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989A -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 - Google Patents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989A
KR20050016989A KR10-2005-7000219A KR20057000219A KR20050016989A KR 20050016989 A KR20050016989 A KR 20050016989A KR 20057000219 A KR20057000219 A KR 20057000219A KR 20050016989 A KR20050016989 A KR 20050016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terminals
user
presence inform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혼카라아누
아르노스지르키
카이타니에미주하
칼리오쿨주주하
레파넨에바메리아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05-700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6989A/ko
Publication of KR20050016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9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4Presence management, e.g. monitoring or registration for receipt of user log-on information, or the connection status of the u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20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복수의 단말기들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유저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저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1 메세지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와, 여기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식별자 및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유저의 다른 단말기들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되는 상기 메세지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메세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UPDATING PRESENCE INFORMATION}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유저 상태 정보, 승인 정보, 및 다른 네트워크 정보와 같은 프리젠스 정보의 관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에서의 프리젠스 서비스에 관한 것이나, 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3 세대 IMS(IP Multimedia Core Network Subsystem) 통신 시스템에서, "프리젠스 서비스"가 유저들에게 이용될 것이다. 상기 프리젠스 서비스는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고, 이를 배포하는 서버를 이용한다. 저장된 정보는 예를 들어, 유저의 통신하고자 하는 의사 또는 통신할 수 있는 능력에 관련될 수 있거나, 또는 유저들 또는 그래픽 데이터에 관련된 일반적인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는 유저들에게 하나 이상의 유저(들)에 관련된 상태 정보를 수신할 기회를 제공한다.
상기 서버는 "프리젠티티들(presentities)", 즉 저장 및 배포될 정보를 제공하는 유저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다른 유저들은 그 후 상기 서버로부터 이러한 프리젠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자(watcher)" - 이는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 정보를 수신하는 유저를 의미한다 - 는 특정한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 정보에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변화를 통지받기 위하여 상기 프리젠스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을 것이고, 또는 감시자는 특정한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 정보의 현재 값을 단순히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대안적으로, 감시자는 일련의 프리젠티티들 중 임의의 프리젠티티의 프리젠스 정보에 변화를 통지받도록 상기 서비스에 가입할 수 있을 것이다.
프리젠스 서비스에 의하여 저장 및 배포될 수 있는 상세한 예들은 다음과 같은 바: 물리적 위치(예를 들어, "사무실에서" 또는 "가정에서"); 통화 상태(예를 들어, "통신을 수신할 준비가 되어 있음 또는 "다른 통화 중" - 상대방의 동일성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통화를 수신할 의사(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또는 "미팅 중인" - 이는 누가 요구하는지에 의존할 수 있다); 및 바람직한 매체(예를 들어, 영상, 음성, 단문 메세징(IM:instant messaging), 이메일) 이다. 상기 감시자에게 제공되는 프리젠티티의 정보의 내용은 상기 프리젠티티에 대한 상기 감시자의 관계에 의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친구는 상세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반면, 제 3자는 제한된 정보만을 수신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도달가능성(reachability) 서비스, 위치 기반 통화 스크린, 라이브 접속 및 화상 회의와 같은 많은 발달된 서비스들이 프리젠스 정보의 사용을 통하여 이용가능해질 것이다. 프리젠스가 어디에나 존재하게 되면, 서비스 가입자들은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가입하지 않은 누구와도 통신을 설정하기 전에 통신 상태를 체크하려 할 것이다. 먼저 개인의 통신 상태 및, 그가 통신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을 알게 되면, 지속적인 통화중 신호음 및 "폰 테그(phone tag)"에 의한 짜증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상상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프리젠스를 통하여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들에 대한 끈임없는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ISIM(IMS 가입자 식별 모듈)은 IMS 네트워크에 대한 가입을 식별하지만 단말기를 식별하지 않으므로, 따라서 프리젠스 정보 갱신이 개시되는 특정한 단말기를 식별할 수 없다.
