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3104A - 비접지방식의 배전 계통에 대한 고장 회선 및 고장상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비접지방식의 배전 계통에 대한 고장 회선 및 고장상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3104A
KR20050023104A KR1020030060175A KR20030060175A KR20050023104A KR 20050023104 A KR20050023104 A KR 20050023104A KR 1020030060175 A KR1020030060175 A KR 1020030060175A KR 20030060175 A KR20030060175 A KR 20030060175A KR 20050023104 A KR20050023104 A KR 20050023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hase
fault
voltag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수
임성일
최면송
이승재
Original Assignee
명지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지대학교 filed Critical 명지대학교
Priority to KR102003006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3104A/ko
Publication of KR20050023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31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6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 H02H7/261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 H02H7/263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e.g. for disconnecting a section on which a short-circuit, earth fault, or arc discharge has occured involving signal transmission between at least two stations involving transmissions of measured valu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접지 계통에서의 1선지락고장 발생시 고장 회선 및 고장상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장 회선 검출 방법은, 계통에 대한 모선의 영상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각 회선의 영상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모선의 영상 전압과 각 회선의 영상 전류의 위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특정 회선에 대한 영상 전류의 위상이 상기 영상 전압의 위상에 비해 진상이면, 고장 회선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비접지 계통에서의 1선지락고장이 발생한 고장 회선을 검출한다.
고장상 검출 방법은, 고장 회선의 각 상에 대한 선간 전압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 고장 회선의 영상 전류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 각 상에 대한 상기 선간 전압의 위상과 상기 영상 전류의 위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 전류의 위상이 선간 전압의 위상보다 +90°~+180°진상인 상을 고장상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비접지계통에서의 1선지락 고장시 고장회선의 고장상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비접지 계통에서 1선지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 회선 및 고장상을 영상전압, 영상전류 및 선간 전압의 위상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비접지방식의 배전 계통에 대한 고장 회선 및 고장상 판별 방법{METHOD FOR DISCRIMINATING A FAULT LINE AND PHASE IN UNGROUNDED DISTRIBUTION SYSTEM}
본 발명은 배전 계통의 고장회선을 판별하고 고장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비접지 방식의 배전 계통에 있어서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한 경우, 모선의 영상 전압과 각 회선의 영상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회선을 결정하고, 고장 회선의 선간 전압과 영상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상을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 계통에 있어서, 비접지 방식은 선로의 긍장이 짧고 전압이 낮은 계통에 사용된다. 이러한 선로에서는 대지 정전 용량이 작기 때문에 충전 전류도 크지 않다. 비접지 계통의 선로에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건전상의 대지 정전 용량에 의한 고장 전류가 고장점으로 유입되지만, 그 크기가 매우 작아서 전력 공급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주요 변압기가 Δ-Δ로 결선되어 있으므로 변압기의 고장 또는 점검 수리 작업시 V결선으로 전환해서 송전을 계속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비접지 계통이 확대되면 정전용량이 증가하게 되고 1선 지락 고장시 충전 전류에 의한 간헐 아크 지락을 일으켜서 이상 전압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1선 지락 고장시 고장 전류가 수 암페어 이하이므로 고장 감지의 어려움이 있어 지락 보호 계전기의 확실한 동작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보호 실패시 고장 범위의 확대와 단락 고장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다.
계통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손쉽고 자동적으로 고장의 종류와 위치를 판별하는 장치가 없다면 계통 관리자는 고장점을 찾아내기 위하여 광범위한 송배전 선로 구간을 육안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많은 인력과 정전 비용이 요구된다. 따라서, 고장 종류 판정과 고장점의 검출에 대한 연구는 현실적으로 그 필요성이 높다.
