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954A - Ballon catheter - Google Patents

Ballon catheter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954A
KR20050016954A KR10-2005-7000084A KR20057000084A KR20050016954A KR 20050016954 A KR20050016954 A KR 20050016954A KR 20057000084 A KR20057000084 A KR 20057000084A KR 20050016954 A KR20050016954 A KR 20050016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ction
distal
catheter
adjacent
transi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0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카라카니모르테차헴마티
Original Assignee
오르버스 메디칼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르버스 메디칼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르버스 메디칼 테크놀로지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to KR10-2005-700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6954A/en
Publication of KR20050016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954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관상형인 상대적으로 강성의 인접 샤프트 섹션, 및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보다 유연한 말단 샤프트 섹션을 포함하는 샤프트, 및 상기 말단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에서 연장되는 팽창가능한 볼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말단 샤프트 섹션내로 연장되는 인접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에는 유연한 전이 부재가 부착되는 볼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볼룬 카테터는 관상동맥 형성술(coronary angioplasty) 분야, 특히 경피적 트랜스루미널 관상동맥 형성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PTCA)에 채용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ft comprising a relatively rigid adjacent shaft section that is primarily tubular, and an end shaft section attached to a distal end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more flexible than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an expandable portion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shaft section. A ballon catheter, comprising a balloon, is attached to a distal end of an adjacent shaft section extending into the distal shaft section. The balloon catheter is employed in the field of coronary angioplasty, in particula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Description

볼룬 카테터{BALLON CATHETER}BALLON CATHETER}

본 발명은 관상형인 상대적으로 강성의 인접(proximal) 샤프트 섹션 및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보다 유연한 말단(distal) 샤프트 섹션을 포함하는 샤프트, 및 상기 말단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에서 연장되는 팽창가능한 볼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 및 말단 샤프트 섹션은 상기 볼룬으로 팽창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볼룬의 내부와 유체 연통하게 되는, 그 내부에서 연장되는 팽창 루멘을 형성하고, 상기 말단 샤프트 섹션은 가이드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단부와 상기 볼룬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와이어 입구 및 상기 볼론에 대해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나아가는 가이드 와이어 출구를 가지고, 말단 샤프트 세그먼트내로 연장되는 인접 샤프트 세그먼트의 말단부에는 유연한 전이 부재가 부착되는, 볼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볼룬 영역을 포함하는, 말단 샤프트 섹션의 관통부(through part)를 연장하는 상대적으로 짧은 말단 가이드 와이어를 갖는, 소위 "신속 교체 오버-더-와이어(rapid exchange over-the-wire)"의 확장(dilatation) 볼룬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볼룬 카테터는 관상동맥 형성술(coronary angioplasty) 분야, 특히 경피적 트랜스루미널 관상동맥 형성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PTCA)에서 폭넓게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ft comprising a tubular relatively rigid proximal shaft section and a distal shaft section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more flexible than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at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shaft section. An expandable balloon which extends, wherein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the distal shaft section form an expansion lumen extending therein that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balloon to apply an expansion pressure to the balloon; The distal shaft section includes a guide wire lumen for receiving a guide wire, the guide wire lumen disposed at an end relative to the bolon and the guide wire inlet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the ballon and of the catheter Guide wire exit to the outside Is, to a, bolrun catheter distal end of adjacent shaft segments which have a flexible transition member is attached extends into the distal shaft segment.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o-called " rapid exchange over-the-, " having a relatively short distal guide wire that extends through part of the distal shaft section, comprising a ballon region. wire) "dilatation ballon catheter. Such balun catheter is widely used in the field of coronary angioplasty, in particula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

