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243A -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 Google Patents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243A
KR20050018243A KR1020030056640A KR20030056640A KR20050018243A KR 20050018243 A KR20050018243 A KR 20050018243A KR 1020030056640 A KR1020030056640 A KR 1020030056640A KR 20030056640 A KR20030056640 A KR 20030056640A KR 20050018243 A KR20050018243 A KR 20050018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lead wire
earphone
mobile phon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6399B1 (ko
Inventor
최우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3-005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399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2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악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악감상을 위해 이어폰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음악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본체부의 내부에 음악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하는 음악재생부가 구비된 휴대폰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음악재생부의 출력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과, 상기 리드선의 끝단에 구비되는 스피커로 구성된 이어폰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리드선의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하는 리드선권취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측면으로 상기 리드선이 인출 및 인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스피커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을 제공함으로써, 종래와는 달리 사용이 편리하고 이어폰이 분실 또는 파손될 우려가 없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Mobile phone with earphone}
본 발명은 음악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악감상을 위해 이어폰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음악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은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무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첨단 이동통신수단의 일종으로, 그 형태는 소비자의 요구와 기술 발전에 따라 초기의 바(Bar)형에서 플립(Flip)형, 폴더(Folder)형으로 진화되어 왔으며, 근래에는 휴대폰에 단순한 통화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파일의 저장 및 재생기능이 추가되어 음악을 감상할 수 있음은 물론,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되어 동영상을 촬영하거나 감상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멀티미디어형 휴대폰이 출시되어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이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의 경우에는 본체케이스에 이어폰이 연결되는 연결잭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음악감상시 이어폰을 준비하여 상기 연결잭에 연결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손쉽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폰은 음악감상을 위해 별도의 이어폰을 구비해야 함은 물론 상기 이어폰을 항상 휴대해야 했으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휴대과정에서 이어폰이 분실되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악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에 있어서, 음악감상을 위해 이어폰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음악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악감상 후 인출된 리드선을 원터치방식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상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드선을 권취하는 리드선권취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리드선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피커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리드선이 완전히 권취되지 않은 경우에도 스피커를 스피커고정홈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 후에는 스피커가 상기 스피커고정홈으로부터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스피커의 측면을 가이드하여 상기 스피커를 본체부에 더욱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와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부의 내부에 음악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하는 음악재생부가 구비된 휴대폰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음악재생부의 출력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과, 상기 리드선의 끝단에 구비되는 스피커로 구성된 이어폰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는 상기 리드선의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하는 리드선권취부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의 측면으로 상기 리드선이 인출 및 인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스피커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메인PCB(미도시)가 실장된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힌지고정되는 폴더부(20)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PCB에 음악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하는 음악재생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구성된 폴더형 휴대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본체부의 양측으로 이어폰(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어폰(30)은 일측이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음악재생부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31)과, 상기 리드선의 끝단에 구비되는 스피커(3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에는 스피커(32)가 고정되는 스피커고정홈(12)이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고정홈의 중심부에는 리드선(31)이 인출 및 인입되는 관통공(12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악감상을 위해 이어폰을 별도로 휴대할 필요없이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리드선(31)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하는 리드선권취부(40)가 구비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동관계는 후술하는 도 2a,b에서 설명한다.
도 2a,b는 도 1에 따른 리드선권취부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횡단면도이고, 도 2b는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a에 따른 작동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선권취부(40)는 하단이 메인PCB(11)상에 고정되는 중심축(41)과, 상기 중심축의 외측에 회전자유롭게 고정되고 외주면에 상기 리드선이 권취되는 권취홈(420)이 형성되는 회전드럼(42)과, 상기 회전드럼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중심축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드럼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43)과,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을 고정 또는 해지하는 회전제어부(4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제어부(44)는 회전드럼(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래칫기어(440)와, 일측이 본체부(10)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타측이 탄성부재(442)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누름버튼(441)과, 상기 누름버튼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버튼의 작동에 따라 상기 래칫기어를 고정 및 해지하는 래칫폴(4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권취홈(420)에 권취되는 리드선(31)은 그 끝단이 회전드럼(42)을 관통하여 중심축(41)에 접지되며, 상기 중심축은 메인PCB(11)에 접지되어, 음악재생부(미도시)의 오디오신호를 상기 리드선을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리드선(31)을 인출하면 회전드럼(42)이 회전되고, 그 회전력에 의해 판스프링(43)에 압축이 발생되며, 인출이 완료된 후에는 래칫폴(443)의 끝단이 래칫기어(440)에 고정되어 상기 리드선이 고정된다.
