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320A - Push-lock handle assembly - Google Patents

Push-lock handle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320A
KR20050023320A KR10-2004-7020764A KR20047020764A KR20050023320A KR 20050023320 A KR20050023320 A KR 20050023320A KR 20047020764 A KR20047020764 A KR 20047020764A KR 20050023320 A KR20050023320 A KR 20050023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section
tab
male
hand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7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피터 엠. 뉴만
케네스 에이치. 크로에
Original Assignee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스.씨. 존슨 앤드 선,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4-7020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3320A/en
Publication of KR2005002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320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4Handle constructions telescopic; extensible; section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02Socket, tang, or like fixings
    • B25G3/12Locking and securing devices
    • B25G3/18Locking and securing devices comprising catches or paw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푸시-락 핸들 조립체(10)는 D 형 탭들(40) 및 오목부들(43)을 이용하여 축방향 운동에 의해 상호 결합되는 단편들(12, 14, 16)을 포함한다. 슬릿들 및 홈들은 상기 탭들(40)로 하여금 삽입되는 동안 약간 내측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손잡이 섹션(12), 적어도 하나의 봉형 섹션(16), 및 하나의 보조 부착 섹션(14)이 형성된다. 단순한 축방향 운동에 의해 부품들이 상호 스냅 체결된다.Push-lock handle assembly 10 includes fragments 12, 14, 16 that are mutually coupled by axial movement using D-shaped tabs 40 and recesses 43. Slits and grooves allow the tabs 40 to deform slightly inward while being inserted. According to another form, a handle section 12, at least one rod-shaped section 16, and one auxiliary attachment section 14 are formed. By simple axial movement the parts snap together.

Description

푸시-락 핸들 조립체{PUSH-LOCK HANDLE ASSEMBLY}Push-lock handle assembly {PUSH-LOCK HANDLE ASSEMBLY}

본 발명은 핸들에 관한것으로, 특히 자루걸레, 비 및 기타의 물건의 핸들로서 다수의 상호 연결식 부분들로 구성된 핸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andl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terconnecting parts as handles of mops, rain and other objects.

자루 걸레, 비, 페인트 롤러 핸들, 먼지 떨이, 기타의 유사한 장치들은 흔히 긴 핸들을 가지고 있어서, 사용자는 똑 바로 서서 그 장치를 바닥에 대고 작업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천정이나 벽의 높은 곳에 장치를 갖다 대기 위해 사다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한다. 보통의 경우 핸들은, 제품이 특별히 대형의 크기로 포장되어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차지하는 형태로 보관 및 진열되게 할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Mops, rain, paint roller handles, dusters, and other similar devices often have long handles that allow the user to stand upright and work on the floor, thus allowing the user to place the device on a ceiling or high wall. This eliminates the need to use a ladder to stand. Normally the handles are long enough to allow the product to be stored and displayed in a form that is particularly large in size and occupies a relatively large space.

한편, 소비자가 상기와 같이 대단히 긴 장치를 구입한 경우, 그 장치는 일반적인 잡화 카트(grocery cart)에 쉽게 탑재되기 어려우며 또한 소정의 소형 자동차의 트렁크에 수납시키기도 어려울 수 있다. 이 경우, 소비자들은 장치를 계산대에 까지 손으로 운반하여 차량에 손으로 수납시킬 수 밖에 없다. 또한, 소비자들은 그 장치를 차량의 조수석 공간에 수납하여 수송할 수 밖에 없을 수 있으며, 그 결과 조수석 공간이 필요한 경우에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nsumer purchases a very long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device may not be easily mounted in a general grocery cart and may also be difficult to store in the trunk of a small car. In this case, consumers have no choice but to carry the device by hand to the cash register and store it in the vehicle by hand. In addition, consumers may be forced to store and transport the device in the passenger seat space of the vehicle, which may result in the passenger seat space not being used.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접철식 핸들들이 고안되었다. 예를 들어, 다수의 동심 원통형 섹션들을 구비하는 신축식 핸들들(특히 페인팅에 사용되거나 흔히 골프공 회수기와 같은 장치에 사용됨)이 개발되었다. 또는, 일부 핸들들은 서로 힌지 결합된 접철식 섹션들을 구비하도록 설계된 것도 있다(미 합중국 특허 제 5,943,727 호 참조).Folding handles have been devised to minimize or prevent such problems. For example, telescopic handles with a number of concentric cylindrical sections have been developed, especially for painting or often in devices such as golf ball retrievers. Alternatively, some handles are designed to have foldable sections hinged to one another (see US Pat. No. 5,943,727).

