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2041A - 중공의 광 파이프 - Google Patents

중공의 광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2041A
KR20050022041A KR1020030058721A KR20030058721A KR20050022041A KR 20050022041 A KR20050022041 A KR 20050022041A KR 1020030058721 A KR1020030058721 A KR 1020030058721A KR 20030058721 A KR20030058721 A KR 20030058721A KR 20050022041 A KR20050022041 A KR 20050022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pipe
pipe
distance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8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8349B1 (ko
Inventor
김태효
Original Assignee
김태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효 filed Critical 김태효
Priority to KR10-2003-0058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34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2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5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4Prisms
    • G02B5/045Prism arr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한편으로는 내부 전반사에 의해 광을 원거리 장소까지 비교적 적은 전송 손실로 전송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송중인 광을 반사 또는 굴절 등의 방출 방식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가 개시된다. 이러한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는 대체로 평탄한 외측면과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복수의 삼각형 홈을 형성하는 선형의 프리즘 배열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 중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광이 광 파이프로부터 광 파이프의 벽을 통해 외부로 반사되게 하거나 직접 방출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부가 광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는 길이 방향으로 미세 가공된 압출 몰드를 통해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이므로 광 파이프의 제작 비용이 상당히 절감되고, 보호용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또한 길이 방향의 반사부(또는 방출부)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이 부위에 스크래치 패턴이나 인쇄 패턴 또는 홀로그램 패턴을 통해 광이 광 파이프의 외부로 방출되게 할 수 있다. 특히, 스크래치 패턴의 경우 패턴 각도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광을 방향성 있게 내보낼 수 있다.

Description

중공의 광 파이프 {A HOLLOW LIGHT PIP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광을 전송시키기 위한 광 파이프(light pipe)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한편으로는 내부 전반사에 의해 광을 원거리 장소까지 비교적 적은 전송 손실로 전송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전송중인 광을 반사 또는 굴절 등의 방출 방식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조를 갖는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파이프(이 분야에서는 광 도관(light conduit), 광 가이드(light guide) 또는 광 튜브(light tube)라고도 불리움)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원거리 장소까지 비교적 적은 전송 손실로 전송시키는데 이용된다. 광 파이프는 또한 장식용 또는 기능성 광을 비교적 넓은 영역에 걸쳐 효과적으로 분배시키는 데에도 이용될 수 있다.
통상의 광 파이프 구조물은 비구조화된 내측면과 구조화된 외측면을 갖는 관형 벽을 포함한다. 비구조화된 내측면은 대체로 평탄한 반면에, 구조화된 외측면은 상호 평행한 관계로 나란히 배열되어 광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뻗어있는 복수의 삼각형 홈을 형성하는 선형의 프리즘 배열을 포함한다. 허용되는 각도 범위내에서 광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광은 광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진행할 때 내부 전반사에 의해 구속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형적인 광 파이프는 미국특허 제 4,805,984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어떤 한 영역을 조명할 목적으로 광 파이프로부터의 광을 분배시키는데 다양한 기술이 이용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중 하나의 기술로서, 프리즘을 변경시킴으로써, 즉, 프리즘의 모서리부를 둥글게 하거나, 프리즘의 일부를 마모시키거나, 선택된 영역의 프리즘을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광이 광 파이프의 변경된 영역을 통해 방출되게 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또 다른 기술로서, 광 파이프내에 광 방출판을 배치하는 기술이 포함된다. 이러한 광 방출판으로는 광을 내부 전반사의 각도 범위를 벗어나는 각도로 광 파이프 쪽으로 반사시키도록 형상화된 스트립 또는 시트 형태의 물질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이 반사되는 경우에, 광 파이프의 내부 반사율은 감소되며, 이로써 광이 광 파이프의 벽을 통해 방출되게 하므로 장식용 또는 기능성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광 파이프는 통상적으로 광학 라이팅 필름(OLF : Optical Lighting Film)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전형적인 광학 라이팅 필름은 일측면에 엠보싱 가공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성형된 선형의 프리즘 배열을 갖는 비교적 얇은 시트 형태의 투명 물질, 예를 들면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된다. 이러한 시트 형태의 물질은 광학 라이팅 필름을 롤링가공하여 관형 광 파이프를 형성시킬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가요성을 지니고 있다. 광 파이프의 제조용으로 적합한 광학 라이팅 필름은 미국특허 제 4,906,070호 및 제 5,056,89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특허문헌은 전체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인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광 파이프의 광 전송 및 반사 원리는 도 5a, 도 5b 및 도 6a 내지 도 6c에 잘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5a(이해의 편의상, 비구조화된 측면을 상측으로 하고, 구조화된 측면을 하측으로 하여 도시함)를 보면,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굵게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비구조화된 측면을 통해 입사되고, 구조화된 측면에서는 전반사되어 외부로 향하던 광은 다시 내부로 입사된다. 이러한 전반사 과정이 반복되면, 광은 근거리 뿐만 아니라 원거리에도 거의 전송 손실 없이 전송될 수 있게 된다.