형성술의 절차들은 다양한 종류의 혈관 질병(vascular disease)를 치료하는 효율적이고 유효한 방법으로서 폭넓게 인정받아 왔다. 특히, 형성술은, 신체의 여타 부위내의 협착증(stenosis)의 치료에도 사용될 수 있으나, 관상동맥내의 협착부(stenosis)를 개방시키는데 폭넓게 사용된다. 형성술의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태는 그것의 말단부에서 팽창가능한 볼룬을 지탱하는 확장 카테터를 필요로 한다. 통상적으로는, 초기에 환자의 대퇴부 동맥(femoral artery)내에 경피적으로 중공 가이드 카테터가 배치되며, 대동맥궁(aortic arch)에 걸쳐 하향 대동맥을 따라, 그리고 심장으로부터 안내되는 상향 대동맥내로 나아간다. 상기 가이드 카테터의 말단부는 가이드 카테터의 말단 팁이 우측 또는 좌측 관상동맥으로의 입구에 쉽게 배치될 수 있도록 특수하게 형상화된다. 이 가이드 카테터는 확장 카테터를 혈관계를 통해 상기 입구를 약간 지난 위치로 신속히 안내하는데 사용된다. 내과의는 형과투시법(fluoroscopy)을 사용하여, 볼룬이 협착부와 교차하여 위치될때까지 혈관계를 통한 궤적의 크게 만곡된 부분을 가로지르는 나머지 거리로 확장 카테터를 안내한다. 그 다음, 카테터의 인접 단부로부터 상기 볼룬내부로 연장되는 팽창 루멘을 통한 소정 압력하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볼룬이 팽창된다. 상기 볼룬의 팽창은 동맥에 스크래치를 야기하고 동맥 벽내에 손상을 주어, 동맥을 통해 허용가능한 혈류를 재조성해야한다(reestablishing). Plastic surgery procedures have been widely recognized as an effective and effective way to treat various types of vascular disease. In particular, the formation technique can be used to treat stenosis in other parts of the body, but is widely used to open stenosis in the coronary arteries. The most widely used form of angioplasty requires an expansion catheter that bears an inflatable balloon on its distal end. Typically, a hollow guide catheter is placed percutaneously initially in the patient's femoral artery and advances down the aorta over the aortic arch and into the upward aorta, which is guided from the heart. The distal end of the guide catheter is specially shaped such that the distal tip of the guide catheter can be easily placed at the entrance to the right or left coronary artery. This guide catheter is used to quickly guide the dilation catheter through the vasculature to a position slightly past the inlet. The physician uses fluoroscopy to guide the dilation catheter to the remaining distance across the largely curved portion of the trajectory through the vasculature until the balloon is positioned intersecting the constriction. The balloon is then inflated by supplying fluid under a predetermined pressure through an expansion lumen extending from the proximal end of the catheter into the balloon. The expansion of the balloon should cause scratches in the arteries and damage within the artery walls, rereeblblishing acceptable blood flow through the arteries.

치료 부위로 쉽게 나아갈 수 있도록, 카테터는 다수의 상호 반대되는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도 카테터는 그것의 말단부상에 가해지는 푸싱력이 실제로 말단 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푸시가능해야 한다. 또한, 장치의 조향성 및 반응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토크 힘들이 상기 카테터 전반에 걸쳐 가능한 한 교란되지 않고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힘들의 전달은 강성(rigid)이며 견고한(stiff) 카테터 샤프트에 의하여 이행된다. 하지만, 상기 카테터는 또한 맥관구조(vasculature)의 자연 해부학적 구조(natural anatomy), 특히 관상동맥 영역에서의 크게 만곡된 궤적을 따라 나아가 협착부에 이를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후자를 카테터의 진행성(tracability)이라 칭한다. 이러한 요건들 모두에 순응할 수 있도록, 서두에 기술된 종류의 볼룬 카테터는, 요구되는 진행성을 제공하는, 관상동맥의 자연 해부학적 구조와 순응하기에 충분히 유연한 말단 섹션 및 요구되는 푸시능력 및 조향성을 제공하는 보다 강성의 인접 샤프트 섹션을 갖는 복합적 샤프트 디자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reach the treatment site, the catheter preferably meets a number of opposing requirements. Above all, the catheter must be pushable so that the pushing force exerted on its distal end may actually be delivered to the distal tip. In addition, torque forces need to be transmitted as undisturbed as possible throughout the catheter in order to improve the steering and responsiveness of the device. This transfer of forces is carried out by a rigid and stiff catheter shaft. However, the catheter must also be flexible enough to follow the natural anatomy of the vasculature, particularly the largely curved trajectory in the coronary region and to reach the stenosis. In general, the latter is referred to as the catheter's tracability. In order to comply with all of these requirements, a balun catheter of the kind described at the outset has a terminal section flexible enough to conform to the natural anatomical structure of the coronary artery, providing the required progression, and the required pushability and steering capability. It includes a complex shaft design with a more rigid adjacent shaft section that provides.

