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7145A -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 Google Patents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7145A
KR20050017145A KR1020030055073A KR20030055073A KR20050017145A KR 20050017145 A KR20050017145 A KR 20050017145A KR 1020030055073 A KR1020030055073 A KR 1020030055073A KR 20030055073 A KR20030055073 A KR 20030055073A KR 20050017145 A KR20050017145 A KR 20050017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over
hinge pin
puff
c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5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택
Original Assignee
임병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택 filed Critical 임병택
Priority to KR1020030055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7145A/ko
Publication of KR20050017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714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2Containers with lids or covers at the top and the bott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축이 보다 짧아지는 것이 가능하여, 예를 들면, 원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등과 같은 비사각형 구조로 제조되기에 적합한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에 관한 것으로서,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이 형성된 한 쌍의 힌지보스(23, 25)를 일측에 구비하는 화장품용기(2); 상기 제 1힌지공(22)과 상기 제 2 힌지공(24) 사이에 위치되는 관통힌지공(32)을 일측에 구비하는 화장품커버(3); 상기 제 1 힌지공(22) 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채 상기 관통힌지공(32) 내에 축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는 제 1 힌지핀(4); 상기 제 1 힌지핀(4)과 별도로 상기 관통힌지공(32)에 끼워진 채 상기 제 2 힌지공(24)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제 2 회전핀(5); 상기 제 1 힌지공(4)의 내측 및 상기 제 1 힌지핀의(22) 선단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커버(3)의 회동시 상기 제 1 회전핀(4)을 직선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8a, 8b); 및 상기 제 1 힌지핀(4)과 상기 제 2 힌지핀(4) 사이에 직접적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 1 힌지핀(4)의 직선운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되어 소정 회동구간에서 커버(3)에 회전토크를 제공하는 스프링부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cosmetic compact enabling to open and close semi-automatically with short hinge axis}
본 발명은 메이크업 케이스 또는 콤팩트 케이스로 일컬어지는 힌지 개폐구조의 화장품 콤팩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대해 커버가 미리 정해진 구간 내에서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힌지축이 보다 짧아지는 것이 가능하여, 예를 들면, 원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등과 같은 비사각형 구조로 제조되기에 적합한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콤팩트는 힌지축 상에 정렬된 힌지공 및 그 힌지공을 관통하는 하나의 힌지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뚜껑과 용기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용기에는 파우더 또는 콤팩트 케이크가 유지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커버에는 예를 들면, 거울이 장착되어 사용자가 메이크업하기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의 화장품 콤팩트는 사용자가 커버를 용기에 대해 약 100~150°로 개방한 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는데, 그 이유는, 커버와 용기가 이 각도 범위에 위치되어 있을 때, 사용자가 가장 편하게 메이크업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의 화장품 콤팩트는 사용자가 용기에 대해 커버를 고정하는 공지의 후크수단을 해제한 후, 뚜껑을 수동으로 사용위치까지 완전히 들어올려 사용하도록 되어 있었으며, 이러한 화장품 콤팩트의 수동 개방구조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함을 주어왔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는 화장품 콤팩트의 본질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소정구간만 수동으로 커버를 움직이면 나머지 구간에서는 커버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를 개발하여 특허출원 제 2003-36207호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3-17658호로 출원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는, 힌지축으로 설치되는 개폐유닛이 캠작용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하나의 힌지핀(또는 운동캠)과 그 힌지핀의 직선운동에 의해 압축 및 복원되는 스프링부재(또는 토크발생 스프링)를 구비하여 , 후크수단 없이도 바람직하게 닫혀있는 동시에 반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에 따라, 기존의 수동 개방형 화장품 콤팩트의 단점을 크게 개선하였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는, 상기 개폐유닛의 구조가 복잡하였으며, 또한 상기한 스프링부재, 