도 5b에는 임계각이 42°인 유리에서의 전반사 원리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B 부분의 정삼각형 유리를 보면, 유리 표면과 90°의 각도(입사각 0°)로 유리 내부로 입사되는 광(①)은 삼각형의 다른 표면, 즉 삼각형의 하측 표면에 이르게 되면, 하측 표면과 이의 법선이 이루는 각(θ1)이 60°이므로 전반사 원리에 따라 ①-1과 같이 방향을 바꾸어 외부로 방출된다. C 및 C' 부분의 정삼각형 유리를 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유리 표면과 90°의 각도(입사각 0°)로 유리 내부로 입사되는 광(②)은 C 삼각형에서는 ②-1과 같이 방출되며 C' 삼각형에서는 ②-2와 같이 외부로 방출된다(θ2 및 θ3 모두 60°). 이러한 광 경로의 차이는 두 삼각형 사이의 하측간 거리 d에 좌우된다. 다시 말하면, d가 클수록 광의 원거리 진행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는 광학 라이팅 필름이 내부에 설치된 광 파이프에서의 광 전달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는 광학 라이팅 필름이 내부에 설치된 광 파이프의 내부에서는 전반사만이 이루어짐을 보여주고 있다. 도 6b는 진행하던 광이 광학 라이팅 필름 내부에 부착되어 있는 반사 필름에 맞아 광의 투과 각도가 변경되면서 외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 6c는 광학 라이팅 필름 내부에 부착되는 반사 필름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진행중인 광이 외부로 균일하고 일정하게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광학 라이팅 필름은 일반적으로 외표면이 우수한 투광성을 지닌 원통형의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유리 등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명장치의 내측에 수용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내부 전반사와 반사를 통해 광이 원거리까지도 일정하게 전송되게 한다.
그러나, 광 파이프에 이용되는 광학 라이팅 필름은 일측이 비구조화된 평면으로 되어 있고 다른 일측이 구조화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 평판 형태의 필름이며, 이러한 평판형 필름이 조명 장치의 내부에 수용되면서 원통형으로 형상화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조명장치에 수용되는 광학 라이팅 필름은 접착 수단에 의해 양 모서리가 접착되거나 겹쳐져 접착된다. 결국, 이러한 광학 라이팅 필름의 접착은 접착 부위의 제기능 상실로 이어져 부분적으로 광의 전송 손실 및 끊어짐 효과를 초래한다.
또한, 광 파이프에 상기한 바와 같은 광학 라이팅 필름을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학 라이팅 필름 자체의 제조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광 파이프 전체 제작 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또한, 광학 라이팅 필름으로 제작된 광 파이프는 광의 반사 또는 굴절 등의 방출을 위해 별도의 조작, 예를 들어 반사 필름의 부착, 프리즘의 모서리 절삭, 선택된 프리즘의 완전 제거, 광 방출판의 설치 등의 조작이 병행되어야 했다.
