 7월 16일자로 출원된 미국특허 가출원 제 60/396,251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한다.
본 발명은 척주 분절(spinal column segment)과 같은 뼈 분절 (bony segment)의 안정화를 위한 플레이팅 시스템(plating system)에 관계한다.
척추를 포함해서 뼈의 일부분들을 안정화하기 위해 다양한 유형의 플레이팅 장치들 및 시스템들이 이용되어 왔다. 척추 안정화 기술(spinal stabilization techniques)은 척주 분절(spinal column segment)의 뒷부분, 앞부분, 옆부분, 후측 부분 및 전측 부분들에 플레이팅되기 위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플레이팅 시스템들은 손상되거나 병든 척추, 추간 디스크, 및 척주의 기타 요소들의 복구를 위해 척주 분절들을 고정시킨다. 이러한 플레이팅 시스템들은 단독으로 이용되거나 다른 플레이팅 또는 고정 시스템들(fixation systems) 또는 체간 융합 장치(interbody fusion devices)와 같은 다른 임플란트들(implants)과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척추 플레이팅 시스템 및 기타의 뼈 고정 시스템 (bone fixation systems)들이 알려져 있지만, 추가적으로 개량된 시스템들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구 및 기타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척주 분절(spinal column segment)과 같은 뼈 분절 (bony segment)의 안정화를 위한 플레이팅 시스템에 관계한다.
뼈 분절에 플레이트(plate)를 고정시키는 뼈 나사 (bone screw)는 플레이트로부터 다시 빠져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지 부재(retaining member)의 하나의 구현예는 뼈 나사들이 플레이트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게 함과 동시에 나사가 유지 부재를 방해하지 않고 플레이트의 뼈 나사 홀들(bone screw holes) 안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유지 플레이트와 나사 사이의 여유 공간(clearance)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의한 유지 부재는 뼈 나사의 헤드 부분을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upper surface) 아래에 체결하여 뼈 나사를 플레이트에 고정함으로써 뼈 분절을 넘어가는 플레이팅 시스템의 윤곽(profile)을 감소시킨다.
또 다른 양상에 의하면,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은 적어도 제 1 및 제 2 뼈 요소(first and second bony elements)에 체결될 수 있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척추 안정화(spinal stabilization)의 경우에, 플레이트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척추뼈에 부착되는데, 각각의 척추뼈 내의 적어도 하나의 뼈 나사에 의해 부착된다. 선택된 유지 부재(selected retaining member)는 적어도 하나의 뼈 나사가 플레이트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하나의 유지 부재는 플레이트에 부착된 가변형 유지 부재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적어도 하나의 뼈 나사를 플레이트 내에서 토글하도록 허용하는 가변형 유지 부재 (variable retaining member)이다. 제 2 유지 부재는 고정형 유지 부재가 플레이트에 부착될 때 적어도 하나의 뼈 나사를 플레이트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형 유지 부재(fixed retaining member)이다.
플레이트를 뼈 분절에 삽입 또는 부착하거나 유지 부재들을 플레이트에 삽입 또는 부착하기 위한 기구들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플레이트 및 유지 부재들을 삽입하는 방법 및 척추 안정화를 위한 외과적 수술 방법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기타의 구현예들, 양상들, 형태들, 특징들, 이점들 및 목적 및 원리들에 대해서 후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플레이팅 시스템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뼈 분절에 인접해서 위치된 플레이트의 도 1의 2-2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3-3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레이팅 시스템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제 1 구현예의 유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유지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유지 부재의 6-6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부분적으로 플레이트의 표면을 따라서 부착된 도 4의 제 1 구현예의 유지 부재를 갖는 뼈 패스너를 구비하는 도 1의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플레이팅 시스템의 일부분을 포함하는 제 2 구현예의 유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유지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유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유지 부재의 11-11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유지 부재의 12-12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뼈 패스너를 갖는 도 1의 플레이트의 단면도 및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을 따라서 위치되고 서로 체결된 도 9의 13-13선에 따른 제 2 구현예의 유지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플레이트 및 유지 부재들을 수술 부위에 삽입하기 위한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4의 유지 부재에 부착된 도 14의 기구의 원위 말단(distal end)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플레이트를 뼈 분절에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 홀/패스너들의 드릴링(drilling), 태핑(tapping) 및/또는 삽입을 위한 플레이트 상에 위치된 가이드 메카니즘(guide mechanism)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원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예시된 구현예 및 이러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특수 용어에 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된 장치의 변형 및 추가적인 개조 및 본원에 예시된 본 발명의 원리의 적용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들에게 자명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인체의 뼈 분절을 부착하기 위한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한다. 유지 부재들은 플레이트 패스너(plate fastener)들이 플레이트로부터 다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패스너들은 플레이트를 제 1 및 제 2 뼈 분절에 부착하여 뼈 분절들을 서로에 대해 안정화한다. 하나의 응용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척주의 제 1 및 제 2 척추뼈에 부착된다. 다른 응용예에 있어, 플레이트는 척주의 흉추 및 요추의 외측면(lateral aspect) 또는 사면(oblique aspect)에 부착될 수 있다. 척주의 다른 척추뼈 및 척주의 척추뼈의 다른 면에 대한 부착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플레이트는 플레이트의 각각의 말단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나사(fixation screw)에 의해 각각의 뼈 분절에 고정된다. 하나의 특수한 구현예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상부 척추뼈(upper vertebra)를 따라서 위치가능한 제 1 부분 (a first portion), 하부 척추뼈를 따라서 위치가능한 제 2 부분, 및 인접하는 척추뼈 사이의 추간판 공간(spinal disc space)을 따라서 신장하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 사이의 중간 부분(a middle portion)을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플레이트를 상부 척추뼈에 연결하기 위한 뼈 패스너를 수용하는 한 쌍의 홀들(holes)을 포함하고 제 2 부분은 플레이트를 하부 척추뼈에 연결하기 위한 뼈 패스너를 수용하는 한 쌍의 홀들을 포함한다.
유지 부재들은 뼈 패스너들이 플레이트를 뼈 분절에 체결하기 위해 플레이트에 삽입되고나서 플레이트로부터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하나의 구현예에 있어서, 유지 부재는 가변형 유지 부재(variable retaining member)이다. 가변형 유지 부재는 나사 홀을 넘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더 신장하여 나사가 플레이트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한다. 가변형 유지 부재는 플레이트를 뼈 분절에 고정하는 뼈 패스너의 위치에 대응되는 구멍들(apertures) 또는 홀들(holes)을 포함한다. 구멍은 뼈 패스너가 가변형 유지 부재를 방해하지 않고 플레이트 홀내에서 회전가능하게 하지만, 패스너의 상부 부분(upper portion) 보다 적다.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는, 그로부터 플레이트의 뼈 패스너의 위치에 대응하여 신장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고정형 유지 부재(fixed retaining member)가 제공된다. 돌출부들은 뼈 패스너의 상부 부분을 체결하고 뼈 패스너들이 플레이트로부터 빠져나오거나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한다.