비접지 계통의 보호 방식으로는, 1회선인 경우는 지락 과전압 계전 방식(OVGR)이 사용되고 있으며, 다회선인 경우는 고장 회선의 판별을 위해 모선의 영상 전압과 각 회선의 영상 전류을 이용한 방향 지락 계전 방식(DGR)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 비접지 계통 보호 방법으로 네트워크 계통의 보호를 위해 방향지락계전 방식을 응용하고 전압, 전류 측정점으로부터 고장 거리를 계산하는 알고리즘, 기본파 전압,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의 방향을 진단하는 알고리즘, 고저항 접지 계통의 고장 거리계산을 위한 고장 신호 해석, 펄스 고장 감지기를 이용하여 실제 산업 계통 보호에 적용 및 고장 감지에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소에 대한 영향 분석 등의 논문이 소개되고 있다. 또한, 선택지락 과전류 계전기를 이용하여 고장회선을 탐색하는 순송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고장 회선을 결정하는데 국한되어 있어 1선 지락 고장시 고장상을 판별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최근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도입으로 배전 변전소 및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자동화 개폐기에서 고장상을 검출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지중 케이블 사용의 증가로 고장상을 판변하는 문제의 중요성이 보다 증대되고 있다.
한편, 배전 선로에 고장이 발생하면 방향지락계전기(SGR)에 의해서 고장회선을 판정한 후에 차단기(Circuit Braker;이하 'CB'라 한다)가 동작하여 고장난 회선의 선로가 정전된다. 일본에서는 대부분 리클로져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선로 전구간의 정전이 필수적이다. CB가 동작하여 무전압이 되면 해당 배전선로의 모든 순송식 자동화개폐기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일정시간후에 CB가 재폐로하여 배전 선로를 가압시키고 순차적으로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순으로 자동화 개폐기가 투입된다. 고장구간의 바로 직전의 자동화 개폐기가 투입되면 영구고장 상태가 지속되고 있으므로 변전소의 CB가 다시 동작하며, 이때 고장지점 바로 앞에서 최종적으로 투입됐던 개폐기는 투입된 후 정해진 시간 이전에 다시 정전되었기 때문에 자기가 보호하는 구간에서 영구 고장이 발생했음을 판단하여 Lock된다. 고장 구간 직후의 개폐기는 전원이 가압된 후 정해진 시간 동안 가압 상태가 유지되지 못한 채 전원이 없어졌기 때문에 바로 자기 앞의 전원 측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Lock된다. 이후의 동작은 처음과 같이 차단기가 일정 시간후에 재투입되고 첫번째, 두번째 등 자동화 개폐기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재투입되면서 전원측의 건전구간에는 전기가 공급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배전 계통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의 고장 처리 과정은 아래의 표 1과 같다. 표 1은 일본의 DAS 고장 처리의 타임챠트를 나타내고 있다.
전술한 고장 처리 방식은 배전 계통이 다른 선로와 연계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대부분 Loop 운전하지 않고 항상 수지상 방식으로 운전되고 있는 우리나라 배전 계통을 포함하여 모든 배전 선로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본에서 적용하고 있는 보호 방식으로는 고장 회선의 판단을 가능하지만, 고장상을 판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택지락 과전류 계전기(SGR)에 의해 모선의 영상 전압과 각 회선의 영상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회선을 결정하는 고장회선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장 회선의 선간 전압과 고장 회선의 영상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상을 판별하는 고장상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비접지 배전선로의 고장회선 검출 방법은, 계통에 대한 모선의 영상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각 회선의 영상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모선의 영상 전압과 각 회선의 영상 전류의 위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특정 회선에 대한 영상 전류의 위상이 상기 영상 전압의 위상에 비해 진상이면, 고장 회선이라고 판단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비접지 계통에서의 1선지락고장이 발생한 고장 회선을 검출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고장상 검출 방법은, 고장 회선의 각 상에 대한 선간 전압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 고장 회선의 영상 전류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 각 상에 대한 상기 선간 전압의 위상과 상기 영상 전류의 위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 전류의 위상이 선간 전압의 위상보다 +90°~+180°진상인 상을 고장상으로 판별하는 단계를 구비하여, 비접지계통에서의 1선지락 고장시 고장회선의 고장상을 검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비접지 계통에서 1선지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 회선 및 고장상을 영상전압, 영상전류 및 선간 전압의 위상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접지 방식의 배전계통에 대란 고장 회선 및 고장상 판별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비접지 계통의 지락 고장시의 3상 전압 벡터의 변화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지 계통의 지락 고장시, 중성점이 고장상으로 옮겨가게 된다. 그 결과, 고장 후 선간 전압의 변화는 없으며 건전상의 대지 전압은 고장 전에 비해 1.73배 커지게 된다.
