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559A - Printing device - Google Patents

Prin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559A
KR20050021559A KR10-2005-7001245A KR20057001245A KR20050021559A KR 20050021559 A KR20050021559 A KR 20050021559A KR 20057001245 A KR20057001245 A KR 20057001245A KR 20050021559 A KR20050021559 A KR 20050021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auxiliary member
conveyance
printing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24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호리코시겐이치
Original Assignee
캐논 세미컨덕터 이큅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세미컨덕터 이큅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세미컨덕터 이큅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1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1559A/en
Publication of KR2005002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559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18Platen-impress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36Blanking or long feeds; Feeding to a particular line, e.g. by rotation of platen or feed roller
    • B41J11/42Controlling printing material conveyance for accurate alignment of the printing material with the printhead; Print regis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2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specially adapted for small cards, envelopes, or the like, e.g. credit cards, cut visiting cards

Abstract

카드에 대해 인쇄를 하는 행할 경우에, 플레이튼 롤러나 반송롤러의 외형, 고무경도의 편차, 기어 트레인에 의한 이송피치 오차 등에 기인하는, 인자 어긋남 또는 인자의 신장이나 신축 등의 인쇄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When printing on a card, printing misalignment or printing defects such as printing elongation or stretching due to the appearance of platen rollers or conveying rollers, variations in rubber hardness, and feed pitch errors due to gear trains, etc. To provide a printing device that can be prevented.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자헤드 (11) 와, 1 장의 카드형상 피인쇄물 (C) 을 유지하는 유지부 (41) 를 갖는 반송 보조부재 (4) 와, 그 반송 보조부재 (4) 를 인자헤드 (11) 에 대해 일정한 이송 속도로 반송하는 반송수단 (13, 14) 과, 반송 보조부재 (4) 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수단 (17) 을 구비하고, 이 검지된 카드 위치에 기초하여 카드형상 피인쇄물의 첫머리 찾기 시 및 인쇄 시의 반송수단의 제어를 행한다.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4 which has the printing head 11 which prints image data, the holding part 41 which hold | maintains one card-shaped to-be-printed object C, and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4 are printed head ( 11) and conveying means 13, 14 for conveying at a constant conveying speed with respect to 11) and position detecting means 17 for detecting a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4, and based on the detected card position. In this way, the conveyance means at the beginning and the printing of the card-shaped to-be-printed object is controlled.

Description

인쇄장치 {PRINTING DEVICE}Printing device {PRINTING DEVICE}

본 발명은, 소정 범위에서 정밀한 인쇄를 행할 필요가 있는 피인쇄물에 인쇄하는 인쇄장치, 특히, 플라스틱 카드나 수지 플레이트 등의 카드형상 피인쇄물에 소정의 인쇄를 행하는 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on a to-be-printed object which requires precise printing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inting apparatus for printing a predetermined form on a card-shaped to-be-printed object such as a plastic card or resin plate.

최근에는, 회원증 등의 발행을 위해 소정 치수의 플라스틱 카드 (이하, 「카드」 라고 함) 나 수지 플레이트에 소정의 문자나 일러스트를 인쇄하는 일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 카드나 수지 플레이트에는, 작은 인자면적에 많은 정보량을 갖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경우가 많아 정밀한 인쇄가 요구된다. 이 경우, 인쇄장치는, 예를 들어,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자헤드를 구비하고, 이 인자헤드에는, 대향하여 플레이튼 롤러가 형성되고, 이 인자헤드와 플레이튼 롤러가 인쇄부를 구성한다. 이 인쇄부의 상류측과 하류측에는, 한쪽이 구동되고, 다른쪽이 카드를 가압함으로써 동반회전하는 상하 한 쌍의 롤러로 구성된 제 1 및 제 2 반송수단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및 제 2 반송수단의 구동롤러의 구동원으로서는 펄스 모터가 사용되고, 카드를 일정한 이송 속도로 반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류측의 제 1 반송수단과 인쇄부 사이에는, 카드의 선단을 검출하는 선단 검출센서가 형성되어 있다.In recent years, the printing of predetermined characters or illustrations on plastic cards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rds") or resin plates having predetermined dimensions for issuance of membership cards and the like has been increasing. These cards and resin plates often print image data hav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in a small printing area, and precise printing is required. In this case, the printing apparatus includes, for example, a printing head for printing image data, the platen roller being formed opposite to the printing head, and the printing head and the platen roller constitute a printing portion.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is printing section, first and second conveying means each consisting of a pair of upper and lower rollers which are driven together and the other side are rotated by pressing the card are formed. As a drive source of the drive roller of these 1st and 2nd conveying means, a pulse motor is used and it is comprised so that a card may be conveyed at a constant conveyance speed. Further, a tip detection sensor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veying means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printing portion to detect the tip of the card.

상류측의 제 1 반송수단에 카드를 공급하면, 우선, 이 제 1 반송수단에 의해, 카드선단이 상기 선단 검출센서에 검출되기까지 카드가 반송된다. 그리고, 또한 제 1 반송수단이, 선단 검출센서로부터 인자헤드까지의 이론거리 (선단 검출센서의 설치 설계위치로부터 인자헤드의 설치 설계위치까지의 거리) 분만큼 구동됨으로써, 카드선단과 인자헤드의 위치정합 (이하, 「첫머리 찾기」 라고 함) 이 행해져 인쇄가 개시된다. 인쇄가 행해지면, 그 후, 하류측의 제 2 반송수단에 의해 카드가 인쇄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When the card is supplied to the first conveying means on the upstream side, first, the card is conveyed by the first conveying means until the card tip is detected by the tip detecting sensor. Further, the first conveying means is driven by the theoretical distance from the tip detection sensor to the print head (the distance from the installation design position of the tip detection sensor to the installation design position of the print head), whereby the position of the card front end and the print head is obtained. Match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nd head") is performed to start printing. When printing is performed, the card is the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rinting apparatus by the second conveying means on the downstream side.

도 1 은, 본 발명의 인쇄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a figure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print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도 2 는, 인쇄장치의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inting apparatus.

도 3 은, 왕복운동하는 반송 트레이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의 (a) 는 세트위치이고, 도 3 의 (b) 는 배출위치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movement of a reciprocating transport tray. (A) of FIG. 3 is a set position, (b) of FIG. 3 is a discharge position.

도 4 는, 반송 트레이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port tray.

도 5 는, 반송 트레이의 상면도이다.5 is a top view of the conveyance tray.