도 1-3을 참고하면, 뼈 분절에 부착가능한 플레이트 (20)가 도시되어 있다. 플레이트 (20)는 상부 표면 (22a)과 대향하는 하부 표면 (22b)을 포함하는 본체 (22)를 구비한다. 본체 (22)는 제 1 측면(24) 및 제 2 측면(26)을 포함한다. 제 1 측면 (24) 및 제 2 측면 (26)은 제 1 말단 (28)과 대향하는 제 2 말단(30) 사이에서 신장한다. 제 1 및 제 2 측면(24, 26)은 본체(22)의 뼈 분절을 따르는 외측 넓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오목한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제 1 말단 (28) 및 제 2 말단 (30)은 플레이트(20)의 종축 (L)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져서 제 2 측면(26)이 제 1 측면 (24) 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측면(24, 26) 및 말단들 (28, 30) 사이에서 이행되는 본체(22)의 코너들은 조직을 꼬집거나 절단하거나 닳게 할 수 있는 예리하거나 가파른 에지를 제거하기 위해 라운드질 수 있다. 상부 표면(22a)과 하부 표면(22b) 사이에 걸쳐있는 본체(22)의 표면들은 조직을 꼬집거나 절단하거나 닳게 할 수 있는 예리하거나 가파른 에지를 제거하기 위해 라운드지거나 완만하게 될 수 있다.
플레이트(20)의 본체 (22)는 제 1 부분(48), 제 2 부분(50), 및 이들 사이에 뻗어 있는 중간 부분(52)을 추가로 포함한다. 플레이트(20)는 본체(22)의 제 1 말단(28)에 인접하는 제 1 부분(48)에 있는 본체(22)를 관통해서 신장하는 제 1 홀(32) 및 제 2 홀(34)을 포함한다. 플레이트(20)는 본체(22)의 제 2 말단(30)에 인접하는 제 2 부분(50)을 통해서 신장하는 제 3 홀(36) 및 제 4 홀(38)을 포함한다. 홀들 32, 34, 36 및 38은 상부 표면 (22a)과 하부 표면 (22b) 사이에서 신장하거나 열린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단일의 구멍이 제 1 및 제 2 부분들(48, 50) 중 하나 또는 양자에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두 개를 초과하는 홀들이 제 1 및 제 2 부분들 (48, 50) 중 하나 또는 양자에 취부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현예에서, 플레이트(20)는 척주의 분절의 척추뼈 V1 및 V2에 대해 위치될 수 있고 부착될 수 있다. 플레이트 (20)의 전체적인 구조는 표준화될 수 있고, 일정한 범위의 크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외부 크기도 안정화되어야 하는 부위의 표준화된 측정 또는 수술전-모델링(preoperative modeling)에 의해 측정된 환자의 해부학적 크기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플레이트 (20)는 흉추 또는 요추 부위의 척주 분절의 제 1 및 제 2 척추뼈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플레이트가 척추 또는 다른 뼈 분절에 부착될수만 있다면 다른 형태도 예상할 수 있다.
본체 (22)의 하부 표면 (22b)은 뼈 분절을 향하게 된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하부 표면 (22b)은 척추뼈 V1 및 V2을 따라서 위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부 표면 (22b)은 제 1 부분(48)을 따라서 제 1 표면 부분(a first surface portion: 48a), 제 3 부분(50)을 따라서 제 2 표면 부분(50a) 및 중간 부분(52)을 따라서 중간 표면 부분 (52a)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표면 부분들 (48a, 50a)은 각각 종축 L을 따라서 볼록하게 만곡된 부분을 포함하는 전이 표면 (transition surface; 48b, 50b)을 가질 수 있다. 볼록하게 만곡된 부분은 중간 표면 부분(52a)으로 이어지는 오목하게 만곡된 부분내로 전이된다. 이러한 볼록-오목 만곡 전이 표면들은 본체(22)가 각각의 척추 종판 (vertebrate endplate)에 인접하는 척추뼈 V1 및 V2의 외측면 또는 사면들(oblique faces)에 잘 포개지게 한다.
척추뼈 V1 및 V2 사이의 추간판 공간을 따라서 위치가능한 중간 표면 부분(52a)은 종축 L을 따라서 볼록하게 만곡될 수 있다. 본체 (22)의 상부 표면(22a) 및 하부 표면(22b)은 종축 L을 가로질러서 또는 종축 둘레로 만곡되지 않은 구조일 수 있다.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22a) 및 하부 표면(22b)이 플레이트(20)가 고정될 해부학적 위치에 맞도록 되어 있는 다른 구현예도 생각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종축 L을 따르는 플레이트 홀의 방향(orientation)에 대해서 설명한다. 홀 32 및 34는 각각 제 1 말단 (28)쪽으로 상부 표면(22a)에 대해서 약 6도 정도 각으로 배향된 도 2에 홀 34의 중심선 C1으로 표시된 중심선을 가질 수 있다. 홀 36 및 38은 각각 제 2 말단 (30)쪽으로 상부 표면(22a)에 대해서 약 6도 정도 각으로 배향된 도 2에 홀 38의 중심선 C2로 표시된 중심선을 가질 수 있다. 플레이트(20)가 척주 분절에 부착된 예시된 구현예에서, 홀 32, 34의 중심선들은 두부적으로(cephaladly) 배향되고, 홀 36, 38의 중심선들은 미부적으로(caudally) 배향된다.
도 3을 참고하여 종축 L 둘레로의 플레이트 홀들의 배향에 대해서 설명한다. 인접하는 홀 쌍들 32, 34 및 인접하는 홀 쌍들 36, 38은 플레이트(20)의 하부 표면 (22b) 아래에서 수렴하는 중심선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36의 중심선 C2 및 홀 38의 중심선 C3은 각각 축 A에 대해 각(angle) B2 및 B3으로 배향된다. 축 A는 중앙에 위치하고 상부 표면 (22a)과 하부 표면 (22b) 사이의 플레이트의 종축(L)을 따라서 수직으로 신장한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각(angle) B2 및 B3는 각각 약 6도이다. 플레이트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상술한 것과는 다른 패스너 홀들(32, 34, 36 및 38)의 서로에 대한 및 플레이트(20)에 대한 중심선들의 배향(orientation)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는 홀 쌍들의 증심선들은 플레이트 아래에서 발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홀들의 중심선들은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중 하나 또는 양자에 대해서 수직일 수 있다.
