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233A -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233A
KR20050018233A KR1020030056605A KR20030056605A KR20050018233A KR 20050018233 A KR20050018233 A KR 20050018233A KR 1020030056605 A KR1020030056605 A KR 1020030056605A KR 20030056605 A KR20030056605 A KR 20030056605A KR 20050018233 A KR20050018233 A KR 200500182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data
portable terminal
terminal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태
남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주통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주통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주통신
Priority to KR1020030056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233A/ko
Publication of KR20050018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2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장치(예: 휴대폰)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형 단말장치에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인터넷 상의 컴퓨터에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무선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생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휴대형 단말장치 또는 서버 컴퓨터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장치 또는 인터넷상의 컴퓨터에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데이터를 재생하고,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의 중계로 휴대형 단말장치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교류가 일어나 영상과 음성의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고; 휴대형 단말장치들 사이에서 다자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공유하여 다자간 회의 및 화상전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Multimedia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bile Handsets}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및 관련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하고, 동영상 시장이 성장하면서 보안 업계에서는 MPEG4 기반의 DVR(Digital Video Recorder)들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IT업계의 신기술 개발 동향을 살펴보면 이동통신사업자가 멀티미디어 서버를 설치하고, 휴대폰 사용자가 아이디를 부여받아 휴대전화로 해당 이동통신사업자의 멀티미디어 서버에 접속하여 방송과 같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하는 서비스; 홈카메라 서버를 설치하고 자신의 홈 카메라가 생성하는 동영상 이미지를 휴대전화를 통해 모니터 하도록 하는 서비스; 또는 동영상 저장 서버를 설치하고 아이디를 부여받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휴대전화에서 얻는 동영상을 동영상 저장 서버를 통해 지정된 개인용 컴퓨터 화면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준비중에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휴대전화의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는 것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으나, 휴대전화를 통해 동영상 컨텐츠 또는 카메라 동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휴대전화 사업자가 제공하는 무선인터넷 플랫폼으로 인해 많은 제약을 받고 있으며; 휴대전화의 카메라를 통해 얻어지는 동영상을 지정된 원격지 개인용 컴퓨터에 전송한다고 해도 동영상의 전송이 양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개인 또는 다자간 데이터 교류 및 중계를 목적으로 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형 단말장치에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인터넷 상의 컴퓨터에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무선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생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휴대형 단말장치 또는 서버 컴퓨터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장치 또는 인터넷상의 컴퓨터에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데이터를 재생하고,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의 중계로 휴대형 단말장치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교류가 일어나 영상과 음성의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고; 휴대형 단말장치들 사이에서 다자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공유하여 다자간 회의 및 화상전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카메라 부착 개인용 휴대형 단말장치와; 휴대형 단말장치를 인터넷에 접속시키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과; 멀티미디어 관리를 위한 인터넷 상의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컴퓨팅 환경 하에서 휴대형 단말장치에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인터넷상의 서버 컴퓨터에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 소프트웨어를 탑재함으로써 구성되는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 서버 컴퓨터에 탑재되는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는 PC, 워크스테이션, 메인 프레임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의 네트워크 컴퓨터(NC, Network Computer)에 탑재하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서버 소프트웨어이다.
도1은 서버 컴퓨터에 탑재되는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의 구성을 인용한 것이다. 도1에서 서버 컴퓨터(1)에 탑재되는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는 휴대형 단말장치가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12)와; 동적인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계속적으로 업데이트 함으로써 휴대형 단말장치들로 하여금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버퍼(13)와; 멀티미디어 버퍼에 적재된 데이터를 저장부에 파일 타입으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파일 라이터(14)와; 파일 라이터(14)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저장부(15)와; 저장부(15)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재생 또는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파일 리더(16)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파일 리더가 읽어들인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멀티미디어 버퍼에 동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는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트를 송신하는 데이터 서버(11)를 포함한다. 원격 휴대형 단말장치가 자신이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에 송신하고자 할 경우에는 데이터 수신부(12)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면 되는데, 이때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는 데이터 수신부(12)를 통해 수신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버퍼(13)에 보내어 해당 휴대형 단말장치에 대한 데이터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해당 휴대형 단말장치의 요청이 있는 경우) 동시에 파일라이터(14)를 제어하여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가 저장부(15)에 지속적으로 파일 형태로 저장되도록 한다. 한편, 원격 휴대형 단말장치가 자신의 또는 다른 휴대형 단말장치의 실시간 또는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고자 할 때에는 데이터 서버(11)에 접속하여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면 되는데, 이때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는 실시간 데이터의 요구에 대해서는 대상 휴대형 단말장치에 대해 멀티미디어 버퍼(13)에 업데이트 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서버(11)를 통해 지속적으로 전송하면 되고, 저장된 데이터의 요구에 대해서는 파일 리더(16)를 제어하여 저장부(15)의 저장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읽어 들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데이터 서버(11)를 통해 전송하면 된다.