즉 회전토크 발생용 스프링부재를 지지해주는 부분이 또 다른 힌지핀(또는 마찰발생핀)과 별도로 마련되어, 힌지축의 길이, 즉 좌우 힌지공 사이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었고, 이에 따라, 원형, 정육각형 또는 정팔각형 등으로 이루어져 힌지축의 길이가 제약되는 비사각형의 화장품 콤팩트로 응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 1 힌지공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채 캠작용에 직선운동하는 제 1 힌지핀과 제 2 힌지공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제 2 힌지핀 사이에 회전토크 발생을 위한 스프링부재가 직접적으로 개재되어 있어, 그 구조가 매우 단순하면서도 힌지축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응용되기에 적합한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힌지축의 거리가 짧음은 물론이고 1차로 개방된 1차 개방위치와 커버가 그 1차 개방위치로부터 더 회동된 2차 개방위치 사이에서 각도조절이 자유로운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힌지핀과 제 2 힌지핀 사이에 스프링부재를 직접 개재시켜 힌지축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한편, 그 스프링부재가 제 2 힌지편을 제 2 힌지공으로 편향시켜 정해진 구간에서 커버의 회동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마찰저항을 발생을 가능하게 하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힌지축의 길이가 짧은 비사각형 구조에 적합한 파우더용 화장품 콤팩트를 제공하는데 있어, 분첩의 유지 및 고정이 용이한 분첩유닛을 더 포함하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덧붙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 1 힌지핀과 제 2 힌지핀 사이에 스프링부재가 직접 개재되어 있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를 제공하는데 있어, 그 용기와 커버가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되어질 수 있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힌지공이 형성된 한 쌍의 힌지보스를 일측에 구비하는 화장품용기와; 상기 제 1힌지공과 상기 제 2 힌지공 사이에 위치되는 관통힌지공을 일측에 구비하는 화장품커버와; 상기 제 1 힌지공 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채 상기 관통힌지공 내에 축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는 제 1 힌지핀과; 상기 제 1 힌지핀과 별도로 상기 관통힌지공에 끼워진 채 상기 제 2 힌지공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제 2 회전핀과; 상기 제 1 힌지공의 내측 및 상기 제 1 힌지핀의 선단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커버의 회동시 상기 제 1 회전핀을 직선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과; 상기 제 1 힌지핀과 상기 제 2 힌지핀 사이에 직접적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 1 힌지핀의 직선운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되어 소정 회동구간에서 커버에 회전토크를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은 각각 한 쌍의 산과 골이 원형으로 이루면서 축방향으로 교호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캠프로파일은 자체의 산과 골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캠프로파일의 산끝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재는 닫힘위치에서 초기 압축된 상태로 존재하여 상기 용기에 대한 커버의 밀폐력을 제공하고, 그 닫힘위치에서 상기 제 2 캠프로파일 산끝은 제 1 캠프로파일의 평평한 골 부분에 접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이 바뀌는 스위칭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은 자체의 산끝들이 서로 접해 있으며, 상기 커버가 상기 용기에 대해 100~150°회동된 위치로 미리 정해진 1차 개방위치(OPP1)에서 상기 제 1 캠프로파일의 걸림홈에 제 2 캠프로파일의 산끝이 맞물리며, 상기 커버는 상기 1차 개방위치를 지나 상기 용기에 대해 180°미만의 2차 개방위치까지 더 개방되어지며, 상기 1차 개방위치와 상기 2차 개방위치 사이의 구간은 상기 제 2 캠프로파일의 산끝이 상기 제 1 캠프로파일의 골부골 부분서 위치되어지는 구간으로 미리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힌지핀 및 상기 제 2 힌지공은 서로 면접촉하여 상기 제 2 힌지핀의 회전에 따라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는 경사면들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 2 힌지핀이 상기 커버와 함께 회전하는 구간은 상기 스프링부재의 복원력이 발생되기 시작하는 스위칭위치 이후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분첩의 유지를 위해 오목공간을 구획형성하는 테두리벽을 일체로 갖는 분첩유지컵과, 그 오목공간에 유지된 분첩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돌기를 일체로 갖는 분첩고정구로 구성된 분첩유지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분첩유지컵 및 상기 분첩고정구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힌지보스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암들의 외주 상에 꼭 맞게 끼워지는 후크를 일체로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서만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테두리벽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려지는 손가락 걸림 플랜지가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벽의 전방에는 상기 분첩이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제 1힌지핀은 관통형의 중공부를 축방향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 2힌지핀은 두 부분이 탄성적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게 