더욱이, 종래의 광 파이프는 외측면이 구조화(측면의 형상이 삼각형의 프리즘으로 구조화)되어 있어, 이 부분의 보호를 위한, 특히 황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외부 슬리브가 요구되었다.
놀랍게도, 본 발명자는 광의 반사 또는 굴절 등의 방출을 위해 상기와 같은 별도의 조작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광을 원거리까지 일정하게 방출시킬 수 있으며 또한 보호용 외부 슬리부에 대한 요건을 갖추지 않아도 광 파이프가 보호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광 파이프를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라이팅 필름을 이용하지 않으면서 종래의 광 파이프 제작 비용보다 상당히 저렴하고, 종래의 보호용 외부 슬리브에 대한 요건이 불필요하며, 상기한 바와 같은 광의 반사 또는 굴절 등의 방출을 위한 별도의 조작이 요구되지 않는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체로 평탄한 외측면과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복수의 삼각형 홈을 형성하는 선형의 프리즘 배열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내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 중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광이 광 파이프로부터 광 파이프의 벽을 통해 외부로 반사되게 하거나 직접 방출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부가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는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프의 상기 반사부의 표면은 광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레이저 가공, 인쇄 라미네이팅, 홀로그램 처리, 스크레칭 가공 또는 반사 필름의 부착에 의해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조의 패턴을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프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및 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합체성 물질로 제조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는 종래의 광 파이프에 수용되는 고가의 광학 라이팅 필름을 이용하지 않는 대신에 길이 방향으로 미세 가공된 압출 몰드를 통해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이므로 광 파이프의 제작 비용이 상당히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는 종래의 광 파이프와는 달리 대체로 평탄한(비구조화된) 외측면과 구조화된(측면의 형상이 프리즘 형상으로 된) 내측면을 가짐으로써 보호용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프는 길이 방향의 반사부(또는 방출부)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이 부위에 스크래치 패턴이나 인쇄 패턴 또는 홀로그램 패턴을 통해 광이 광 파이프의 외부로 방출되게 할 수 있다. 특히, 스크래치 패턴의 경우 패턴 각도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광을 방향성 있게 내보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입사각"은 매질 속을 진행하는 광이 다른 매질과의 경계면에 도달했을 때 이 경계면의 법선과 이루는 각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파이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공통(적)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하거나 동일계열의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1, 도 2a,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광 파이프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중공(130)의 광 파이프(100)는, 종래의 광 파이프 구조와는 달리, 대체로 평탄한 외측면(비구조화된 외측면)과 구조화된 내측면을 갖는다. 구조화된 내측면의 일부 또는 외측면의 일부에는 입사되는 광을 임계각을 벗어나는 각도로 반사시키거나 굴절 등에 의해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는 반사부 또는 방출부(110)(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이하 "반사부"라 칭함; 이 도면에서는 상부 영역)가 광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반사부(110) 영역은 구조화된 다른 내측면과는 달리 프리즘 구조가 아닌 대체로 평탄한 구조를 갖는다. 반사부(110)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내측면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 영역에서는 소정의 각도(θ) 미만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로 광 파이프(100) 내측으로의 전반사만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광 파이프(100) 내측으로의 전반사에 의해 광은 거의 전송 손실 없이 원거리의 장소까지도 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광 파이프(100)의 구조화된 내측면, 특히 전반사부(120)는 광 파이프(10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의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프리즘 배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 파이프의 선형 프리즘의 내측 방향 모서리의 내각은 90°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광 파이프(100)는 투광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단독 또는 이중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광 파이프(100)는 투광성이 비교적 우수한 다른 중합체성 물질, 예를 들어,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등으로도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광 파이프(100)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광학 라이팅 필름(OLF)에 의한 별도의 형상화 조작 및 부착에 의한 구현과는 달리 처음부터 길이 방향으로 미세 가공된 압출 몰드를 통한 압출에 의해 구현된다. 이때, 광 파이프(100)의 전반사부(120)는 압출시 프리즘 형태로 가공된 링(ring)을 통해 압출하여 길이 방향으로 프리즘 패턴(Prism Pattern)이 형성되게 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 각도의 입사광이 광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전반사되어 진행되게 한다.