이러한 복합 카테터를 갖는 볼룬 카테터는, 예를 들어 유럽특허출원 580.845에 공지되어 있다. 이 카테터는 피하조직용 금속(hypodermic metal)로부터 형성되는 튜브에 의하여 형성되는 인접 샤프트 섹션과, 그에 이어지는,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보다 실질적으로 유연한 플라스틱 튜빙으로 이루어지는 말단 샤프트 섹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대적으로 견고한 금속 튜브는, 카테터의 푸시능력 및 조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그것의 인접 단부로부터 이미 작은 프로파일에서의 말단부까지 약간의 손실 또는 전혀 손실 없이 푸싱력 및 조향력들을 전달할 수 있지만, 너무 강성이어서 크게 만곡된 관상동맥들을 따라갈 수 없다. 하지만, 실제에 있어서, 인접 샤프트 섹션 만이 실질적으로 선형 궤적으로 우측 또는 좌측 관상동맥으로의 입구에 도달한다. 한편, 말단 샤프트 섹션을 형성하는 유연한 플라스틱 튜빙은 상기 입구를 넘어 연장되지만, 관상동맥 관(vessel)의 곡률을 따드도록 충분히 벤딩가능하다. A balloon catheter with such a composite catheter is known, for example, from European patent application 580.845. The catheter comprises an adjacent shaft section formed by a tube formed from a hypodermic metal, followed by a distal shaft section consisting of a plastic tubing that is substantially more flexible than the adjacent shaft section. A relatively rigid metal tube can transfer pushing and steering forces with little or no loss from its immediate end to the distal end in an already small profile to provide the catheter's pushability and steering, but is so rigid that it bends significantly Can't follow coronary arteries. In practice, however, only the adjacent shaft section reaches the entrance to the right or left coronary artery with a substantially linear trajectory. On the other hand, the flexible plastic tubing forming the distal shaft section extends beyond the inlet, but is sufficiently bendable to follow the curvature of the coronary vessel.

상술된 바와 같은 복합 샤프트 디자인은 한편으로는 요구되는 푸시능력 및 조향성을, 다른 한편으로는 요구되는 진행성을 달성할 수 있으나, 인접 샤프트 섹션과 말단 샤프트 섹션간의 견고성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양 샤프트 세그먼트간에 전이부, 특히 가이드 와이어 루멘이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고 남아 있는 영역에서 상기 카테터를 꼬임(kinking) 및 버클링에 대해 상대적으로 취약하게 만든다. 이는, 카테터의 반응성 및 푸시능력을 저감시키며, 인접 샤프트 섹션으로부터 말단 샤프트 섹션으로의 팽창 루멘의 현저한 폐쇄(closure)를 야기할 수 있다. 패쇄된 팽창 루멘이 카테터를 무용하게 할 것은 자명하다. While the composite shaft design as described above can achieve the required push capability and steering on the one hand and the required progression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relatively large difference in the rigidity between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the distal shaft section, The transition between both shaft segments, in particular the guide wire lumen, makes the catheter relatively vulnerable to kinking and buckling in areas that are not supported by the guide wire being inserted. This reduces the responsiveness and push ability of the catheter and can cause significant closure of the expansion lumen from the adjacent shaft section to the distal shaft section. It is clear that the blocked expansion lumen will render the catheter useless.

상대적으로 견고한, 금속 인접 샤프트 섹션과 현저히 더 유연한 말단 샤프트 섹션간의 전이부와 관련된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지된 카테터는 인접 샤프트 섹션과 가이드 와이어 루멘간의 갭을 연결하기 위한 코어 와이어 형태의 전이 부재를 포함한다. 이 코어 와이어는 말단 샤프트 섹션의 그 밖의 지지되지 않은 부분에 지지부를 제공한다. 카테터가 그것의 전체 길이를 따라 실질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 와이어가 가이드 와이어 루멘내에 수용되면, 말단 샤프트 섹션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가이드 와이어에 의하여 지지될 것이다. 이는, 특정 영역에서 벤딩 또는 버클링되려는 그것의 경향을 현저히 저감시킨다. 하지만, 인접 샤프트 섹션에 코어 와이어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그것은 금속 튜브의 말단부내로 약간 삽입되어 그것의 내벽에 납땜된다. 이와 같이, 그것이 금속 튜브를 통해 이어진 팽창 루멘내에서 연장되면, 팽창 유체의 상당한 장애를 제공하게 된다. 더구나, 금속 튜브내에서 연장되는 코어 와이어의 인접 부분은 납땜을 이용하기가 매우 어려워, 열악한 접합을 가져오기 쉽고 연결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transition between the relatively rigid, metal adjacent shaft section and the remarkably more flexible end shaft section, the known catheter is a transition member in the form of a core wire for connecting the gap between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the guide wire lumen. It includes. This core wire provides support to the other unsupported portion of the distal shaft section. If the guide wire is received in the guide wire lumen so that the catheter can be substantially supported along its entire length,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distal shaft section will be supported by the guide wire. This significantly reduces its tendency to bend or buckle in certain areas. However, in order to connect the core wire to the adjacent shaft section, it is slightly inserted into the distal end of the metal tube and soldered to its inner wall. As such, when it extends within the expansion lumen that extends through the metal tube, it presents a significant obstacle to the expansion fluid. Moreover, adjacent portions of the core wire extending in the metal tube are very difficult to use soldering, which leads to poor bonding and poor connection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볼룬 확장 카테터의 일 실시예의 길이방향 단면도;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one embodiment of a balloon expansion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카테터 일부의 상세도;2 is a detailed view of a portion of the catheter of FIG. 1;