홀들 32, 34, 36 및 38에는 플레이트(20)의 상부 표면 (22a)과 상통하는 구형 형태의 시이트(spherically shaped seat)가 취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 34의 시이트 34a 및 홀 36의 시이트 36a는 구형 형태의 부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구형 형태 부분은 그 안에 위치된 뼈 패스너의 헤드의 하면(underside) 상의 동등한 형태의 표면과 서로 매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뼈 패스너들은 홀의 대응하는 중심축에 대해서 복수의 각들(angles)로 대응하는 홀안에 토글(toggle)될 수 있다. 하나의 구현예에서, 각 이동(angular movement)의 범위는 대응하는 축의 전방향으로 0도부터 약 6도이다. 홀들(32, 34, 36 및 38)의 시이트들은 본체 (22)의 상부 표면 (22a) 아래에 위치되어, 뼈 패스너가 패스너 홀 내에 있는 시이트와 접촉될 때, 그 안에 위치된 뼈 패스너의 헤드 또는 상부 부분(upper portion)이 상부 표면 (22a) 아래에서 리세스되도록 한다.
제 1 홀(32)은 제 2 홀 (34)로부터 제 1 말단(28)쪽 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고 제 3 홀(36)은 홀 38로부터 제 2 말단(30)쪽 방향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나사 홀들의 오프셋 페어(offset pair)는 상부 부분 (48)내의 인접한 홀쌍의 각각의 홀 32, 34 및 하부 부분(50)의 인접하는 홀쌍의 각각의 홀 36, 38이 종축 L에 가깝게 위치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홀 쌍들 사이의 본체(22)의 구조적인 완전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플레이트(20)의 본체(22)의 외측 폭(lateral width)은 최소로 유지될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제 1 및 제 2홀들(32, 34)에 인접하는, 제 1 부분(48) 내에 있는 상부 표면(22a)으로부터 그것을 통해서 관통하는 제 1 보어(40)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20)는 제 3 및 제 4홀들(36, 38)에 인접하는 제 2 부분(50) 내에 있는 상부 표면(22a)으로부터 그것을 통해서 관통하는 제 2 보어(42)도 포함한다. 보어들 (40, 4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20)를 관통해서 신장하거나 유지 부재를 플레이트(20)에 체결하기 위해 패스너의 일부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거리 만큼의 길이로 연장된다. 보어 42와 관련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들 (40, 42)에는 각각 상부 표면 (22a)에 인접하는 확대 부분(enlarged portion)(42a)이 제공되고 유지 부재 패스너(90)와 체결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그러한 구조로 되어 있는 하부 표면(42b)을 구비할 수 있다. 확대 부분(42a)은 패스너(90)가 나사산 부분 (threaded portion)(42b)과 체결되기 전에 중앙에 적절하게 유위치 및 정렬되게 한다.
플레이트(20)는 본체(22)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부 표면 (22a)에서 개방되는 저장소(receptacle)(44)를 포함한다. 저장소(44)는 플레이트(20)를 뼈 분절에 인접하여 위치시키기 위한 삽입 기구를 체결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되거나 그러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저장소(44)에 인접하거나 그로부터 외측으로 오프셋되는 것은 인접하는 정렬 저장소 (alignment receptacle: 46)이다. 저장소들(44, 46)이 플레이트(20)를 완전히 관통해서 신장하거나 적어도 후술하는 바와 같은 삽입 기구를 수용하는데 충분한 길이 만큼 신장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플레이트(20)의 다른 구현예들에서는 플레이트를 뼈 분절에 인접해서 위치시키는 다른 수단도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 기구는 플레이트(20)의 측면들 및/또는 말단들을 잡아주거나 하나 이상의 보어들(40, 42) 또는 홀들(32, 34, 36, 38)을 체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4-6을 참고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레이트(20)에 부착가능한 유지 부재(60)의 제 1 구현예가 도시되어 있다. 유지 부재(60)는 제 1 및 제 2 오목 측면(64 및 66) 및 서로 대향하는 제 1 말단 및 제 2 말단 (68 및 70)에 의해 연결된 본체 (62)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말단들 (68, 70)은 유지 부재(60)의종축 (L1)에 대해서 경사지게 배향될 수 있다. 유지 부재(60)의 크기 및 형태는 플레이트(20)의 크기 및 형태와 일치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유지 부재(60)의 크기 및 형태는 플레이트(20)의 크기 및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유지 부재(60)는 한 쌍의 인접하는 제 1 및 제 2 구멍 (72 및 74) 및 한 쌍의 인접하는 제 3 및 제 4 구멍 (76 및 78)을 포함한다. 구멍들 72, 74, 76, 78은 유지 부재 (60)가 플레이트에 고정될 때, 플레이트(20)의 홀들 32, 34, 36, 38에 대해 각각 정렬된다. 플레이트의 뼈 패스너 홀들의 숫자 및 유지 부재(60)가 플레이트에 있는 뼈 패스너 홀들의 구멍들의 갯수와 동일한 갯수의 구멍을 갖는지 여부에 따라서 유지 부재(60)에는 더 많거나 적은 구멍들이 제공될 수 있다. 유지 부재(60)는 제 1 및 제 2 구멍들(72, 74)에 인접하는 제 1 쓰루-홀 (through-hole: 80) 및 제 3 및 제 4 구멍들 (76, 78)에 인접하는 제 2 쓰루-홀 (82)를 추가로 포함한다. 쓰루-홀(80 및 82)은 잠금 패스너(90)의 헤드를 오목한 곳에 두고 유지 부재(60)의 상부 표면 (62a)을 따라서 낮은 윤곽(profile)을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 확대된 상부 부분(enlarged upper portion: 80a, 82a)을 가질 수 있다. 쓰루-홀들(80, 82)에는 확대된 하부 부분들 (80b, 82b)이 설치될 수 있고 잠금 패스너가 각각의 쓰루-홀을 통해서 나사에 의해 삽입될 수 있도록 나사산 패턴(thread pattern)이 형성될 수 있다.