도 6 은, 바형상 마크와 리니어 센서에 의해 생기는 전기신호와 인자헤드의 제어신호의 인가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application state of an electric signal generated by a bar mark and a linear sensor and a control signal of a printing head.

도 7 은, 인쇄장치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ystem of the printing apparatus.

도 8 은, 장치의 인쇄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도이다. 8 is a flowchart showing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apparatus.

도 9 는, 모터의 구동 펄스와 인자헤드의 제어신호의 인가상태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a driving pulse of a motor and an application state of a control signal of a print head.

발명의 개시Disclosure of the Invention

그러나, 이 종래의 인쇄장치에서는, 카드의 첫머리 찾기 및 카드에 대한 인쇄를 행하는 경우, 카드는 제 1 및 제 2 반송수단에 의해 일정한 이송 속도로 반송되는데, 그 반송거리에는, 플레이튼 롤러나 반송롤러의 외형, 고무경도의 편차, 기어 트레인에 의한 이송피치 오차 등에 기인하는 오차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첫머리를 찾을 때의 반송거리 오차에 의한 인자 어긋남 또는 인쇄 중의 반송거리 오차에 의한 화상 데이터의 인자의 신장이나 신축 등의 인쇄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In this conventional printing apparatus, however, when the card is first found and the card is printed, the card is conveyed at a constant conveying speed by the first and second conveying means. Errors may occur due to the outer shape of the roller, variations in rubber hardness, feed pitch errors due to the gear train, and the like.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printing defects such as stretching or stretching of the printing of the image data due to a misalignment caused by the conveyance distance error or the conveyance distance error during printing are generated.

특히, 카드 상에 복수의 인자영역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인자영역이 좁고 또한 인쇄되는 문자 사이즈도 작아지기 때문에, 소량의 인자 어긋남이나 화상 데이터 신축이더라도, 분명히 인자불량으로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게 인쇄할 필요가 생겼다.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printing areas are set on the card, the printing area is narrow and the printed character size is also small, so even if a small amount of printing misalignment or stretching of image data can be clearly recognized as printing defects, There was a need to print correctly.

그래서,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카드형상 피인쇄물 등의, 소정 범위에 정밀한 인쇄를 행할 필요가 있는 피인쇄물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경우에, 인자 어긋남이나 인자의 신장이나 신축 등의 인쇄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인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rinting such as printing misalignment, stretching or stretching of printing, when printing on a printed matter that needs to be precisely printed in a predetermined range, such as a card-like printed matt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인쇄장치는,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자헤드와, 피인쇄물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반송 보조부재와, 이 반송 보조부재를 인자헤드에 대해 일정한 이송 속도로 반송하는 반송수단과,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inting apparatus of this invention conveys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which has a printing head which prints image data, the holding part which hold | maintains a to-be-printed object, and this conveyance auxiliary member with a constant conveyance speed with respect to a printing head. And a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osition on a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본 발명에 의하면, 위치 검지수단에 의해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가 검지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반송 보조부재에 유지된 피인쇄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검지된 피인쇄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피인쇄물의 첫머리 찾기 시 및 인쇄 시의 반송수단의 제어를 행함으로써, 피인쇄물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인자 어긋남 등의 인쇄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is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it is possible to indirectly detect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held in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For this reason, control of conveyance means at the beginning of the to-be-printed and at the time of printing based on the detected position of the to-be-printed material prevents the occurrence of print defects such as printing misalignment when printing to the to-be-printed material. can do.

또, 상기 반송 보조부재에는 복수의 부호가 반송방향으로 병설되고, 상기 위치 검지수단은, 반송 보조부재의 소정 부분을 검지하는 소정 부분 검지수단과, 상기 반송 보조부재의 부호를 검지하는 부호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소정 부분 검지수단으로 반송 보조부재의 소정 부분을 검지하여 반송 보조부재가 반송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그 후 반송 보조부재를 반송한 경우에 부호 검지수단으로 반송 보조부재의 부호를 검지하여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거리를 검출함으로써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송 보조부재에는 복수의 부호가 반송방향으로 병설되고, 상기 위치 검지수단은, 상기 반송 보조부재의 부호를 검지하는 부호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부호 중의 소정 부호를 검지하여 반송 보조부재가 반송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그 후 반송 보조부재를 반송한 경우에 부호를 검지하여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거리를 검출함으로써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의 경우, 상기 반송 보조부재의 복수의 부호는, 소정 폭의 바형상 마크로 구성하고, 이 바형상 마크를 소정 간격으로 병설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des are provid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in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and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includes predetermined por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and cod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ign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And detec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by the predetermined portion detecting means to determine that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and then conveying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to the code detecting means.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so that a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 route of a conveyance auxiliary member may be detected by detecting a code | symbol and detecting the conveyance distance of a conveyance auxiliary member. Moreover, a some code | symbol is provided in a conveyance direction by the said conveyance auxiliary member, The said position detection means is equipped with the code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code | symbol of the said conveyance auxiliary member, and detects the predetermined | prescribed code among a some code | symbol, and conveyance assistanc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ember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and when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s conveyed thereafter, a sign is detected and the conveyance distance of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s detected to detect the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of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n these cases, the code | symbol of the said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s comprised by the bar-shaped mark of a predetermined | prescribed width, and it can be considered to arrange | position this bar-shaped mark at predetermined intervals.

또한, 상기 반송 보조부재에는, 이 반송 보조부재 상의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부호가 반송방향으로 병설되고, 상기 위치 검지수단은, 반송 보조부재의 복수의 부호를 검지하는 부호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부호 검지수단의 위치와 이 부호 검지수단으로 검지한 부호의 반송 보조부재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구성하면, 상기 소정 부분 검지수단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Moreover, the said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s equipped with the some code | symbol which shows the absolute position on this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n a conveyance direction, The said position detection means is provided with the code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some code | symbol of a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f it is configured to detect the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ign detecting means and the position on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of the sign detected by the sign detecting means,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is not formed even if the predetermined partial detecting means is not formed. It becomes possible to detect the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 route of.

