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0767A -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 Google Patents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0767A
KR20050020767A KR10-2004-7015194A KR20047015194A KR20050020767A KR 20050020767 A KR20050020767 A KR 20050020767A KR 20047015194 A KR20047015194 A KR 20047015194A KR 20050020767 A KR20050020767 A KR 20050020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urface mount
wall segment
self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51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쎄터그렌토드
홀드알지미디.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4-701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0767A/en
Publication of KR20050020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076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Abstract

표준화된 컨덕터 접점 위치 결정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매우 다양한 컨덕터 와이어 사이즈를 갖는 매우 다양한 전기 소자를 유지하기 위한 자체 리드식의 표면 실장 가능한 소자 패키지(10)가 제공된다. 소자 유형의 다양성을 위해 대략 박스 형상의 구조가 제공되고, 이 구조는 복수의 와이어 사이즈의 소자 컨덕터(26)를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도록 점진적으로 단차지거나 테이퍼진 와인딩 보스(22)의 세트를 구비하여, 표면 실장 인쇄 회로판 및 기판의 도통 궤적과의 적절한 정합을 보장한다. A self-lead surface mountable device package 10 is provided for holding a wide variety of electrical devices with a wide variety of conductor wire sizes in a manner that achieves standardized conductor contact positioning. An approximately box-shaped structure is provided for device type diversity, which has a set of progressively stepped or tapered winding bosses 22 for positioning and securing a plurality of wire sized device conductors 26. Ensure proper matching with the conduction trajectories of surface-mount printed circuit boards and substrates.

Description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Self-Leaded Surface Mount Device Holder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본 발명은 표면 실장 기술에 적합한 전기 회로 소자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각종 사이즈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취급하면서 정확한 와이어 배선 및 그 확실한 고정을 제공하는 자체 리드식(self-leaded) 표면 실장 소자 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circuit element holder suitable for surface mount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leaded surface mount device holder that provides accurate wire wiring and secure fixing thereof while handling device connection wires of various sizes.

전기 소자를 인쇄 회로판(PCB) 및 기판(substrate)에 표면 실장하는 것이 보편성 및 효율이 좋기 때문에, 비 표면 실장 소자(non-surface mount component)로부터 표면 실장 소자로 전환하도록 하는 요구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Because surface mounting of electrical devices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s) and substrates is universal and efficient,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switching from non-surface mount components to surface mount devices. .

종래 기술의 표면 실장 소자 홀더의 예로는, 발명의 명칭이 "연결 도전 통로가 추가된 전기 소자(Electrical Component with Added Connecting Conducting Paths)"인 디티지오(DeTizio) 등의 미국 특허 제4,754,370호와, 발명의 명칭이 "동일평면 헤더가 실장된 자체 리드식 표면(Self-leaded Surface Mounted Coplanar Header)"인 구티에레즈(Gutierrez)의 미국 특허 제5,212,345호와, 발명의 명칭이 "코일 리드 폼이 실장된 자체 리드식 표면(Self Leaded Surface Mount Coil Lead Form)"인 린트(Lint)의 미국 특허 제5,309,130호와, 발명의 명칭이 "저 프로파일 유도체/트랜스포머 소자(Low Profile Inductor/Transformer Component)"인 댕글러(Dangler) 등의 미국 특허 제5,760,669호가 있다. Examples of prior art surface mount element holders include U.S. Patent Nos. 4,754,370 to DeTizio et al., Entitled "Electrical Components with Added Connecting Conducting Paths"; Gutierrez, U.S. Pat.No. 5,212,345, entitled "Self-leaded Surface Mounted Coplanar Header," and U.S. Patent No. 5,212,345, entitled "Self-lead with Coil Lead Form." US Pat. No. 5,309,130 to Lint, Self Leaded Surface Mount Coil Lead Form, and Dangler, entitled "Low Profile Inductor / Transformer Component." US Pat. No. 5,760,669.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표면 실장 옵션이 널리 만연되어 사용되었지만, 픽 앤드 플레이스 호환성, 여러 사이즈의 소자 컨덕터에 대한 범용성, 단일 패키지에서의 (자체 리드식 구조로) 다수의 소자 컨덕터의 정확한 배치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그러한 옵션은 현재에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거나 사용되고 있지 않다. While surface mount options are widely used in the prior art, they provide pick and place compatibility, versatility for device conductors of different sizes, and accurate placement of multiple device conductors (in their leaded structure) in a single package. Such options are rarely known or used at present.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설명되고, 도1은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자체 리드식의 표면 실장 소자 홀더의 확대 사시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FIG. 1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elf-lea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표면 실장 소자 홀더의 정면도이다.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of Fig. 1.

도3은 도1의 B 부분의 상세도로서, 도1의 표면 실장 소자 홀더의 와인딩 보스(22)의 일부를 확대한 상세 평면도이며, 도3은 상이한 사이즈의 소자 접속 와이어에 대한 와인딩 보스의 고정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portion B of Fig. 1, which is an enlarged detailed plan view of a part of the winding boss 22 of the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of Fig. 1, and Fig. 3 shows the fixing of the winding boss to the element connection wires of different sizes. It shows its characteristics.

도4a, 도4b, 도4c 및 도4d는 도2에서 원형 라인 A로 지시된 도1의 표면 실장 소자 홀더의 와인딩 보스(22)를 상세하게 확대한 단부 도시도로서, 이들 도면은 와인딩 보스가 점진적으로 사이즈(단면 직경)가 커지는 소자 접속 와이어를 위치 결정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4A, 4B, 4C and 4D are detailed end views of the winding boss 22 of the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of FIG. 1, indicated by circular line A in FIG. It shows the positioning of the element connection wire which gradually increases in size (cross section diameter).

