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8178A -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8178A
KR20050018178A KR1020030056202A KR20030056202A KR20050018178A KR 20050018178 A KR20050018178 A KR 20050018178A KR 1020030056202 A KR1020030056202 A KR 1020030056202A KR 20030056202 A KR20030056202 A KR 20030056202A KR 20050018178 A KR20050018178 A KR 20050018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ssion fail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8178A/ko
Publication of KR20050018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 반경보다 수신 반경이 더 넓은 지역에 위치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송신전력 절전 기능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송신이 실패하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송신실패가 추가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실패가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추가된 다음 시스템 디터미네이션과정을 거쳐 시스템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시스템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있으면 상기 송신실패에 따라 단말기는 송신을 제한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한 다음 이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고지해주고 추가등록을 위한 추가절차를 일정시간동안 제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말기의 송신전력이 대폭적으로 절약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Method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 반경보다 수신 반경이 더 넓은 지역에 위치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송신전력 절전 기능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송신 반경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한 메시지가 오류 없이 기지국에 도달할 수 있는 기지국과의 최대 거리로, 단말기 송신 출력, 기지국 안테나 이득,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지형, 페이딩 등 단말기의 송신 반경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많이 있다.
수신 반경은 기지국에서 송신한 메시지를 오류 없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할 수 있는 기지국과의 최대 거리로, 기지국 출력, 단말기 안테나 이득, 지형, 페이딩 등 단말기 수신 반경에 영향을 주는 요소 또한 많이 있다.
상기 단말기의 송신 반경과 수신 반경의 관계에서 가장 이상적인 경우는 수신 반경과 송신 반경이 일치하는 경우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의도적으로 단말기 수신 반경을 송신 반경보다 크게 기지국을 배치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때는 단말기의 송신 성능보다 수신 성능이 더 좋다.
일반적으로 셀 플랜을 할 때 단말기의 기본적인 성능을 고려하여 설계하기 때문에 단말기 송/수신 성능의 불균형에 의해 송/수신 반경에 차이가 나는 경우는 드물다.
그리고 단말기의 송신성능이 수신성능보다 좋은 경우는 거의 없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는 시스템을 획득한 상태에서만 송신시도를 하기 때문에 단말기 송신성능이 수신성능보다 좋다고 하더라도 의미가 없게 된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 수신 반경은 송신 반경과 같거나 그 보다는 크게 된다.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을 시도하는 경우 등록(Registration)을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 자신의 위치를 기지국에 알리기 위한 절차를 거치게 되며, 이와 같은 등록을 시도하는 경우는 단말기의 전원을 켰을 때 이를 기지국에 통보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했을 때 새로운 지역에 있음을 알리는 경우 등 다양한 경우가 있다.
수신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 송신은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기지국에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했음을 기지국에 알리기 위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보낸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은 단말기 사용자가 음성 또는 데이터 호를 설정하기 위해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기지국에 해당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며 이외에도 사용자가 작성한 단문 메시지를 해당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송신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을 시도하는 경우, 단말기는 송신을 시도할 때 사용하도록 기지국에서 내려 보내준 파라미터를 이용하게 되며, 예를 들어 CDMA 시스템에서 APM(Access Parameter Message)이 그러한 파라미터를 설정해 놓은 메시지 중하나이다.
기지국에서 설정하는 파라미터에는 초기 송신출력, 시도 횟수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단말기가 최대 송신 시도 횟수/시간 동안에 기지국과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주고받지 못한 경우에는 현재 잡고 있는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여, SD(System Determination) 과정을 거쳐 다시 시스템을 탐색하게 되고, 또한 사용자에게는 송신 시도가 실패했다는 정보를 표시해 주게 된다.
현재 획득하고 있는 기지국이 단말기 송신 반경보다 수신 반경이 큰 지역에 있어, 접속 시도에 실패한 경우 상기 SD 과정을 거쳐 다시 시스템을 탐색하게 되는데, 만일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에 다른 시스템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는 원래의 시스템을 다시 획득하게 된다.
그러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는 등록 과정을 시도하게 되는데 이동통신 단말기는 송신 반경이 작기 때문에 역시 송신에 실패하게 된다.
그래서 다시 SD 과정을 거치고, 등록 과정을 거치면서 다시 송신 시도를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등록 절차가 성공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전원이 다 방전될 때까지 지속되게 된다.
단말기가 액세스를 하는 경우에는 SM(Slotted Mode)으로 동작할 수 없으며, 송신이 성공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송신 출력을 높여 가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는 평소의 몇 배 내지 몇 십 배 정도의 전력을 소비하게 되어, 평상시에 비해 배터리가 빨리 방전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출전력은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게는 잡음이 되고, 따라서 이러한 동작을 여러 대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반복을 하는 경우에는 송/수신 반경이 비슷한 지역에 있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게도 악영향을 주어, 평상시에 접속이 되던 지역도 송/수신이 안 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 반경보다 수신 반경이 더 넓은 지역에 위치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써 송신전력 절전 기능을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시 송신전력을 절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송신이 실패하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송신실패가 추가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실패가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추가된 다음 시스템 디터미네이션과정을 거쳐 시스템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시스템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있으면 상기 송신실패에 따라 단말기는 송신을 제한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한 다음 이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고지해주고 추가등록을 위한 추가절차를 일정시간동안 제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송신실패는 연속 N회 실패했는지 또는 연속 T초 동안 실패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고지는 단말기의 표시장치를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단말기의 경고음으로 할 수도 있으며, 단말기의 진동을 통하여 고지할 수도 있다.