또한, 음악감상 후 본체부(10)의 측면으로 돌출된 누름버튼(441)을 가압하면 래칫폴(443)의 끝단이 래칫기어(440)로부터 이탈되며, 그와 동시에 회전드럼(42)이 압축된 상태의 판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인출된 리드선(31)을 원상태로 권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441)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면 탄성부재(442)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원상복귀되며, 래칫폴(443)의 끝단이 래칫기어(440)에 재차 고정되어 회전드럼(42)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리드선을 손쉽게 인출함과 동시에 원터치방식으로 신속하고 간편하게 원상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드럼(42)의 회전을 제어하는 회전제어부(44)는 본 실시예에서 보인 바와 같은 래칫기어를 이용한 방식 이외에도, 기타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회전제어수단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42)의 외측에는 커버케이스(45)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케이스의 측면에는 리드선(31)이 인입 및 인출되는 가이드공(45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리드선권취부(40)를 격리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리드선(31)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하여 본체부(10)의 내측에 구비된 각종 전기기기와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특히 스피커(32)를 스피커고정홈(12)에 고정 및 해지하는 스피커고정부재(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피커고정부재(50)는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스피커(32)를 본체부(10)에 고정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피커의 배면에 부착되는 스틸판(51)과, 상기 스피커고정홈의 외측 둘레로 상기 스틸판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자석(52)으로 구성되며, 기타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 부착수단이 적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리드선이 완전히 권취되지 않은 경우에도 스피커(32)를 스피커고정홈(12)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 후에는 상기 스피커가 상기 스피커고정홈으로부터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며, 특히 스피커고정홈(12)의 외측 둘레로 스피커(32)의 외주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32)를 본체부(10)에 더욱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와의 간섭발생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스피커가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음악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휴대폰에 있어서, 음악감상을 위해 별도로 이어폰을 휴대할 필요가 없으므로, 종래와는 달리 사용이 편리하고 이어폰이 분실 또는 파손될 우려가 없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리드선권취부를 구비하여 이어폰에 구비된 리드선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 및 휴대가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리드선권취부에 회전제어부를 구비하여 음악감상 후 인출된 리드선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자동복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커버케이스를 구비하여 리드선권취부로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로 인한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가이드공을 통해 리드선의 인입 및 인출을 가이드함으로써 상기 리드선이 본체부 내측의 각종 전기기기와 간섭되어 고장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스피커고정부재를 구비하여 리드선이 완전히 권취되지 않은 경우에도 스피커를 스피커고정홈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 후에는 스피커가 상기 스피커고정홈으로부터 불필요하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또한, 스피커의 측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스피커를 본체부에 더욱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으며,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와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a,b는 도 1에 따른 리드선권취부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횡단면도.
도 2b는 종단면도.