되어 있는 탄성분기부를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하며, 상기 탄성분기부는 그 두 부분의 선단에 상기 제 1 힌지핀의 캠프로파일 부근에 걸려지는 걸림편이 마련되어, 용기와 커버의 조립 전에 상기 1 및 제 2 힌지핀이 상기 스프링부재를 사이에 둔 채 소정거리로 맞물려지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핀은 제 1 및 제 2 힌지공의 입구부분에서 미끄러지는 캠프로파일 및 경사면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핀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제 1 힌지공과 제 2 힌지공 사이로 삽입되게 1차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관통형의 중공부는 선단을 향해 수렴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1차 삽입 및 이에 따른 제 1 힌지핀의 후퇴와 함께, 상기 탄성분기부의 걸음편 사이가 좁혀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장품 콤팩트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은 본 실시예의 화장품 콤팩트를 조립된 상태에서 가상의 힌지축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2의 I-I 및 II-II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가장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장품 콤팩트(1)는 원형의 화장품 용기(2), 이에 상응하게 마련된 커버(3) 그리고 상기 화장품 용기(2)를 커버(3)에 힌지식으로 연결하는 힌지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용기(2)는 화장품 중에서도 원형의 화장품 유지공간(21)을 구비하여 화장품을 유지하고 있으며, 커버(3)는 일반적인 화장품 콤팩트와 마찬가지로 거울(3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힌지수단은 용기(2) 및 커버(3)에 각각 마련된 힌지공들(22, 24 및 32) 및 이 힌지공들(22, 24, 32)에 설치되어 용기(2)에 대한 커버(3)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 1 및 제 2 힌지핀(4 및 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힌지공들(22, 24 및 32) 중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은 화장품 용기(2)의 상측에서 서로 마주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 상측에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힌지보스(23, 25)의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힌지공들(22, 24 및 32) 중 관통힌지공(32)은 커버의 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 사이에서 이들 힌지공들(22, 24)과 연통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3)의 하측의 다른 힌지보스(33)에서 축방향으로 관통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핀(4, 5) 각각은 관통힌지공(32)의 양측에 각각 끼워진 채 그 선단이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유지되어, 커버(3)가 용기(2)에 대해 회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제 1 힌지핀(4)의 움직임이 관통힌지공(32) 내에서 축방향으로만 허용되어지도록, 상기 제 1 힌지핀(4) 및 관통힌지공(32)은 서로 상응하는 부분에서 회전 불가능한 기하학적 형상으로 맞물려 있으며, 이는 커버(3)가 용기(2)에 대해 회동될 때 제 1 힌지핀(4)이 커버(3)와 함께 일체로 회전하도록 해준다(도 3 참조).
상기 제 1 힌지공(22)의 내측 및 상기 제 1 힌지핀(4)의 내측 각각에는 한 쌍의 산과 골이 원형을 이루면서 축방향으로 교호되는 형상을 갖는 캠프로파일(8a, 8b)이 마련되는데(도 2 및 도 6 참조), 이 캠프로파일(8a, 8b)의 상호작용은 커버(3)가 용기(2)에 대해 회동되는 동안 상기 제 1 힌지핀(4)이 관통힌지공(32) 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해주며, 이는 이하 기술될 스프링부재(9)의 압축 또는 복원을 가능하게 하여 화장품 콤팩트(1)가 커버(3)의 소정 회동구간에서 그 스프링부재(9)의 복원력에 따른 회전토크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허용한다
본 실시예의 스프링부재(9)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서 관통힌지공(32) 내에서 제 1 힌지핀(4)과 제 2 힌지핀(5)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 1 힌지핀(4)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압축과 복원을 번갈아 하면서 커버(3)에 회전토크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의 스프링부재(9)는 커버(3)가 용기(2)에 대해 닫혀있을 때 초기 압축상태로 존재하여 커버(3)에 대해 밀폐력을 제공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제 2 힌지핀(5)에 편향력을 제공하여 그 제 2 힌지핀(5)의 선단 마찰면(52)이 제 2 힌지공(24) 내의 마찰면(242)에 대해 강하게 접촉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제 2 힌지핀(5)은 자체 일부의 외주 형상 및 이에 상응하는 제 2 힌지공(24)의 내측 구멍 형상에 의해 커버(3)의 정해진 회동구간에서만 그 커버(3)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상기 제 2 회전핀(5)이 커버(3)와 함께 회전하는 동안, 제 2 힌지핀(5)의 선단 마찰면(52)과 이에 상응하는 제 2 힌지공(24)의 마찰면(242) 사이에는 커버(3)의 회동속도를 점진적으로 감소시키는 마찰저항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화장품 콤팩트(1)는 분리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힌지핀(4, 5)과 그 사이에 개재된 하나의 스프링부재(9)만으로 용기(2)에 대한 커버(3)의 반자동 개폐 및 커버(3)의 밀폐력 제공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1)의 힌지축을 종래에 비해 크게 줄여줘서, 사각형의 화장품 콤팩트에 비해 불가피하게 힌지축이 짧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형의 화장품 콤팩트 구조에 매우 적합하다.