또한, 상기 부호 검지수단에 의한 부호의 검지와 동기시켜 인자헤드의 인자 제어를 행하면, 플레이튼 롤러나 반송롤러의 외형, 고무경도의 편차, 기어 트레인에 의한 이송피치 오차 등에 기인하여 반송수단의 구동거리와 실제 반송거리 사이에 오차가 생겼다고 해도, 실제로 피인쇄물이 반송된 거리에 합쳐서 인자가 행해지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인자의 신장이나 신축 등의 인쇄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printing control of the printing head is perform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ection of the code by the code detecting means, driving of the conveying means is caused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platen roller or the conveying roller, the variation in the rubber hardness, the feed pitch error due to the gear train, and the like. Even if an error occurs between the distance and the actual conveyance distance, printing is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distance in which the to-be-printed object is actually conveyed, so that printing defects such as stretching or stretching of the image data do not occur.

또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반송 보조부재에 유지되어 있지 않은 피인쇄물을 인자헤드에 대해 일정한 이송 속도로 반송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The convey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be capable of conveying a to-be-printed object not held by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at a constant conveying speed with respect to the printing head.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 을 참조하여, 1 은, 예들 들어, 플라스틱 카드나 테이프 등의 피인쇄물에 소정의 문자나 일러스트를 인쇄할 수 있는 인쇄장치이다. 인쇄장치 (1) 에는,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도 7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어부에는, 폰트나 문자간격 등의 인쇄 데이터를 입력하는 외부 컴퓨터 (2) 가 통신 케이블 (3) 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With reference to FIG. 1, 1 is a printing apparatus which can print predetermined | prescribed letters and illustrations on to-be-printed objects, such as a plastic card and a tape, for example. In the printing apparatus 1, a control part (refer FIG. 7)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 movement of an apparatus is provided. An external computer 2 for inputting print data such as fonts or character intervals is connected to this control unit via a communication cable 3.

도 2 를 참조하여, 인쇄장치 (1) 의 중앙부에는, 상하동작이 자유로운 서멀 전사식 인자헤드 (1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인자헤드 (11) 의 아래쪽에는, 대향하여 플레이튼 롤러 (12) 가 형성되고, 이 인자헤드 (11) 와 플레이튼 롤러 (12) 가 인쇄부를 형성한다. 인쇄부 (11, 12) 의 상류측과 하류측에는, 피인쇄물을 일정한 이송 속도로 보내는 제 1 및 제 2 반송수단 (13, 14) 이 형성되어 있다.With reference to FIG. 2, the thermal transfer printing head 11 which is free to move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printing apparatus 1. As shown in FIG. Below this printing head 11, the platen roller 12 is formed in opposition, and this printing head 11 and the platen roller 12 form a printing part.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printing sections 11, 12, first and second conveying means 13, 14 for sending a to-be-printed object at a constant conveyance speed are formed.

제 1 및 제 2 각 반송수단 (13, 14) 은, 구동롤러 (13a, 14a) 와 피인쇄물을 가압함으로써 구동롤러 (13a, l4a) 와 동반회전하는 아이들 롤러 (13b, 14b) 로 구성되어 있다. 각 구동롤러 (13a, 14a) 는 기어 트레인 (15) 을 통해 구동모터 (M) 에 의해 구동된다. 이 경우, 기어 트레인 (15) 을 통해 플레이튼 롤러 (12) 가 동기하여 구동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류측의 반송수단 (13) 에 피인쇄물을 집어 넣으면, 피인쇄물이 일정한 이송 속도로 인쇄부 (11, 12) 로 보내져 소정의 인쇄가 행해진다.The 1st and 2nd conveyance means 13 and 14 are comprised by the drive rollers 13a and 14a and the idle rollers 13b and 14b which co-rotate with the drive rollers 13a and l4a by pressurizing the to-be-printed object. . Each drive roller 13a, 14a is driven by the drive motor M via the gear train 15. In this case, the platen roller 12 may be driven synchronously through the gear train 15. And when a to-be-printed object is put into the upstream conveying means 13, a to-be-printed object is sent to the printing parts 11 and 12 at a fixed conveyance speed, and predetermined printing is performed.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드 (C) 에 소정의 인쇄를 행하는 경우, 구동롤러 (13a, 14a) 의 정역전에 의해 인쇄부 (11, 12) 의 상류측과 하류측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는 반송 트레이 (반송 보조부재; 4) 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였다. 그리고, 카드 (C) 가 세트되는 제 1 반송수단 (13) 의 상류측의 세트위치 (S) 와, 인쇄된 카드 (C) 를 배출하는 제 2 반송수단 (14) 의 하류측의 배출위치 (E) 사이에서 이동하는 반송 트레이 (4) 의 유지부 (41) 에 카드 (C) 를 세트하여 일정한 이송 속도로 인쇄부 (11, 12) 로 이송, 소정의 인쇄를 행한다.2 and 3,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predetermined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card C, the upstream side and the downstream side of the printing units 11 and 12 are reversed by the driving rollers 13a and 14a. The conveyance tray (conveyance auxiliary member) 4 which reciprocates between was used. Then, the set position S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conveying means 13 on which the card C is set and the discharge position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second conveying means 14 for discharging the printed card C ( The card C is set in the holding part 41 of the conveyance tray 4 which moves between E), and it transfers to the printing parts 11 and 12 at a fixed conveyance speed, and performs predetermined printing.

도 3,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반송 트레이 (4) 는 합성 수지제의 박판으로 구성되고, 그 두께 치수 (T2) 는 카드 (C) 의 두께 치수보다 짧게 설정하고 있다. 또한, 반송 트레이 (4) 의 소정의 위치에는, 카드 (C) 의 외형보다 큰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부 (41a) 가 형성되어 있다.With reference to FIG. 3, FIG. 4, and FIG. 5, the conveyance tray 4 is comprised from the thin plate made of synthetic resin, The thickness dimension T2 is set short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of the card C. As shown in FIG. Moreover, the substantially rectangular opening part 41a larger than the external shape of the card C is formed i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veyance tray 4.

개구부 (41a) 중 카드 (C) 의 반송방향 상류측의 내연부에는, 박판 (41b) 이, 예를 들어 점착 테이프형상의 지지부재 (42) 를 통해 아래쪽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피봇팅되고, 개구부 (41a) 와 박판 (41b) 이 카드 (C) 의 유지부 (41) 를 구성한다. 이 경우, 개구부 (41a) 에 박판 (41b) 을 장착하면 개구부 (41a) 와 박판 (41b) 에 걸친 오목부가 형성되도록 반송 트레이 (4) 와 박판 (41b) 의 이면이 가공되고, 반송 트레이 (4) 의 이면에서 돌출되지 않도록 이 오목부에 지지부재 (42) 가 수납되어 있다.In the opening portion 41a, the thin plate 41b is pivoted freely downward through, for example, an adhesive tape-shaped support member 42 at the inner edge portion of the card C in the conveying direction upstream. 41a) and the thin plate 41b constitute the holding portion 41 of the card C.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en the thin plate 41b is attached to the opening part 41a, the back surface of the conveyance tray 4 and the thin plate 41b is processed so that the recessed part across the opening part 41a and the thin plate 41b may be formed, and the conveyance tray 4 The support member 42 is accommodated in this recess so that it may not protrude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ack side).