도5는 도1의 소자 홀더 내에 구비된 전기 소자(환형 코일 또는 트랜스포머)의 확대 등각 투영도로서, 상기 소자는 도2, 도3 및 도4a 내지 도4d에 도시된 형태의 4개의 와인딩 보스 둘레에 감긴 코일 접속 소자를 구비한다. FIG. 5 is an enlarged isometric view of an electrical element (annular coil or transformer) provided in the element holder of FIG. 1, which element is wrapped around four winding bosses of the type shown in FIGS. 2, 3 and 4A-4D. A wound coil connection element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표준화된 컨덕터 접점 위치 결정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컨덕터 와이어 사이즈를 갖는 매우 다양한 전기 소자를 유지하여, 종래 기술의 결점 및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자체 리드식의 표면 실장 가능한 소자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a gener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intain a wide variety of electrical elements with various conductor wire sizes in a manner to achieve standardized conductor contact positioning, allowing self-lead surface mounts to overcome the drawbacks and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It is to provide a device packa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우 다양한 전기 소자를 유지하고 접속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박스형 구조로 형성된 자체 리드식의 표면 실장 가능한 소자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lead surface mountable device holder formed into a box-shaped structure by plastic material for holding and connecting a wide variety of electrical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 실장 가능한 소자 홀더용의 와인딩 보스 세트(a set of winding bosses)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각의 보스는 2차원으로 또는 2평면에서 수렴하는 홈을 구비하여, 이 홈 내부에 배치되고 마주하는 벽의 부분을 협소하게 함으로써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와이어 직경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 소자 접속 와이어를 수용하여 고정한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t of winding bosses for surface mountable element holders, each boss having a groove converging in two dimensions or in two planes, wherein By narrowing the portion of the wall that is disposed and facing, the element connection wire having a diameter within the wire diameter range that is to be fixed is received and fix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의 한계 및 단점을 극복하는 방식으로 와이어를 효율적으로 고정할 뿐만 아니라, 표면 실장 인쇄 회로판 및 기판의 도통 궤적(conducting traces)과의 적절한 정합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와이어 사이즈를 갖는 소자 컨덕터를 위치 결정하여 고정하기 위해 홀더의 각 와인딩 보스에 점진적으로 단차지거나 테이퍼진 계단부 세트(a set of progressively stepped or tapered steps)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the wire in a manner that overcomes the limitations and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well as to ensure proper registration with the conducting traces of the surface mount printed circuit board and substrate, It is to provide a set of progressively stepped or tapered steps to each winding boss of the holder for positioning and securing a plurality of wire conductors.

본 발명의 원리 및 태양에 따르면, 자체 리드식의 표면 실장 소자 홀더는 특정의 전기 소자를 수용하기 위한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된 일체형(unitary) 하우징을 포함한다. 이 일체형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벽 부분과, 상기 상부 벽 부분의 양쪽 에지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현수되어 전기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소자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 부분을 구비한다. 각 측벽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의 와인딩 보스(winding boss)가 연장된다. 각각의 와인딩 보스는 상기 상부 벽 부분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바닥 평면에 놓이는 바닥면과, 바닥면을 갖는 바닥 세그먼트로부터 상향 돌출하는 외부 와인딩 포스트를 갖는 외부 벽 세그먼트, 및 내부 벽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의 내면은 바닥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수렴하는 평면에 놓이는 내부 홈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홈은 바닥 세그먼트를 가로질러 감긴 후의 전기 소자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크기를 갖는다. 상기 와인딩 포스트는, 바닥면을 가로질러 감기고 내부 홈을 통과한 후에 소자 접속 와이어의 하나의 권선(wrap)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lf-lea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includes a unitary housing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for containing a particular electrical element. The unitary housing has a substantially flat upper wall portion and at least two sidewall portions that are suspended downward from both edge regions of the upper wall portion to form a device cavity for receiving an electrical element therein. A plurality of winding bosses extend outward from each side wall portion. Each winding boss has a bottom face that lies in a bottom plane tha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top wall portion, an outer wall segment having an outer winding post that projects upwardly from the bottom segment having a bottom face, and an inner wall segment. .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segment and the inner wall segment form an inner groove that lies in a plane converg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loor plane, the inner groove receiving the device connecting wire of the electrical element after being wound across the floor segment. Size to fix it. The winding post is provided to receive at least a portion of one wrap of the device connection wire after winding across the bottom surface and passing through the inner groove.