유지 부재(60)의 상부 표면 (62a)은 종축 L1을 따라서 약간 볼록한 만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표면 (61b)은 플레이트(20) 상에 설치될 수 있는 평평한 상부 표면(22a)에 대하여 위치될 수 있도록 평평할 수 있다. 유지 부재(60)는 플레이트 (20)를 넘는 윤곽은 가능한 낮게 유지하면서도 유지 부재(60)에 대한 하중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벤딩 및 기타의 변형에 견디기에 충분한 상부 표면 (62a)과 하부 표면 (62b)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유지 부재(60)는 상부 표면(62a)에 오목하게 들어간 표면 (recess surface: 8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목 표면 (88)은 평평하고 삽입 기구를 위한 부착 위치(attachment location)를 제공한다. 중앙 저장소(84) 및 인접하는 정렬 저장소 (alignment receptacle)(86)는 상부 표면(62a)과 하부 표면 (62b) 사이로 신장한다. 저장소들 (84, 8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삽입 기구에 대한 유지 부재(60)의 부착 및 정렬을 위한 위치를 제공한다. 중앙 저장소(84)는 유지 부재의 삽입 기구에 대한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정렬 저장소(86)는 삽입 기구의 정렬 부재(alignment member)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인접하는 상부 표면 (62a)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뼈 패스너(92)는 플레이트(20)의 본체(22)를 뼈 분절에 부착한다. 뼈 패스너(92)는 해면모양의 뼈 나사 (cancellous bone screws)일 수 있다. 플레이트(20)는 앵커(anchor) 또는 볼트와 같은 일례의 임의의 유형의 뼈 체결 패스너(bone engaging fastener)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다. 뼈 패스너(92)의 헤드(92b)의 하면(underside)은 홀(32, 34, 36 및 38) 내에 수용된 나사의 스무스한 생크(shank) 위로 라운드질 수 있다. 라운드진 헤드(92b)는 패스너들이 홀들 (32, 34, 36 및 38) 둘레로 플레이트 안에 형성된 시이트 내에 잘 안착될 수 있게 하여, 나사의 설치 중 또는 그 이후에 패스너들이 플레이트(20)에 대해서 다양한 각을 이루거나 토글링할 수 있게 한다. 예시된 구현예에서, 잠금 패스너(90)는 대응하는 하나의 플레이트(20)의 구멍들 (40, 42)에 나사에 의해 체결가능한 샤프트(shaft) 및 유지 부재(60)의 쓰루-홀(80, 82)의 확대된 상부 부분들 (enlarged upper portions: 80a, 82a)에 위치된 확대된 헤드를 갖는 고정나사(set screws)이다.
구멍들 (72, 74, 76 및 78)은 유지 부재(60)가 잠금 패스너(90)에 의해 플레이트(20)에 부착될 때, 플레이트(20)의 대응하는 각각의 홀들 (32, 34, 36 및 38)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구멍들 (72, 74, 76 및 78)은 각각의 홀들 (32, 34, 36 및 38) 안에 있는 각각의 뼈 패스너(92)의 헤드(92b)가 토글링 중에 유지 부재(60)와 접촉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뼈 패스너(92)들이 전범위(full range)로 각 운동(angular movement)할 수 있게 한다. 구멍들 (72, 74, 76 및 78)은 도 6에 도시된 구멍 (72, 76)의 경사 부분(beveled portion)과 같은 경사진 하부 부분 (beveled lower portion)을 포함하여 패스너(92)의 헤드들(92b)의 상부 표면들 (92c) 사이에 훨씬 큰 여유공간(clearance)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구멍들 (72, 74, 76 및 78)은 뼈 패스너(92)의 헤드 보다 적어서, 뼈 패스너(92)들중 하나가 플레이트 내의 그의 시이트로부터 빠져 나온다면, 유지 부재(60)의 본체(62)는 나사 헤드와 접촉하여 더 이상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하여 토글링한다. 각각의 뼈 패스너(92)의 헤드 (92b)의 툴 체결 리세스(tool engaging recess)(92a)는 그것이 유지 부재(60)의 설치 이후에 유지 부재(60)를 제거하지 않고도 뼈 패스너(92)를 조이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대응하는 구멍들 (72, 74, 76 및 78)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도 8-13을 참고하여 다른 구현예의 유지 부재(100)를 설명한다. 유지 부재 100은 위에서 유지 부재 60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20) 상에 끼워질 수 있는 크기 및 형태를 가진다. 유지 부재(100)는 제 1 및 제 2 오목 사이드 (concave sides)(104 및 106) 및 경사지게 배향된 제 1 말단(108) 및 제 2 말단 (110)에 의해 연결된 본체 (102)를 포함한다. 유지 부재(100)의 크기 및 형태는 플레이트(20)의 크기 및 형태와 일치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들에서 유지 부재(100)의 크기 및 형태는 플레이트(20)의 크기 및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유지 부재 (100)의 본체(102)는 상부 표면 (102a) 및 하부 표면 (102b)을 포함한다. 유지 부재(100)는 한 쌍의 인접하는 체결 부재들 (112 및 114)과 본체(102)의 하부 표면(102b)으로부터 신장하는 한 쌍의 인접하는 제 3 및 제 4 체결 부재들 (116, 및 118)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부재들 (112, 114, 116 및 118)은 유지 부재 (100)가 플레이트에 고정될 때, 플레이트(20)의 홀들 32, 34, 36, 38에 대해 각각 정렬된다. 유지 부재(100)는 제 1 및 제 2 체결 부재 (112, 114)에 인접하는 제 1 쓰루-홀 (through-hole)(120) 및 제 3 및 제 4 체결 부재들 (116, 118)에 인접하는 제 2 쓰루-홀 (122)을 추가로 포함한다. 쓰루-홀(120 및 122)은 잠금 패스너(90)에 유지 부재(100)의 상부 표면 (62a)을 따라서 낮은 윤곽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확대된 상부 부분(enlarged upper portion: 120a, 122a)을 포함할 수 있다. 쓰루-홀들(120, 122)은 잠금 패스너가 그들을 통해서 나사산에 의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간 나사산 패턴(intermediate thread pattern)을 가질 수 있다.
유지 부재(100)의 상부 표면 (102a)은 종축 L1을 따라서 약간 볼록한 만곡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표면 (102b)은 평평하고 플레이트(20)의 상부 표면(22a)에 대해 설치될 수 있다. 유지 부재(100)는 플레이트 (20)를 넘는 윤곽을 최소화하면서도 유지 부재(100)에 대한 로드에 의해 생길 수 있는 벤딩 및 기타의 변형에 견디기에 충분한 상부 표면 (102a)과 하부 표면 (102b) 사이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체(102)는 본체에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하부 표면에 (102b)에 제 1 그루브(130) 및 제 2 그루브(132)를 가져서 필요한 경우 잠금 패스너들(90)이 체결 부재들(112, 114, 116 및 118)을 뼈 패스너들(92)과 체결되도록 강제한다.