상기 획득한 시스템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없거나 또는 송신실패가 연속 N회 실패 또는 연속 T초 동안 실패하지 않았으면 단말기는 기지국에 등록을 시도하고, 등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송신실패 리스트를 초기화한 다음 상기 획득한 시스템을 그대로 잡고 유지한다.
상기 등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송신실패단계로 재 진행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시 송신전력을 절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제한 절전모드에서 단말기는 마지막으로 기지국과 송신을 시도한 이후 T초가 경과되면 등록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제한 절전모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고, 사용자가 발신을 시도하면 해당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등록을 시도하거나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거나 해당 발신을 시도한 다음 송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송신실패 리스트를 초기화한 다음 절전모드를 빠져나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등록 시도는 송신실패 리스트에 없는 새로운 시스템을 획득한 다음 등록을 시도하고, 상기 송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송신 제한 절전모드의 동작으로 재 진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송수신 반경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a 는 1개의 기지국(100)과 이동통신 단말기(101)가 위치한 지역이 송신 반경(111)보다 수신 반경(112)이 큰 지 검사를 하기 위한 것이고, 도 1b 는 2개의 기지국(100)(110)과 이동통신 단말기(101)(102)(103)가 위치한 지역이 송신 반경(111)보다 수신 반경(112)이 큰 지 검사를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1)(102)(103)가 기지국(100)과 일정 횟수 또는 일정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송신을 시도했지만 실패한 경우, 단말기(101)(102)(103)가 해당 지역에 있다고 판단한다.
상기 단말기(101)가 접속 시도를 하는 시스템은 1개일 수도 있고, 다수(102)(103)일 수도 있으며, 어느 시스템과도 일정 시간/횟수만큼 접속 시도가 연속으로 실패하는 경우에만 해당한다.
상기 단말기(101)(102)(103)가 절전 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기지국(100)(110)에 등록(Registration) 시도를 제한하고, 단말기(101)(102)(103)가 절전 모드를 빠져나온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접속 시도를 하여 최소 1번 이상의 접속 시도가 성공한 경우 절전 모드를 빠져 나오도록 한다.
첫 번째 상기 단말기(101)(102)(103) 사용자가 절전 모드를 빠져 나오도록 명시적으로 요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발신 시도를 하거나 단문 메시지 전송을 시도한 경우나 또는 미리 구현된 메뉴를 통해 절전 모드를 빠져 나오도록 설정한 경우로서 절전 모드를 빠져 나와 접속 시도를 한다.
두 번째 상기 단말기(101)(102)(103)가 새로운 시스템을 찾은 경우에는 주기적인 재시도(Periodic Rescan) 과정이나 또는 아이들 핸드오프(Idle Handoff) 등을 통해 새로운 시스템을 찾은 경우에도 등록 시도를 한다.
세 번째 상기 단말기(101)(102)(103)가 주기적인 등록 시도를 한 경우에는 새로운 시스템을 일정 시간동안 찾지 못한 경우로서 현재 획득하고 있는 시스템에 일정 시간(T초) 간격으로 등록 시도를 함으로써 절전 모드를 빠져 나올지 확인한다.
네 번째 상기 단말기(101)(102)(103)가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가 아닌 모바일 터미네이티드 메시지(Mobile terminated Message)를 수신한 경우 적절한 응답(Response)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101) 사용자에게 절전 모드에 있음을 알리는 방법은 적절한 문구 또는 아이콘을 이용하여 단말기(101)(102)(103) 화면에 해당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1)(102)(103)가 정상적으로 동작되고 기지국(100)(110)과 송신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송신을 실패(201)하게 되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송신실패가 추가(202)된다.
상기 송신실패가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추가(202)된 다음 시스템 디터미네이션(System Determination)(203)과정을 거쳐 시스템을 획득(204)한다.
상기 획득(204)한 시스템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205)하여 있으면 상기 송신실패가 연속 N회 실패했는지 또는 연속 T초 동안 실패했는지를 판단(206)한다.
상기 판단(206)결과 송신실패가 연속 N회 실패 또는 연속 T초 동안 실패했으면 단말기는 송신을 제한하는 절전모드로 진입(207)한 다음 이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고지(208)해주고 추가등록을 위한 추가절차를 일정시간동안 제한하도록 한 다음에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게 해주는 고지(208)는 단말기의 표시장치를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단말기의 경고음으로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진동을 통하여 고지할 수도 있다.
상기 판단(205)결과 상기 획득(204)한 시스템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없거나 또는 상기 판단(206)결과 송신실패가 연속 N회 실패 또는 연속 T초 동안 실패하지 않았으면 단말기는 기지국에 등록을 시도(210)한다.