본 발명은 또한, 환형 코일(toroidal coil)과 같은 특정 전기 소자를 수용하도록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일체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자체 리드식의 표면 실장 소자 홀더를 제공한다. 이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벽 부분과, 상기 상부 벽 부분의 양쪽 에지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현수되어 환형 코일을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소자 공동을 형성하는 2개의 측벽 부분을 구비한다. 각 측벽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복수의 와인딩 보스가 연장되며, 이들 와인딩 보스는 상기 상부 벽 부분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바닥 평면에 놓이는 바닥면을 구비한다. 각각의 와인딩 보스는 추가로,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외부 와인딩 포스트 부분을 갖는 외부 벽 세그먼트, 및 내부 벽 세그먼트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의 내면은 바닥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평면을 따라 수렴하여 내부 홈을 형성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홈은 바닥 평면에 대략 평행한 내부 벽 세그먼트의 내면에 형성된 복수의 계단부, 및 상기 와인딩 포스트 부분의 내부 벽에 대해 수렴하는 인접 내부 벽에 의해 형성되고, 각 계단부의 크기는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소정 직경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홀더는 또한, 특정 와인딩 보스의 바닥면에 대해 예정된 와인딩 위치로 소자 접속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하여 각 와인딩 보스의 한 측면에 인접해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안내 사면(ramp)을 형성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elf-lea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comprising an integral housing formed of plastic material to receive a specific electrical element, such as a toroidal coil. The housing has a substantially flat upper wall portion and two sidewall portions that are suspended downward from both edge regions of the upper wall portion to form a device cavity for receiving the annular coil therein. A plurality of winding bosses extend outwardly from each side wall portion, these winding bosses having a bottom surface lying in a bottom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top wall portion. Each winding boss further has an outer wall segment and an inner wall segment having an outer winding post portion project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segment and the inner wall segment converges along a plan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loor plane to form an inner groove. Most preferably, the groov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step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wall segment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floor plane, and adjacent inner walls converging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of the winding post portion, the size of each step being Is adapted to accommodate an element connection wir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that gradually decreases. Preferably, the holder also defines a wire guide ramp extending outwardly adjacent one side of each winding boss to guide the device connection wire to a predetermined winding position relativ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particular winding boss.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서, 측벽 부분은 상부 벽 부분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홀더는, 상기 측벽 부분의 외부 에지 영역을 결합하여 상부 벽 부분의 양측에 2개의 상부 벽 액세스/통기 구멍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부 벽 부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In one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idewall portion extends outwardly of the upper wall portion, and the holder is a plurality of joining outer edge regions of the sidewall portion to form two upper wall access / vent holes on both sides of the upper wall portion. And an end wall portion of the.

본 발명은 또한, 자체 리드식의 표면 실장 소자 홀더와 환형 코일과 같은 전기 소자를 구비하는 표면 실장 전기 조립체를 제공한다. 홀더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는 일체형 하우징을 구비하고, 이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벽 부분과, 이 상부 벽 부분의 양쪽 에지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현수되고 상부 벽 부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 부분과, 상기 측벽 부분의 외부 에지 영역을 결합하여 상부 벽 부분의 양측에 2개의 상부 벽 액세스/통기 구멍을 형성하는 2개의 단부 벽 부분, 및 전기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소자 공동을 구비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일체형 하우징의 양쪽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벽 부분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바닥 평면에 놓이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복수의 와인딩 보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와인딩 보스는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외부 와인딩 포스트 부분을 갖는 외부 벽 세그먼트, 및 내부 벽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는 바닥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수렴하여 내부 홈을 형성하고, 이 내부 홈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예정된 직경들 중 하나의 직경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단차져 있다. 상기 홀더의 소자 공동 내의 소자는 예정된 직경들 중 하나의 직경의 복수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포함한다. 각 소자 접속 와이어는 먼저 상기 와인딩 보스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감긴 후, 상기 홈을 통과하여 감기고,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의 수렴하는 내면에 의해 고정되며, 그 후 적어도 부분적으로 와인딩 포스트 부분의 둘레에 감긴다. 본 발명의 이러한 태양에 있어서,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와인딩 보스의 바닥면에 대해 예정된 와인딩 위치로 각각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하여 각 와인딩 보스의 한 측면에 인접해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안내 사면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urface mount electrical assembly having a self leade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and an electrical element such as an annular coil. The holder has an integral housing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he housing having a substantially flat upper wall portion and two sidewall portions suspended downward from both edge regions of the upper wall portion and extending outward of the upper wall portion; Two end wall portions joining the outer edge regions of the side wall portions to form two top wall access / vent holes on both sides of the top wall portion, and a device cavity for receiving the electrical elements therein. The holder includes a plurality of winding bosses that extend outwardly on both outer sides of the unitary housing and have a bottom surface that lies in a bottom plane tha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top wall portion. Each winding boss has an outer wall segment having an outer winding post portion projecting upwardly from the floor surface, and an inner wall segment, the outer wall segment and the inner wall segment converging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loor plane, An inner groove is formed, the inner groove being most preferably stepped to receive and secure the device connection wire of the diameter of one of the plurality of predetermined diameters. The device in the device cavity of the holder comprises a plurality of device connection wires of the diameter of one of the predetermined diameters. Each device connection wire is first wound across the bottom face of the winding boss, then wound through the groove and secured by a converging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segment and the inner wall segment, after which the winding post portion is at least partially Is wound round. In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holder is preferably a wire guide slope extending outwardly adjacent one side of each winding boss to guide each element connecting wire to a predetermined winding position relative to the bottom face of the winding boss. It is provided.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이점, 태양 및 특징은 이하의 도면과 관련하여 기재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bove and other objects, advantages, asp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upon consideration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following figures.