유지 부재(100)는 상부 표면(102a)에 오목하게 들어간 표면 (128)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오목 표면 (128)은 평평하고 삽입 기구를 위한 부착 위치(attachment location)를 제공한다. 중앙 저장소(124) 및 인접하는 정렬 저장소 (126)는 상부 표면(102a)과 하부 표면 (102b) 사이로 신장한다. 저장소 (124, 12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착 위치를 제공하고 삽입 기구에 대한 유지 부재(100)의 정렬을 위한 위치를 제공한다.
체결 부재들 (112, 114, 116, 및 118)의 세부적인 구성은 체결 부재 (112)와 관련하여 도 12에 도시하였다. 체결 부재 (112)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뼈 패스너(92)의 툴 체결 리세스(92a) 내에 위치가능한 중앙 돌출부(112a)를 포함한다. 리세스 (112b)는 중앙 돌출 부재 (112a)의 둘레에 걸쳐 존재하고 리세스 (112b)는 뼈 패스너(92)의 헤드(92b)의 상부 표면(92c)을 수용하기 위한 크기를 갖는다. 중앙 돌출부(112a)는 툴 체결 리세스(92a)내에 뼈 패스너(92)를 체결할 수 있는 크기를 갖기 때문에, 툴 체결 리세스(92a)의 측면들은 중앙 돌출부(112a)와 접촉하여 뼈 패스너(92)를 플레이트에 고정한다.
체결 부재(112)의 측벽(112c)은 체결 부재 (112)의 중앙 부분이 하부 표면 (102b)으로부터 거리 d2 만큼 신장하고 체결 부재(112)의 외측이 하부 표면 (102b)으로부터 거리 d1 만큼 신장하도록 일정한 각으로 테이퍼진다. 이러한 방법으로, 체결부재(112)의 본체 (102)의 하부 바닥 표면 (102b)에 대한 각(angle)은 플레이트(20)를 통한 뼈 패스너(92)의 헤드의 각과 동일하다. 이것은 중앙 돌출부(112a)가 뼈 패스너(92)의 툴 체결 리세스(92a) 내에 확고하게 자리잡게 한다. 체결 부재들 (114, 116 및 118)은 유사하게 각각 중앙 돌출부 및 레세스를 포함하는데, 리세스 둘레로 뼈 패스너(92)가 헤드들을 체결하기 위한 테이퍼진 측벽들이 존재한다.
뼈 나사 가이드(bone screw guide)는 플레이트의 홀들을 통한 뼈 나사의 위치선정을 가이드하여 뼈 나사의 헤드들은 체결 부재들 (112, 114, 16 및 118)에 의한 체결에 적당한 각으로 플레이트(20)에 대해 각을 이루게 된다. 유지 부재(100)에 의해 체결된 뼈 나사의 헤드들에 의해, 뼈 나사들은 플레이트에 고정된다. 체결 부재들 (112, 114, 16 및 118)은 유지 부재(100)가 플레이트(20)의 상부 표면에 대해 동일 평면에 놓여 유지 부재(100)와 플레이트(20)의 상부 표면 사이의 조직(tissue)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구조물(construct)의 뼈 분절을 넘어가는 전체 윤곽(profile)을 최소화하도록 인접하는 플레이트 홀들 내에 수용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부재(100)는 플레이트(20)의 상부 표면 위로 신장하고 유지 부재(100)가 벤딩 포스(bending force)에 견디는데 충분한 경직성을 제공하고 뼈 나사가 체결될 때 척추뼈로부터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해 뼈 나사의 확고한 고정을 보장하는 두께를 갖는다.
도 14에는 플레이트(20)를 수술 부위에 삽입하고 유지 부재들(60, 100)을 삽입된 플레이트(20)에 부착하기 위한 삽입 기구(150)를 도시하였다. 도 15에는 삽입 기구의 원위 말단에 캡쳐된 유지 부재(60)를 도시하였다. 유지 부재 (100)와 플레이트(20)는 삽입 기구(150)의 원위 말단(distal end)에 부착될 수도 있다. 삽입 기구(150)는 플레이트(20) 상에 유지 부재(60, 100)와 정렬하고 유지 부재들(60, 100)이 플레이트에 부착시 플레이트(20)에 대한 회전을 방지한다.
삽입 부재(150)는 근위 핸들 부착 말단 (a proximal handle attachment end: 152)과 근위 말단 (152)으로부터 원위로 신장하는 샤프트 (154)를 포함한다. 샤프트 (154)는 근위 말단 (152)과 각(angle)을 형성하여, 근위 말단 (152)에 부착된 핸들이 외과 의사의 수술 부위에 대한 접근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도록 한다. 원위 푸트(distal foot: 156)은 샤프트(154)의 원위 말단으로부터 그에 대해 직각으로 신장한다. 푸트 (156)는 그로부터 원위로 신장하는 정렬 부재 (alignment member: 158) 및 인접하는 부착 부재 (attachment member:160)를 포함한다. 부착 부재 (160)는 헤드( 162), 중간 나사 부분 (an intermediate threaded portion: 164) 및 원위, 비나사 부분 (a distal, non- threaded portion: 166)을 포함한다.
삽입 기구 (150)는 플레이트를 뼈 분절과 체결하기 전에 또는 그 중간에 뼈 분절에 인접하여 플레이트(20)를 위치시키고 유지하기 위해서 플레이트(20)에 탈착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부착 부재 (160)의 중간 부분 (164)은 유지 부재 (60)의 중앙 저장소(central receptacle: 84) 또는 유지 부재(100)의 중앙 저장소(124)에 나사에 의해 끼워맞춰진다. 정렬 부재 (158)는 선택된 유지 부재(60, 100)의 삽입 기구 (150)에 대한 적절한 정렬 (proper alignment)를 보장하고 유지하기 위해 대응하는 정렬 저장소 (86, 126) 안에 받아들여진다. 푸트 (156)는 표면 (88, 128)를 따라서 위치되고 서로 베어링에 의해 끼워맞춰진다. 선택된 유지 부재(60, 100)가 플레이트(20)에 부착될 때, 정렬 부재 (158)는 정렬 저장소 (158) 내에 받아들여지고, 원위 말단 부분 (166)은 중앙 저장소 (144)에 받아들여진다. 중간 부분(164)은 선택된 유지 부재(60, 100)를 플레이트(20) 상에 임시로 캡쳐하기 위해 중앙 저장소 (44)와 나사에 의해 끼워맞춰진다. 정렬 부재 (158)는 선택된 유지 부재 (60, 100)를 잠금 패스너(90)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에 부착하는 동안에 플레이트(20)에 대해 선택된 유지 부재가 움직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을 돕는다. 잠근 패스너들(90)은 유지 부재(60, 100)의 쓰루-홀 (80, 82) 각각 안에 위치되거나 유지 부재 (100)의 쓰루홀들 (120, 122) 안에 위치되어 유지 부재를 플레이트(20)에 체결한다. 이어서 삽입 기구 (150)는 플레이트(20)로부터 풀리고 고정된 유지 부재(60, 100)로부터도 풀린다.