한편, 제 1 힌지공(22)의 내측 및 제 1 힌지핀(4)의 선단에 각각 마련된 캠프로파일들(8a, 8b)은 스프링부재(9)를 압축 또는 복원시켜 커버(3)를 반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기능을 함은 물론이고 스프링부재(9)의 복원력에 의해 자동 개방되는 커버(3)가 미리 정해진 위치,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커버(3)에 마련된 거울을 보면서 쉽게 메이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서 자동 정지시키는 기능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이하에서 도 5 내지 도 7의 설명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커버(3)가 용기(2)에 대해 회동하여 화장품 콤팩트를 개방시키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5의 과정에 따라 제 1 힌지공(22)의 내측 및 제 1 힌지핀(4)의 선단에 마련된 캠프로파일들(8a, 8b)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에서, 도 6은 도시의 편의를 위해 서로 상호작용하는 캠프로파일들(8a, 8b)을 전개하여 도시한 것으로 0°로 도시된 부분과 360°로 도시된 부분은 서로 같은 부분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의 전개도에는 한 쌍의 산 및 골들이 각각 나타나 있으며, 특히, 제 1 힌지공(22) 내의 캠프로파일(8a;이하, 제 1 캠프로파일로 칭함)은 제 1 힌지핀(5) 선단의 캠프로파일(8b;이하, 제 2 캠프로파일로 칭함)의 산끝(82b)과 맞물리는 걸림홈(82a)을 자체의 골 부분에 구비하고 있다.
특히, 상기의 걸림홈(82a)은 골 부분 중에서도 특히 제 1 캠프로파일(8a)의 산과 골이 서로 경계를 이루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어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이 상기 제 1 캠프로파일(8a)의 산을 타고 미끄러진 후 바로 맞물리게 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버(3)가 용기(2)에 대해 닫힘위치(CLP)로부터 스위칭위치(SWP) 및 제 1 개방위치(OPP1)를 지나 제 2 개방위치(OPP)까지 회동하고,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8a, 8b)이 상기의 닫힘위치(CLP)로부터 2차 개방위치(OPP2)까지 각각의 위치에 상응하게 서로 상대적인 운동을 함을 알 수 있다.
먼저, 닫힘위치(CLP)에서, 용기(2)와 커버(3)는 서로 포개져 있으며 제 1 캠프로파일(8a)의 평탄한 골 부분에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이 접해 두 캠프로파일 간에는 상호 상대 운동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의 닫힘위치(CLP)에서, 용기(2)와 커버(3)는 서로 밀폐된 상태로 유지되는데, 이 밀폐상태는 앞서 언급된 스프링부재(9)가 상기 담힘위치(CLP)에서 초기압축상태로 존재함으로써 가능하다.
그 후,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커버(3)가 용기(2)에 대해 스위칭위치(SWP)까지 회동되며, 이 회동구간 동안, 선단에 제 2 캠프로파일(8b)을 갖는 제 1 힌지핀(4)은, 후퇴와 동시에 그 뒷쪽에 접해있는 스프링부재(9)를 압축시키게 된다.
스위칭위치(SWP)는 커버(3)가 용기(2)에 대해 자동으로 개폐되기 시작하는 위치로서, 이 위치에서는, 제 1 캠프로파일(8a)의 걸림홈(82a)과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이 접해 있어, 커버(3)의 회동구간 동안 제 1 힌지핀(4)이 최대로 후퇴된 위치, 그리고 스프링부재(9)가 최대로 압축된 위치를 이루게 된다.
커버(3)가 스위칭위치(SWP)를 지나면, 상기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이 제 1 캠프로파일(8a)의 산 경사면을 따라 미끄러지게 되며, 이는 제 1힌지핀(4)이 상기의 제 1 힌지공(22)을 향해 전진되게 하는 한편 상기 스프링부재(9)가 최대 압축된 상태로부터 복원되게 해주어 스위칭위치(SWP) 이후에 커버(3)가 소정구간 동안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후, 상기 커버(3)는 스위칭위치(SWP)로부터 1차 개방위치(OPP1)까지 회동되어 그 1차 개방위치(OPP1)에서 정지되는데, 이 1차 개방위치(OPP1)는 사용자가 거울(31)을 보면서 메이크업하기 쉬운 위치, 바람직하게는 커버(3)가 용기(2)에 대해 약 100~150°로 회동된 위치로 정해진다.