본 발명의 원리에 따른 소자 홀더(10)는, 그 내부에 소자(24)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부 벽 부분(12), 곡선형 측벽(14, 16), 단부 벽(18, 20), 및 개방된 바닥 평면을 구비하는 대체로 박스형 형상으로서 일체로 형성된다. 전기 소자 업계에서 종종 "헤더(header)"로 불리는 홀더(10)는 통상적으로, 전기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과 관련하여 특정 소자 적용을 만족시키도록 선택된 적절한 절연(dielectric) 플라스틱 재료의 몰딩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홀더(10)는 바닥을 통해 환형 코일 또는 트랜스포머(24)와 같은 특정의 전기 소자를 수용하도록 치수 및 구조가 정해지는 내부의 소자 공동(도면 부호 25로 지시됨)을 형성한다. 일단 소자가 홀더(10) 내에서 적소에 배치되면, 적절한 포팅(potting) 재료, 화합물 또는 기타 적합한 수단이나 매체를 사용하여 소자를 내부 공간(25) 내에 고정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벽(18, 20)이 상부 벽 부분(12)의 인접 에지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어서, 구멍(27)이 제공되어 홀더(10) 내의 전기 소자(24)를 적절하게 냉각하는 것을 촉진하며, 전기 소자(24)의 컨덕터 와이어 단부(26)는 그 구멍(27)을 관통하여, 적절하게 위치된 외부 와인딩 보스(22)의 둘레에 감길 수 있다. 또한, 곡선형 측벽(14, 16)은 단부 벽(18, 20)을 약간 넘어서 하향으로 연장되어 있어서, 단부 벽(18, 20)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며 바닥의 개방 평면에 위치하는 2개의 긴 레일(19, 21)을 형성한다. 도1에 도시된 예에서, 측벽(14, 16)은 환형 코어에 감겨 있는 코일 또는 트랜스포머와 같은 환형 소자를 수용하도록 만곡되어 있다. 특정 적용예에 따라서 홀더(10)의 측벽에 대하여 다른 형상 및 기하구조가 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element holder 10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wall portion 12, curved sidewalls 14, 16, end walls 18, 20, and so that elements 24 may be disposed therein. It is formed integrally as a generally box-shaped shape with an open bottom plane. Holders 10, often referred to as "headers" in the electrical device industry, are typically formed from moldings of suitable dielectric plastic materials selected to meet specific device applications in terms of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The holder 10 thus formed forms an internal device cavity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25) that is dimensioned and structured to receive a specific electrical element, such as an annular coil or transformer 24, through the bottom. Once the device is in place within the holder 10, the device can be secured in the interior space 25 using suitable potting materials, compounds or other suitable means or media. As shown in Fig. 1, end walls 18 and 20 are located outside of the adjacent edge of the upper wall portion 12 so that a hole 27 is provided to close the electrical element 24 in the holder 10. Promoting proper cooling, the conductor wire end 26 of the electrical element 24 can pass through the hole 27 and be wound around a suitably positioned outer winding boss 22. In addition, the curved sidewalls 14, 16 extend downward slightly beyond the end walls 18, 20, so that the two long sides extend along the length of the end walls 18, 20 and are located in the open plane of the floor. The rails 19 and 21 are formed.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side walls 14, 16 are curved to accommodate annular elements such as coils or transformers wound around the annular core. Other shapes and geometries may be adapted to the sidewalls of the holder 10 depending upon the particular application.

와인딩 보스(22)는 특정의 와이어 사이즈 또는 직경에 관계없이 전기 소자(24)의 단자의 단부 와이어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와인딩 보스(22)는 예정된 치수 및 위치에 따라 회로판 또는 기판에 형성된 인쇄 회로 접속 패드의 위치와 정렬되도록 형성되고 위치 결정되어 있다. 홀더(10)에 의해 2개 이상의 와인딩 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는, 만곡된 측벽(14, 16)의 코너에 4개의 와인딩 보스(22)가 형성되어 있다. 도5의 바람직한 구조에서는, 6개의 와인딩 보스가 도시되어 있으며, 2개의 추가의 와인딩 보스(22)는 단부 벽(18, 20)에 형성되어 있다. 특정 전기 소자의 표면 실장-접속 요건에 따라서, 홀더에는 6개 이상의 와인딩 보스가 제공될 수 있다. The winding boss 22 is formed to receive and fix the end wires of the terminals of the electrical element 24 regardless of the specific wire size or diameter. The winding bosses 22 are formed and positioned to align with the positions of the printed circuit connection pads formed on the circuit board or the substrate according to predetermined dimensions and positions. The holder 10 can provide two or more winding bosses. In the preferred structure shown in FIG. 1, four winding bosses 22 are formed at the corners of the curved sidewalls 14 and 16. In the preferred structure of Fig. 5, six winding bosses are shown, with two further winding bosses 22 being formed in the end walls 18, 20. Depending on the surface mount-connection requirements of the particular electrical element, the holder may be provided with six or more winding bosses.

각 와인딩 보스(22)는 점차적으로 협소해지는 내부 홈(23)을 형성한다. 가장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홈(23)은 2차원적으로, 즉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수렴하는 벽을 구비한다(도2 및 도3 참조).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홈(23)은 와인딩 포스트 부분(34)의 내면(32) 및 내부의 단차진 벽 부분(3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와인딩 보스(22)의 바닥면(36)은 홀더(10)의 바닥 평면과 정렬되어 있다. 바닥면(36)의 구조에는, 인쇄 회로판 또는 기판의 패드에 대한 단자 단부의 컨덕터의 납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상 솔더 증착 가스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38)이 형성될 수 있다. Each winding boss 22 forms an inner groove 23 that gradually narrows. In the most preferred form, the groove 23 has walls converging two-dimensionally, i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see Figures 2 and 3). In a preferred form, the groove 23 is formed by the inner surface 32 of the winding post portion 34 and the stepped wall portion 30 therein. The bottom face 36 of the winding boss 22 is aligned with the bottom plane of the holder 10. In the structure of the bottom surface 36, a gap 38 through which a vapor phase solder deposition gas can pass may be formed to facilitate soldering of the conductors of the terminal ends to the pad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substrate.