한편, 비접지 계통에 1선지락시 고장 전류는 대지 정전 용량에 따른 충전 전류에 의해서 결정된다. 도 2는 C 선로에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한 비접지 배전 계통을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의 비접지 배전 계통에서의 지락 고장 발생시 영상 전류의 분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 회선 A와 B의 충전 전류는 모선을 통하여 고장점으로 흘러 들어가고 고장 회선C의 모선 측과 부하 측의 충전 전류는 고장점을 향해 흐른다. 이들 전류는 모두 충전 전류이고 또한 위상도 동상이므로 합성된 전류가 고장점으로 흐르게 되고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이하, 'GPT'라 한다)의 중성점을 흐르는 전류 In이 합성된다. 여기서, 충전전류 Ic1, Ic2, Ic3는 고장시에 발생하는 영상전압(V0)에 비해 90°진상 전류가 되며, 또 GPT로 흐르는 전류 In은 V0에 대해서 동상이 되므로 모선에서 사고 회선의 고장점으로 흐르는 전체 지락전류의 위상은 GPT에서 측정되는 영상전압 V0에 대해서 30~80°정도의 진상을 갖는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비접지 계통에서의 1선 지락시 고장 회선을 검출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비접지 계통의 지락 보호에는 모선에서 측정되는 영상전압과 영상전류를 이용한 방향 지락 계전기(SGR)가 사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락 보호에 사용되고 있는 방향지락계전기는 모선에 설치된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GPT)의 삼차 전압과 각 회선에 설치된 영상 변류기(Zero Sequence Current Transformer;이하 'ZCT'라 한다)의 이차전류로 고장회선을 판단하는 계전기이다. 즉, 1선지락고장이 발생한 회선에서 측정되는 영상전류는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GPT)에서 측정되는 영상전압에 비해 80~90°진상 특성을 나타내지만 건전회선에서 측정되는 영상전류는 모선을 통과하여 고장점으로 흐르게 됨으로써 전류의 방향이 고장 회선과는 반대가 되고 GPT에서 측정되는 영상전압에 비해 80~90°지상 특성을 나타낸다.
도 5는 방향지락계전기의 동작 영역의 정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 회선에 흐르는 전류는 GPT에서 측정되는 영상 전압에 대해서 진상 특성을 지니므로 사고 회선의 선택성을 갖는다. 즉, 고장이 발생한 회선은 다른 회선의 충전 전류와 한시저항기(CLR)에 의한 전류를 합성한 사고 전류(If)가 방향지락계전기의 동작범위내로 들어가 계전기는 동작하고 사고 회선을 선택차단하게 된다. 한편, 건전회선은 자회선의 충전전류가 고장회선에 흐르는 전류와 반대방향으로 흐르게 되므로 계전기는 부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지락계전기의 고장 회선 판별을 위하여 GPT에서 측정되는 영상전압의 위상에 대하여 -60°~+120°영역을 동작영역으로 정정한다.
이하, 전술한 방법에 의해 영상 전압과 각 회선의 영상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 회선을 결정한 후, 고장 회선의 선간 전압과 영상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상을 판별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A상지락 고장시 상전압과 영상전류에 대한 벡터도를 도시한 것이다. 비접지 계통에서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하면 고장 회선을 포함한 모든 회선에서 고장상의 전위는 대지 전위와 같아지므로 고장상에는 충전전류가 없어진다. 반면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건전상의 전위는 고장전에 비해 √3배 증가되므로 충전 전류도 증가하게 되는데, 도 7은 그 전류 벡터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상지락 고장시 B, C상의 대지간 전위는 Vbn, Vcn이 되고, 선로와 대지간의 커패시터 성분만을 고려할 경우 충전 전류는 상전압보다 90°앞서므로 Ib, Ic가 되어서 고장 회선에 흐르는 영상전류는 I0과 같으며, 위상은 Vbc와 반대 위상을 갖게 된다.
그리고, 선로의 저항성분만을 고려할 경우, 충전 전류는 상전압과 동상이 됨으로서 Ib', Ic'가 되어, 고장회선에 흐르는 영상전류는 I0'과 같으며, 위상은 Vbc에 비하여 90°진상위상을 갖게 된다.