도2는 도1 서버에 대응되는 휴대형 단말장치 상의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2)의 간략한 구성도로 크게 멀티미디어 송신 파트(20)와 멀티미디어 수신 파트(25)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다. 송신 파트(2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로 송신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수신 파트(25)는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로부터 자신의 또는 다른 휴대형 단말장치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송신 파트(20)는 휴대형 단말장치에 포함된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과, 마이크 입력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입력기(21)와; 멀티미디어 입력기(21)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로 압축하는 엔코더(22); 그리고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 컴퓨터의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1)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전송부(23)로 구성되는데, 이상과 같은 작업은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와 관련된 정보(IP주소, 포트 번호 등)를 멀티미디어 전송부(23)에 넘겨주면 멀티미디어 전송부(23)가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에 접속하여 데이터 송신을 시작하며, 송신에 필요한 데이터 생성을 위해 멀티미디어 입력기(21)와 엔코더(22)가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엔코더(22)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을 사용하는 MPEG4 압축 모듈을 호출하여 영상 데이터를 압축하는데, 이 과정에서 이미지(image)로부터 압축된 MPEG4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이 생성된다 (음성 데이터와 관련해서는 ADPCM, G.723, EVRC 등 다양한 압축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전송부(23)에 전달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는 결국 이와 같이 압축된 스트림 형태를 띄게 되는데, 압축방식과 관련해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MPEG4 이상의 압축율을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신 파트(25)는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클라이언트(28)와; 데이터 클라이언트(28)가 수신하여 전달하는 압축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영상 데이터와 음성 데이터로 압축 해제하는 디코더(27); 그리고 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LCD, 스피커 등으로 보내어 재생시키는 재생기(26)로 구성된다. 수신 파트(25)의 경우에도 송신 파트(20)처럼 사용자의 지시에 의해 구동되며,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의 정보를 수신부에 전달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수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어느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생성한 데이터인지도 알려 주어야 한다. 어느 휴대형 단말장치인지 알기 위해서는 일련번호나 IP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코더(27)는 상기 엔코더(22)에서 사용하는 압축 방식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는데, 엔코더(22)가 MPEG4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디코더(27)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방식의 MPEG4 디코더를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도3은 휴대형 단말장치에 탑재된 클라이언트(2)가 자기가 생성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저장하면서 동시에 다른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모니터하는 과정을 나타낸 데이터 처리도이다. 클라이언트(2)의 송신 파트(20)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전송부(23)는 사용자가 입력해준 IP주소,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3)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접속한다. 이에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의 데이터 수신부(12)는 클라이언트(2)의 데이터 송신 요구를 받아들여 멀티미디어 버퍼(13)와 파일 라이터(14)를 제어하여 데이터를 수신 및 저장한다. 한편, 클라이언트(2)의 수신 파트(25)에 포함된 데이터 클라이언트(28)도 사용자가 입력해준 IP주소,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3)를 통해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에 접속한다. 이에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의 데이터 서버(11)는 클라이언트(2)의 데이터 수신 요구를 받아들이게 되는데 그 과정에서 사용자가 클라이언트(2)에 입력해준 휴대형 단말장치의 일련번호 또는 IP주소가 데이터 클라이언트(28)를 통해 데이터 서버(11)로 전달된다. 데이터 서버(11)는 멀티미디어 버퍼(13) 또는 파일 리더(16)를 제어하여 클라이언트(2)가 원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클라이언트(28)에 전송하면 된다. 그리고 데이터 클라이언트(28)에 전달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디코더(27)와 재생기(26)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4는 두 대의 휴대형 단말장치가 각각 자신의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에 송신하면서 동시에 다른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모니터 함으로써 일대일 양방향 화상전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담은 데이터 처리도이다. 