도 3은 도 1의 카테어에서 적용된 전이 요소의 상세 단면도;3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ition element applied in the catheter of FIG. 1;

도 4는 도 3의 전이 요소의 사시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ition element of FIG. 3.

도면들은 정확한 스케일로 도시되지는 않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일부 치수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다소간 과장되었을 수도 있다. 도면에서, 대응되거나 유사한 부분들은 대체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In particular, some dimensions may have been somewhat exaggerated to aid in understanding. In the figures, corresponding or similar parts are generally indic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카테터와 관련하여 상술된 문제들이 없고, 환자의 신체내에서 나아가는 동안 가이딩 카테터 내측에서의 벤딩, 꼬임 또는 버클링의 경향이 저감된, 서두에서 상술한 종류의 볼룬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essenc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f the kind described above at the outset, without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known catheters and with a reduced tendency of bending, kinks or buckling inside the guiding catheter during the course of the patient's body. To provide a balloon catheter.

본 발명에 따르면, 서두에서 설명한 종류의 볼룬 카테터는, 인접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가 스키빙되고, 실질적으로 상기 인접 샤프트의 말단부의 스키빙된 부분 모두를 따라 전이 부재가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스키빙된 단부는 매우 쉽게 접근가능한 연결 영역을 제공하여 전이 부재와 인접 샤프트 섹션간의 신뢰성 있는 접합을 촉진한다. 팽창 유체는 상기 영역에서 전이부 주위 및 그를 지나 유동하기가 전반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카테터의 말단 팁에서 볼룬이 팽창하는 동안 상기 팽창 유체가 두드러진 장애를 겪지 않는다. 상기 전이 부재는 인접 샤프트 섹션과 가이드 와이어 루멘간의 그밖의 지지되지 않은 영역에 걸쳐 카테터 샤프트를 지지함으로써, 카테터의 꼬임 및 버클링을 현저히 상쇄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특별할 것 없는 기계적 및 동적 특징들을 갖는 유선형(sleek) 프로파일의 확장 카테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ballon catheter of the kind described at the outse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l end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is skived and the transition member is secured to the adjacent shaft section substantially along all of the skived portions of the distal end of the adjacent shaft. It features. The skived ends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s provide a very easily accessible connection area to promote reliable bonding between the transition member and the adjacent shaft section. Since the inflation fluid is generally free to flow around and past the transition in the region, the inflation fluid does not suffer noticeable disturbances while the balloon is expanded at the distal tip of the catheter. The transition member significantly offsets the twisting and buckling of the catheter by supporting the catheter shaft over other unsupported areas between adjacent shaft sections and guide wire lumens. As such, the cathet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nded catheter of a sleek profile with special mechanical and dynamic feature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전이 부재의 인접 단부가 인접 샤프트 섹션의 관상부 내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전이 부재의 상기 인접 단부가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상기 관상부의 내벽과 접촉하는 한편 보다 말단부에 배치된 상기 전이 부재의 부분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전이 부재는 상기 영역에서 카테터의 꼬임을 피할 수 있도록 인접 샤프트 섹션의 살짝(weakened) 스키빙된 부분의 연속적이고 일체적인 지지부를 제공한다. 전이 부재 인접 단부의 특정한 단면 프로파일은, 인접 샤프트 섹션의 관상부 내측에서 전이 부재에 의하여 생성될 수도 있는 장애를 저감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는, 팽창 유체가 상기 전이 부재를 지나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는 상기 전이 부재가 코어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와이어의 인접 단부에 인접 샤프트 세그먼트의 관상부의 내벽으로부터 측면을 가로질러(side across) 노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노치는 상기 코어 와이어와 인접 샤프트 섹션간의 접촉 면적은 유지하면서 팽창 유체의 유동 저항을 저감시킨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djacent end of the transition member extends inside the tubular portion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while the adjacent end of the transition member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e portion of the transition member disposed at the distal end. Thus, the transition member provides a continuous, integral support of the weakened skived portion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to avoid twisting the catheter in the region. The particular cross-sectional profile of the transition member adjacent end reduces the obstacles that may be produced by the transition member inside the tubular portion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Nevertheless, as a result, expansion fluid can flow freely past the transition member.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ition member comprises a core wire, wherein a notch is provided at a proximal end of the core wire across the inner wall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adjacent shaft segment. It is characterized by. This notch reduces the flow resistance of the expansion fluid while maintain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core wire and the adjacent shaft section.