단차진 벽 부분(30)에 일련의 계단부가 형성되어 있다. 도3의 상세도에는 4개의 계단부(40, 42, 44, 46)가 도시되어 있다. 보다 많거나 적은 수의 계단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계단부는 정점으로 연장되는 V형의 연속적인 벽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각 계단부(40, 42, 44, 46)에 수직으로 인접한 내부 벽 부분의 측방향 세그먼트는 그 폭이 점차 감소하며, 따라서 홈(23)은 한 측면의 구멍이 다른 측면의 구멍보다 넓게 된다. 이와 같이 홈(23)의 폭이 점차적으로 감소함으로써 자동 고정(auto-clinching) 기능이 제공되는데, 이러한 홈은, 도4a 내지 도4d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가 먼저 바닥면(36)의 둘레에 감긴 후에 보스의 양측에 감기고, 그 후 내부 구멍(23)을 통과하며, 마지막으로 와인딩 포스트 부분(34)의 양측에 감길 때에, 적절한 사이즈의 단자 단부의 컨덕터 와이어(26)를 고정하여 유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적합하게 되어 있다. (도5는 비교적 큰 직경의 와이어(26)가 와인딩 포스트 부분(34)의 둘레에 부분적으로 감기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A series of stepped portions are formed in the stepped wall portion 30. In the detailed view of Fig. 3, four staircases 40, 42, 44, 46 are shown. More or fewer steps may be provided. Alternatively, the step may be replaced by a continuous wall of V-shape that extends to the vertex. Most preferably, the lateral segments of the inner wall portion perpendicularly adjacent to each of the steps 40, 42, 44, 46 are gradually reduced in width, so that the groove 23 has a hole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Wider than the hole. As the width of the grooves 23 is gradually reduced in this manner, an auto-clinching function is provided, as shown in FIGS. 4A to 4D and 5, in which the wires are first bottom surface 36. ), After winding around both sides of the boss, and then through the inner hole 23, and finally wound on both sides of the winding post portion 34, fixing the conductor wire 26 of the terminal end of the appropriate size It is sized and adapted to maintain it. (FIG. 5 shows that a relatively large diameter wire 26 is partially wound around the winding post portion 34.)

각 와인딩 보스(22)의 둘레에는 단부 컨덕터 와이어(26)가 홈(23)의 폭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감겨 있으며, 따라서 와인딩 보스(22)는 와이어 단부를 고정하여 적소에 확실하게 유지한다. 홀더를 형성하는 절연 플라스틱 재료는 홈(23) 내부에 와이어를 효율적으로 고정하도록 충분한 강성을 갖는 것이 선택된다. 홀더(10)에 대한 바람직한 플라스틱 재료의 예로는, 에폭시, 페놀, 유리 충전 나일론, 또는 와이어 단부(26)를 고정할 뿐 아니라 표면 실장 납땜 공정 중에 발생되는 온도를 견딜 수 있는 적절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다른 플라스틱 재료가 포함된다. 현재에는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에서 공급하는 RytonTM R4 유리 섬유 보강 폴리페닐렌 설파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 conductor wire 26 is wound around the winding boss 22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width of the groove 23, so that the winding boss 22 fixes the wire end and reliably holds it in place. The insulating plastic material forming the holder is selected to have sufficient rigidity to efficiently secure the wire inside the groove 23. Examples of preferred plastic materials for the holder 10 include epoxy, phenol, glass filled nylon, or other materials having suitable mechanical properties to hold the wire ends 26 as well as to withstand the temperatures generated during the surface mount soldering process. Plastic material is included. It is presently preferred to use Ryton R4 glass fiber reinforced polyphenylene sulfides supplied by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와이어가 홈을 나갈 때에 충돌하는 외부 코너에서 와인딩 포스트 부분(34)에는 모따기된(chamfered) 에지(48)가 형성될 수 있다. 와인딩 보스(22)의 바닥면(36)에 인접해서 홀더(10)의 벽에는 안내 사면 또는 표면(50)이 형성되어, 와이어(26)를 홀더(10)와 대응 와인딩 보스(22)에 대해 적절하게 외향 정렬되게 배치하는 컨덕터 가이드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바닥면(36)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와이어(26)의 부분은 인쇄 회로 기판의 도통 궤적과 정렬될 것이며, 그 기판에 최종의 조립체가 부착될 것이다. 바닥면(36)을 가로질러 통과하는 와이어(26)의 부분은, 표면 실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실시되는 바와 같이 도통 궤적에 납땜되도록 먼저 적절하게 준비되거나 주석 도금된다. A chamfered edge 48 may be formed in the winding post portion 34 at the outer corner which impinges when the wire exits the groove. Adjacent to the bottom face 36 of the winding boss 22, a guide slope or surface 50 is formed in the wall of the holder 10 to connect the wire 26 to the holder 10 and the corresponding winding boss 22. It can act as a conductor guide, which is arranged in a proper outward alignment. In this way, the portion of the wire 26 passing across the bottom surface 36 will be aligned with the conduction trajectory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final assembly will be attached to the substrate. The portion of the wire 26 passing across the bottom surface 36 is first properly prepared or tin plated to be soldered to the conduction trajectory as is commonly practiced in surface mount applications.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코일(24)의 와이어 단부(26)는 상부 벽 부분(12)과 단부 벽(20) 사이에서 구멍을 나가서, 와인딩 보스(22)에 인접한 측벽(16)의 일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된다. 와이어 단부(26)는 와이어 안내면(50)에 의해 측벽(16)으로부터 멀리 향한다. 그 후, 와이어에 날카로운 턴(turn)이 제공되어 와이어는 와인딩 보스(22)의 바닥면(36)을 가로질러 향하게 되고, 그 후 뒤쪽으로 올라가 홈(23)안으로 감긴다. 도5에 도시된 예에서, 와이어 단부(26)는 제1 계단부(40)에 의해 형성되는, 홈(23)의 가장 넓고 가장 높은 부분의 사용을 요하는 단면 직경을 갖는다. 와이어 단부(26)는 협소한 홈(23)을 통해 당겨지고, 와인딩 포스트(34) 둘레에 1/4 턴으로 감긴다. As shown in FIG. 5, the wire end 26 of the annular coil 24 exits a hole between the upper wall portion 12 and the end wall 20, so that the sidewalls 16 adjacent to the winding boss 22 are closed. Extends downward along a portion. Wire end 26 is directed away from sidewall 16 by wire guide surface 50. Thereafter, a sharp turn is provided to the wire so that the wire is directed across the bottom face 36 of the winding boss 22 and then rises back and winds up into the groove 23. In the example shown in FIG. 5, the wire end 26 has a cross-sectional diameter that requires the use of the widest and highest portion of the groove 23, formed by the first step 40. Wire end 26 is pulled through narrow groove 23 and wound 1/4 turn around winding post 34.