광 파이프(100)의 반사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미세 가공된 압출 몰드를 통해 광 파이프(100)가 압출될 때 형성되며, 이러한 압출후에 레이저 가공, 인쇄 라미네이팅, 홀로그램 처리 또는 스크레칭 가공 등의 방식으로 광 파이프의 지름 방향으로 패턴을 넣어 광이 광 파이프(100)의 외부로 전달될 수 있는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광 파이프(100)의 반사부(110)에 형성되는 패턴의 간격은 광원(300)에 가장 근접한 영역에서 가장 크고 이 근거리 영역으로부터 원거리 영역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진다.
다르게는, 광 파이프(100)의 반사부(110)에 형성되는 패턴의 간격은 일정하게 하면서 각각의 패턴이 광원(300)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넓어지게 형성시킬 수 있다.
다르게는, 광 파이프(100)의 반사부(110)에 형성되는 패턴의 간격과 각각의 패턴 폭을 동시에 조절하여 상기와 같은 동일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턴화된 반사부(110)는 광원(300)으로부터 방출된 광이 광 파이프(100)의 길이(L)와 무관하게 일정하게 비춰지게 한다. 또한, 광 파이프(100)의 반사부(110) 표면에 인쇄 또는 홀로그램으로 처리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를 줄 수 있다.
또 다르게는, 반사부(110) 없이, 광 파이프 외측면의 모든 방향, 즉, 360°전 둘레 방향에 도트 인쇄(dot print)로 가공하여 패턴이 주어질 수 있다. 이들 각 패턴의 간격은 상기한 바와 같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진다.
더욱이, 이러한 광 파이프(100)의 반사부(110) 표면에 반사 필름 또는 산란 필름을 붙여 반사 또는 산란 효과를 줄 수도 있다.
광 파이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주어지는 이들 패턴 및 이들 패턴간의 간격은 상기한 방법 이외에도 많은 다른 변형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명세서를 숙지한 당업자라면 이러한 변형 방법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광 파이프(100)의 내부로 입사된 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부는 단면이 프리즘 형상으로 구조화된 전반사부(120)를 통해 내부 전반사되어 원거리까지 진행하며, 일부는 반사부(110)를 통해 상위 방향 또는 하위 방향으로(도시된 도면을 기준) 방출 또는 반사되어 상위 또는 하위 방향을 비추는 효과를 낸다. 이때, 상위 또는 하위 방향으로의 방출 또는 반사는 반사부의 상기한 바와 같은 특성, 예를 들어 레이저 또는 스크레칭 가공의 경우에는 반사 및 방출 모두에 해당할 수 있으며 반사 필름의 부착의 경우에는 반사에 해당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의 광 파이프(100)는 건물 또는 대상물의 상부에 고정되어 그 아래의 특정 영역을 비추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한 조명 영역의 넓이는 반사부(110)의 크기에 좌우된다. 이와 반대로, 반사부(110)에 방출판을 설치하여 광원(300)으로부터의 광이 상부로 방출되게 할 수도 있다.