본원에 기술된 삽입 기구(150)의 디자인에 대한 많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0)를 연결하고 연결을 끊는 수단은 플레이트(20)의 저장소(40)와 공조할 수 있는 클립 체결/클립 해체 가능한(CLIPPABLE/UNCLIPPABLE) 것이거나 플레이트(20) 또는 유지 부재들(60, 100)의 하나 이상의 에지 둘레로 신장하거나 이러한 에지를 파악(grasp)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6을 참고하면, 플레이트(20)의 홀들을 통한 뼈 패스너의 드릴, 탭(tap) 및/또는 삽입을 안내하는 가이드 메카니즘 (200)이 도시되었다. 도 16에서, 플레이트 (20)는 부착 부재 (160)에 의해 삽입 기구 (150)에 부착된다. 가이드 메카니즘 (200)은 플레이트(20)에 대해 위치가능한 베이스 (202)를 포함한다. 베이스(202)는 부착 부재(160)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저장소 (216)를 포함하고 베이스 (202)의 바닥 표면은(bottom surface)은 푸트 (156)을 수용하는 리세스를 포함하여 베이스 (202)는 플레이트(20)의 상부 표면(22a)에 정면으로 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202)는 그것을 통해서 패스너(218)를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부(opening)를 포함한다. 패스너(218)는 푸트 (156)의 홀 (157)을 끼워 맞춰 가이드 메카니즘(200)을 삽입 기구 (154)에 고정한다.
가이드 메카니즘 (200)은 그의 제 1 말단에 제 1 가이드 부재(204)를 포함하고 그의 대향하는 말단에 제 2 가이드 부재 (210)를 포함한다. 제 1 가이드 부재 (204)는 플레이트(20)의 홀 (32)과 정렬가능한 제 1 포트(206) 및 플레이트(20)의 홀 (34)과 정렬가능한 제 2 포트(208)를 포함한다. 제 2 가이드 부재 (210)는 플레이트(20)의 홀 (36)과 정렬가능한 제 1 포트(212) 및 플레이트(20)의 홀 (38)과 정렬가능한 제 2 포트(214)를 포함한다. 포트들 (206, 208, 212, 214)은 뼈 체결 패스너들이 그들 각각의 플레이트 홀에 원하는 방향으로 배향되도록 하기 위해 드릴링, 태핑, 및 삽입 기구들을 수용하고 안내하는 긴 통로를 제공한다.
플레이트(20)를 뼈 분절에 부착하기 위한 수술 방법의 하나의 예는 플레이트 (20)를 위에서 언급한 삽입 기구(150)와 같은 삽입 기구의 원위 말단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한다. 플레이트 (20)는 뼈 분절에 인접하여 원하는 방향 및 위치로 위치된다. 플레이트(20)의 위치를 결정하는 삽입 기구 (150)에 의해, 목적으로 하는 유지 부재 (60, 100)들은 삽입 기구(150)가 제거될 때까지 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 없다. 드릴 가이드 200과 같은 드릴 가이드들은 플레이트(20)를 통해 드릴 되고/되거나 태핑되는 패스너 홀들에 대해 원하는 방향(desired orientation)을 제공하고/하거나 플레이트(20)에 대해 패스너 삽입을 위한 원하는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뼈 패스너들(92)은 이어서 플레이트를 통해 드릴링된 임의의 홀 내로 삽입된다. 뼈 패스너들(92)은 플레이트(20)를 뼈 분절에 고정하기 위해 드라이버 등에 의해 조여진다. 뼈 패스너들(92)의 관통 지점 (points of penetration) 및 관통 각 값(values of the angles of penetration)의 최선의 선택은 수술 이전 또는 수술 중에 외과의사에 의해 결정 및 조정될 수 있다. 뼈 분절에 고정된 플레이트에 의해, 삽입 기구(150)는 플레이트(20)로부터 제거되고 나서 원하는 유지 부재를 플레이트(20)에 체결하기 위해 원하는 유지 부재들(60, 100)에 부착된다.
본원에 기술된 플레이트들은 하나 이상의 유지 부재들, 플레이트와 유지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기구들, 및 플레이트를 통해 뼈 분절 내로 패스너 삽입을 위한 홀들을 형성하는 가이드들을 구비하는 키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레이트(20)에는 필요로 하는 뼈 나사 및 삽입 기구 150과 같은 삽입 기구 및 드릴 가이드 200과 같은 드릴 가이드들이 제공될 수 있다. 유지 부재 구현예 (60, 100)의 각각은 고정 플레이트(20)를 뼈 분절에 고정하기 위한 원하는 수단을 선택함에 있어서 외과 의사에게 어느 정도 융통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부재 (60) 및 뼈 패스너들(92)은 플레이트 (20)에 고정될 때, 뼈 패스너들이 회전하게 하고 압축력이 뼈 분절, 또는 하나 이상의 그라프트, 임플란트 또는 뼈 분절의 인접하는 부분들 사이에 있는 기타의 장치들 상에 유지되게 한다. 유지 부재 (100) 및 뼈 패스너들 (92)은 플레이트 (20)에 고정될 때, 뼈 패스너들을 플레이트 (20)에 대해 고정하여 뼈 분절의 인접하는 부분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한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유지 부재 60과 유지 부재 100을 결합시킨 형태의 유지 부재를 상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말단에는 구멍들이 취부되거나 패스너들이 플레이트 내에 토글되게 하는 구조일 수 있고, 다른 말단에는 패스너들을 플레이트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패스너들을 체결하는 체결 부재가 취부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는 유지 부재들이 둘 이상의 플레이트에 체결가능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지 부재의 제 1 유지 요소(first retaining element)는 플레이트의 제 1 부분에 체결될 수 있고 유지 부재의 제 2 유지 요소는 플레이트의 제 2 부분에 체결될 수 있다.