그리고, 이 박판 (41b) 은, 세트위치 (S) 에서 배출위치 (E) 까지 이동하는 동안 수평으로 유지되고, 제 2 반송수단 (14) 을 통과하여 인쇄장치 (1) 외부의 배출위치 (E) 에 도달하면 아래쪽으로 요동한다. 이 경우, 배출위치 (E) 에서는, 박판 (41b) 이 아래쪽으로 요동함으로써 이 박판 (41b) 상의 카드 (C) 가 그 자중으로 미끄러져 떨어진다 (도 3(b) 참조). 따라서, 배출위치 (E) 에서의 카드 (C) 의 자동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Then, the thin plate 41b is kept horizontal while moving from the set position S to the discharge position E,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veying means 14, and the discharge position E outside the printing apparatus 1. ), It swings downward. In this case, in the discharge position E, the card C on the thin plate 41b slides down to its own weight as the thin plate 41b swings downward (see FIG. 3 (b)). Therefore, the automatic ejection of the card C at the ejection position E becomes possible.

또한, 박판 (41b) 의 두께 치수 (T1) 는, 반송 트레이 (4) 의 두께 치수 (T2) 보다 짧게 설정하고, 이 박판 (41b) 상에 카드 (C) 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개구부 (41a) 의 가로 폭 (W) 은 카드 (C) 가로 폭에 대략 대응시키고 있다. 이것에 의해, 유지부 (41) 에 카드 (C) 를 세트하는 것만으로 카드 (C) 의 좌우방향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또한, 박판 (41b) 은, 이 박판 (41b) 의 수평상태에서 이 박판 (41b) 과 개구부 (41a) 의 내연부의 공간 (41d) 에 카드 (C) 의 선단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그 피봇팅부측의 단부에 카드 (C) 의 후단이 돌출되는 개구 (41c) 가 개설 (開設) 되어 있다 (도 5 참조). Moreover, the thickness dimension T1 of the thin plate 41b is set shorter than the thickness dimension T2 of the conveyance tray 4, and the space which can accommodate the card C is formed on this thin plate 41b. It was. The horizontal width W of the opening portion 41a substantially corresponds to the horizontal width of the card C. FIG. Thereby, position shift of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card C is prevented only by setting the card C in the holding | maintenance part 41. FIG. Further, the thin plate 41b is formed such that the tip of the card C protrudes from the space 41d of the inner edge of the thin plate 41b and the opening portion 41a in the horizontal state of the thin plate 41b, and the pivot thereof. An opening 41c through which the rear end of the card C protrudes is formed at the end of the putting portion side (see FIG. 5).

또한, 반송 트레이 (4) 의 폭방향 일단측 상면에는, 반송 트레이 (4) 의 선단에서 개구부 (41a) 의 후방까지에 걸쳐, 소정 폭의 바형상 마크 (43) 가 소정 간격으로 반송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리니어 스케일). 이 바형상 마크 (43) 는, 반송 트레이 (4) 의 반송방향에 150 라인/인치의 비율로 형성되어 있고, 도 6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형상 마크 (43) 의 형성부 (43a) 와, 바형상 마크 (43) 의 비형성부 (43b) 의 폭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바형상 마크 형성부 (43a) 는 광을 반사하기 쉽게 되어 있고, 바형상 마크 비형성부 (43b) 는 광을 반사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Moreover, the bar-shaped mark 43 of predetermined width is arrange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from the front end of the conveyance tray 4 to the back of the opening part 41a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idth direction one end side of the conveyance tray 4. (Linear scale). This bar mark 43 is formed in the conveyance direction of the conveyance tray 4 at the rate of 150 line / inch, As shown also in FIG. 6, the formation part 43a of the bar mark 43 and The width | variety of the non-forming part 43b of the bar mark 43 is the same. This bar mark formation part 43a is easy to reflect light, and the bar mark non-formation part 43b is hard to reflect light.

인자헤드 (11) 와 제 1 반송수단 (13) 사이의 반송경로 근방에는, 상기 반송 트레이 (4) 의 선단, 상기 반송 트레이 (4) 의 공간 (41d) 으로 돌출되는 카드 (C) 의 선단 및 반송 트레이 (4) 의 개구 (41c) 에서 돌출되는 카드 (C) 의 후단을 검지하는 톱센서 (소정 부분 검지수단; 16)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톱센서 (16) 와 대략 동일 위치에, 상기 반송 트레이 (4) 의 바형상 마크 (43) 를 검지하는 리니어 센서 (부호 검지수단; 1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니어 센서 (17) 에는, 주 주사방향의 해상도가 300 도트/인치인 것이 사용되고 있고, 상기 반송 트레이 (4) 의 바형상 마크 형성부 (43a) 및 바형상 마크 비형성부 (43b) 에 광을 조사하고, 그 반사광을 수광하여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 전기신호의 파형에 따라 바형상 마크 (43) 를 검지한다. 반송 트레이 (4) 의 반송 시에는, 후술하는 CPU51 이 이 전기신호의 파형에 기초하여 몇개의 바형상 마크 (43) 가 리니어 센서 (17) 위치를 통과했는가를 산출하여 반송 트레이 (4) 의 반송거리를 검출한다. 또한, 제 1 반송수단 (13) 의 상류측에는, 피인쇄매체 또는 반송 트레이 (4) 가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매체센서 (18) 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vicinity of the conveying path between the printing head 11 and the first conveying means 13, the distal end of the conveying tray 4, the distal end of the card C protruding into the space 41d of the conveying tray 4, and A top sensor (predetermined partial detection means) 16 is provided which detects the rear end of the card C protruding from the opening 41c of the transport tray 4, and is located at approximately the same position as the top sensor 16. A linear sensor (sign detection means) 17 for detecting the bar mark 43 of the conveyance tray 4 is formed. The linear sensor 17 has a resolution of 300 dots / inch in the main scanning direction, and light is applied to the bar mark forming portion 43a and the bar mark non-forming portion 43b of the conveying tray 4. It irradiates, receives the reflected light, converts it into an electric signal, and detects the bar mark 43 in accordance with the waveform of the electric signal. At the time of conveyance of the conveyance tray 4, CPU51 mentioned later calculates how many bar-shaped marks 43 passed the linear sensor 17 position based on the waveform of this electrical signal, and conveys the conveyance tray 4 Detect distance In addition,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conveying means 13, a medium sensor 18 for determining whether the medium to be printed or the conveying tray 4 is set is formed.