최종적으로, 선로의 저항, 리액턴스, 그리고 커패시턴스 성분을 고려하면, 커패시턴스 성분만을 고려한 경우보다는 뒤지고 저항 성분만을 고려한 경우보다는 앞서게 된다.
B상 지락고장시는 기준 전압을 Vca로, C상 지락고장시는 기준 전압을 Vab로 하면 고장회선 영상전류의 위상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전술한 내용을 종합하면 고장상 판별을 위한 동작 영역을 도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장상을 판별하기 위하여 자동화 개폐기에서 측정되는 영상전류의 위상이 선간전압의 위상보다 +90°~+180°앞선 영역을 동작 영역으로 정정한다.
따라서, 자동화 개폐기에서 측정되는 영상전류의 위상이 Vbc에 비하여 90°~180°앞설 경우에는 A상지락 고장으로 판별하고, 영상전류의 위상이 Vab에 비하여 90°~180°앞설 경우에는 C상지락 고장으로 판별하고, 영상전류의 위상이 Vca에 비하여 90°~180°앞설 경우에는 B상지락 고장으로 판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고장회선 및 고장상 검출 방법을 검증하기 위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모의 계통 및 보호 시스템을 모델링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계통 전압은 154[kV]/22.9[kV](У-Δ), 배전선로의 선종은 ACSR58[mm] (Z1=0.6959+j0.5144, Z0=1.1028+j1.4437[Ω]), 각 피더의 길이는 #1 Feeder의 경우는 15[km], #2 Feeder의 경우는 10[km], #3 Feeder의 경우는 15[km], 계통의 부하는 회선 당 약 2[MVA], 그리고 고장 판별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선로의 충전 전류는 약 18[mA/km]인 계통을 모델링하였으며, 모델계통에서 EMT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선지락 고장을 모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검증하고자 한다.
전압과 전류의 순시 데이터로부터 크기와 위상을 추출하기 위하여 한 주기 데이터 윈도우를 사용하는 DFT를 사용하였으며, Matlab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고자 한다.
이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통에서 1선 지락 고장시 모선의 영상전압과 각 회선의 영상 전류의 크기 및 위상을 이용하여 고장 회선을 판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1선지락 고장시 모선의 영상 전압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은 1선지락 고장후에 모선의 각 상전압과 영상전압 벡터도를 도시한 것이다. 비접지계통이므로 중성점 전위가 지락된 상으로 옮겨간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고장전에 평형이던 위상이 고장 후에 불평형으로 변경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모선의 영상전압은 각 상전압 벡터의 합 벡터와 반대 방향인 것을 볼 수 있다.
다음, 각 회선의 영상전류와 모선의 영상 전압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1은 1선 지락고장후에 각 회선에 나타나는 영상 전류와 모선의 영상전압 벡터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영상전류와의 위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영상전압을 1/40000으로 스케일링하였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Feeder의 영상전류는 모선의 영상전압보다 88°지상, #2 Feeder의 영상전류는 모선의 영상전압보다 87°지상, #3 Feeder의 영상전류는 모선의 영상전압보다 89°진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고장 회선은 #3 Feeder라고 판정한다. 도 11에서, #3 Feeder 고장이므로 #1 Feeder 영상전류 반대방향과 #2 Feeder 영상전류의 반대방향 합과 모선 영상전류의 합과 #3 Feeder 선로의 충전으로 인한 영상전류의 합이 #3 Feeder의 영상전류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고장회선 판정후의 고장상 검출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통에서 1선 지락 고장시 모선의 선간 전압과 고장 회선 영상전류의 크기 및 위상을 이용하여 고장상을 판별하게 된다.
먼저, 1선지락 고장시 모선의 선간전압을 검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는 고장 전과 후에 나타나는 선간 전압 벡터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비접지 계통의 특성으로 인하여 아무런 변화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고장상 판별을 위하여 기준전압으로 사용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음, A상 지락 고장시 고장상을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3은 고장회선이 #3 Feeder라고 판정한 후에 모선의 선간 전압과 #3 Feeder의 영상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상을 판별한 결과를 나타낸다. Vab벡터에 대하여 영상전류 I0벡터는 57.2°앞서고, Vbc벡터에 대하여 영상전류 I0벡터는 176°앞서고, Vca벡터에 대하여 영상전류 I0벡터는 62°뒤진 것으로 나타나며, 결과적으로 A상 지락고장으로 판정한다.