클라이언트 휴대형 단말장치(2#1)는 무선 네트워크(3)를 통하여 IP주소 및 포트번호로 지정되는 서버 컴퓨터 상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의 데이터 수신부(12) 및 데이터 서버(11)에 접속하여 자신의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에 전송하면서 동시에 휴대형 단말장치(2#2)의 데이터를 요구하여 전송받는다. 마찬가지로 클라이언트 휴대형 단말장치(2#2)도 무선 네트워크(3)를 통하여 IP주소와 포트 번호로 지정되는 서버 컴퓨터 상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의 데이터 수신부(12) 및 데이터 서버(11)에 접속하여 자신의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에 전송하면서 동시에 휴대형 단말장치(2#1)의 데이터를 요구하여 전송받는다. 이 과정에서 두 휴대형 단말장치(2#1, 2#2)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상기 동작으로 원격지 클라이언트 휴대형 단말장치는 서버 컴퓨터에 탑재된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의 중계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 교류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에 다수의 클라이언트 휴대형 단말장치가 동시에 접속하여 자신의 데이터를 송신하는 동시에 여러 대의 다른 휴대형 단말장치가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1)에 전송한 데이터를 수신하되 재생기가 출력하는 영상과 음성을 다수의 휴대형 단말장치의 것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격 회의 및 다자간 화상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각각의 클라이언트 휴대형 단말장치들은 서버 컴퓨터의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에 의뢰하여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하고 검색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재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특징은, 카메라 장착 휴대폰에 구현된 디지털 카메라 기능(동영상 촬영 기능)을 업그레이드 하여 디지털 네트워크 카메라 및 디지털 네트워크 캠코더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해 새롭게 주어지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무선 네트워크 카메라의 역할로서, 카메라 장착 휴대폰을 이용하여 초소형 디지털 네트워크 카메라 및 캠코더를 구현하여 휴대폰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동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로 원격 전송하도록 할 수 있고; 원격 서버 컴퓨터의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에 클라이언트 휴대폰의 영상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휴대폰 단말기의 메모리 부담을 경감할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저장된 동영상을 네트워크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를 통하여 휴대폰에서 촬영하는 동영상을 실시간으로 방송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와 DVR을 접목시킴으로써 컴퓨터에서만이 아니라 휴대폰에서도 DVR에서 저장중인 영상 및 음성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폰에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해 보험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가입자가 휴대폰을 통해 촬영한 현장 동영상을 원격으로 PC에 저장하고 보험회사에서는 해당 PC에 접속하여 재생해 볼 수 있으며, 실시간 재생도 가능하다. 실시예로서 보험회사 등과 서비스 업체와 연계하여 다양한 고객 서비스 제공 가능하여, 보험회사에 사고 통보(통화, SMS 등)와 함께 실시간 동영상 전송을 함으로써 즉각적인 상담을 통한 신속한 사고처리에 임할 수 있게 하여 보험 서비스의 품질은 높이고 비용은 절감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다자간 화상전화 서비스는, 통신망 비의존적 MoIP(Multimedia over IP)이라는 장점을 가진다. 인터넷을 이용한 화상전화 서비스이기 때문에 기존 이동통신망(CDMA)의 화상전화 범위를 벗어난 곳에서도 화상전화가 가능하며 (물론, 네트워크 대역폭이 낮은 곳에서는 전화 품질이 떨어질 수도 있다) 통화 내용의 녹화도 가능하다. 특히 인터넷을 이용하기 때문에 굳이 이동통신망이 아니더라도 인터넷과 연결되는 것이라면 어떤 종류의 네트워크든 활용 가능하며, 그렇기 때문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아울러 Phone-To-Phone, Phone-To-PC, PC-To-PC 등 다양한 방식으로 화상전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향후에 휴대폰이 무선랜(WLAN)에 접속할 수 있게 되면 화상전화로 인해 발생하는 이동통신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 접속을 지원하는 카메라 부착 휴대형 단말장치에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인터넷 상의 컴퓨터에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무선 네트워크 환경 하에서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생성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버 컴퓨터에 저장하고, 클라이언트 휴대형 단말장치 또는 서버 컴퓨터에서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장치 또는 인터넷 상의 컴퓨터에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 데이터를 재생하고,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의 중계로 휴대형 단말장치 사이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교류가 일어나 영상과 음성의 양방향 통신이 이루어지고; 휴대형 단말장치들 사이에서 다자간에 멀티미디어 정보를 공유하여 다자간 회의 및 화상전화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인터넷 상의 컴퓨터에 설치되는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데이터 처리계 구성도.