다음으로, 도 7 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인쇄장치 (1) 의 제어계에 관해서 설명한다. 인쇄장치 (1) 는, 프로그램을 판독출력하여 실행하여 장치 전체의 제어를 행하는 CPU51 과, 그 CPU5l 이 판독출력하는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는 ROM52 와, CPU51 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데 필요해지는 각종 데이터 등을 기억하는 동시에 CPU51 의 작업영역 (work area) 이 되는 RAM53 과, CPU51 의 제어에 의해 반송모터 (M) 에 구동 펄스신호를 공급하여 반송모터 (M) 를 구동시키는 모터 제어부 (54) 와, CPU51 로부터 공급된 인쇄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인자헤드 (11) 에 공급하고, 인자를 행하게 하는 인자 제어부 (55)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톱센서 (16), 리니어 센서 (17) 및 매체센서 (18) 는 CPU51 에 접속되어 있고, 이들 센서의 검지결과는 CPU51 에 송신된다. CPU51 에는, 적당한 인터페이스 (56) 를 통해 외부의 컴퓨터 (2) 등과 접속할 수 있고, 이 외부 컴퓨터 (2) 등과의 사이에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7, the control system of the printing apparatus 1 of this embodiment is demonstrated. The printing apparatus 1 includes a CPU51 that reads and executes a program to execute control of the entire apparatus, a ROM52 that stores a control program that the CPU5l reads and the like, and various data required for the CPU51 to execute a control program. RAM53 serving as a work area of the CPU51, a motor control unit 54 for supplying a driving pulse signal to the transfer motor M under the control of the CPU51, and driving the transfer motor M; A print control section 55 is provid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be printed supplied from the CPU51, to supply it to the print head 11, and to print. The top sensor 16, the linear sensor 17, and the medium sensor 18 are connected to the CPU51, and the detection results of these sensors are transmitted to the CPU51. The CPU51 can be connected to an external computer 2 or the like through an appropriate interface 56, and various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external computer 2 and the like.

다음으로, 도 8 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의 인쇄장치 (1) 의 인쇄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the flowchart of FIG. 8, the printing operation of the printing apparatus 1 of the said structure is demonstrated.

우선, CPU51 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된 외부 컴퓨터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수신한다 (S1). 다음으로, CPU51 은, 상기 매체센서 (18)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피인쇄매체 또는 반송 트레이 (4) 가 인쇄장치 (1) 에 세트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S2). 피인쇄매체 또는 반송 트레이 (4) 가 인쇄장치 (1) 에 세트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에 에러 메시지가 표시된다 (S3). 피인쇄매체 또는 반송 트레이 (4) 가 세트되어 있는 경우에는, 계속해서 리니어 센서 (17) 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세트된 것이, 피인쇄매체인지 반송 트레이 (4) 인지를 판단한다 (S4).First, the CPU51 receives print data from an external computer connected via the interface (S1). Next, the CPU51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printed medium or the conveying tray 4 is set in the printing apparatus 1 based on the signal from the medium sensor 18 (S2). When the medium to be printed or the conveying tray 4 is not set in the printing apparatus 1, an error mess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S3). When the medium to be printed or the transfer tray 4 is set, it is subsequently determined whether the medium to be set or the transfer tray 4 is set based on a signal from the linear sensor 17 (S4).

인쇄장치 (1) 에 세트된 것이 통상의 피인쇄매체인 경우에는, 우선, CPU51 의 제어에 의해 모터 제어부 (54) 로부터 반송모터 (M) 에 펄스신호가 공급되어 제 1 반송수단 (13) 이 구동하고, 피인쇄매체의 선단이 상기 톱센서 (16) 에 검지되기 (S6) 까지 정반송 (반송경로 하류측으로의 반송) 된다 (S5). 계속해서, CPU51 의 제어에 의해, 선단 검출센서로부터 인자헤드까지의 이론거리분만큼 제 1 반송수단 (13) 이 구동됨으로써, 피인쇄매체의 첫머리 찾기가 이루어진다 (S7). 피인쇄매체의 첫머리 찾기가 완료되면, CPU51 의 제어에 의해, 제 1 반송수단 (13) 및 제 2 반송수단이 구동되는 동시에 인자헤드 (11) 가 인자 제어되어 인쇄가 행해진다 (S8).When the thing to be set in the printing apparatus 1 is a normal to-be-printed medium, first, a pulse signal is supplied from the motor control part 54 to the conveying motor M by the control of CPU51, and the 1st conveying means 13 carries out a 1st conveyance means. It drives, and it carries forward (conveys to the conveyance path downstream side) until the front-end | tip of a to-be-printed medium is detected by the said top sensor 16 (S6) (S5). Subsequently, by the control of the CPU 51, the first conveying means 13 is driven by the theoretical distance from the front end detection sensor to the printing head, whereby the head of the printed medium is found (S7). Upon completion of the first search of the medium to be printed, the CPU 51 controls the first conveying means 13 and the second conveying means and simultaneously print-controls the printing head 11 (S8).

구체적으로는, 인쇄 (S8) 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 같은 CPU51 의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즉,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51 의 제어에 의해 모터 제어부 (54) 로부터 반송모터 (M) 에 대해 A 상ㆍB 상의 2 상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펄스신호가 공급되고, 이것에 의해 반송모터 (M) 가 구동되어 피인쇄매체가 정반송된다. 인자 제어부 (55) 는, CPU51 의 제어에 의해 이들 2 상의 구동 펄스신호의 첫 시작에 동기시켜 인자헤드 (11) 에 대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반송 펄스 모터의 1 펄스로 보내지는 피인쇄매체의 이송량을 필요로 하는 해상도 최소 도트피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수단 (13, 14) 의 구동거리에 합쳐서 인쇄가 행해진다.Specifically, printing S8 is performed by the control of CPU51 as described below. That is, as shown in FIG. 9, the drive pulse signal which consists of two phases A-phase and B-phase with respect to the conveyance motor M is supplied from the motor control part 54 by control of CPU51, and, thereby, conveyance motor M ) Is driven so that the medium to be printed is forwarded. The printing control unit 55 suppli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the printing head 1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tart of these two-phase driving pulse signals under the control of the CPU51.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is image data is set to the resolution minimum dot pitch which requires the conveyance amount of the to-be-printed medium sent by one pulse of a carrier pulse motor. Thereby, printing is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the drive distance of the conveying means 13 and 14.