상기 단말기가 기지국에 등록을 시도(210)한 결과 등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211)하여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송신실패(201)단계로 재 진행하고,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송신실패 리스트를 초기화(212)한 다음 상기 획득한 시스템을 그대로 잡고 유지(213)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송신 제한 절전모드의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로서, 송신 제한 절전모드(301)의 동작이 시작되면 단말기는 마지막으로 기지국과 송신을 시도한 이후 T초가 경과되면 등록을 시도(306)한다.
또한 상기 단말기는 송신실패 리스트에 없는 새로운 시스템을 획득한 다음 등록을 시도(306)한다.
그리고 단말기는 상기 송신 제한 절전모드(301)에서 메시지가 수신(304)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307)을 하고, 사용자가 발신을 시도(305)하면 해당 발신을 시도(308)한다.
상기와 같이 단말기가 등록을 시도(306)하거나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307)을 하거나 해당 발신을 시도(308)한 다음 송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판단(309)한다.
상기 판단(309)결과 송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송신 제한 절전모드(301)의 동작으로 재 진행하고, 송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송신실패 리스트를 초기화(310)한 다음 절전모드를 빠져나오고(311) 동작을 종료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 반경보다 수신 반경이 더 넓은 지역에 위치한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을 제한함으로서 송신전력이 절약되어 배터리 소모량이 줄어들고, 송/수신 반경이 비슷한 지역에 있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게도 악영향을 주지 않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송수신 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인 송신 제한 절전모드의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Claims (8)

  1.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시 송신전력을 절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송신이 실패하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송신실패가 추가되는 단계와,
    상기 송신실패가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추가된 다음 시스템 디터미네이션과정을 거쳐 시스템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한 시스템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있으면 상기 송신실패에 따라 단말기는 송신을 제한하는 절전모드로 진입한 다음 이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고지해주고 추가등록을 위한 추가절차를 일정시간동안 제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2.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실패는 연속 N회 실패했는지 또는 연속 T초 동안 실패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3. 청구항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는 단말기의 표시장치를 통하여 표시할 수도 있고, 단말기의 경고음으로 할 수도 있으며, 단말기의 진동을 통하여 고지할 수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4. 청구항 1 항 또는 청구항 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한 시스템이 단말기의 송신실패 리스트에 없거나 또는 송신실패가 연속 N회 실패 또는 연속 T초 동안 실패하지 않았으면 단말기는 기지국에 등록을 시도하고, 등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송신실패 리스트를 초기화한 다음 상기 획득한 시스템을 그대로 잡고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5. 청구항 4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송신실패단계로 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6.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수신시 송신전력을 절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송신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송신제한 절전모드에서 단말기는 마지막으로 기지국과 송신을 시도한 이후 T초가 경과되면 등록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송신제한 절전모드에서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하고, 사용자가 발신을 시도하면 해당 발신을 시도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등록을 시도하거나 수신된 메시지에 대한 응답을 하거나 해당 발신을 시도한 다음 송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면 송신실패 리스트를 초기화한 다음 절전모드를 빠져나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7. 청구항 6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시도는 송신실패 리스트에 없는 새로운 시스템을 획득한 다음 등록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8. 청구항 6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면 상기 송신 제한 절전모드의 동작으로 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KR1020030056202A 2003-08-13 2003-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KR20050018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202A KR20050018178A (ko) 2003-08-13 2003-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202A KR20050018178A (ko) 2003-08-13 2003-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178A true KR20050018178A (ko) 2005-02-23

Family

ID=3722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202A KR20050018178A (ko) 2003-08-13 2003-08-13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81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07873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进行有效寻呼的方法和装置
EP17809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ponding to unlicensed network failure
US6791962B2 (en) Direct link protoco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JP2842422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通信装置
US7536209B2 (en) Wireless access point software system
JP4230995B2 (ja) Wlan・携帯電話統合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ビスを整合させ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8359001B2 (en) Identifying the location of mobile stations
US20050129009A1 (en) Power sav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827101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nagement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CN103125135A (zh) 使用代理设备在无线客户端终端中进行功率节省
KR19980064775A (ko) 무선 컴퓨터 네트워크에 시임리스 핸드오버를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20060006813A (ko) 혼성 수신기를 이용한 접속 설정
US20040023650A1 (en) Mobile terminal, control statio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program, and control program
JP4230360B2 (ja) クイックページングチャンネルの高信頼性復号方法
US8504123B1 (en) Telephone ringing signal-based notification method for mobile devices
US5819174A (en) Mobile telephone having an improved probability of receiving an incoming call
WO200509665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two networks during an ongoing communication
JP5245789B2 (ja) 移動体通信機器、及び移動体通信機器の制御方法
KR20050018178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 절감 방법
JP4093047B2 (ja) 携帯電話機及びそれに用いるバッテリセービング方法
JPS58209239A (ja) 移動体通信方法
JP2003309877A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メッセージ自動転送方式
JP288822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データ伝送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US20240114458A1 (en) Adaptive power saving and latency control mechanism
JP2842424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データ伝送方法及び移動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