상기와 같은 구조체들은 헐거워 질 수 있는(심지어 분리될 수도 있는) 다소 불안정한 조인트들을 가지는 데, 이러한 현상은 특히 핸들에 회전력이 작용될 때 심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들은 또한, 핸들이 분리되는 느낌을 받도록 응력이 작용할 때 특히 조인트 부분에서 더 많은 휨이 발생하는 경향이 흔히 있다.Such structures have rather unstable joints that can be loose (or even detachable), which can be particularly acute when rotational forces are applied to the handle. Such structures also often tend to produce more warpage, particularly in the joint portion, when stress is applied to give the handle a feeling of separation.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시도가 이루어 졌다. 예를 들어, 미 합중국 특허 제 4,911,573 호에는 핸들의 섹션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총검형 연결(bayonet)의 이용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섹션은 웅형(male) 단부와 자형(female) 단부를 가지며 이들 각각은 인접한 섹션들의 단부와 결합된다. 웅형 단부들은 L-형 홈과 스프링 부재를 구비하며 이들은 그 웅형 단부의 원주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다.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For example, US Pat. No. 4,911,573 discloses the use of bayonet to join sections of the handle. Each section has a male end and a female end, each of which engages with the ends of adjacent sections. The male ends have L-shaped grooves and spring member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male end.

자형 단부는 원통형 개구를 가지며 이 개구에는 횡단 둘출부가 형성되어서, 웅형 단부가 자형 단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개구내로 비틀림 삽입될 때 상기 횡단 돌출부는 상기 L-형 홈 내에 안착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홈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데 그것은 상기 홈이 감소하는 깊이를 가지기 때문이다. 상기 자형 단부는 또한 홀을 구비하는 데, 그 홀 내에서 상기 웅형 단부의 스프링 부재가 인접 섹션들을 스냅 고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강성 연결을 제공하지만, 스프링 부재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그 제조가 다소 복잡하다.The female end has a cylindrical opening, which is formed with a transverse boss, so that the transverse protrusion is seated in the L-shaped groove when the male end is inserted into the female end and twisted into the opening. The protrusion is firmly fixed in the groove because the groove has a decreasing depth. The male end also has a hole in which the spring member of the male end snaps adjacent sections. However, such a structure provides a rigid connection, but its manufacture is somewhat complicated in that it requires a spring member.

마찬가지로, 진공 청소기의 연장봉들의 단부들에는 흔히 상호 체결 가능한 커넥터들이 구비되어 있다. 대개의 경우, 연장봉 단편들은 신축식으로 미끄러져서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연장 봉의 웅형 부분에 형성된 스프링 탑재 구형 탭은 자형 단편의 방사상 홀 내로 스냅 결합되어 두 부재들이 서로 잠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최하측 연장봉의 하단은 바닥 처리 장치(예를 들어, 브러시)에 연결되고, 최상측 연장봉의 상단은 호스에 연결되며, 이 호스에는 손잡이 영역이 형성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연결 장치는 그 제조비가 다소 고가일 뿐 아니라, 어떠한 경우이든 영구적이지 못한 연결을 이루는 구성을 가지도록 설계된 점은 분명하다.Likewise, the ends of the extension rods of the vacuum cleaner are often provided with connectors which can be mutually fastened. In most cases, the extension rod segments have a structure that can be elastically slid and inserted into engagement, and the spring-loaded spherical tabs formed in the male portions of the extension rods snap into the radial holes of the male fragments so that the two members are provisionally coupled to each other. do. The lower end of the lowermost extension is connected to a floor treatment device (eg a brush),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extension is connected to a hose, and the hose may have a handle region. However, it is clear that this type of connection device is not only slightly more expensive to manufacture, but also designed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makes a connection that is not permanent in any case.

따라서, 개선된 다수 부재 핸들, 특히 다수의 단편들의 상태로 탑재되고, 저장되고, 판매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소비자가 용이하게 영구 조립할 수 있는 핸들에 관한 요청이 종래로 존재해 왔다.Thus, there has conventionally been a need for improved multi-member handles, in particular handles that can be mounted, stored, and sold in the state of multiple pieces, as well as being easily permanently assembled by the consumer.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수 단편 핸들을 구비한 자루 걸레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p with a multiple piece handl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 의 2-2 영역을 확대한 부분 측면도이다.FIG. 2 is an enlarged partial side view of region 2-2 of FIG. 1.

도 3 은 도 1 의 2-2 영역을 확대한 부분 평면도이다.3 is an enlarged partial plan view of region 2-2 of FIG. 1.

도 4 는 도 2 의 4-4 영역을 확대한 부분 단면도이다.4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4-4 of FIG. 2.

도 5 는 도 3 의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축방향 운동에 선행하는 부품들의 위치를 도시한 부분 분해 측면도이다.FIG. 5 is a partially exploded sid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parts preceding the axial movement to reach the position of FIG. 3; FIG.

도 6 은 도 1 의 장치(막대 걸레 생략)의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pparatus of FIG. 1 (without the bar mop).

도 7 은 도 6 의 중앙 섹션의 자형 연결단의 상단 단부도이다.7 is a top end view of the male connecting end of the central section of FIG. 6;

도 8 은 도 3 과 유사한 평면도로서, 다만 또다른 웅형 연결단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similar to FIG. 3, but showing another male connection end. FIG.