그러므로, 현재 IP-기반 3G 시스템에서 단일 유저에 관련된 다중 단말기들의 사용을 지원하기 위한 설비가 존재하지 않는다. 유저는 예를 들어, 이동 전화기, PC, 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거쳐서 프리젠스 정보에 액세스할 것을 원할 수 있다. 또한, 가능하게는 상기 프리젠스 서비스에 갱신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단말기가 유저들의 다른 단말기들과 동기성(synchronization)인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젠스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향상된 기술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점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극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3G IMS 네트워크에서 여러 단말기들이 하나의 프리젠스 가입자와 관계하고, 여러 단말기들이 다른 가입자들과 관계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전송되는 신호 시퀀스를 보인 시그널링 차트를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계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기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유저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저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에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상기 방법은: 제 1 메세지를 상기 단말기들 중 제 1 단말기로부터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세지는 프리젠스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프리젠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중의 나머지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되지 않는다.
장점적으로, 이는 유저로 하여금 자신의 관련 단말기들 중 임의의 하나로부터 자신의 정보를 갱신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유저의 나머지 단말기들에는 모든 단말기의 정보가 동기상태로 남아있도록 상기 갱신이 계속 통보되는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제 1 단말기에 전송되는 제 2 메세지는 과다할 수 있어, 여분의 공간 스페이스를 요구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서버는 상기 제 2 메세지를 상기 유저의 나머지 단말기들 중 일부 또는 모두에게만 전송하는 것이 장점적이다.
표준 가입 및 통지 메세지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이다. 이러한 메세지들은 IEFT 및 3G IMS 시스템 모델들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가입 및 통지 메세지는 유저들 및 서버들에 의하여 프리젠스 서버 내에서 개별적으로 전송된다. 다른 서비스들 또는 개념들이 또한 같은 표준 메커니즘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상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기들에 관련된 적어도 한 유저 및 상기 적어도 한 유저의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와, 그리고 복수의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바,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들 중 제 1 하나로부터 제 1 메세지를 수신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세지는 프리젠스 정보 및 상기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프리젠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출력 수단을 또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유저 단말기들의 나머지 것들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상에서, 본 발명은, 복수의 단말기들에 관련된 적어도 한 유저 및 상기 적어도 한 유저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 여기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들 중 제 1 하나로부터 제 1 메세지를 수신하는 입력 수단과, 여기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프리젠스 정보 및 상기 제 1 단말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프리젠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단말기의 나머지 중 적어도 하나에 전송된다.
이제 하기의 실시예(본 발명이 이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를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본 발명은 3G IMS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서 프리젠스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네트워크에서의 이러한 서비스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먼저, 도 1에서, 단말기 (2a, 2b, 2c)는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프리젠스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50)와 관계한다. 프리젠스 서비스는 이동 네트워크의 어플리케이션 서버 -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젠스 서버(1)이다 - 에 의해 관리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단말기(2a)는 유저의 이동 전화이고, 단말기(2b)는 유저의 PC이며, 단말기(2c)는 유저의 PDA 이다. 유저(50)는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서비스에 별도의 단말기들을 부가할 수 있거나, 혹은 단말기들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유저의 프리젠스 정보는 프리젠스 서버(1)에 저장된다(이 정보의 적어도 일부 사본이 또한 유저의 단말기에 저장된다). 도 1에서, 각 단말기(2a, 2b, 2c)와 유저(50)는 양자 모두 그들과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이 프리젠스 정보 및 다른 유저 및 다른 단말기들의 프리젠스 정보는 정보 블록(10 내지 19)으로서 프리젠스 서버(1)에 저장된다.
만일 감시자가 유저(50) 및 이 유저의 모든 단말기들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면, 프리젠스 서버(1)는 단말기(2a, 2b, 2c) 및 유저(50)의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프리젠스 문서"를 생성한다. 그후, 이 프리젠스 문서는 상기 와처에 전송된다. 여러 가지 대안들에서, 감시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프리젠스 문서는 유저(50)의 프리젠스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혹은 하나 이상의 단말기의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특정 프리젠티티의 단말기 또는 특정 유저에 특정 프리젠티티 문서가 지정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프리젠스 문서는 복수의 단말기 또는 프리젠시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고 그리고/또는 이 정보는 그들 모두에게 공통적일 수도 있다.