말단 샤프트 섹션의 유연도의 점진적인 증가를 촉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테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상기 전이 부재의 말단부가 말단 방향으로 대체적으로 소멸되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대체적으로 소멸되는 직경은 카테터 샤프트의 상기 부분의 견고성을 점진적으로 소멸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갑작스런 견고성의 변화를 피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다시 버클링 및 꼬임에 대한 일부 취약성을 유발할 수 있다. 전이 부재가 그것의 강성을 너무 많이 잃어 상기 목적을 수행하기가 어려운 카테터 샤프트의 지지부에 걸쳐서 가이드 와이어가 취해질 수 있도록, 전이 부재의 말단부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으로의 입구보다 말단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order to facilitate a gradual increase in the flexibility of the distal shaft sec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athet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he distal end of the transition member has a diameter that generally dissipates in the distal direction. In general, the generally dissipated diameter is adapted to progressively dissipate the firmness of the portion of the catheter shaft. As such, sudden changes in robustness should be avoided or else may cause some vulnerability to buckling and kink again. The distal end of the transition member is preferably disposed at the distal end rather than the inlet to the guide wire lumen so that the transition member loses its rigidity too much and the guide wire is taken over the support of the catheter shaft which is difficult to accomplish the purpose.

전이 부재 및 인접 샤프트 섹션이 상이한 방식으로 연결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전이부재와 인접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가 함께 접합되는, 카테터의 특수한 실시예에 의해서도 매우 양호한 결과들이 얻어져 왔다. Although the transition member and the adjacent shaft section are connected in different ways, very good results have also been obtained by the particular embodiment of the catheter, in which the transition member and the distal end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are joined together.

이후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The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의 카테터는, 그것의 가장 인접한 단부에서, 종래 방식으로 상기 카테터를 팽창 기구에 연결시키는 소위 Luer 피팅(1)을 지탱하는(carry), 인접 샤프트 섹션(10)을 포함한다. 상기 기구는 카테터내에서 연장되는 팽창 루멘(inflation lumen:2)을 통하여 상기 카테터의 말단부에 제공되는 팽창 볼룬(23)의 내부로 안내되는 압력하에서 적절한 팽창 유체의 전달을 가능하게 한다. The catheter of FIG. 1 comprises, at its nearest end, an adjacent shaft section 10 carrying a so-called Luer fitting 1 which connects the catheter to the expansion mechanism in a conventional manner. The instrument allows for proper delivery of the inflation fluid under pressure guided into the inflation balloon 23 provided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via an inflation lumen 2 extending in the catheter.