도2는 휴대형 단말장치에 설치되는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 포함된 데이터 처리계 구성도
도3은 클라이언트가 자기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를 통해 서버 컴퓨터에 저장하면서 동시에 다른 클라이언트의 데이터를 모니터하는 과정을 담은 데이터 처리도
도4는 두 대의 휴대형 단말장치가 각각 자신의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에 송신하면서 동시에 다른 휴대형 단말장치의 데이터를 모니터 함으로써 일대일 양방향 화상전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담은 데이터 처리도
<도면 주요부호의 설명>
1은 멀티미디어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상의 서버 컴퓨터, 2는 클라이언트 휴대형 단말장치, 3은 무선 네트워크, 11은 데이터 서버, 12는 데이터 수신부, 13은 실시간 멀티미디어 버퍼, 14는 파일라이터, 15는 저장부, 16은 파일리더, 21은 멀티미디어 입력기, 22는 엔코더, 23은 데이터 수신부(12)와 교신하는 데이터 송신부, 26은 멀티미디어 재생부, 27은 디코더, 28은 데이터 서버(11)와 교신하는 데이터 클라이언트

Claims (4)

  1. 개인용 무선 단말기인 카메라 부착 휴대형 단말장치와; 휴대형 단말장치를 인터넷에 접속시키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과; 멀티미디어 관리를 위한 인터넷상의 서버 컴퓨터가 제공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컴퓨팅 환경 하에서; 휴대형 단말장치에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탑재되고,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생성되고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인터넷상 서버 컴퓨터의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전송 파트와; 휴대형 단말장치에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탑재되고, 인터넷 상 서버 컴퓨터의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가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고 압축 해제하여 멀티미디어 재생기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수신 파트와; 인터넷 상의 서버 컴퓨터에 탑재되고, 휴대형 단말장치들이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실시간 멀티미디어 버퍼에 적재하여 휴대형 단말장치 사용자 다자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공유하게 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장치 네트워크 클라이언트 다자간에 공유하여 억세스하는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로; 구성함이 특징인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서버 컴퓨터에 탑재되는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는; 휴대형 단말장치가 전송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실시간 동적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적재하고 휴대형 단말장치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버퍼와; 멀티미디어 버퍼에 적재된 데이터를 저장부에 파일 타입으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파일 라이터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보관하고 보관된 데이터를 휴대형 단말장치 또는 서버 컴퓨터에서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읽어들여 재생 및 전송할 수 있게 하는 파일 리더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휴대형 단말장치에 탑재되는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서 영상, 음성 등의 데이터 입력 및 전송을 위한 멀티미디어 전송 파트는;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디지털 영상과, 마이크 입력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디지털음성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입력기와; 멀티미디어 입력기의 입력 데이터를 취합하고 멀티미디어 전송 데이터로 압축하는 엔코더와; 압축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의 데이터 수신부에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휴대형 단말장치에 탑재되는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수신 및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수신 파트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멀티미디어 관리 서버의 데이터 서버에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클라이언트와; 수신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압축 해제하는 디코더와; 압축 해제된 영상 및 음성 데이터를 LCD, 스피커 등을 통해 재생하는 재생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0030056605A 2003-08-14 2003-08-14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KR200500182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05A KR20050018233A (ko) 2003-08-14 2003-08-14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05A KR20050018233A (ko) 2003-08-14 2003-08-14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233A true KR20050018233A (ko) 2005-02-23

Family

ID=3722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605A KR20050018233A (ko) 2003-08-14 2003-08-14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2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9718A1 (zh) * 2008-04-24 2009-10-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视频会议中实现文件共享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691386B1 (ko) * 2015-10-12 2016-12-30 주식회사 더에스 뷰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US10157227B2 (en) 2014-11-05 2018-12-18 Hanwha Aerospace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ummary image by image process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29718A1 (zh) * 2008-04-24 2009-10-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音视频会议中实现文件共享的方法、装置及系统
US10157227B2 (en) 2014-11-05 2018-12-18 Hanwha Aerospace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 summary image by image processing
KR101691386B1 (ko) * 2015-10-12 2016-12-30 주식회사 더에스 뷰 쉐어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1114C (zh) 一种通过移动终端访问电脑资源的方法及系统
CN102111674B (zh) 一种移动终端播放在线视频的系统、方法及移动终端
US20090305694A1 (en) Audio-video sharing system and audio-video sharing method thereof
EP1867161A2 (en) A method for a clustered centralized streaming system
EP1671480A2 (en) Camera for communication of streaming media to a remote client
US200701275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he transmission of video data
CN101394585A (zh) 一种移动流媒体直播业务中的准实时流系统
KR20080086262A (ko) 디지털 콘텐츠 공유를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디지털콘텐츠 공유 시스템
CN2938651Y (zh) 手机视频流媒体监控设备
CN111696591A (zh) 一种云手机音频数据处理方法和系统
US949724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ive streaming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CN101150464A (zh) 一种实现多媒体内容共享的方法和系统
WO2004112268A1 (en) Apparatus for supplying multimedia data processing
GB2410160A (en)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audio visual signal to a mobile device in a home network
KR20050018233A (ko) 휴대형 단말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관리 시스템
WO2010000120A1 (zh) 语音视频信箱设备及实现方法
WO2006069059A2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 voice portal
US7408924B2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of internet protocol phone
JP2008139977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077292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서버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800476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스트리밍 서비스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080088693A1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video call
KR20000046469A (ko) 웹 비디오 폰
US20020135671A1 (en) Image telecommunication system for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KR100711713B1 (ko) 실시간 스트리밍데이터 전송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