도 2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광 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b에 도시된 중공(230)의 광 파이프(200)는 도 2a에 도시된 광 파이프(100)와는 달리 3개의 반사부(210a)(210b)(210c)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중공의 광 파이프(200)는 도 2a의 광 파이프(100)와 마찬가지로 대체로 평탄한 외측면(비구조화된 외측면)과 구조화된 내측면을 포함한다. 구조화된 내측면의 일부 또는 외측면의 일부에는 입사되는 광을 방출 또는 반사할 수 있는 반사부(210a)(210b)(210c)가 상호 120°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반사부 영역(210a)(210b)(210c)은 구조화된 다른 내측면과는 달리 프리즘 구조가 아닌 대체로 평탄한 구조를 갖는다. 반사부(210a)(210b)(210c)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내측면은 단면이 삼각형 형상(프리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이들 영역에서는 소정의 각도(θ) 미만으로 입사되는 광은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로 광 파이프(200) 내측으로의 전반사가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광 파이프(200) 내측으로의 전반사에 의해 광은 거의 전송 손실 없이 원거리의 장소까지도 도달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광 파이프(200)의 구조화된 내측면, 특히 전반사부(220)는 광 파이프(200)의 길이 방향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이의 단면이 삼각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프리즘 배열을 포함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프가 허용되는 각도 또는 직경 범위내에서 3개 이상의 반사부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는 종래의 광 파이프에 수용되는 고가의 광학 라이팅 필름을 이용하지 않는 대신에 길이 방향으로 미세 가공된 압출 몰드를 통해 연속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이므로 광 파이프의 제작 비용이 상당히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는 종래의 광 파이프와는 달리 대체로 평탄한(비구조화된) 외측면과 구조화된(측면의 형상이 프리즘 형상으로 된) 내측면을 가짐으로써 보호용 슬리브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프는 길이 방향의 반사부(또는 방출부)를 별도로 구비함으로써 이 부위에 스크래치 패턴이나 인쇄 패턴 또는 홀로그램 패턴을 통해 광이 광 파이프의 외부로 방출되게 할 수 있다. 특히, 스크래치 패턴의 경우 패턴 각도에 따라 특정 방향으로 광을 방향성 있게 내보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프의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프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광 파이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a의 A-A를 따라 절취하여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광 방출 패턴을 갖는 광 파이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펼쳐놓은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전반사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5b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전반사 원리의 또 다른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광 전달 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6b는 본 발명의 단일 광 방출 원리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c는 본 발명의 다중 광 방출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광 파이프 110 : 반사부(또는 방출부)
120 : 전반사부 130 : 중공
200 : 광 파이프 210a, 210b, 210c : 반사부
220 : 전반사부 230 : 중공
300 : 광원 θ1, θ2, θ3 : 입사각
θ : 광 파이프의 내표면과 입사되는 광이 이루는 각

Claims (13)

  1. 대체로 평탄한 외측면과 길이 방향을 따라 뻗어 있는 복수의 삼각형 홈을 형성하는 선형의 프리즘 배열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내측면을 포함하는 중공의 일체형 광 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광이 광 파이프로부터 광 파이프의 벽을 통해 외부로 반사되게 하거나 직접 방출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부가 상기 외측면과 내측면 중의 하나 이상의 측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외측 또는 내측 표면이 광 파이프의 원주 방향으로 레이저 가공, 인쇄 라미네이팅, 홀로그램 처리 또는 스크레칭 가공되어 광을 외부로 방출시키는 구조의 패턴을 갖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넓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 사이의 간격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외측 또는 내측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반사 필름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필름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넓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필름 사이의 간격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점 좁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외측 또는 내측 표면에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산란 필름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10. 제 1항에 있어서, 광 파이프의 외측면이 소정의 간격으로 도트 인쇄(dot print)되어 소정의 패턴을 갖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간격이 광원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좁아짐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프리즘의 내측 방향 모서리의 내각이 90°임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13.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파이프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아크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및 폴리염화비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중합체성 물질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 파이프.