실제로, 상기 카테터는 환자의 맥관구조(vasculature) 내측의 안내 카테터(도시 안됨)를 통하여 관상 동맥들 중 하나의 입구로 나아간다. 카테터의 인접 샤프트 섹션(10)은 대략 가이드 카테터의 길이부 전체를 따라 연장된다. 푸시능력(pushability) 및 조향성(steerability)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카테터는 그것의 인접 단부상에 가해지는 힘들이 소실되지 않거나 거의 소실되지 않고 말단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강성(rigid)이며 견고(stiff)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카테터의 인접 샤프트 단부에 금속 관상 부재(11)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부재(11)는, 가이드 카테터의 내벽과 확장(dilatation) 카테터 사이의 마찰의 양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윤활성 코팅(12)으로 코팅되는, 피하조직용 금속(hypodermic metal), 이른바 하이포튜브(hypotube)로 만들어진다. 이 코팅은 얇은 층의 Teflon이나 다른 윤활성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타 재료들도 실행가능하다. 이러한 하이포튜브 조립체는 카테터가 전방으로 푸싱되고 있는 동안 안내 카테터의 내측에서 벤딩 또는 버클링되려는 카테터의 경향을 현저히 저감시킨다. 하지만, 보다 작은 관상 동맥들의 벤딩 속성은, 카테터가 이들 관(vessel)의 자연 구조(natural anatomy)를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훨씬 더 큰 유연성을 필요로 한다.Indeed, the catheter advances to the entrance of one of the coronary arteries through an intraocular catheter (not shown) inside the patient's vasculature. The adjacent shaft section 10 of the catheter extends approximately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guide catheter. In order to improve pushability and steerability, the catheter is relatively rigid and stiff so that the forces exerted on its adjacent end can be transferred to the distal end with little or no loss. Is preferred. Th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metal tubular member 11 is used at the adjacent shaft end of the catheter. In this embodiment, the member 11 is a hypodermic metal, coated with a lubricity coating 12 to reduce the amount of friction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catheter and the dilatation catheter, so-called Made of hypotubes. This coating is a thin layer of Teflon Or other lubricating plastics or polymers, but other materials are fea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hypotube assembly significantly reduces the catheter's tendency to bend or buckle inside the guide catheter while the catheter is being pushed forward. However, the bending properties of smaller coronary arteries require much greater flexibility to allow the catheter to flow through the natural anatomy of these vessels.

따라서, 카테터는 이른바 진행성(trackability)을 제공하기 위하여 훨씬 더 유연한 말단 샤프트 섹션(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말단 샤프트 섹션은 중간 슬리부 세그먼트(21) 및 볼룬 세그먼트(22)를 포함한다. 말단 샤프트 섹션(20)의 두 부분(21,22) 모두는 낮은 밀도의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나일론 또는 여타 적절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며, 이들은 관상 동맥내에서의 어떠한 굽어짐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다. 상기 중간 슬리브 세그먼트는 인접 샤프트 섹션(1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며, 팽창 루멘과 나란한 또는 이 경우에서와 같이 동축인 카테터의 말단 샤프트 섹션(20) 내측에서 연장되는 가이드와이어 루멘(30)으로의, 인접 진입 포트(31)를 포함한다. 상기 카테터의 이 부분은 도면 중 도 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Thus, the catheter includes a much more flexible end shaft section 20 to provide so-called trackability. In this embodiment, the distal shaft section comprises an intermediate sleeve segment 21 and a balloon segment 22. Both parts 21 and 22 of the end shaft section 20 are made of low density polyethylene, polyvinylchloride, nylon or other suitable plastics, which are flexible enough to cope with any bending in the coronary arteries. . The intermediate sleeve segment is connected directly to the adjacent shaft section 10 and into the guidewire lumen 30 extending inside the distal shaft section 20 of the catheter parallel to or in this case with the expansion lumen, Adjacent entry port 31. This portion of the catheter i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2 of the drawings.

가이드와이어 루멘(30)은, 사용중에 그 대부분이 카테터의 인접 샤프트 섹션(10)과 나란히 연장되고, 나머지가 상기 가이드와이어 루멘(30) 내측에서 연장되는 가이드 와이어(3)를 수용한다. 상기 가이드와이어(3)는 인접 샤프트 섹션(11)의 말단부와 볼룬 센션(22)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 슬리브 섹션(21)에서 가이드와이어 루멘 입구(31)를 통해 가이드와이어 루멘(30)으로 들어가서, 카테터의 말단부에서 가이드와이어 루멘 출구(32)를 통해 카테터를 나간다. 상기 가이드와이어(3)는 필요할 경우 또 다른 것으로 카테터를 신속히 교체하는데 사용된다. 가이드와이어(3)가 제 위치에서 유지되면, 카테터는 다른 것으로 교체되도록 다시 잡아당겨져 그것을 가이드와이어에 걸쳐 간단하게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치료 부위(treatment spot)로 비교적 신속하게 나아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가이드와이어(3)는 카테터를 우측 위치로 직접적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현 종류의 카테터를, 흔히 신속 교체 오버-더-와이어 카테터(rapid exchange over-the-wire catheter)라 칭한다. The guidewire lumen 30 receives, in use, a guide wire 3, the majority of which extends alongside the adjacent shaft section 10 of the catheter and the remainder extending inside the guidewire lumen 30. The guidewire (3) enters the guidewire lumen (30) through the guidewire lumen inlet (31) in an intermediate sleeve section (21) disposed between the distal end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11) and the ballon centrifugal (22), Exit the catheter through the guidewire lumen exit 32 at the distal end of the catheter. The guidewire 3 is used to quickly replace the catheter with another if necessary. Once the guidewire 3 is held in place, the catheter can be pulled back to be replaced by another and relatively quickly moved to the treatment spot by simply sliding it across the guidewire. As a result, the guidewire 3 directly guides the catheter to the right position. Because of this feature, the current type of catheter is often referred to as a rapid exchange over-the-wire catheter.