제 1 개방위치(OPP1)에서의 상기 커버(3)의 정지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이 제 1 캠프로파일(8a)의 걸림홈(82a)에 맞물리게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 걸림홈(82a)은 앞서 간략히 언급한 바와 같이 제 1 캠프로파일(8a)의 골 부분, 특히 의 산과 골이 경계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그 후, 사용자는 커버(3)에 힘을 가하여 그 커버(3)의 회동각도를 1 차 개방위치(OPP1)와 2차 개방위치(OPP2) 사이에서 임의대로 조절할 수 있는데, 이 조절구간에서는,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이 제 1 캠프로파일(8a)의 평평한 골 부분에 접한 채 움직이므로, 이에 상응하는 제 1 힌지핀(4)의 어떠한 직선운동 및 이에 따른 스프링부재(9)의 어떠한 압축/또는 복원도 일어나지 않는다. 이 때, 상기한 제 1 개방위치(OPP1)를 한정하는 걸림홈(82a)의 형상이 이에 맞물린 산끝(82b )으로부터 쉽게 해제될 수 있도록 형상화됨은 첨부 도면들의 이해를 통해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힌지핀(5)이 원형의 외주로부터 반지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지붕형의 연장부(53)를 구비하여, 제 1 회전반경(r1)과 제 2 회전반경(r2)을 갖는 한편, 관통힌지공(32)이 상기 제 2 힌지핀(5)의 제 1 회전반경(r1)에 상응하는 제 1 회전허용반경(R1)과 제 2 회전반경(r2)에 상응하는 제 2 회전허용반경(R2)을 갖도록 형상화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 2 힌지핀은(5)은 제 2 회전허용반경(R2)이 마련된 관통 힌지공 내 일부 구간에서만 커버(3)의 독립적인 회동을 허용하고, 반대로 제 2 회전허용반경(R2)이 마련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상기의 관통힌지공(32)과 맞물린 채 커버(3)와 함께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7은, 커버(3)가 닫힘위치(CLP)로부터 스위칭위치(SWP) 및 1차 개방위치(OPP1)를 지나 2차 개방위치(OPP2)까지 회동하는 동안, 커버(3)와 그 커버(3)의 관통힌지공(32)에 끼워진 제 2 힌지핀(5)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힌지핀(5)이 커버(3)와 일체로 회전하는 구간은 스위칭위치(SWP)와 2차 개방위치(OPP2) 사이로 한정되어 있으며, 닫힘위치(CLP)와 스위칭위치(SWP) 사이에서는 상기 커버(3)가 상기 제 2 힌지핀(5)과 별도로 회동되며, 이는 상술한 제 2 힌지핀(5) 및 이에 상응하는 관통힌지공(32)의 형상에 기인한다.
그리고, 제 2 힌지핀(5)이 회전함에 따라, 그 제 2 힌지핀(5)은 그 선단의 마찰면(52)이 제 2 힌지공(34) 내의 마찰면(242)과 상호작용하여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며, 이 마찰저항은 스위칭위치(SWP)를 지나 가속되는 커버(3)의 회동속도를 1차 개방위치(OPP1)까지 점진적으로 감소시켜주는 기능을 한다(도 2 참조).
게다가, 상기 제 2 힌지핀(5)은 커버(3)가 닫힘위치(CLP)로부터 스위칭위치(SWP)까지 개방될 때 그리고 2차 개방위치(OPP2)로부터 제 1 개방위치(OPP1)까지 닫혀질 때 회전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으로 화장품 콤팩트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장품 콤팩트(1)가 화장품 유지공간(21)의 위쪽으로 화장품 파우더용 분첩(P)을 유지시키도록 마련된 분첩유지유닛(6)을 더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분첩유지유닛(6)은, 분첩(P)이 유지되는 오목공간(61)을 갖도록 그 오목공간을 둘러싸는 원형의 테두리벽(62)을 갖는 분첩유지컵(60)과, 그 오목공간에 유지된 분첩(P)을 눌러 고정시키는 누름돌기(72)를 일체로 구비하는 분첩고정구(70)를 포함한다.
상기 분첩유지컵(60)과 분첩고정구(70) 각각은 상기 용기(2)의 힌지보스(23)로부터 연장된 중공암(23a, 25a)의 외주면에 힌지식으로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서만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며, 이를 위해, 상기 분첩유지컵(60) 및 분첩고정구(70)는 상기의 중공암들(23a, 25a)의 외주면에 꼭 맞게 끼워지는 힌지후크(65, 75)을 각각 일체로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의 분첩유지컵(60)은, 테두리벽(62)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형성된 손가락 걸림 플랜지(63)를 일체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그 분첩유지컵(60)을 들어올린 후 그 아래쪽의 파우더 화장품을 쉽게 사용할 있도록 해주는 한편, 테두리벽 전방에 분첩(P)이 앞쪽으로 빠질 수 있는 정도로 형성된 개방부(64)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분첩고정구(70)를 따로 들어 올리지 않고서도 분첩(P)을 앞으로 빼낼 수 있게 해준다. 이 때, 용기(2)의 벽 전방 상단에는 분첩이 앞으로 빠질 때 그 벽에 크게 간섭됨 없이 빠질 수 있도록 분첩 걸림 방지 경사부(2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분첩고정구(70)는 자체 구비된 누름돌기(72)가 분첩유지컵 (60)내 분첩(P)을 눌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되, 그 분첩유지컵(60)을 들어올리는 동작에 의해 그 분첩유지컵(60)과 함께 들어올려지고, 또한 커버(3)를 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분첩유지컵(60)과 함께 회동되어 화장품 용기(2) 상단에 바람직하게 안착되게 된다.