다음, B상 지락 고장시 고장상을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4는 고장회선이 #3 Feeder라고 판정한 후에 모선의 선간 전압과 #3 Feeder의 영상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상을 판별한 결과를 나타낸다. Vab벡터에 대하여 영상전류 I0벡터는 61.5°뒤지고, Vbc벡터에 대하여 영상전류 I0벡터는 58°앞서고, Vca벡터에 대하여 영상전류 I0벡터는 178.3°앞선 것으로 측정되며, 결과적으로 B상 지락고장으로 판정한다.
다음, C상 지락 고장시 고장상을 판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5는 고장회선이 #3 Feeder라고 판정한 후에 모선의 선간 전압과 #3 Feeder의 영상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상을 판별한 결과를 나타낸다. Vab벡터에 대하여 영상전류 I0벡터는 177.9°앞서고, Vbc벡터에 대하여 영상전류 I0벡터는 62.7°뒤지고, Vca벡터에 대하여 영상전류 I0벡터는 57.9°앞선 것으로 측정되며, 결과적으로 C상 지락고장으로 판정한다.
표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구 결과, 모선의 각 영상전압, 상전압, 그리고 선간전압, 각 회선의 영상전류, #3 Feeder의 A상, B상, C상 고장시 #3 Feeder의 영상전류의 위상을 나타낸다.
표3은 고장상 판정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의 선간 전압에 대한 영상전류의 위상을 나타내었으며 고장상 판정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여 비접지 배전 계통에 있어서 모선의 영상 전압과 각 회선의 영상 전류들의 위상들을 비교함으로써 고장 회선을 쉽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판별된 고장 회선에 있어서, 고장 회선의 선간 전압과 영상 전류를 이용하여 고장상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접지 계통에 배전자동화 시스템이 도입되면 선로상에 설치되어 있는 자동화 개폐기에서 취득되는 전압, 전류 정보를 이용해서도 구현될 수 잇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장회선 및 고장상 판별 방법은 전자기적 과도현상 해석 장비인 EMTP(Electro Magnetic Transient Program)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그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도 1은 비접지 방식의 배전 계통에 있어서, 지락 고장시의 3상 전압에 대한 벡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비접지 방식의 배전 계통에 있어서, C선로에 1선지락 고장이 발생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비접지 배전 계통에서의 지락 고장 발생시의 영상 전류의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비접지 배전 계통에서의 지락 보호를 위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방향 지락 계전기의 동작영역의 정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6은 배전 계통의 일예를 단순화시켜 도시한 도면.
도 7은 A상 지락 고장시 상전압과 영상전류에 대한 벡터도.
도 8은 고장상 판별을 위한 동작영역의 정정을 도시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적용하는 모의 계통 및 보호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1선 지락 고장후에 모선의 상전압과 영상 전압을 도시한 벡터도.
도 11은 1선 지락 고장후에 각 회선에 나타나는 영상전류와 모선의 영상 전압을 도시한 벡터도.
도 12는 고장 전과 후에 나타나는 선간 전압을 도시한 벡터도.
도 13은 A상 지락 고장시 선간 전압과 고장 회선의 영상 전류를 도시한 벡터도.
도 14는 B상 지락 고장시 선간 전압과 고장 회선의 영상 전류를 도시한 벡터도.
도 15는 C상 지락 고장시 선간 전압과 고장 회선의 영상 전류를 도시한 벡터도.

Claims (3)

  1. 비접지 배전선로의 고장회선 검출 방법에 있어서,
    계통에 대한 모선의 영상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각 회선의 영상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모선의 영상 전압과 각 회선의 영상 전류의 위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특정 회선에 대한 영상 전류의 위상이 상기 영상 전압의 위상에 비해 진상이면, 고장 회선이라고 판단하는 단계
    를 구비하여, 비접지 계통에서의 1선지락고장이 발생한 고장 회선을 검출하는 고장회선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선의 영상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모선에 설치된 접지형 계기용 변압기의 영상전압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회선 검출 방법.