이렇게 하여 1 개의 피인쇄매체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면, CPU51 은 반송수단 (13, 14) 을 구동시켜 피인쇄매체를 인쇄장치 (1) 밖으로 배출하여 (S9) 인쇄동작을 종료하고, 다음 작업의 대기상태로 이행한다.In this way, when printing to one printed medium is finished, the CPU51 drives the conveying means 13, 14 to discharge the printed medium out of the printing apparatus 1 to finish the printing operation (S9), and Go to standby.

인쇄장치 (1) 에 세트된 것이 반송 트레이 (4) 인 경우에는, 우선, CPU51 의 제어에 의해 모터 제어부 (54) 로부터 반송모터 (M) 에 펄스신호가 공급되어 제 1 반송수단 (13) 이 구동하고, 반송 트레이 (4) 에 유지된 카드 (C) 의 선단이 상기 톱센서 (16) 에 검지되기 (S11) 까지 정반송된다 (S10). 계속해서, CPU51 의 제어에 의해, 상기 리니어 센서 (17) 에 의해 얻어지는 전기신호 파형에 기초하여 검출되는 반송거리가 선단 검출센서로부터 인자헤드까지의 거리와 동일해질 때까지, 제 1 반송수단 (13) 이 구동되어 반송 트레이 (4) 상의 카드의 첫머리 찾기가 이루어진다 (S12). 카드의 첫머리 찾기가 완료되면, CPU51 의 제어에 의해, 제 1 반송수단 (l3) 및 제 2 반송수단이 구동되는 동시에 인자헤드 (11) 가 인자 제어되어 인쇄가 행해진다 (S13).When it is the conveyance tray 4 set in the printing apparatus 1, first, a pulse signal is supplied from the motor control part 54 to the conveying motor M by control of CPU51, and the 1st conveyance means 13 is carried out. It drives, and the front end of the card C hold | maintained by the conveyance tray 4 is conveyed forward until it is detected by the said top sensor 16 (S11) (S10). Subsequently, under the control of the CPU51, the first conveying means 13 until the conveying distance detected based on the electric signal waveform obtained by the linear sensor 17 becomes equal to the distance from the front end detecting sensor to the printing head. ) Is driven to find the beginning of the card on the conveyance tray 4 (S12). When the beginning of the card search is completed, the CPU 51 controls the first conveying means 13 and the second conveying means and simultaneously print-controls the printing head 11 (S13).

구체적으로는, 인쇄 (S13) 는 이하에 설명하는 것 같은 CPU51 의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 즉,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PU51 의 제어에 의해 반송수단 (13, 14) 이 구동되면 반송 트레이 (4) 가 반송되고, 이 반송 트레이 (4) 에 형성된 바형상 마크 형성부 (43a) 및 바형상 마크 비형성부 (43b) 에 대응하는 전기신호 파형이 리니어 센서 (17) 에 의해 얻어진다. 인자 제어부 (55) 는, CPU51 의 제어에 의해, 리니어 센서 (17) 에 의해 얻어진 전기신호 파형의 첫 시작 및 맨 마지막에 동기시켜 인자헤드 (11) 에 대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공급한다. 이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는, 상기 바형상 마크 (43) 의 폭분량의 길이를 필요로 하는 해상도 최소 도트피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리니어 센서 (17) 위치를 통과한 바형상 마크 (43) 의 수, 즉 실제로 카드 (C) 가 반송된 거리에 합쳐서 인쇄가 행해지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인자의 신장이나 신축 등의 인쇄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소정 범위로 정밀한 인쇄를 행할 필요가 있는 피인쇄물에 알맞은 인쇄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Specifically, printing (S13) is performed by the control of CPU51 as described below. That is, as shown in FIG. 6, when the conveying means 13 and 14 are driven by control of CPU51, the conveyance tray 4 is conveyed and the bar-shaped mark formation part 43a formed in this conveyance tray 4, and An electric signal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bar mark non-forming portion 43b is obtained by the linear sensor 17. The printing control unit 55 supplies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image data to the printing head 1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first start and the last of the electric signal waveform obtained by the linear sensor 17 under the control of the CPU51. .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is image data is set to a resolution minimum dot pitch that requires the length of the width portion of the bar mark 43. As a result, printing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bar-shaped marks 43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linear sensor 17 position, that is, the distance in which the card C is actually conveyed, so that the expansion or expansion of printing of image data, etc. The printing apparatus suitable for the to-be-printed object which does not produce a bad printing and needs to perform precise printing to a predetermined range can be comprised.

이렇게 하여 1 장의 카드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면, CPU51 의 제어에 의해 반송수단 (13, 14) 이 구동하여 반송 트레이 (4) 를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그리고, 반송 트레이 (4) 의 유지부 (41) 가 제 2 반송수단 (14) 을 통과하여 인쇄장치 (1) 외부의 반출위치 (E) 에 도달하고 (도 3(b) 참조), 박판 (41b) 이 아래쪽으로 요동하여, 인쇄가 행해진 카드 (C) 가 그 자중으로 박판 (41b) 에서 미끄러져 떨어져 배출된다 (S14).In this way, when printing to one card is complete | finished, conveyance means 13 and 14 drive by the control of CPU51, and conveyance tray 4 is conveyed downstream. And the holding part 41 of the conveyance tray 4 passes through the 2nd conveyance means 14, and reaches the carrying out position E of the exterior of the printing apparatus 1 (refer FIG. 3 (b)), 41b) The card C, which has been rocked downward, is slid off the thin plate 41b with its own weight and discharged (S14).

이어서, CPU51 의 제어에 의해 반송수단 (13, 14) 이 구동하고, 반송 트레이 (4) 의 유지부 (41) 가 카드를 세트할 수 있는 세트위치 (S) 에 올 때까지, 반송 트레이 (4) 가 역반송 (반송경로 상류측으로의 반송) 된다 (S15).Then, the conveying means 13 and 14 are driven by the control of the CPU 51, and the conveyance tray 4 until the holding part 41 of the conveying tray 4 comes to the set position S which can set a card. ) Is returned (returned to the transport path upstream) (S15).