도 8은, 상기한 분첩유닛(6)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상태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분첩을 빼낸 후 상기한 화장품 콤팩트를 메이크업을 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사용하는 과정 그리고 메이크업 후 다시 분첩을 분첩유지 유닛에 넣어 커버를 닫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가 닫힘위치(CLP)로부터 1차 개방위치(OPP1)까지 회동된 후 분첩(P)이 분첩유지컵(6)의 개방부를 통해 전방으로 빼내지고, 그 다음, 상기한 커버(3)가 1차 개방위치(OPP1)로부터 메이크업 및 거울보기에 적합한 2차 개방위치(OPP2)로 회동된 후, 사용자가 손가락 걸림 플랜지(63)를 잡고 분첩유지컵(60)을 들어올리면, 분첩유지컵(60)과 함께 분첩고정구(70)가 함께 들어올려지며, 그 다음, 분첩유지컵(60)이 분첩고정구(70)와 별도로 상기 용기(2)의 상단에 안착된 후, 커버(3)를 다시 닫힘위치(CLP)까지 닫는 동작에 의해, 상기 분첩고정구(70)는 자체에 일체로 구비된 누름돌기(72)가 분첩유지컵 내 분첩(P)을 고정할 수 있는 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이제, 도 1 및 9를 참조로 하여, 커버(3)와 용기(2)를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하는 공정 및 이를 위한 구성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질 것이다.
도 1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제 1 및 제 2 힌지핀(4, 5)은 관통힌지공(32)에 끼워진 상태로 원터치 방식으로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에 각각 끼워져서 상기한 용기(2)와 커버(3)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힌지핀(4)이 그 선단을 향해 수렴되는 형태의 중공부(44)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제 2 힌지핀(5)은 상기 중공부(44)를 관통하도록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탄성분기부(54)를 구비한다.
이 때, 상기 제 1힌지핀(4)과 상기 제 2 힌지핀(5)의 임시적인 맞물림은 탄성분기부(54)의 분기된 두 부분의 선단에 마련된 걸림편(54a, 54b)이 상기 제 1 힌지핀(4)의 캠프로파일(8b) 부근에 걸림으로써 가능하다.
용기(2)와 커버(3)의 조립 전에, 제 1 힌지핀(4)과 상기 제 2 힌지핀(5)은 상기의 걸림편(54a, 54b)이 제 1 힌지핀(4) 캠프로파일(8b) 부근에서 걸려지는 것에 의해 상기 관통힌지공(32) 내에서 상호간 거리가 축소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기 용기(2)와 커버(3)가 조립되는 동안에는, 제 1 힌지핀(4)의 캠프로파일(8b)과 제 2 힌지핀(5)의 경사면(52)이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의 입구들 부근, 즉 중공암들(23a, 25a) 각각의 단부에 미끄러지면서, 제 1 및 제 2 힌지핀(4, 5)이 임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제 1 힌지공(22)과 제 2 힌지공(24) 사이로 수평되게 삽입되어지는 것을 허용한다.
이 때, 상기 제 1 힌지핀(4)이 후퇴하면서, 상기 중공부(44)의 수렴되는 형상에 의해, 탄성분기부(54)의 분기된 두 부분이 서로 좁혀지며, 그 두 부분의 좁혀짐은 그 선단에 마련된 두 걸림편(54a, 54b) 사이의 거리를 보다 좁혀주게 된다.