볼룬 섹션은 팽창가능한 볼룬(23)을 지탱한다. 볼룬(23)의 내부는 인접 샤프트 섹션 및 중간 슬리브 섹션을 통해 Luer 피팅(1)으로부터 카테터 말단 섹션(20)의 볼룬 세그먼트(22)내부로 전체적으로 하향하여 연장되는 팽창 루멘(2)과 유체 연통한다. 볼룬은 큰 내부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적절하게 미리 형상화된 플라스틱 슬리브로부터 제조된다. 팽창 압력의 적용시, 볼룬은 사전 설정된 팽창 직경까지 확장되어 그에 대응해 관이 넓혀진다. 금속 스텐트 부재(metallic stent member)(도시 안됨)는 볼룬 전반에 걸쳐 제공될 수 있으며 치료가 끝난후 관 벽의 연속하는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관에서 뒷쪽에 남겨질 볼룬과 함께 팽창된다. The balloon section carries the inflatable balloon 23. The interior of the balloon 23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expansion lumen 2 extending entirely downward from the Luer fitting 1 into the balloon segment 22 of the catheter end section 20 via adjacent shaft sections and intermediate sleeve sections. . The balloon is made from a suitably preformed plastic sleeve that can withstand large internal pressures. Upon application of inflation pressure, the balloon is expanded to a predetermined inflation diameter and correspondingly the tube is widened. A metallic stent member (not shown) may be provided throughout the balloon and expands with the balloon to be left behind in the tube to provide continuous support of the tube wall after treatment.

상대적으로 강성의 인접 샤프트 섹션(10)으로부터 보다 유연한 말단 샤프트 섹션(20)으로의 전이부에서 카테터의 비틀림(kinky)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이 부재(40)가 제공되어 하이포튜브(11)와 가이드와이어 루멘 입구(31) 사이의 카테터의 그밖의 지지되지 않는 영역을 지지한다. 가이드와이어 루멘(30)내에 가이드와이어(3)가 삽입되면, 상기 전이 부재(40)는 금속 하이포튜브(11)와 금속 가이드와이어(3)간의 카테터 샤프트내측의 갭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전이 부재(40)는 인접 샤프트 섹션(10)의 것과 말단부 샤프트 섹션(20) 사이에 대체로 유연성을 갖는 금속 코어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 와이어(40)는 납땝, 접착 또는 여타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하여 하이포튜브(11)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대략 286mm의 길이를 갖는, 코어 와이어(40)는 가이드와이어 루멘 입구(31)를 넘어 연잘된다. In order to prevent kinky catheter at the transition from the relatively rigid adjacent shaft section 10 to the more flexible distal shaft section 20, a transition member 40 is provided to provide the hypotube 11 and the guide. Support other unsupported areas of the catheter between the wire lumen inlets 31. When the guidewire 3 is inserted into the guidewire lumen 30, the transition member 40 connects the gap in the catheter shaft between the metal hypotube 11 and the metal guidewire 3. In this embodiment, the transition member 40 comprises a metal core wire that is generally flexible between that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10 and the distal shaft section 20. The core wire 40 is firmly connected to the hypotube 11 by soldering, gluing or other suitable means. Core wire 40, having a length of approximately 286 mm, is ground beyond the guidewire lumen inlet 31.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포튜브(11)는 그것의 말단부에서 스키빙되어(skived), 코어 와이어(40)와 하이포튜브(11)간의 신뢰성 있는 접합을 위한 충분한 접촉면적을 제공한다. 하이포튜브의 스키빙된 부분은 코어 와이어(40)의 인접 단부를 수용하기 위해 대략 60mm와 70mm 사이의 사전설정된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하이포튜브의 스키빙된 단부는 필요한 접촉면적을 제공할뿐만 아니라, 상기 접촉면적을 노출시켜(expose) 그것이, 사용될 연결 기술을 위해 쉽게 접근가능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 와이어(40)는 UV 커링 접착제(UV curling adhesive)에 의하여 하이포튜브(11)에 접착된다. 스키빙된 부분으로 인하여, 전체 접촉면적은 UV 커링 방사선에 노출될 수 있다. 더욱이, 팽창 유체는 상기 스키빙된 영역에서 하이포튜브(11)의 내부에 대해 더이상 한정(confine)되지 않기 때문에, 그것은 코어 와이어(40)를 지나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코어 와이어(40)는 볼룬(23)이 팽창되고 있는 동안 팽창 유체에 대한 실질적인 장애물을 제공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hypotube 11 is skived at its distal end, providing a sufficient contact area for reliable bonding between the core wire 40 and the hypotube 11. The skived portion of the hypotube extends over a predetermined length between approximately 60 mm and 70 mm to accommodate the adjacent end of the core wire 40. The skived end of the hypotube not only provides the required contact area, but also exposes the contact area so that it is easily accessible for the connection technique to be used. In this embodiment, the core wire 40 is adhered to the hypotube 11 by a UV curling adhesive. Due to the skived portion, the entire contact area can be exposed to UV curing radiation. Moreover, since the expansion fluid is no longer confined to the interior of hypotube 11 in the skived region, it can flow freely past core wire 40. As a result, the core wire 40 does not provide a substantial obstacle to the inflation fluid while the balloon 23 is being inflated.