감시자에게 전송되는 프리젠스 정보들에는 예컨대, 유저(50)에 의해 이용되는 서로 다른 단말기들에 대한 세부 사항, 통신을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들의 이용가능성, 소정 시간에 각 단말기의 통신을 위한 수단, 및 상기 서로 다른 단말기들에 공통적인 상기 유저에 관한 정보들이 포함된다. 만일 필요로 되는 경우, 거의 모든 종류의 정보가 프리젠스 문서에 포함될 수 있음이 인식된다.
유저(50)는 3개의 단말기(2a 내지 2c)중 어느 것을 통하여 서버(1)와 통신할 수 있다. HTTP 또는 기타 프로토콜들이 이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또한 3G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다른 프리젠티티들 또는 감시자들의 단말기(3 내지 8)를 도시한다. 단말기(3 내지 8) 각각은 SIP, HTTP 또는 기타 등을 통해 서버(1)와 통신할 수 있다. 프리젠스 서비스에 가입한 각 프리젠티티는 관련 프리젠스 정보 블록, 예컨대 블록들(10, 11, ...19)중 하나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유저(50)의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시 전송되는 신호들을 보인 것이다. 도 3은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자신의 프리젠스 정보를 갱신하는 유저와 관련된 이벤트의 시퀀스를 예시하는 대응 플로우 챠트를 보인 것이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참조로하여 본원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예에서, 유저(50)는 가입 메시지를 프리젠스 서버(1)에 전송하기 위하여 자신의 이동 전화(2a)와 같은 그러한 단말기들 중 하나를 이용한다. 가입 메시지는 전형적으로 SIP (세션 개시 프로토콜) 메시지로 된다. 이 전송은 도 2에서 도면부호 20으로 그리고 도 3에서 단계(100)로서 도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단말기(2b, 2c)는 서버(1)에 의해 제공되는 프리젠스 정보에 이미 가입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젠스 서비스에서, SIP 가입 메시지에는 대응하는 SIP 통지 메시지가 후속된다. 예컨대, 만일 한 유저가 또 다른 유저의 프리젠스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가입을 하게 되면, 이 유저는 후속하여 통지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이 가입한 이벤트의 상태 - 예컨대, 다른 유저의 프리젠스 정보 - 를 표시하게 될 것이다. 이 통지 메세지는 다른 유저에 관한 프리젠스 서버(1)에 현재 유지된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할 것이며, 프리젠스 문서로 구성될 수 있다. 프리젠스 정보가 전송되기에 앞서, 프리젠스 서버(1)에 의해 인증 검토가 수행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1)는 각 프레젠티티 자신에 의해 설정되는 이 프레젠티티에 대한 액세스 제어 목록을 구비하는바, 이 목록은 어떤 다른 프레젠티티들 및/또는 감시자들이 그의 정보에 액세스될 수 있는 지를 특정한다.
가입자는 또한 다른 유저의 프레젠스 정보가 변경될때마다 매번 통지 메세지를 수신할 것이다. 이러한 통지 메세지는 도면들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는 당업자에게 익숙한 것이다.
유저가 특정 프리젠스 정보에 가입하여 특정 정보가 갱신될 때 이 유저가 단지 통지 메세지만을 수신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저(50)가 프리젠스 서버(1)에 가입한 후 수시간내에 이 유저는 그의 PC(2b)를 이용하여 자신의 프리젠스 정보를 갱신한다. 유저(50)는 메시지(21)를 서버(1)에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메세지(21)는 갱신을 위해 이용되는 단말기의 식별자, 즉, PC(2b)에 대한 식별자를 포함한다. 메세지(21)는 또한 유저(50)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이 유저 식별자는 HTTP URL의 형태로 될 수 있으며, 유저(50)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세지(21)는 또한 예컨대 상기 유저가 임의의 수단을 통해 통신을 수신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지 와 같은 그러한, 유저(50) 또는 단말기(2b)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저는 미팅시 자신의 이동전화에 전화가 걸려오는 것이 차단되기를 바랄 수도 있다. 이 유저는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에 의해 방해를 받고 싶지 않음을 표시하는 메세지를 서버에 전송할 수도 있다. 그러면, 이 서버는 그 정보를 유저의 프리젠스 정보에 가입된 모든 감시자들에게 전송할 것이다. 갱신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도 3에서 도면부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어서, 서버(1)는 메서지(21)를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적절한 프리젠스 정보 블록(10 내지 19)을 식별하고, 그 갱신된 프리젠스 정보를 프리젠스 정보 블록(10 내지 19)에 저장한다. 수신 및 저장 단계는 도 3에서 각각 도면부호 102와 103으로 표시되어있다.