이들,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정반송 및 유지부 (41) 를 세트위치 (S) 까지 이동하기 위한 역반송도, 상기 첫머리 찾기 시의 정반송과 같이, 리니어 센서 (17) 에 의해 얻어지는 전기신호 파형에 기초하여 반송거리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반송거리에 따라 행해진다.These are the electric signal waveforms obtained by the linear sensor 17, such as the forward conveyance for moving the forward conveyance and holding portion 41 for ejecting the card to the set position S, and the forward conveyance when searching for the first head. The conveyance distance is detected based on, and it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cted conveyance distance.

이렇게 해서 유지부 (41) 가 세트위치 (S) 까지 이동하면, CPU51 은 인쇄동작을 종료하고, 다음 작업의 대기상태로 이행한다.When the holding unit 41 moves to the set position S in this way, the CPU 51 ends the printing operation and shifts to the standby state of the next job.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송 트레이 (4) 의 소정 부분 (반송 트레이 (4) 선단이나 카드선단 돌출위치) 을 검지하는 톱센서 (16) 와, 반송 트레이 (4) 의 바형상 마크 (43) 를 검지하는 리니어 센서 (17) 를 구비하고, 톱센서 (16) 로 반송 트레이 (4) 의 소정 부분을 검지하여 반송 트레이 (4) 가 반송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그 후 반송 트레이 (4) 를 반송한 경우에 리니어 센서 (17) 에서 반송 트레이 (4) 의 바형상 마크 (43) 를 검지하여 반송 트레이 (4) 의 반송거리를 검출하고, 이것에 의해 반송 트레이 (4) 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톱센서 (16) 에서 반송 트레이 (4) 의 소정 부분을 검지하는 대신에, 반송 트레이 (4) 의 바형상 마크 (43) 중의 소정의 마크, 예를 들어 반송방향 하류측 선두의 마크를 검지하여 반송 트레이가 반송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그 후 반송 트레이 (4) 를 반송한 경우에 바형상 마크 (43) 를 검지하여 반송 트레이 (4) 의 반송거리를 검출하고, 이것에 의해 반송 트레이 (4) 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반송 트레이 (4) 의 바형상 마크 (43) 중의 소정의 마크는, 반송방향 하류측 선두의 마크가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어, 복수의 바형상 마크 (43) 중 소정 위치의 마크만큼 그 폭 치수를 다른 마크의 폭 치수와 바꿔 두고, 그 밖의 마크와 다른 폭 치수의 마크가 리니어 센서 (17) 에 의해 검지된 경우에 반송 트레이가 반송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Moreover, in the said embodiment, the top sensor 16 which detects the predetermined part of the conveyance tray 4 (the tip of the conveyance tray 4 or the protruding position of a card | tip end), and the bar-shaped mark 43 of the conveyance tray 4 are shown. And a linear sensor 17 for detecting the positio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onveying tray 4 is detected by the top sensor 16,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conveying tray 4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When conveying 4), the linear sensor 17 detects the bar-shaped mark 43 of the conveyance tray 4, detects the conveyance distance of the conveyance tray 4, and conveys the conveyance tray 4 by this. Although the position on a path | route is detect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For example, instead of detecting the predetermined part of the conveyance tray 4 by the top sensor 16, the predetermined mark in the bar-shaped mark 43 of the conveyance tray 4, for example, the head of a downstream direction of a conveyance direction When the mark is detected to determine that the conveyance tray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and after conveying the conveyance tray 4, the bar-shaped mark 43 is detected to detect the conveyance distance of the conveyance tray 4, Thereby, you may make it detect the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 route of the conveyance tray 4.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mark in the bar-shaped mark 43 of the conveyance tray 4 may not be the mark of the head of a conveyance direction downstream side, for example, the mark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among the some bar-shaped mark 43. The width dimension may be changed from the width dimension of the other mark as much as possible, and when the mark of the width dimension different from the other marks is detected by the linear sensor 17,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conveyance tray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또한, 반송 트레이 (4) 에 형성하는 바형상 마크 (43) 는, 반송 트레이 (4) 상의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위치에 특유의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리니어 센서 (17) 에 의해 바형상 마크 (43) 가 검지되면, 그 마크와 반송 트레이 (4) 상의 위치가 1 대 1 에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그 검지결과로부터 직접, 반송 트레이 (4) 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이 반송 트레이 (4) 상의 위치에 특유한 바형상 마크 (43) 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반송방향을 따라 바형상 마크 (43) 의 폭 또는 간격을 서서히 변화시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바형상 마크 (43) 가 리니어 센서 (17) 로 검지되면, 얻어진 전기신호 파형의 펄스 폭 또는 펄스 간격에 기초하여, 반송 트레이 (4) 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r-shaped mark 43 formed in the conveyance tray 4 may be peculiar to the position as it shows the absolute position on the conveyance tray 4. In this case, when the bar mark 43 is detected by the linear sensor 17, since the mark and the position on the conveyance tray 4 correspond to one-to-one, the conveyance tray 4 directly from the detection result.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can be detected. As a method of forming the bar mark 43 peculiar to this position on the conveyance tray 4, the width or space | interval of the bar mark 43 is gradually changed along a conveyance direction. When the bar mark 43 formed in this way is detected by the linear sensor 17, the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of the conveyance tray 4 can be detected based on the pulse width or pulse interval of the obtained electric signal waveform.

또한, 반송 트레이 (4) 에 형성하는 부호는 바형상 마크 (43) 가 아니어도 되고, 공지의 센서로 검지가능한 것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In addition, the code | symbol provided in the conveyance tray 4 may not be the bar mark 43, and what kind of thing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detected by a well-known sensor.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명의 골자를 일탈하지 않은 한, 여러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송수단을, 인자헤드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의 어느 하나에 형성한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반송수단은 반송롤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래크 피니언이나 반송벨트 등이어도 된다. In addition,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form can be taken as long as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main point of invention. For example, the conveyance means may be formed in either the upstream side or the downstream side of the printing head, and the conveying means is not limited to the conveying roller, and may be a rack pinion, a conveyance belt, or the like.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쇄장치에서는, 위치 검지수단에 의해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가 검지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반송 보조부재에 유지된 피인쇄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 검지된 피인쇄물의 위치에 기초하여 피인쇄물의 첫머리 찾기 시 및 인쇄 시의 반송수단의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피인쇄물에 대해 인쇄를 행하는 경우의 인자 어긋남 등의 인쇄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i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is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the position of the object to be held in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can be detected indirectly. Therefore,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detected to-be-printed object, control of the conveying means at the beginning of the to-be-printed object and at the time of printing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printing defects such as printing misalignment when printing to the to-be-printed object. You can prevent it.