본 발명은 부품들이 신속히 스냅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후에는 마치 단일 구조체인 것 처럼 그 길이를 따라 기본적으로 강한 구조를 가지는 다수-단편 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두개의 세장형 섹션들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들 중의 하나는 웅형 연결단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자형 연결단을 가지는 핸들 조립체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piece handle that allows the parts to be snapped quickly and, after joining, essentially having a strong structure along its length as if it were a single structur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ndle assembly comprising at least two elongate sections, one of which has a male connection end and the other having a female connection end.

상기 자형 연결단에는 내부 공동과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세장형 섹션의 말단 외연부로 부터 이격되고 상기 내부 공동과 연통된다. 상기 웅형 연결단은 상기 공동 내에 끼워질 수 있는 칫수를 가지며, 상기 웅형 연결단은 D 형 스프링 탭을 가지며, 상기 웅형 연결단이 상기 내부 공동 내로 삽입될 때 상기 D 형 스프링 탭은 내측으로 변형된다. 상기 탭 및 오목부의 크기는, 상기 웅형 연결단이 상기 자형 연결단 내에 배치되고 상기 탭 및 오목부는 서로 정열될 때, 상기 탭이 외측으로 스냅 작동하여 상기 오목부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두개의 세장형 섹션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The male connecting end is formed with an inner cavity and a recess, the recess being spaced from and distal from the distal outer edge of the elongated section. The male connecting end has a dimension that can be fitted in the cavity, the male connecting end has a D-shaped spring tab, and the D-shaped spring tab is deformed inward when the male connecting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cavity. . The tab and recess may be sized such that when the male connecting end is disposed within the female connecting end and the tab and the reces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tab is snapped outward and inserted into the recess so that the two elongated sections It is sized to allow them to be joined together.

바람직한 형태로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동으로 부터 연장하여, 상기 자형 연결단을 가지는 상기 세장형 섹션의 외측벽을 관통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 상기 웅형 연결단은 웅형 연결단을 가지는 다른 대부분의 세장형 섹션들에 비해 감소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웅형 연결단은 중공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웅형 연결단은 상기 웅형 연결단의 말단 외연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슬릿들을 포함하며, 상기 웅형 연결단에는 두개의 상기 탭들이 형성되고 상기 자형 연결단에는 두개의 상기 오목부들이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형 연결단은 상기 자형 연결단의 말단 외연부로부터 상기 오목부까지 연장하는 축방향 홈을 가진다.In a preferred form, the recess extends from the cavity and extends radially to penetrate the outer wall of the elongate section having the male connection end. The male connecting end has a reduced outer diameter compared to most other elongated sections having a male connecting end, the male connecting end has a hollow structure, and the male connecting end extends to the terminal outer edge of the male connecting end. And a pair of slits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wherein the male connection end is formed with the two tabs and the female connection end is formed with the two recesses. Further, preferably, the female connecting end has an axial groove extending from the terminal outer edge of the female connecting end to the recess.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상기 D 형 탭은 만곡된 전연부와 직선형 후연부를 가지며, 상기 후연부는 상기 전연부 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많이 돌출하며, 상기 오목부는 D 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탭은 중간 지점으로 부터 상기 탭의 상기 후연부까지 반경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탭이 상기 오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탭은 상기 오목부의 두께 보다 적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D-shaped tab has a curved leading edge and a straight trailing edge, the trailing edge protrudes more radially outwardly than the leading edge, the concave portion has a D shape, and the tab is intermediate It is radially inclined from the point to the trailing edge of the tab, and when the tab is seated in the recess, the tab extends radially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핸들로서 기능하기에 적적한 외면과 하측 연결단을 가지는 세장형 손잡이 섹션; 상측 연결단 및 하측 연결단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봉형 섹션; 그리고 상측 커넥터 및 하측 요크 구조를 구비하는 세장형 보조 장비 부착 섹션을 포함하는 핸들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하측 요크 구조는 보조 장비를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아암을 구비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an elongated handle section having an outer surface and a lower connection end suitable for functioning as a handle; At least one elongate rod-shaped section having an upper connection end and a lower connection end; And an elongated auxiliary equipment attachment section having an upper connector and a lower yoke structure. The lower yoke structure has a plurality of arms for receiving auxiliary equipment.

상기 상측 연결단 및 하측 연결단은, 상기 손잡이 섹션이 축방향 상대 운동에 의해 하나의 봉형 섹션에 스냅 체결되어 상기 섹션들 중 하나에 형성된 탭이 다른 하나의 섹션의 오목부 내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상측 연결단 및 하측 연결단은, 하나의 봉형 섹션이 축방향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보조 섹션에 스냅 체결되어 상기 섹션들 중 하나에 형성된 탭이 다른 하나의 섹션의 오목부 내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end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section is snap-fastened to one rod-shaped section by axial relative movement so that a tab formed in one of the sections moves radially outward into the recess of the other section.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it. 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ends have one rod-shaped section snapped to the auxiliary section by axial relative motion such that a tab formed in one of the sections moves radially outward into the recess of the other section.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it.