KR10-2003-0058721A 2003-08-25 2003-08-25 중공의 광 파이프 KR100518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721A KR100518349B1 (ko) 2003-08-25 2003-08-25 중공의 광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8721A KR100518349B1 (ko) 2003-08-25 2003-08-25 중공의 광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041A true KR20050022041A (ko) 2005-03-07
KR100518349B1 KR100518349B1 (ko) 2005-09-30

Family

ID=37230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8721A KR100518349B1 (ko) 2003-08-25 2003-08-25 중공의 광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34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43B1 (ko) * 2006-04-13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공의 광 파이프
KR100775839B1 (ko) * 2006-04-13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공의 광 파이프
KR100785370B1 (ko) * 2006-08-25 200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트 패턴 필름을 포함하는 광 파이프
KR100829225B1 (ko) * 2006-10-13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치가 상이한 미소 프리즘 형상을 갖는 광 파이프
KR100858498B1 (ko) * 2006-09-29 2008-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된 프리즘 형상을 갖는 광학 부재
KR100883191B1 (ko) * 2006-12-21 2009-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파이프 제조장치
KR100888446B1 (ko) * 2006-12-01 200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 형상의 반사체를 포함하는 광 파이프
US7565050B2 (en) 2006-10-13 2009-07-21 Lg Electronics, Inc. Light pip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prisms
KR100909021B1 (ko) * 2008-07-11 2009-07-22 김창일 광섬유를 이용한 열주형 등기구
KR100957497B1 (ko) * 2007-10-22 201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파이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4822B1 (ko) 2007-12-07 201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파이프를 이용한 면광원장치,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및 액정표시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443B1 (ko) * 2006-04-13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공의 광 파이프
KR100775839B1 (ko) * 2006-04-13 2007-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중공의 광 파이프
KR100785370B1 (ko) * 2006-08-25 2007-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트 패턴 필름을 포함하는 광 파이프
KR100858498B1 (ko) * 2006-09-29 2008-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된 프리즘 형상을 갖는 광학 부재
KR100829225B1 (ko) * 2006-10-13 2008-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치가 상이한 미소 프리즘 형상을 갖는 광 파이프
US7565050B2 (en) 2006-10-13 2009-07-21 Lg Electronics, Inc. Light pip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of prisms
KR100888446B1 (ko) * 2006-12-01 2009-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 형상의 반사체를 포함하는 광 파이프
KR100883191B1 (ko) * 2006-12-21 2009-0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 파이프 제조장치
KR100957497B1 (ko) * 2007-10-22 2010-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파이프 시스템
KR100909021B1 (ko) * 2008-07-11 2009-07-22 김창일 광섬유를 이용한 열주형 등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349B1 (ko) 200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1882B1 (en) Light pipe fixture with internal extractor
US20210048166A1 (en) Light directing structures
KR100714757B1 (ko) 보호용 외측 슬리브를 갖는 광 가이드
CA1268969A (en) Totally internally reflecting light conduit
KR100813703B1 (ko) 조명 장치
EP1845304B1 (en) Light guide,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illuminating system having the same
KR100518349B1 (ko) 중공의 광 파이프
US20080037943A1 (en) Light pipe having a structure of enhancing an emission of a light
KR102226242B1 (ko) 광 편향 장치, 조명 장치 및 용도
US20150160395A1 (en) Light guide with light input features
KR20080014387A (ko) 확산 입자를 포함하는 광 파이프 및 그 제조 방법
KR100794350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0794349B1 (ko) 광학 파이프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1233199B1 (ko) 양면이 구조화된 광 파이프
US6767106B2 (en) Edge-lit luminaire having prismatic optical control
KR100775839B1 (ko) 중공의 광 파이프
WO2001026080A1 (en) Illuminated sign or panel arrangement
KR20090008861A (ko) 배광 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 캡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KR100775844B1 (ko) 하프 미러를 활용한 조명 시스템
KR100816015B1 (ko) 광 가이드를 이용한 조명 시스템
KR100785370B1 (ko) 도트 패턴 필름을 포함하는 광 파이프
KR100772443B1 (ko) 중공의 광 파이프
KR20230045018A (ko) 광편향 테이프, 관련 방법 및 용도
JP2023538262A (ja) 光インカップリングテープ、関連する方法および使用
WO1997014914A1 (en) Uniform direction dependent line light sour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