도4a, 도4b, 도4c 및 도4d는 홀더(10)가 매우 다양한 직경의 와이어 단부를 수용하는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도4a에 있어서, 컨덕터 와이어 단부(26A)는 작은 직경을 가지며, 가장 낮은 계단부(46)에 의해 형성되고 가장 협소한 폭(w1)을 갖는 홈의 가장 깊은 오목부 내로 끼워진다. 계단부(46)에 인접한 측벽(52)은, 예컨대 와이어 단부(26A)의 4개의 직경에 대응하도록 설정된 높이 치수(d1)를 갖고, 이 예에서는 와인딩 포스트(34)의 둘레로 4회의 턴이 형성되어 있다(이들 예를 설명할 때에 명확성을 더하기 위하여 도4a, 도4b, 도4c 및 도4d에서는 모두 최상측의 턴이 절취되어 있다). 도4b에서는, 보다 큰 직경의 와이어 단부(26B)가 홈(23) 내로 끼워져서 제2 계단부(44)에 놓인다. 이 예에서, 계단부(44)에서 홈의 폭은 w2이고, 상기 계단부(44)에 인접한 벽 세그먼트의 높이는 d2이다. 와인딩 포스트(34)의 둘레로는 와이어 단부(26B)의 3회 턴이 형성되어 있다. 도4c에서는, 보다 큰 직경의 와이어 단부(26C)가 홈(23) 내에 배치되어 계단부(42)에 맞닿게 안착된다. 계단부(42)에서 홈(23)의 폭은 w3이고, 상기 계단부(42)에 인접한 벽 세그먼트의 높이는 d3이다. 이 예에 있어서는, 와인딩 포스트(34)의 둘레에 2회의 턴이 형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도4d에 있어서, 컨덕터(26)는 가장 넓은 계단부(40)를 사용해야 하는 충분히 큰 직경을 갖고, 와인딩 포스트(34)의 둘레에는 하나의 턴이 형성되어 있다. 계단부(40)에서 홈(23)의 폭은 w4이고, 상기 계단부(40)에 인접한 벽 세그먼트의 높이는 d4이다. 4A, 4B, 4C and 4D show how the holder 10 accommodates wire ends of a wide variety of diameters. In Fig. 4A, the conductor wire end 26A has a small diameter and is formed by the lowest step 46 and fits into the deepest recess of the groove having the narrowest width w1. The side wall 52 adjacent the step 46 has, for example, a height dimension d1 set to correspond to the four diameters of the wire end 26A, in this example four turns around the winding post 34. (The top turn is cut off in FIGS. 4A, 4B, 4C, and 4D to add clarity in describing these examples). In FIG. 4B, a larger diameter wire end 26B is fitted into the groove 23 and placed in the second step 44. In this example, the width of the groove in the step 44 is w2 and the height of the wall segment adjacent the step 44 is d2. Three turns of the wire end 26B are formed around the winding post 34. In FIG. 4C, a larger diameter wire end 26C is disposed in the groove 23 and seated against the step 42. The width of the grooves 23 in the step 42 is w3, and the height of the wall segment adjacent the step 42 is d3. In this example, two turns are formed around the winding post 34. Finally, in FIG. 4D, the conductor 26 has a sufficiently large diameter to use the widest step 40 and one turn is formed around the winding post 34. The width of the grooves 23 in the step 40 is w4 and the height of the wall segment adjacent the step 40 is d4.

홈(23)의 단차진 폭으로 인하여, 특정의 소자 조립체에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컨덕터 사이즈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 결정(positioning)이 보장된다. 홈(23)을 통한 각 채널의 깊이는 조립체의 물리적 요건과, 의도된 적용 또는 사용 환경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견디기 위하여 필요한 컨덕터의 수에 결정된다. 도4a 내지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다 작은 사이즈의 컨덕터는 와인딩 포스트(34)의 둘레에 2회 이상의 권선을 사용하는 반면에, 보다 큰 컨덕터는 단지 1회의 권선을 사용하여 원하는 기계적 강도 및 장착 강도를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인덕터 중앙의 탭과 통상적으로 만나는 소정의 와이어 쌍이 와인딩 보스(22)의 둘레에 감겨서, 와인딩 보스에 고정될 수 있으며, 홈(23)은 그러한 특정 적용예에 대하여 적어도 2개의 와이어 직경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Due to the stepped width of the groove 23, accurate positioning is ensured for the various conductor sizes available for a particular device assembly. The depth of each channel through the grooves 23 is determined by the physical requirements of the assembly and the number of conductors required to withstand the vibrations and shocks generated in the intended application or use environment. As shown in Figures 4A-4D, smaller conductors use two or more windings around the winding post 34, while larger conductors use only one winding to achieve the desired mechanical strength and Mounting strength can be achieved. Alternatively, any pair of wires that typically meet the tab in the center of the inductor may be wound around the winding boss 22 to be secured to the winding boss, with the groove 23 being at least two wires for that particular application. It is adapted to accommodate the diameter.