따라서, 단순한 축방향 운동만으로도 부품들이 스냅 체결될 수 있다. 그 결과, 그리고 D 형 탭 및 오목부의 평탄 측면들로 인하여, 부품들 사이의 상대 회전이 대단히 어려워 지게 된다. 또한, 탭의 경사진 구조, "D" 형 윤곽을 가진 부분의 전연부 방향, 웅형 부분을 따라 형성된 슬릿들, 그리고 자형 단부의 공동을 따라 형성된 축방향 홈등으로 인하여, 섹션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큰 힘이 요구되지 않는다. 반면에, 부품들이 서로 체결될 때 D 형 탭의 평탄측이 오목부의 평탄 측과 접하기 때문에, 결합된 섹션들을 분리하기는 대단히 어렵다.Thus, the parts can be snapped together with a simple axial movement. As a result, and due to the flat sides of the D-shaped tab and the recess,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parts becomes very difficult. In addition, due to the inclined structure of the tab, the direction of the leading edge of the portion having the "D" shaped contour, the slits formed along the male portion, and the axial groove formed along the cavity of the male end, etc., a large force is required to join the sections. This is not requir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lat side of the D-shaped tab abuts the flat side of the recess when the parts are fastened to each other, it is very difficult to separate the joined sections.

섹션들은 저렵한 비용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또한 만일 중간 봉형 섹션들 각각이 동일하게 제조되는 경우(각각 하나의 자형 단부와 하나의 웅형 단부를 가지면서), 중간 부분의 봉형 섹션들은 순서에 관계 없이 서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tions can be molded at a reasonable cost, and if each of the intermediate rod sections are made identical (with one male end and one male end), the rod sections of the middle part are in any order.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이상과 같은 그리고 기타의 장점들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로 부터 명백히 알 수 있다.These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본 발명은, 자루 걸레의 헤드부 또는 페인트 롤러와 같은 기타의 장치들에 효과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다수-단편 핸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핸들은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짧은(1 피트 미만의 길이를 가지는) 섹션들로 구성되며, 이 섹션들은, 종래의 수평 선반에 진열될 수 있으며 소비자에 의해 용이하게 집으로 이송될 수 있는 작은 포장으로 포장 및 판매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segment handle that can be effectively connected to other devices, such as the head of a mop or a paint roller. Th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plurality of, preferably short (less than one foot in length) sections, which sections can be displayed on a conventional horizontal shelf and can be easily carried home by the consumer. It can be packaged and sold as a small package.

도 1 내지 6 을 참조하면, 상기 핸들은 상부 손잡이 섹션(12), 하부 보조 섹션(14) 및 하나 이상의 봉형 섹션(16)를 구비한다. 상기 부품들은 바람직하게는 적절한 강성 플라스틱으로 성형된다.1 to 6, the handle has an upper handle section 12, a lower auxiliary section 14 and one or more rod-shaped sections 16. The parts are preferably molded from a suitable rigid plastic.

바람직하게는, 손잡이 섹션(12)는 약 10 내지 35 cm 의 길이를 가지며 5 cm 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성형체이다. 또한, 손잡이 섹션은 인체 공학적인 파지 부분(예를 들어, 손가락 위치)의 윤곽을 가진다. 손잡이 섹션(12)의 상단에는 개구(18)이 형성되며, 핸들(10)은, 개구(18)을 통해 직접 삽입되거나 또는 개구(18)에 꿰어진 적절한 혁대(도시 생략)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삽입된 고리, 못 등등에 의해 현수된다. 상기 손잡이 섹션(12)의 하향단부는 자형 또는 웅형 연결단(20)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중요한 것은 손잡이 섹션에 인접한 봉형 섹션(16)의 해당 부분이 그에 대응하는 형태의 단부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Preferably, handle section 12 is a molded body having a length of about 10 to 35 cm and a diameter of 5 cm or less. The handle section also outlines the ergonomic gripping portion (eg, finger position). An opening 18 is formed at the top of the handle section 12, and the handle 10 is inserted directly through the opening 18 or indirectly through an appropriate belt (not shown) threaded to the opening 18. Are suspended by hooks, nails and the like. The lower end of the handle section 12 may have a male or male connection end 20. It is important, however, that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rod-shaped section 16 adjacent to the handle section should have an end of the corresponding shape.