유지 부재들을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클립, 고정 나사(set screw), 잠금 패스너, 및 핀 등과 같은 다양한 패스너들을 사용할 수 있다. 유지 부재들은 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드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고 그 위에 프리로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지 부재들이 플레이트와 간섭 끼워맞춤 (interference fit)에 의해 또는 플레이트에 부착가능한 다른 부착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플레이트 및 유지 부재의 제조에 이용가능한 재료의 예들은 티타늄, 강철, 형상기억합금, 및 이들의 조합과 같은 생체적합성 재흡수불가능한 재료를 포함한다. 재흡수가능한 재료들(resorbable materials)도 사용할 수 있다. 유지 부재, 플레이트, 및 패스너들은 동일하거나 다른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다양한 유형의 임플란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척추 수술에서 그러한 임플란트 추간 공간 (D)에 존재하는 체간 스페이서(interbody spacers), 융합 장치(fusion device), 및 뼈 그라프트 재료 (bone graft materials)를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의 추가의 예들은 뼈 합정 (bone dowels), 푸쉬-인 케이지(push-in cages), 스크류-인 케이지(screw-in cages), 테이퍼진 케이지(tapered cages), 뼈 플레이팅 및/또는 플레이팅 대체 재료로 충진된 케이지(cages filled with bone graft and/or graft substitute material) 또는 척주의 분절 또는 다른 뼈 분절의 융합, 외부 및 내부 안정화에 적합한 다른 유형의 장치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도면 및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예시 및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설명을 위한 것으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며,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를 도시 및 설명한 것일 뿐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모든 변형 및 변화도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39)

  1. 다음을 포함하는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plating system):
    뼈 분절 (bone segment) 내로의 통로로 뼈 패스너(bone fastener)를 받아들이기 위한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로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홀과 뼈 분절 내로의 통로로 뼈 패스너를 받아들이기 위한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로 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홀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홀에 대응되는 적어도 제 1 구멍 (a first aperture) 및 상기 제 2 홀에 대응되는 제 2 구멍 (a second aperture)을 구비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에 인접하는 유기 부재로서(a retaining member), 상기 제 1 및 제 2 구멍들은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뼈 패스너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홀들로부터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뼈 패스너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홀들 내에 안착되어 토글되게 하는 크기를 가지는 유지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그 길이를 따라서 신장하는 외측 에지들(lateral edge)을 가지며, 상기 외측 에지들이 오목한 윤곽을 가지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제 1 홀을 가지는 제 1 부분(a first portion) 및 상기 제 2 홀을 갖는 제 2 부분 (a second por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이 뼈 분절의 제 1 척추뼈 위에 위치가능하고 상기 제 2 부분이 뼈 분절의 제 2 척추뼈 위에 위치가능한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과 상기 하부 표면 사이에 상기 제 1 홀에 인접하는 제 3 홀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과 상기 하부 표면 사이에 상기 제 2 홀에 인접하는 제 4 홀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의 종축에 대해 비스듬히 신장하는 상부 말단 (upper end)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 2 부분은 플레이트의 종축에 대해 비스듬히 신장하는 하부 말단 (lower end)을 포함하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3 홀이 종축의 대향하는 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및 제 4 홀은 종축의 대향하는 측면상에 위치하는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홀은 종축의 동일한 측면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홀은 상기 제 3 홀에 대해 미부적(caudally)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 2 홀은 상기 제 4 홀에 대해 두부적(cephaladly)으로 위치되는 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제 3 홀에 대응되는 제 3 구멍 및 제 4 홀에 대응되는 제 4 구멍을 포함하는 시스템.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하부 표면은 상기 플레이트의 종축을 따라서 상부 척추뼈의 외표면과 일치하는 만곡부(curvature)를 가지고;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하부 표면은 상기 플레이트의 종축을 따라서 하부 척추뼈의 외표면과 일치하는 만곡부를 갖는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표면은 상기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부분 사이에 상기 플레이트의 종축을 따라서 볼록한 만곡부를 갖는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을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홀에 인접하는 제 1 보어(bore)와 상기 제 2 홀에 인접하는 제 2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보어에 대응하여 위치가능한 제 1 쓰루-홀 및 제 2 보어에 대응하여 위치가능한 제 2 쓰루-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쓰루-홀들 각각을 통해서 위치가능하고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및 제 2 보어의 각각에 체결가능한 제 1 및 제 2 패스너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삽입 툴 체결 저장소 (insertion tool engagement receptacle) 및 상기 삽입 툴 체결 저장소에 인접하는 정렬 저장소 (alignment receptacle)를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에서 개방되며;
    상기 유지 부재는 삽입 툴 체결 저장소 및 상기 삽입 툴 체결 저장소에 인접하는 정렬 저장소를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툴 체결 저장소 및 상기 정렬 저장소와 각각 상통하는 시스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에 대해 위치되는 시스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일체로 된 부재(integral member)인 시스템.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뼈 패스너들이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홀들 안에 안착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 아래에서 리세스되는 시스템.
  17. 다음을 포함하는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뼈 분절 (bone segment) 내로의 통로로 뼈 패스너(bone fastener)를 받아들이기 위한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aperture)을 구비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에 인접하는 유기 부재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멍은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뼈 패스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로부터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뼈 패스너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 안에 안착되어 토글될 수 있게 하는 크기를 가지는 유지 부재.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제 1 홀을 갖는 제 1 부분 및 제 2 홀을 갖는 제 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뼈 분절의 제 1 척추뼈 위에 위치가능하고 상기 제 2 부분은 뼈 분절의 제 2 척추뼈 위에 위치가능한 시스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2 홀에 대응되는 제 2 구멍을 포함하는 시스템.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과 상기 하부 표면 사이에 상기 제 1홀에 인접하여 제 3홀을 포함하고; 및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과 상기 하부 표면 사이에 상기 제 2홀에 인접하여 제 4홀을 포함하는 시스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제 3 홀에 대응되는 제 3 구멍 및 제 4 홀에 대응되는 제 4 구멍을 포함하는 시스템.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을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시스템.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뼈 패스너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홀 안에 안착될 때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 아래에서 리세스되는 시스템.
  24. 다음을 포함하는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플레이트로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를 관통하는 제 1 및 제 2 홀을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를 관통하는 제 3 및 제 4홀을 갖는 제 2 부분;
    상기 플레이트를 뼈 분절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홀 각각에 위치가능한 뼈 패스너(bone fastener)로서, 상기 각각의 뼈 패스너들이 툴 체결 리세스(tool engaging recess)를 구비하는 헤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홀 각각에 위치될 때, 상기 헤드가 상기 홀들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의 완전하게 아래에 위치되는 뼈 패스너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가능하고 상기 뼈 패스너들의 각각 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신장하는 유지 부재로서, 상기 유지 부재는 그로부터 대응하는 각각의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홀들로 신장하며 상기 뼈 패스너의 상기 툴 체결 리세스를 상기 홀 안에 체결하여 상기 뼈 패스너를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하는 적어도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체결 부재들(engagement member)을 구비하는 유지 부재.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홀이 상부 척추뼈에 위치가능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홀이 하부 척추뼈에 위치가능하도록 척주(spinal column)에 대해 위치가능한 시스템.