그 후, 두 걸림편(54a, 54b) 사이의 거리가 중공부(44)의 선단 직경보다 작아지면, 상기의 제 1 힌지핀(4)과 탄성분기부(54) 사이의 맞물림은 해제되게 되며, 이는 제 1 및 제 2 힌지핀(4, 5)이 서로 분리된 채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핀(4, 5)이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 내로 삽입되는 힘은 제 1 힌지핀(4)과 제 2 힌지핀(5)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부재(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발생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장품 콤팩트의 반자동 개폐 및 닫힘위치에서의 밀폐가 가능함은 물론이고,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하고 또한, 힌지축의 거리를 종래 화장품 콤팩트보다 크게 짧게 할 수 있어 예를 들면, 원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등과 같은 비사각형 구조의 화장품 콤팩트의 반자동 개폐에 적합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그 구성이 단순하고 힌지축의 거리가 짧음에도 불구하고 마찰발생에 의해 커버의 회동을 감쇄시켜주는 기능 및 미리 정해진 구간에서 커버의 회동각도를 임의로 조절하는 기능 등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품 파우더용 분첩을 바람직하게 유지 및 고정시킬 수 있는 분첩유지유닛을 더 구비하되, 그 분첩유지유닛이 사용자에 의해 매우 편리하게 이용되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와 커버를 보다 쉽게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다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콤팩트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콤팩트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커버가 용기에 대해 90°회동된 상태에서 도시된 도면.
도 4는 도 2의 I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로서, 커버가 용기에 대해 90°회동된 상태에서 도시된 도면.
도 5는 본 실시예의 화장품 콤팩트가 담힘위치(CLP)로부터 2차 개방위치까지(OPP2)까지 개방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닫힘위치(CLP)로부터 2차 개방위치(OPP2)까지 화장품 콤팩트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자체 구비된 캠프로파일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 및 도 6의 닫힘위치(CLP)로부터 2차 개방위치(OPP2)까지 자체 구비된 커버와 제 2 힌지핀의 상호관계를 순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실시예의 화장품 콤팩트로부터 분첩을 빼내거나 그 화장품 콤팩트에 다시 분첩을 집어넣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보여줄 수 있도록 도시되어진 도면.
도 9는 본 실시예의 화장품 콤팩트를 원터치 조립방식으로 조립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7)

  1. 서로 마주하는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이 형성된 한 쌍의 힌지보스(23, 25)을 일측에 구비하는 화장품용기(2);
    상기 제 1힌지공(22)과 상기 제 2 힌지공(24) 사이에 위치되는 관통힌지공(32)을 일측에 구비하는 화장품커버(3);
    상기 제 1 힌지공(22) 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채 상기 관통힌지공(32) 내에 축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게 끼워지는 제 1 힌지핀(4);
    상기 제 1 힌지핀(4)과 별도로 상기 관통힌지공(32)에 끼워진 채 상기 제 2 힌지공(24)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제 2 회전핀(5);
    상기 제 1 힌지공(4)의 내측 및 상기 제 1 힌지핀의(22) 선단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커버(3)의 회동시 상기 제 1 회전핀(4)을 직선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8a, 8b); 및
    상기 제 1 힌지핀(4)과 상기 제 2 힌지핀(4) 사이에 직접적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 1 힌지핀(4)의 직선운동에 따라 압축 및 복원되어 소정 회동구간에서 커버(3)에 회전토크를 제공하는 스프링부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8a, 8b)은 각각 한 쌍의 산과 골이 원형으로 이루면서 축방향으로 교호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캠프로파일(8a)은 자체의 산과 골이 경계를 이루는 부분에서 상기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과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걸림홈(82a)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재(9)는 닫힘위치(CLP)에서 초기 압축된 상태로 존재하여 상기 용기(2)에 대한 커버(3)의 밀폐력을 제공하고,
    그 닫힘위치에서(CLP) 상기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은 제 1 캠프로파일(8a)의 평평한 골 부분에 접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8a, 8b)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스프링부재(9)의 탄성력이 바뀌는 스위칭위치(SWP)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캠프로파일(8a, 8b)은 자체의 산끝(82a, 82b)들이 서로 접해 있으며,
    상기 커버(3)가 상기 용기에(2) 대해 100~150°회동된 위치로 미리 정해진 1차 개방위치(OPP1)에서 상기 제 1 캠프로파일(8a)의 걸림홈(82a)에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이 맞물리며,
    상기 커버(3)는 상기 1차 개방위치(OPP1)를 지나 상기 용기에 대해 180°미만의 2차 개방위치(OPP2)까지 더 개방되어지며,