핸들(10)의 반대 단부에는 보조 섹션(14)가 형성되며, 보조 섹션(14)에는 털 달린 헤드부(비 또는 솔에서와 같은) 및 습윤 또는 건조 자루 걸레 헤드부 와 같은 여러가지 보조 장비들이 부착될 수 있다. 보조 섹션(14)는 그 하단부에 형성된 요크부(yoke; 24)를 구비한다. 요크부(24)는 두개의 아암(26)을 구비하며, 상기 아암 각각은, 종래의 것과 마찬가지로, 보조 장비(22)의 직립 부재(30; 도 1 참조)의 일측으로 부터 또는 그를 관통하여 연장하는 힌지 핀(도시 생략)을 수납할 수 있는 오목부(28)를 가진다. 보조 섹션(14)의 요크부(24)의 반대측에는 확경 연결단(31)이 구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확경 연결단 역시 웅형 또는 자형 단부일 수 있으며, 다만, 중요한 것은 그에 결합되는 봉형 섹션(16)의 해당 부분이 그에 대응하는 형태의 단부를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An auxiliary section 14 is formed at the opposite end of the handle 10, to which the auxiliary section 14 attaches various auxiliary equipment, such as a haired head (as in a rain or a brush) and a wet or dry mop head. Can be. The auxiliary section 14 has a yoke 24 formed at its lower end. The yoke portion 24 has two arms 26, each of which extends from or through one side of the upright member 30 (see FIG. 1) of the auxiliary equipment 22, as is conventional. It has a recessed part 28 which can accommodate the hinge pin (not show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yoke portion 24 of the auxiliary section 14 is provided a diameter connecting end 31. Likewise, the diameter connecting end may also be a male or male end, provided that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rod-shaped section 16 coupled thereto should have an end of the corresponding shape.

손잡이 섹션(12)와 보조 섹션(14)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상호 연결식 봉형 섹션들(16)이 구비된다. 봉형 섹션들(16)의 숫자는 핸들(10)이 결합되었을 때의 핸들의 바람직한 길이와 제품 포장의 크기를 고려한 분리 상태의 핸들의 바람직한 크기에 의존한다. 도 1 에 대한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핸들(10)은 다섯개의 동일한 봉형 섹션들(16)을 구비한다. 또한, 전체 핸들은 자루 걸레 핸들의 전형적인 길이를 가진다.Between the handle section 12 and the auxiliary section 14, one or more interconnected rod-shaped sections 16 are provided. The number of rod-shaped sections 16 depends on the desired length of the handle in its detached state, taking into account the desired length of the handle when the handle 10 is engaged and the size of the product packaging. In the preferred form for FIG. 1, the handle 10 has five identical rod-shaped sections 16. In addition, the entire handle has a typical length of the mop handle.

각각의 봉형 섹션(16)는 바람직하게는 중공(hollow)의 구조를 가지며 그 대부분의 길이에 걸쳐 동일한 외경을 가지나, 다만 자형 연결단(32)에서 감소된 직경을 가진다. 상기 자형 연결단은 대응하는 웅형 연결단을 수납하기에 적당한 내부 공동(33; 도 7 참조)을 가진다, 상기 대응하는 웅형 연결단은 감소된 직경을 가지며 다만 상기 내부 공동(33) 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다.Each rod-shaped section 16 preferably has a hollow structure and has the same outer diameter over most of its length, but with a reduced diameter at the male connecting end 32. The male connecting end has an inner cavity 33 (see FIG. 7) suitable for receiving a corresponding male connecting end, wherein the corresponding male connecting end has a reduced diameter and is slightly larger than the inner cavity 33. Has

도 2, 3 및 5 를 참조하면, 상기 웅형 연결단(34)에는 외경의 전이부에 상승 밴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밴드부(36)은 웅형 연결단(34)의 환형 강도를 증가시키며 따라서 더욱 강하고 통합된 연결을 이룰 수 있게 한다. 웅형 연결단(34)은 두개의 축방향 슬릿들(38)을 구비하며, 이 슬릿들은 서로 180 도 이격되고 밴드부(36)으로 부터 웅형 연결단(34)의 말단 외연부를 통하여 연장한다.2, 3 and 5, the male connection end 34 has a rising band portion 36 is formed in the transition portion of the outer diameter. The band portion 36 increases the annular strength of the male connection end 34 and thus enables a stronger and integrated connection. The male connection end 34 has two axial slits 38, which are 180 degrees apart from one another and extend from the band portion 36 through the terminal outer edge of the male connection end 34.

슬릿들(38)은 웅형 연결단(34)가 내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며, 그 결과 웅형 연결단(34)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돌출부들(40)을 구비한 두개의 스프링 탭들을 형성한다. 돌출부들(40)은 서로 180 도 이격되며 슬릿들(38)로 부터 각각 90 도 이격되어 있다. 중요한 것은, 돌출부들(40)이 기본적으로 그 평면도 상에서 D 형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그 D 형 형상의 만곡부가 말단 외연부를 향하는 반면에 길고 평탄한 측면이 밴드부(36)에 근접하며 다소 평탄한 측면들이 그 중심축을 가로 지르는 형태로 형성된다는 것이다.The slits 38 allow the male connection end 34 to bend inward, resulting in two spring tabs with protrusions 40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male connection end 34. do. The protrusions 40 are 180 degrees apart from each other and 90 degrees from the slits 38, respectively. Importantly, the protrusions 40 basically have a D-shape on its plan view and (preferably) its D-shaped curvature faces the distal periphery, while the long, flat side is close to the band portion 36 and somewhat flat. The sides are formed to cross the central axis.