이 서버는 유저(50)의 단말기들중 어느 것이 메세지(21)를 전송하였는지를 결정하기위해 단말기 식별자를 이용하며, 결과적으로 프리젠스 정보를 갱신하는데 사용되지 않은 단말기(2a, 2c)에 통지 메세지(22)를 전송한다 (도 3에서 단계 104). 이후, 유저(50) 또는 이 유저의 단말기들중 하나 이상의 프리젠스 정보를 정의하는 통지 메세지의 내용들이 단말기(2a, 2c)에 의해 저장되어(도 3에서 단계 105) 유저(50)의 3개의 단말기들 각각은 그 단말기에 관한 프리젠스 정보의 국부적인 사본(local copy)을 가지며, 이 국부적인 사본들은 서로에 대해서 뿐만아니라 서버(10)에 있는 프리젠스 정보 블록(10 내지 19)과 동기상태로 놓이게 된다. 전술한 바와같이, 어떠한 통지 메세지도 갱신 메세지(21)를 전송한 단말기(2b)에 전송되지 않는다.
단말기(2a, 2b)에 통지 메세지(22)를 전송하는 것 이외에, 서버(1)는 또한 상기 메세지(22)를 유저(50)의 프리젠스 정보에 가입된 그 어떤 다른 단말기(3 내지 8)에 전송하여, 이들 다른 가입자들에게 유저(50)의 프리젠스 정보에서의 변경을 알린다.
바람직하게, 유저는 PC로부터 자신의 프리젠스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제 1 메세지(갱신 메세지)가 PC들로 부터 전송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메세지가 PC로부터 전송되는 경우, 추가적인 인증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보안 목적을 위해 필요한 바, 그 이유는 PC들은 일반적으로 3G네트워크에 의해 인식되는 신원을 갖지 못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다른 단말기들로부터의 모든 가입 메세지들은 인증 메커니즘을 필요로 할 수 있다.
상기 갱신 메세지는 예컨대 유저의 이동 전화, PC 또는 PDA와 같은 그러한 유저의 단말기들중 어느 것으로 부터 프리젠스 서버에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갱신 메세지는, 유저가 접속하기를 원하는지 여부 및 만일 접속을 원한다면 어떤 수단에 의해 접속하기를 원하는지와 같은 그러한 유저의 상태에 관한 세부 사항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와 통신하는 단말기들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을 분명히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이 함축적으로, 분명하게 또는 포괄적으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그 어떤 특징 및 특징들의 조합을 포함하고 있음을 주목하고자 한다. 따라서, 당업자이면 상기 개시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1)

  1. 복수의 단말기들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유저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저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중의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1 메세지를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세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식별자 및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프리젠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단말기들중의 나머지 것들중 적어도 하나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중 복수의 나머지 것들에게 상기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중 나머지 모든 것들에게 상기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6. 이전의 항들중 어느 항에 있어서,
    기타 유저들과 관련된 단말기들에게 상기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타 유저들은 감시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8. 이전의 항들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제 1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9. 이전의 항들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상기 유저와 상기 제 1 단말기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유저와 상기 제 1 단말기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11. 이전의 항들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유저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12. 이전의 항들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개인용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13. 이전의 항들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SIP 메세지 또는 HTTP 메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14. 이전의 항들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SIP 메세지 또는 HTTP 메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방법.