  3. 비접지계통에서의 1선지락 고장시 고장회선의 고장상을 검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고장 회선의 각 상에 대한 선간 전압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
    고장 회선의 영상 전류의 위상을 검출하는 단계;
    각 상에 대한 상기 선간 전압의 위상과 상기 영상 전류의 위상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위상 전류의 위상이 선간 전압의 위상보다 +90°~+180°진상인 상을 고장상으로 판별하는 단계
    를 구비하여 고장회선의 고장상을 검출하는 고장상 검출 방법.
KR1020030060175A 2003-08-29 2003-08-29 비접지방식의 배전 계통에 대한 고장 회선 및 고장상 판별방법 KR200500231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175A KR20050023104A (ko) 2003-08-29 2003-08-29 비접지방식의 배전 계통에 대한 고장 회선 및 고장상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0175A KR20050023104A (ko) 2003-08-29 2003-08-29 비접지방식의 배전 계통에 대한 고장 회선 및 고장상 판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3104A true KR20050023104A (ko) 2005-03-09

Family

ID=37230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0175A KR20050023104A (ko) 2003-08-29 2003-08-29 비접지방식의 배전 계통에 대한 고장 회선 및 고장상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310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77B1 (ko) * 2007-01-26 2009-02-1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자동화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고장표시 생성방법
KR100921227B1 (ko) * 2007-09-13 2009-10-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택 지락 계전 장치
CN107561414A (zh) * 2017-10-31 2018-01-09 国家电网公司 快速找出小电流接地系统单相接地故障回路的选线方法及选线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77B1 (ko) * 2007-01-26 2009-02-18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자동화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고장표시 생성방법
KR100921227B1 (ko) * 2007-09-13 2009-10-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택 지락 계전 장치
CN107561414A (zh) * 2017-10-31 2018-01-09 国家电网公司 快速找出小电流接地系统单相接地故障回路的选线方法及选线系统
CN107561414B (zh) * 2017-10-31 2019-12-20 国家电网公司 快速找出小电流接地系统单相接地故障回路的选线方法及选线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9980B1 (ko) 비접지 배전계통에서 영상전류 위상차와 크기 비교에 의한고장구간 검출방법 및 시스템
Baldwin et al. Fault locating in ungrounded and high-resistance grounded systems
Zhalefar et al. A high-speed adaptive single-phase reclosing technique based on local voltage phasors
EP2686691B1 (en) A method for detecting earth faults
US6584417B1 (en) Method and directional element for fault direction determination in a capacitance-compensated line
CN103840437B (zh) 配电网铁磁谐振与单相接地故障的快速诊断与处理方法
RU2631025C2 (ru) Обнаружение направления слабоустойчивого короткого замыкания на землю среднего напряжения с помощью линейной корреляции
EP357039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earth-fault protection
EP0876620A1 (en) Method of detecting and locating a high-resistance earth fault in an electric power network
Hou et al. Deterministic high-impedance fault detection and phase selection on ungrounded distribution systems
Masoud et al. Protection scheme for transmission lines based on alienation coefficients for current signals
CN112534280A (zh) 用于使用正序和负序电压变化来定位在多相电网上的故障的系统和方法
CN108287295B (zh) 电力线路接地故障位置查找方法和系统
Hong et al. Detection of open conductor fault using multiple measurement factors of feeder RTUs in power distribution networks with DGs
Taft Fault intelligence: distribution grid fault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Velayudham et al. Locating ground fault in distribution systems using smart meter
McDonagh et al. Use of faulted phase earthing using a custom built earth fault controller
Balcerek et al. Centralized substation level protection for determination of faulty feeder in distribution network
Borgnino et al. Comparison of the performance of different directional polarizing methods in cross country fault protection of a MV loop
Farughian et al. Intermittent earth fault passage indication in compensated distribution networks
KR20050023104A (ko) 비접지방식의 배전 계통에 대한 고장 회선 및 고장상 판별방법
Shen et al. Grounding transformer application, modeling, and simulation
RU2685746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и расстояния до места однофазного замыкания на землю 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етях 6-35 кВ с изолированной или компенсированной нейтралью
RU2685747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места и расстояния до места однофазного замыкания на землю в электрических сетях 6-35 кВ с изолированной или компенсированной нейтралью
Meddeb et al. Impact of System Grounding on Distance Relay Opera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