또한, 상기 부호 검지수단에 의한 부호의 검지와 동기시켜 인자헤드의 인자 제어를 행하면, 플레이튼 롤러나 반송롤러의 외형, 고무경도의 편차, 기어 트레인에 의한 이송피치 오차 등에 기인하여 반송수단의 구동거리와 실제 반송거리 사이에 오차가 생겼다고 해도, 실제로 피인쇄물이 반송된 거리에 합쳐서 인자가 행해지기 때문에, 화상 데이터의 인자의 신축 등의 인쇄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printing control of the printing head is perform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ection of the code by the code detecting means, driving of the conveying means is caused due to the appearance of the platen roller or the conveying roller, the variation in the rubber hardness, the feed pitch error due to the gear train, and the like. Even if an error occurs between the distance and the actual conveyance distance, the printing is performed in addition to the distance in which the to-be-printed object is actually conveyed, so that printing defects such as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printing of the image data do not occur.

Claims (7)

화상 데이터를 인쇄하는 인자헤드와, 피인쇄물을 유지하는 유지부를 갖는 판형상 반송 보조부재와, 이 반송 보조부재를 그 양면에서 끼워넣어 인자헤드에 대해 일정한 이송 속도로 반송하는 적어도 1 쌍의 롤러와,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A plate-shaped conveying auxiliary member having a printing head for printing image data, a holding portion for holding a to-be-printed object, at least one pair of rollers sandwiching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from both sides thereof and conveyed at a constant conveying speed relative to the printing head; And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osition on a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보조부재에는 복수의 부호가 반송방향으로 병설되고, 상기 위치 검지수단은, 반송 보조부재의 소정 부분을 검지하는 소정 부분 검지수단과, 상기 반송 보조부재의 부호를 검지하는 부호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소정 부분 검지수단으로 반송 보조부재의 소정 부분을 검지하여 반송 보조부재가 반송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그 후 반송 보조부재를 반송한 경우에 부호 검지수단으로 반송 보조부재의 부호를 검지하여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거리를 검출함으로써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2.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odes are arrang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detects a predetermined por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and a sign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And a cod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by the predetermined portion detecting means to determine that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is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and then conveying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to the code detecting means. And a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by detecting the sign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and detecting the conveying distance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보조부재에는 복수의 부호가 반송방향으로 병설되고, 상기 위치 검지수단은, 상기 반송 보조부재의 부호를 검지하는 부호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복수의 부호 중의 소정의 부호를 검지하여 반송 보조부재가 반송경로 상의 소정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고, 그 후 반송 보조부재를 반송한 경우에 부호를 검지하여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거리를 검출함으로써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The said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s provided with a some code | symbol in a conveyance direction, The said position detection means is equipped with the code detection means which detects the code | symbol of the said conveyance auxiliary member, The predetermined code | symbol of a some code | symbol is carried out. Detects that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s in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and detects the position on the conveyance path of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by detecting the sign and detecting the conveyance distance of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when conveying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thereafter. Pri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보조부재의 복수의 부호는 소정 폭의 바형상 마크로 구성되고, 이 바형상 마크는 소정 간격으로 병설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plurality of symbols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are constituted by bar-shaped mark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bar-shaped marks are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보조부재에는, 이 반송 보조부재 상의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복수의 부호가 반송방향으로 병설되고, 상기 위치 검지수단은, 상기 반송 보조부재의 부호를 검지하는 부호 검지수단을 구비하고, 부호 검지수단의 위치와 이 부호 검지수단으로 검지한 부호의 반송 보조부재 상의 위치에 기초하여, 반송 보조부재의 반송경로 상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2.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codes indicating an absolute position on the conveyance auxiliary member are provid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position detecting means includes a code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sign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And a position on the conveying path of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sign detecting means and the position on the conveying auxiliary member of the code detected by the sign detecting means.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 검지수단에 의한 부호의 검지와 동기시켜 인자헤드의 인자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The prin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printing control of the printing head is perform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etection of the code by the code detecting mean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 쌍의 롤러는, 상기 반송 보조부재에 유지되어 있지 않은 피인쇄물을 인자헤드에 대해 일정한 이송 속도로 반송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장치. The said at least one pair of rollers are comprised so that a to-be-printed object which is not hold | maintained by the said conveyance auxiliary member is conveyable at a constant conveyance speed with respect to a printing head. Printing apparatus.
KR10-2005-7001245A 2002-07-25 2003-07-25 Printing device KR2005002155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1245A KR20050021559A (en) 2002-07-25 2003-07-25 Prin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17321 2002-07-25
KR10-2005-7001245A KR20050021559A (en) 2002-07-25 2003-07-25 Prin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559A true KR20050021559A (en) 2005-03-07

Family

ID=4178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245A KR20050021559A (en) 2002-07-25 2003-07-25 Prin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1559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8890B1 (en) High precision feed particularly useful for uv ink jet printing on vinyl
US20070040326A1 (en) Sheet supplying unit and sheet width detecting unit
CN102555549B (en) Print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4799050B2 (en) Printing device
US20070268322A1 (en) Printer
US20040223022A1 (en) Recording method, record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04058337A (en) Printer
KR960003351B1 (en) Position detecting apparatus
EP1972448A1 (en) Ink jet recording device
KR20050021559A (en) Printing device
JP2005246642A (en) Record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097266B2 (en) Image prin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01171098A (en) Ink jet recorder and method for correcting shift of rule
JP2017035850A (en) Print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JPH09109425A (en) Printer and recording paper used therein
JP2000321028A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thickness
JP3330342B2 (en) Dot printer and control method of dot printer
JP510141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349763A (en) Printing device
JP2005107991A (en) Printer device
US6070962A (en) Handheld dot printing device
JP2010017995A (en) Inkjet printer
US10562324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inting
JP4473682B2 (en) Printing device
JPS60183164A (en) Shuttle mechanism of prin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