돌출부(40)들은 상당히 낮으며 심지어 그들의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도 상당히 낮다. 돌출부(40)들은 상기 평탄측으로 부터 중앙점(42) 까지는 제 1 두께를 가지고 연장하며, 그 이후로는 말단 외연부까지 내측으로 경사를 이룬다.The protrusions 40 are quite low and even at their thickest parts. The protrusions 40 extend from the flat side to the central point 42 with a first thickness and then inwardly inclined to the distal periphery.

도 3 및 5 를 참조하면, 자형 연결단(32)에는 내부 공동(33)과 연통된 두개의 D 형 오목부(44)가 형성되며, 상기 D 형 오목부(44)들은 서로 180 도 이격되고 웅형 연결단(34)의 돌출부(40)와 축방향으로 정열되도록 배향되며, 그 편평측이 자형 연결단(32)의 말단 외연부에 가장 가깝도록 형성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형 연결단(32)에는 두개의 얕은 평행 홈들(46)이 형성되며 이 홈들은 상기 말단 외연부로부터 오목부(44)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한다.3 and 5, the female connecting end 32 is formed with two D-shaped recesses 44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nal cavity 33, the D-shaped recesses 44 being 180 degrees apart from each other. Oriented so as to axially align with the protrusion 40 of the male connection end 34, the flat side is formed so as to be closest to the terminal outer edge of the female connection end (32). As shown in FIG. 7, the female connecting end 32 is formed with two shallow parallel grooves 46 which extend axially from the distal outer edge to the recess 44.

손잡이 섹션(12)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봉형 섹션(16)들의 웅형 연결단(34)과 동일한 형상 및 칫수를 가지는 웅형 연결단(20)을 가지며, 보조 섹션(14)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형 연결단(32)과 동일한 자형 연결단(31)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 섹션(12)의 웅형 연결단(20)과 상기 자형 연결단(32)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손잡이 섹션(12)이 인접한 봉형 섹션(16)과 결합된다. The handle section 12 preferably has a male connecting end 20 having the same shape and dimensions as the male connecting end 34 of the rod-shaped sections 16, and the auxiliary section 14 preferably It has the same female connecting end 31 as the female connecting end 32. Thus, by engaging the male connection end 20 and the female connection end 32 of the handle section 12, the handle section 12 is engaged with the adjacent rod section 16.

보조 섹션(14)의 자형 연결단(31)은 인접한 봉형 섹션(14)의 웅형 연결단(34)와 결합된다. 세개의 또다른 봉형 섹션들(16)은 서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 섹션(12) 및 보조 섹션(14)에 결합된 봉형 섹션(16)들에 연결된다. The male connecting end 31 of the auxiliary section 14 is engaged with the male connecting end 34 of the adjacent rod-shaped section 14. Three further rod-shaped sections 16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connected to rod-shaped sections 16 coupled to the handle section 12 and the auxiliary section 14.

도 2 내지 5 를 참조하면, 인접한 섹션들은 웅형 연결단을 자형 연결단에 삽입함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돌출부(40)들이 축방향 홈들(46)과 정열되도록 하면서 상기 인접 섹션들을 서로 접근시킨다. 그러면, 상기 돌출부들(40)이 오목부들(44)에 닿을 때 까지 상기 웅형 연결단이 내측으로 휘어진다. 이 때, 내장된 스프링의 스프링력이 돌출부들(40)으로 하여금 반경 방향 내측으로 "스냅" 작동하여 제위치에 결합되게 된다. 이처럼 결합되면, 상기 섹션들을 비틀거나 반대 방향으로 당기더라도 분리되지 않는 데, 그것은 도 3 및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D 형 형상체들의 평탄측의 상호 계합 때문이다.2 to 5, adjacent sections are join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male connection end into the female connection end. The adjacent sections approach each other while the protrusions 40 align with the axial grooves 46. Then, the male connecting end is bent inward until the protrusions 40 reach the recesses 44. At this time, the spring force of the embedded spring causes the protrusions 40 to "snap" radially inward to engage in position. When so joined, the sections are not separated even if they are twisted or pulled in the opposite direction because of the mutual engagement of the flat sides of the respective D-shaped bodies as shown in FIGS. 3 and 4.

돌출부들(40)은 오목부들(44)의 두께 보다 더 낮은 높이를 가지므로 오목부(44) 내에서 돌출부(40)은 요부를 이룬다. 이로 인해, 그리고 플라스틱의 강성으로 인하여, 상기 웅형 단부를 누름으로써 상기 섹션들을 분리하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은 조인트부에서 강력하게 연결될 뿐 아니라, 섹션들이 일단 연결된 후에는 실질적으로 항구적인 연결 상태를 이루게 된다.Since the protrusions 40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sses 44, the protrusions 40 form recesses in the recess 44. This, and due to the rigidity of the plastic, makes it difficult to separate the sections by pressing the male end. Thus, the handle is not only strongly connected at the joint, but also once the sections are connected, it is in a substantially permanent connection.