  15. 복수의 단말기들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유저를 포함하는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저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들중의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1 메세지를 수신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메세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식별자 및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젠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출력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유저의 단말기들중의 나머지 것들중 적어도 하나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단말기들중 복수의 나머지 것들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단말기들중 나머지 모든 것들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0.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나머지 유저들과 관련된 단말기들에게 상기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유저들을 감시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2. 제 15 항 내지 제 21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제 1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3. 제 15 항 내지 제 22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상기 유저와 상기 제 1 단말기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유저와 상기 제 1 단말기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5. 제 15 항 내지 제 24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유저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6. 제 15 항 내지 제 25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개인용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7. 제 15 항 내지 제 26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SIP 메세지 또는 HTTP 메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8. 제 15 항 내지 제 27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SIP 메세지 또는 HTTP 메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젠스 정보 관리서버.
  29. 복수의 단말기들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유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저와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들중의 제 1 단말기로부터 제 1 메세지-이 제 1 메세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식별자 및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를 수신하는 입력 수단과; 그리고 상기 프리젠스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단말기들중의 나머지 것들중 적어도 하나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단말기들중 복수의 나머지 것들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단말기들중 나머지 모든 것들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3. 제 30 항 내지 제 32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수단은 나머지 유저들과 관련된 단말기들에게 상기 제 2 메세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유저들은 감시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5. 제 30 항 내지 제 34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의 제 1 단말기는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6. 제 30 항 내지 제 35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상기 유저와 상기 제 1 단말기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상기 유저와 상기 제 1 단말기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된 프리젠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8. 제 30 항 내지 제 37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유저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9. 제 30 항 내지 제 38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이동 전화 또는 개인용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0. 제 30 항 내지 제 39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세지는 SIP 메세지 또는 HTTP 메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1. 제 30 항 내지 제 40 항 중의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메세지는 SIP 메세지 또는 HTTP 메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05-7000219A 2002-07-05 2003-07-03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 KR20050016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0219A KR20050016989A (ko) 2002-07-05 2003-07-03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215620.6 2002-07-05
KR10-2005-7000219A KR20050016989A (ko) 2002-07-05 2003-07-03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014A Division KR20070116125A (ko) 2002-07-05 2003-07-03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989A true KR20050016989A (ko) 2005-02-21

Family

ID=4178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219A KR20050016989A (ko) 2002-07-05 2003-07-03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698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1B1 (ko) * 2005-04-26 2007-10-18 (주)필링크 수신자의 현재 상태 정보 통지 방법 및 시스템
KR100836241B1 (ko) * 2006-11-06 2008-06-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부재중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10038996A3 (ko) * 2008-10-02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장치에서 프레젠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1B1 (ko) * 2005-04-26 2007-10-18 (주)필링크 수신자의 현재 상태 정보 통지 방법 및 시스템
KR100836241B1 (ko) * 2006-11-06 2008-06-09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부재중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10038996A3 (ko) * 2008-10-02 201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장치에서 프레젠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313515B2 (en) 2008-10-02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resence service in communication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6125A (ko)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
US75712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communication sessions based on priority, presence and preference information
CA2571413C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to enable querying of resources in a certain context by definition of sip event package
EP1806903B1 (en) Custom presence icons
US8332468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an address book
US7856478B2 (en) Presen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web services
US72219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enger service capable of changing messenger status information based on a schedule
KR100810253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메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22327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mmunication sessions set-up between users
US20070153709A1 (en) Method of notifying the presence of a terminal in a communications system and a system therefor
EP1363444B1 (en) Presence-aware private branch exchange (PBX)
EP2408164A1 (en) Displaying system, method and service server of media resource
US20090112926A1 (en) Utilizing Presence Data Associated with a Resource
US20080267371A1 (en) Telephone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US2015005556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across service domains
US20080168165A1 (en) Service provisioning system, service provision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for
WO2010034231A1 (zh) 一种电话本的实现方法,系统和地址服务器
CN101159910A (zh) 同步呈现状态的方法及实现该方法的群组服务器和终端
KR20050016989A (ko) 프리젠스 정보의 갱신
GB2433375A (en) Caller ID in an internet protocol (IP) based communications network
KR101268895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존재 정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1397898B1 (en) A method for distributing information in a presence service system
US9692845B2 (en) Permanent presence for polite block and confirm
EP20612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ing a communication session with personalised amb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918

Effective date: 2008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