  26.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그의 하부 표면에 상기 유지 부재의 종축에 대해 횡으로 신장하는 한 쌍의 그루브(grooves)를 포함하는 시스템.
  27.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을 실질적으로 커버하는 시스템.
  28.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및 제 2 홀에 인접하는 제 1 보어 및 상기 제 3 및 제 4 홀에 인접하는 제 2 보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보어에 대응하여 위치가능한 제 1 쓰루-홀 및 제 2 보어에 대응하여 위치가능한 제 2 쓰루-홀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쓰루-홀의 각각을 통해서 위치가능하고 상기 유지 부재를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의 제 1 보어 및 제 2 보어 각각에 대해 체결가능한 제 1 및 제 2 패스너들을 추가로 포함하는 시스템.
  29.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체결 부재들(engagement members)은 상기 뼈 패스너의 상기 툴 체결 리세스 내에 위치가능한 중앙 돌출부 (central protrusion) 및 그 안에 상기 뼈 패스너의 상기 헤드를 받아들이기 위한 크기의 상기 중앙 돌출부 둘레에 걸쳐 있는 리세스(recess)를 포함하는 시스템.
  30.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삽입 툴 체결 저장소 및 상기 삽입 툴 체결 저장소에 인접하는 정렬 저장소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에서 개방되고; 및
    상기 유지 부재는 삽입 툴 체결 저장소(insertion tool engaging receptacle) 및 상기 삽입 툴 체결 저장소에 인접하는 정렬 저장소를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삽입 툴 체결 저장소 및 상기 정렬 저장소와 각각 상통하는 시스템.
  31.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에 대하여 위치되는 시스템.
  32.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 위로 신장하는 시스템.
  33.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제 2, 제 3 및 제 4 홀이 구형 시이트(spherically shaped seat)를 포함하고, 상기 뼈 패스너들 각각의 상기 헤드가 상기 시이트 내에 위치가능한 구형 하부 표면(spherical lower surface)을 포함하는 시스템.
  34. 다음을 포함하는 뼈 분절 안정화용 키트:
    그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서 신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홀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상기 제 1 및 제 2 홀 내에 위치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및 제 2 뼈 패스너;
    상기 상부 표면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가능한 제 1 유지 부재로서, 상기 제 1 유지 부재가 그를 통해서 상기 제 1 및 제 2 홀들이 정렬되는 구멍들을 가지고, 상기 제 1 유지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될 때, 상기 뼈 패스너가 상기 제 1 및 제 2 홀들 안에 토글될 수 있고 상기 유지 부재가 상기 뼈 패스너들이 상기 제 1 및 제 2 홀들로부터 다시 빠져나오지 않도록 방지하는 제 1 유지 부재; 및
    상기 상부 표면에 인접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부착가능한 제 2 유지 부재로서, 상기 제 2 유지 부재가 상기 제 1 및 제 2 뼈 패스너들을 상기 제 1 및 제 2 홀 안에 체결하여 상기 뼈 패스너들을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제 2 유지 부재.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가 상기 제 1 유지 부재 및 제 2 유지 부재 가운데 선택된 하나를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유지 부재들 중 선택된 하나를 체결하도록 되어 있는 삽입 툴(insertion tool)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36.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툴이 상기 플레이트에 삽입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에 체결가능한 키트.
  37. 제 36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가 상기 플레이트에 커플링된 상기 삽입 툴에 의해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상에 위치가능한 가이드 메카니즘(guide mechanism)으로서, 상기 삽입 기구에 탈착가능하게 커플링된 가이드 메카니즘을 추가로 포함하는 키트.
  38. 제 3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가이드 부재가 상기 플레이트 상에 위치될 때, 상기 제 1 및 제 2 홀 각각과 서로 정렬될 수 있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가이드 통로(guide passage)를 포함하는 키트.
  39.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지 부재가 제 1 및 제 2 홀들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 뼈 패스너의 대응하는 하나의 헤드 내에 있는 툴 체결 리세스와 체결가능하게 신장하는 적어도 제 1 및 제 2 체결 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들은 상기 제 1 및 제 2 뼈 패스너들의 상기 헤드들을 상기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 아래에 체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뼈 패스너들을 상기 플레이트에 대해 고정시키는 키트.
KR10-2005-7000853A 2002-07-16 2003-07-14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KR20050023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0853A KR20050023434A (ko) 2002-07-16 2003-07-14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0/396,251 2002-07-16
US10/219,516 2002-08-15
KR10-2005-7000853A KR20050023434A (ko) 2002-07-16 2003-07-14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434A true KR20050023434A (ko) 2005-03-09

Family

ID=4178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853A KR20050023434A (ko) 2002-07-16 2003-07-14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34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232B1 (ko) * 2013-01-02 2014-09-29 김길수 정형외과용 뼈 플레이트
US11123117B1 (en) 2011-11-01 2021-09-21 Nuvasive, Inc. Surgical fix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3117B1 (en) 2011-11-01 2021-09-21 Nuvasive, Inc. Surgical fixation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1445232B1 (ko) * 2013-01-02 2014-09-29 김길수 정형외과용 뼈 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9012B2 (en) Plating system for stabilizing a bony segment
US20210045783A1 (en) Bone fixation plate
US7468069B2 (en) Static anterior cervical plate
US81679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a plate to the spinal column
US6533786B1 (en) Anterior cervical plating system
US8470007B2 (en) Antero-lateral plating systems and methods for spinal stabilization
US8491643B2 (en) Anterior bone plate system and method of use
US9364272B2 (en) Bone fixation plate
US7931681B2 (en) Anti-backout mechanism for an implant fastener
US20040220571A1 (en) Bone plate assembly
US20060149253A1 (en) Spinal plate with internal screw locks
US20060036250A1 (en) Antero-lateral plating systems for spinal stabilization
US20060195089A1 (en) Spinal plating and intervertebral support systems and methods
US20130345813A1 (en) Dual Anchor Lateral Vertebral Body Fixation Plates
KR20050023434A (ko) 뼈 분절 안정화용 플레이팅 시스템
WO2008100239A2 (en) Improved static anterior cervical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