따라서, 이상의 구조는, 소형의 포장으로 포장되고 판매될 수 있는 소형의 다수의 단편들로 구성됨과 동시에 단편들의 결합후에는 마치 단일 구조체인 것과 같은 강성을 가지는 핸들을 제공한다. 다만, 유의할 것은, 상기 단편들은 더 쉽게 상호 분리될 수 있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Thus, the above structure provides a handle tha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mall pieces that can be packaged and sold in a small package and at the same time has a rigidity as if it were a single structure after joining the pieces.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fragments may be prepared to be more easi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손잡이 섹션(12) 및 봉형 섹션(16)을 위한 웅형 연결단(34A)의 또 다른 형태가 도 8 에 도시되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웅형 연결단(34A)는 상기 섹션의 본체로부터 감소하는 직경을 가지며, 상승 밴드(36A) 및 서로 180 도 이격된 두개의 D 형 돌출부(40A)를 구비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의 슬릿들은 다소 다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두 쌍의 슬릿들(38A)이 형성된다. 각쌍의 슬릿들은, 돌출부들(40A)의 양측에 인접한 단부의 길이의 대략 절반 정도의 길이로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하며, 따라서 외팔보 형태의 스프링 탭들을 형성한다. 강성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은 근본적으로 영구적인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구조는 변형을 상기 더 작은 외팔보형 스프링 탭들에 국한하며, 그 결과 요구되는 변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웅형 연결단의 이상과 같은 변형 실시예는, 상기 핸들의 분해를 더욱 용이하게 하는 구성에, 특히 강성이 감소된 플라스틱 및 상기 오목부들을 지나 연장하는 돌출부들과 결합하는 구성에 채택될 수 있다.Another form of male connection end 34A for handle section 12 and rod section 16 is shown in FIG. 8. 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male connection end 34A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decreasing diameter from the main body of the section, and has a rising band 36A and two D-shaped protrusions 40A spaced 180 degrees apart from each other. do. However, the slits in this embodiment are somewhat different. In particular, two pairs of slits 38A are formed in this embodiment. Each pair of slits extends in the central axis direction about half the length of the end adjacent to both sides of the projections 40A, thus forming cantilevered spring tabs. Using rigid plastics, this embodiment can provide essentially permanent connections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tructure confines the deformation to the smaller cantilevered spring tabs, thereby reducing the required deformation force. Thus, the above modified embodiment of the male connection end may be adapted to a configuration that facilitates disassembly of the handle, in particular to a configuration that combines plastic with reduced rigidity and protrusions extending beyond the recesses. hav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에 대해 상당히 상세히 설명되었다. 본 발명의 사상과 영역의 범위내에서 상기 실시예들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어,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다수의 짧은 봉형 섹션들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 나지 않고 단 하나의 봉형 섹션(길이에 무관하게)을 구비하는 조립체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전 영역을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도 참조되어야 한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considerable detail.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although a number of short rod sections have been described as preferred embodiments, an assembly having only one rod section (regardless of length) is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o clarify the entire scope of the invention, reference should also be made to the claims which follow.

본 발명은 개선된 핸들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proved handle assembly.

Claims (12)