    상기 1차 개방위치(OPP1)와 상기 2차 개방위치(OPP2) 사이의 구간은 상기 제 2 캠프로파일(8b)의 산끝(82b)이 상기 제 1 캠프로파일(8a)의 골부분 상에서 위치하는 구간으로 미리 정해지는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힌지핀(5) 및 상기 제 2 힌지공(24)은 서로 면접촉하여 상기 제 2 힌지핀의 회전에 따라 마찰저항을 발생시키는 경사면들(52, 242)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제 2 힌지핀(5)이 상기 커버(3)와 함께 회전하는 구간은 상기 스프링부재(9)의 복원력이 발생되기 시작하는 스위칭위치(SWP) 이후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첩(P)의 유지를 위해 오목공간(61)을 구획형성하는 테두리벽(62)을 일체로 갖는 분첩유지컵(60)과, 그 오목공간(61)에 유지된 분첩(P)을 눌러 고정하는 누름돌기(72)를 일체로 갖는 분첩고정구(70)로 구성된 분첩유지유닛(6)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첩유지컵(60) 및 상기 분첩고정구(70) 각각은 상기 한 쌍의 힌지보스(23, 25)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암들(23a, 25a)의 외주 상에 꼭 맞게 끼워지는 후크(65, 75)를 일체로 구비하여 외력에 의해서만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벽(62)의 상단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려지는 손가락 걸림 플랜지(63)가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테두리벽(62)의 전방에는 상기 분첩(P)이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허용하는 개방부(6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힌지핀(4)은 관통형의 중공부(44)를 축방향으로 구비하며,
    상기 제 2힌지핀(5)은 두 부분이 탄성적으로 벌려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게 되어 있는 탄성분기부(54)를 축방향으로 연장되게 구비하며,
    상기 탄성분기부(54)는 그 두 부분의 선단에 상기 제 1 힌지핀(4)의 캠프로파일(8b) 부근에 걸려지는 걸림편(54a, 54b)이 마련되어, 용기(2)와 커버(3)의 조립 전에 상기 1 및 제 2 힌지핀(4, 5)이 상기 스프링부재(9)를 사이에 둔 채 소정거리로 맞물려지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핀(4, 5)은 제 1 및 제 2 힌지공(22, 24)의 입구부분에서 미끄러지는 캠프로파일(8b) 및 경사면(52)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힌지핀(4, 5)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기 제 1 힌지공(22)과 제 2 힌지공(24) 사이로 수평되게 1차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며,
    상기 관통형의 중공부(4)는 선단을 향해 수렴되는 형상을 가져, 상기 1차 삽입 및 이에 따른 제 1 힌지핀(4)의 후퇴와 함께, 상기 탄성분기부의 걸음편(54a, 54b) 사이가 좁혀지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KR1020030055073A 2003-08-08 2003-08-08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KR200500171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73A KR20050017145A (ko) 2003-08-08 2003-08-08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5073A KR20050017145A (ko) 2003-08-08 2003-08-08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667U Division KR200338732Y1 (ko) 2003-08-08 2003-08-08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7145A true KR20050017145A (ko) 2005-02-22

Family

ID=3722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5073A KR20050017145A (ko) 2003-08-08 2003-08-08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714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725B1 (ko) 컬링 마스카라
JP4797022B2 (ja) 内容物ケースがスライド自在に挿脱される構造を持つコンパクト容器
CN111386058B (zh) 用于以预定角度控制旋转体的旋转角度的杆状化妆品容器
JP4943509B2 (ja) 運動が切り離された一体の化粧用コンパクト
WO2007066086A1 (en) Cosmetics case with applicator holder
KR101222087B1 (ko) 다단형 화장품 용기
CN104886914A (zh) 具有杆状化妆品容器的粉盒容器
JP2019522518A (ja) テンション部が一体に形成されたコンパクト容器
KR100526307B1 (ko) 휴대용 화장품케이스
KR200338732Y1 (ko)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KR200338810Y1 (ko) 자동 개방형 화장품 콤팩트
KR20050017145A (ko) 짧은 힌지축을 갖는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KR200471805Y1 (ko)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FR2688987A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notamment de produit de maquillage.
KR20050027322A (ko) 자동 개방형 화장품 콤팩트
KR200354444Y1 (ko) 캠 구동형 힌지조립체를 갖는 화장품 콤팩트
FR2947159A1 (fr)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un article cosmetique
KR200332083Y1 (ko)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US20170042310A1 (en) Case for a stick of material to be applied by friction rubbing and product comprising the stick in such a case
KR20040106930A (ko) 반자동 개폐형 화장품 콤팩트
KR102018459B1 (ko) 반자동 개폐 기능을 구비한 헤어 기기 보관 케이스
KR20050090160A (ko) 캠 구동형 힌지조립체를 갖는 화장품 콤팩트
JPH11346825A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KR200438024Y1 (ko) 푸쉬레버에 의한 커버의 자동 오픈구조를 갖는 화장품 용기
KR200225143Y1 (ko) 콤팩트 케이스 뚜껑의 개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