컨덕터 와이어 단부는 통상적으로 두 가지 방법 중 하나의 방법으로 홀더(10)의 둘레에 감긴다. 각 컨덕터 단부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의 와인딩 보스의 둘레에 감기거나, 각 컨덕터는 단일의 환형 코일 컨덕터와 같은 단자 소자를 두 개 수용하기 위하여 2개의 인접한 와인딩 보스의 둘레에 감겨 있다. The conductor wire ends are typically wound around the holder 10 in one of two ways. Each conductor end is wound around a single winding boss as shown in FIG. 5, or each conductor is wound around two adjacent winding bosses to accommodate two terminal elements, such as a single annular coil conducto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는 바, 이제 본 발명의 목적이 완전하게 달성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구조에 있어서의 많은 변형이 제안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여러가지 상이한 실시예 및 적용예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개시 내용 및 설명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어떤 의미에서도 한정적인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now be understood tha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ly achieved, many modifications in structure can be propo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re may be several different embodiments and applic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isclosure and description herein are exemplary only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in any sense.

Claims (12)

자체 리드식(self-leaded) 표면 실장 소자 홀더이며, Self-leaded surface mount device holder 특정 전기 소자를 수용하도록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벽 부분과, 상기 상부 벽 부분의 양쪽 에지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현수되어 전기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소자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 부분을 구비하는 일체형 하우징, 및 At least two sidewall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o accommodate a particular electrical element, and having a substantially flat upper wall portion and suspended below from both edge regions of the upper wall portion to form a device cavity for receiving the electrical element therein; An integral housing having a portion, and 각 측벽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벽 부분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바닥 평면에 놓이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복수의 와인딩 보스(winding boss)를 포함하고, A plurality of winding bosses extending outwardly from each sidewall portion and having a bottom surface lying in a bottom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top wall portion, 각각의 와인딩 보스는 바닥면이 있는 바닥 세그먼트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외부 와인딩 포스트를 갖는 외부 벽 세그먼트, 및 내부 벽 세그먼트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의 내면은 바닥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수렴하는 평면에 놓이고 내부 홈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홈은 바닥면을 가로질러 감긴 후의 전기 소자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크기를 갖고, 상기 와인딩 포스트는 바닥면을 가로질러 감긴 후에 접속 와이어의 하나의 권선(wrap)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 Each winding boss further has an outer wall segment having an outer winding post projecting upwardly from the bottomed floor segment, and an inner wall segment, wherein th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wall segment and the inner wall segment are substantially in the floor plane. The inner groove is sized to receive and secure the element connection wires of the electrical element after being wound across the bottom surface, the inner groove being formed in a plane converging in a vertical direction. A self leade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for receiving at least a portion of one wrap of a connecting wire after being wound across.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이며, Self-lea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특정 전기 소자를 수용하도록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벽 부분과, 상기 상부 벽 부분의 양쪽 에지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현수되어 전기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소자 공동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측벽 부분을 구비하는 일체형 하우징, 및 At least two sidewall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o accommodate a particular electrical element, and having a substantially flat upper wall portion and suspended below from both edge regions of the upper wall portion to form a device cavity for receiving the electrical element therein; An integral housing having a portion, and 각 측벽 부분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 벽 부분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바닥 평면에 놓이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복수의 와인딩 보스를 포함하고, A plurality of winding bosses extending outwardly from each sidewall portion and having a bottom surface lying in a bottom plan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top wall portion, 각각의 와인딩 보스는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외부 와인딩 포스트 부분을 갖는 외부 벽 세그먼트, 및 내부 벽 세그먼트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의 내면은 두 방향으로 수렴하여 내부 홈을 형성하고, 이 내부 홈은 복수의 예정된 상이한 직경 중 하나의 직경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 Each winding boss further has an outer wall segment having an outer winding post portion project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n inner wall segment, wherein the inner surfaces of the outer wall segment and the inner wall segment converge in two directions to form an inner groove. And the inner groove receives and secures a device connection wire of a diameter of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ifferent diameter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벽 세그먼트는 바닥 평면에 대략 평행한 복수의 계단부와,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의 내면에 대해 수렴하는 인접 벽을 형성하는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 3. The self-lead surface mount device holder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inner wall segment defines a plurality of step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floor plane and adjacent walls converg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seg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보스의 바닥면에 대해 예정된 와인딩 위치로 소자 접속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하여 각 와인딩 보스의 한 측면에 인접해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안내 사면(ramp)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 3. The self-contained system according to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wire guide ramp extending outwardly adjacent one side of each winding boss for guiding the device connection wire to a predetermined winding position relative to the bottom face of the winding boss. Leade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포스트 부분은 모따기된 외부 에지를 포함하는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 The self-leaving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as claimed in claim 2, wherein the winding post portion comprises a chamfered outer ed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부분은 상부 벽 부분의 외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측벽 부분의 외부 에지 영역을 결합하여 상부 벽 부분의 양측에 2개의 상부 벽 액세스/통기 구멍을 형성하는 복수의 단부 벽 부분을 추가로 포함하는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 3. The plurality of end walls of claim 2 wherein the side wall portions extend outwardly of the top wall portion and join the outer edge regions of the side wall portion to form two top wall access / vent holes on either side of the top wall portion. Self-lea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further comprising a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예정된 직경 중 하나의 직경의 복수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구비하는 소자 공동 내에 전기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각각의 소자 접속 와이어는 먼저 상기 와인딩 보스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감긴 후, 상기 홈을 통하여 정렬되고,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의 수렴하는 내면에 의해 고정되며, 이후 와인딩 포스트 부분의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 3. The device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n electrical device in a device cavity having a plurality of device connection wires of one of the predetermined diameters, each device connection wire being first wound across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ing boss. And a self-lea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aligned through the groove and fixed by a converging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segment and the inner wall segment and then at least partially aligned around the winding post portion. 제7항에 있어서, 전기 소자는 상기 복수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구비하는 환형(toroidal) 인덕터를 포함하는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 8. The self-lead surface mount device holder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electrical device comprises a toroidal inductor having at least one coil providing the plurality of device connection wires. 일체형 하우징과 내부의 전기 소자를 구비하는 자체 리드식 표면 실장 소자 홀더를 포함하는 표면 실장 전기 조립체이며, A surface mount electrical assembly comprising a self-lead surface mount element holder having an integral housing and an electrical element therein, 상기 홀더는, 특정 전기 소자를 수용하도록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편평한 상부 벽 부분과, 상기 상부 벽 부분의 양쪽 에지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현수되고 상부 벽 부분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측벽 부분과, 상기 측벽 부분의 외부 에지 영역을 결합하여 상부 벽 부분의 양측에 2개의 상부 벽 액세스/통기 구멍을 형성하는 2개의 단부 벽 부분, 및 전기 소자를 내부에 수용하기 위한 소자 공동을 구비하며, The holder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o receive a particular electrical element,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upper wall portion, and two sidewall portions suspended downward from both edge regions of the upper wall portion and extending out of the upper wall portion; Two end wall portions joining the outer edge regions of the side wall portions to form two top wall access / vent holes on both sides of the top wall portion, and a device cavity for receiving electrical elements therein; 상기 홀더는, 상기 일체형 하우징의 양쪽 외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 벽 부분의 평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바닥 평면에 놓이는 바닥면을 구비하는 복수의 와인딩 보스를 포함하며, 각각의 와인딩 보스는 바닥면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는 외부 와인딩 포스트 부분을 갖는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의 내면은 두 방향으로 수렴하여 내부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은 그 안에 수용될 수 있는 복수의 예정된 상이한 직경 중 하나의 직경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수용하여 고정하도록 크기가 정해지며, The holder includes a plurality of winding bosses that extend outwardly on both outer sides of the unitary housing and have a bottom surface that lies in a bottom plane that 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plane of the top wall portion, each winding boss being An outer wall segment having an outer winding post portion projecting upwardly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n inner wall segment,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segment and the inner wall segment converge in two directions to form an inner groove; Sized to receive and secure a device connection wire of a diameter of one of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different diameters that can be accommodated therein, 상기 공동 내의 전기 소자는 예정된 직경 중 하나의 직경의 복수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포함하고, 각 소자 접속 와이어는 먼저 상기 와인딩 보스의 바닥면을 가로질러 감긴 후, 상기 홈을 통하여 정렬되고,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와 내부 벽 세그먼트의 수렴하는 내면에 의해 고정되며, 이후 와인딩 포스트 부분의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정렬되는 표면 실장 전기 조립체. The electrical device in the cavity includes a plurality of device connection wires of a diameter of one of a predetermined diameter, each device connection wire being first wound across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ing boss and then aligned through the groove, the outer wall A surface mount electrical assembly secured by a converging inner surface of the segment and the inner wall segment, and then at least partially aligned around the winding post por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벽 세그먼트의 내면은 바닥 평면에 대략 평행한 복수의 계단부, 및 상기 외부 벽 세그먼트의 내면에 대해 수렴하는 인접 벽을 형성하는 표면 실장 전기 조립체. 10. The surface mount electrical assembly of claim 9 wherei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wall segment defines a plurality of steps approximately parallel to the floor plane and adjacent walls converg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wall segmen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소자는 상기 복수의 소자 접속 와이어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을 구비하는 환형 인덕터를 포함하는 표면 실장 전기 조립체. 10. The surface mount electrical assembly of claim 9 wherein the electrical component comprises an annular inductor having at least one coil having the plurality of component connection wire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보스의 바닥면에 대해 예정된 와인딩 위치로 소자 접속 와이어를 안내하기 위하여 각 와인딩 보스의 일 측면에 인접해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안내 사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표면 실장 전기 조립체. 10. The surface mount electrical assembly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wire guide slope extending outwardly adjacent one side of each winding boss to guide the device connection wire to a predetermined winding position relativ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winding boss. .
KR10-2004-7015194A 2002-03-27 2003-03-13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KR2005002076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15194A KR20050020767A (en) 2002-03-27 2003-03-13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09,162 2002-03-27
KR10-2004-7015194A KR20050020767A (en) 2002-03-27 2003-03-13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0767A true KR20050020767A (en) 2005-03-04