적어도 두개의 세장형 섹션들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들 중의 하나는 웅형 연결단을 가지고 다른 하나는 자형 연결단을 가지며,At least two elongate sections, one of the sections having a male connection end and the other having a male connection end, 상기 자형 연결단에는 내부 공동과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세장형 섹션의 말단 외연부로 부터 이격되고 상기 내부 공동과 연통되며, 상기 웅형 연결단은 상기 공동 내에 끼워질 수 있는 칫수를 가지며, 상기 웅형 연결단은 D 형 스프링 탭을 가지며, 상기 웅형 연결단이 상기 내부 공동 내로 삽입될 때 상기 D 형 스프링 탭은 내측으로 변형되며, 상기 탭 및 오목부의 크기는, 상기 웅형 연결단이 상기 자형 연결단 내에 배치되고 상기 탭 및 오목부는 서로 정열될 때, 상기 탭이 외측으로 스냅 작동하여 상기 오목부내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두개의 세장형 섹션들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The male connecting end is formed with an inner cavity and a recess, the recess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stal outer edge of the elongated section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cavity, the male connecting end having a dimension that can fit within the cavity, The male connecting end has a D-shaped spring tab, and when the male connecting end is inserted into the inner cavity, the D-shaped spring tab is deformed inward, and the size of the tab and the recess is such that the male connecting end is the female shape. A handle assembly arranged in a connection end and said tab and recess are sized such that when the tab and recess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tab snaps outward and is inserted into the recess to engage the two elongated sections with each oth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동으로 부터 연장하여, 상기 자형 연결단을 가지는 상기 세장형 섹션의 외측벽을 관통하도록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The handl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recess extends from the cavity and extends radially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elongate section having the male connection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연결단은 웅형 연결단을 가지는 다른 대부분의 세장형 섹션들에 비해 감소된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2. The handl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male connection end has a reduced outer diameter compared to most other elongate sections having male connection end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연결단은 중공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The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le connection end has a hollow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연결단은 상기 웅형 연결단의 말단 외연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슬릿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2. The handl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male connecting end comprises a pair of slits extending axially to the distal outer edge of the male connecting en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웅형 연결단에는 두개의 상기 탭들이 형성되고 상기 자형 연결단에는 두개의 상기 오목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The handl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male connection end has two tabs and the female connection end has two recess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형 연결단은 상기 자형 연결단의 말단 외연부로부터 상기 오목부까지 연장하는 축방향 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2. The handl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female connection end has an axial groove extending from the distal outer edge of the female connection end to the rec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형 탭은 만곡된 전연부와 직선형 후연부를 가지며, 상기 후연부는 상기 전연부 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더 많이 돌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The handle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shaped tab has a curved leading edge and a straight trailing edge, and the trailing edge protrudes more radially outwardly than the leading ed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D 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The handl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recess has a D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중간 지점으로 부터 상기 탭의 상기 후연부까지 반경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The handl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tab is radially inclined from an intermediate point to the trailing edge of the ta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탭이 상기 오목부에 안착되었을 때, 상기 탭은 상기 오목부의 두께 보다 적게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2. The handle assembly of claim 1 wherein when the tab is seated in the recess, the tab extends in a radial direction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ss. 하나의 핸들로서 기능하기에 적적한 외면과 하측 연결단을 가지는 세장형 손잡이 섹션;An elongated handle section having an outer surface and a lower connection end suitable for functioning as one handle; 상측 연결단 및 하측 연결단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세장형 봉형 섹션; 그리고At least one elongate rod-shaped section having an upper connection end and a lower connection end; And 상측 커넥터 및 하측 요크 구조를 구비하는 세장형 보조 장비 부착 섹션으로서, 상기 하측 요크 구조는 보조 장비를 수납하기 위한 다수의 아암을 구비하는 세장형 보조 장비 부착 섹션을 포함하며,An elongated auxiliary equipment attachment section having an upper connector and a lower yoke structure, wherein the lower yoke structure includes an elongated auxiliary equipment attachment section having a plurality of arms for receiving the auxiliary equipment, 상기 상측 연결단 및 하측 연결단은, 상기 손잡이 섹션이 축방향 상대 운동에 의해 하나의 봉형 섹션에 스냅 체결되어 상기 섹션들 중 하나에 형성된 탭이 다른 하나의 섹션의 오목부 내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end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section is snap-fastened to one rod-shaped section by axial relative movement so that a tab formed in one of the sections moves radially outward into the recess of the other section. Has a structure to allow; And 상기 상측 연결단 및 하측 연결단은, 하나의 봉형 섹션이 축방향 상대 운동에 의해 상기 보조 섹션에 스냅 체결되어 상기 섹션들 중 하나에 형성된 탭이 다른 하나의 섹션의 오목부 내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조립체.The upper and lower connection ends have one rod-shaped section snapped to the auxiliary section by axial relative motion such that a tab formed in one of the sections moves radially outward into the recess of the other section. Handle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structure to enable.
KR10-2004-7020764A 2002-06-20 2003-06-18 Push-lock handle assembly KR2005002332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0764A KR20050023320A (en) 2002-06-20 2003-06-18 Push-lock handl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78,663 2002-06-20
KR10-2004-7020764A KR20050023320A (en) 2002-06-20 2003-06-18 Push-lock handle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320A true KR20050023320A (en) 2005-03-09

Family

ID=4178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764A KR20050023320A (en) 2002-06-20 2003-06-18 Push-lock handle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332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246A (en) * 2019-05-17 2019-05-28 권영광 Hollow polygon handle for assembling hand tool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246A (en) * 2019-05-17 2019-05-28 권영광 Hollow polygon handle for assembling hand tool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4919B2 (en) Push-lock handle assembly
US6925686B2 (en) Twist-lock handle assembly
US5127762A (en) Connector assembly
US20020064420A1 (en) Tubular connector
AU2005202137A1 (en) Locking, segmented cleaning implement handle
US20080022488A1 (en) Swivel assembly for connecting a wand to a nozzle assembly of a vacuum cleaner
US5943727A (en) Foldable cleaning implement
US6895898B1 (en) Prefabricated pet house and method for the assembly thereof
EP1382286B1 (en) Articulated joint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and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said joint
US10603779B2 (en) Adaptable pole for a pool device
US6315488B1 (en) Snap-in handle assembly for a tool
KR20050023320A (en) Push-lock handle assembly
EP1031312A1 (en) Articulation for pipes in cleaning appliances
AU2017330249B2 (en) Vacuum cleaner handle mount assembly
US20220111507A1 (en) Tool handle coupling assembly
US20080005862A1 (en) Duster for vehicle
KR20050023323A (en) Twist-lock handle assembly
JP4054508B2 (en) Pipe material connector and handle with handle using the same
US6709189B1 (en) Connector
JPH1078021A (en) Turnable hook
JP3096051U (en) Combination rivet structure
KR960008386Y1 (en) Calendar holder
KR200357762Y1 (en) Damp cloth cleaner having lotation structure
KR20000005204U (en) Hula hoop
CN117042859A (en) Sectional toy pole for children accesso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