도 3은 도 2a에 따른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보인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보인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부
11 : 메인PCB 12 : 스피커고정홈
120 : 관통공 13 : 가이드부재
20 : 폴더부
30 : 이어폰
31 : 리드선 32 : 스피커
40 : 리드선권취부
41 : 중심축 42 : 회전드럼
420 : 권취홈 43 : 판스프링
44 : 회전제어부
440 : 래칫기어 441 : 누름버튼
442 : 탄성부재 443 : 래칫폴
45 : 커버케이스 450 : 가이드공
50 : 스피커고정부재
51 : 스틸판 52 : 자석

Claims (7)

  1. 본체부(10)의 내부에 음악데이터를 저장 및 재생하는 음악재생부가 구비된 휴대폰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음악재생부의 출력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리드선(31)과, 상기 리드선(31)의 끝단에 구비되는 스피커(32)로 구성된 이어폰(30)이 구비되고;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상기 리드선(31)의 인출 및 인입을 제어하는 리드선권취부(4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으로 상기 리드선(31)이 인출 및 인입되는 관통공(120)이 형성된 스피커고정홈(1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선권취부(40)는,
    하단이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에 고정되는 중심축(41)과;
    상기 중심축(41)의 외측에 회전자유롭게 고정되고, 외주면에 상기 리드선(31)이 권취되는 권취홈(420)이 형성되는 회전드럼(42)과;
    상기 회전드럼(42)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이 상기 중심축(4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회전드럼(42)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판스프링(43)과;
    상기 회전드럼(42)의 회전을 고정 또는 해지하는 회전제어부(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어부(44)는,
    상기 회전드럼(4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래칫기어(440)와;
    일측이 상기 본체부(10)의 측면으로 돌출되고, 타측이 탄성지지되는 누름버튼(441)과;
    상기 누름버튼(441)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누름버튼(441)의 작동에 따라 상기 래칫기어(440)를 고정 및 해지하는 래칫폴(4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드럼(42)의 외측으로 커버케이스(45)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케이스(45)의 측면에는 상기 리드선(31)이 인입 및 인출되는 가이드공(45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32)를 상기 스피커고정홈(12)에 고정 및 해지하는 스피커고정부재(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고정홈(12)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스피커(32)의 외주면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1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고정부재(50)는 상기 스피커(32)의 배면에 부착되는 스틸판(51)과, 상기 스피커고정홈(12)의 외측 둘레로 상기 스틸판(51)과 대응되는 위치에 부착되는 자석(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KR10-2003-0056640A 2003-08-14 2003-08-14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KR100536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40A KR100536399B1 (ko) 2003-08-14 2003-08-14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40A KR100536399B1 (ko) 2003-08-14 2003-08-14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243A true KR20050018243A (ko) 2005-02-23
KR100536399B1 KR100536399B1 (ko) 2005-12-12

Family

ID=3722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640A KR100536399B1 (ko) 2003-08-14 2003-08-14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6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750B1 (ko) * 2004-12-2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3067B1 (ko) * 2006-07-25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의 기능키 구현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750B1 (ko) * 2004-12-2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13067B1 (ko) * 2006-07-25 2008-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의 기능키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6399B1 (ko) 200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7793A (en) Built-in, cellular telephone message recorder
EP1954012A1 (en) Headset having wired/wireless sub-earphone
KR20010024926A (ko) 오디오 및 비디오 저장용 확장 메모리를 구비한 셀룰러전화기
US7515706B2 (en) Headset with retractable cord for portable devices with automatic switching capability
KR101744166B1 (ko) 줄 자동 감김장치
KR100536399B1 (ko) 이어폰이 구비된 휴대폰
KR200485875Y1 (ko) 이어폰 케이블 권취장치
KR100329217B1 (ko) 휴대폰용 핸즈프리장치
KR20190001823U (ko) 통신단말기 결합형 녹음단말기
KR200181930Y1 (ko) 휴대폰용 권취릴형 핸드프리 이어폰
KR200181938Y1 (ko) 이오폰 코드의 꼬임 방지장치
KR101826083B1 (ko) 와이어 자동 감김 기능을 갖는 목걸이형 블루투스 이어폰
KR101218822B1 (ko) 블루투스 헤드셋
KR20170029119A (ko) 이어폰용 권취릴
KR100677339B1 (ko) 릴이어폰을 구비한 이동단말기
KR200371355Y1 (ko) 줄 길이가 조절되는 이어폰
KR200270166Y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어마이크세트
KR100680295B1 (ko) 감김 방식에 의한 이어마이크로폰
KR200185633Y1 (ko) 휴대폰 또는 카세트 플레이어용 이어폰/마이크로폰
KR20220141996A (ko) 이어셋 충전 크레들
KR2005006186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와 이어폰 겸용장치
KR200372530Y1 (ko) 이어폰 장치
KR200330236Y1 (ko) 핸드폰
JP3152797U (ja) イヤホン装置
KR200181918Y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이어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