Family

ID=4178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5194A KR20050020767A (en) 2002-03-27 2003-03-13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076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3412B1 (en) Transformer or inductor containing a magnetic core
US20100214050A1 (en) Self-leaded surface mount inductors and methods
US8496499B2 (en) Modular electronic header assembly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6128817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ower magnetic devic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5805431A (en) Surface Mountable transformer
US5307041A (en) Coil component
US7898822B2 (en) Holder for electric components
US20160088754A1 (en) Header for mounting a planar transformer on a motherboard
US5309130A (en) Self leaded surface mount coil lead form
US20090096562A1 (en) High-voltage transformer
US7002074B2 (en)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US10098231B2 (en) Integrated electronic assembly for conserving space in a circuit
KR20050020767A (en)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JPH05299252A (en) Surface mounting type choke coil
KR102173774B1 (en) Coi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512359B2 (en) Coil parts
US5203077A (en) Method for mounting large discrete electronic components
US7129809B2 (en) Surface mount magnetic component assembly
US5675121A (en) Precision graphics foil header
JP2001110655A (en) Fixed stand for toroidal coil
EP1653487B1 (en) Insulating arrangement for electrical components
US20200203061A1 (en) Coil body
US20190333680A1 (en) Flexible folding printed interconnect for reducing size of a surface mountable magnetic component for medical implantable devices
KR101389438B1 (en) Inductor and assembly of inductor and PCB
JPH0638210U (en) Small c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