스키빙된 구조로 인해, 하이포튜브(11)는 그것의 말단 영역에서 그것의 강성의 상당한 양이 손실된다. 하이포튜브의 스키빙된 말단부의 어떠한 꼬임도 피할 수 있도록, 코어 와이어(40)는 관상부, 즉 하이포튜브의 비스킹부내측에서 조금 연장되어 전체적인 지지부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코어 와이어(40)의 인접 단부는 인접 샤프트 섹션(10)의 관상부 내측에서 3 내지 5mm 정도에 걸쳐 놓여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야기될 수 있는, 팽창 유체의 실질적인 방해를 제거하기 위하여, 코어 와이어(40)의 인접 단부에는 노치(41)가 제공된다(도 3 및 4 참조). 상기 노치(41)는 대략 5 내지 7mm이며, 코어 와이어의 단면적의 대략 50%까지를 제거하여(clear up), 팽창유체가 Luer 피팅(1)으로부터 볼룬(23)까지 또는 그 역으로의 교란되지 않은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기에 충분하게 나타난다. 상기 노치(41)는 신뢰성 있는 접합의 충분한 면적을 유지하기 위하여 인접 샤프트 섹션(10)의 내벽과 코어 와이어(40)간의 접촉면적으로부터 측면을 가로질러 제공된다. 또한, 노치(41) 대신에 또 다른 벌크 저감 작동부가 따라와, 보다 말단부에 배치된 부분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갖는, 인접 샤프트 섹션(10)의 관상부 내측에서 약간 연장되도록 되어 있는, 전이 부재(40)의 인접부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유체역학적 관점으로부터, 상기 인접부는 노치 또는 스키브의 것과 같이 점진적인 프로파일이 주어져 볼룬(23)이 팽창 또는 수축되는 동안 팽창 유체의 실질적인 교란을 피하는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ue to the skived structure, the hypotube 11 loses a significant amount of its stiffness in its distal region. In order to avoid any kinks in the skived ends of the hypotubes, the core wire 40 extends slightly inside the tubular portion, i.e. the bisking portion of the hypotubes, to provide overall support. In this embodiment, the proximal end of the core wire 40 lies over about 3-5 mm inside the tubular portion of the adjoining shaft section 10. In order to eliminate substantial obstruction of the inflation fluid, which may be caused in this manner, a notch 41 is provided at an adjacent end of the core wire 40 (see FIGS. 3 and 4). The notch 41 is approximately 5-7 mm and clears up to approximately 50%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wire so that the expansion fluid is not disturbed from the Luer fitting 1 to the ballon 23 or vice versa. Enough to allow unflowable flow. The notches 41 are provided across the side from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10 and the core wire 40 to maintain a sufficient area of reliable joint. Also, instead of the notch 41, a transition member 40, which is adapted to extend slightly inside the tubular portion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10, with a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portion disposed at the distal end, followed by another bulk reduction actuator.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adjacency of. From a hydrodynamic point of view, it is desirable that the proximal portion be given a gradual profile, such as that of a notch or skive, to avoid substantial disturbances of the inflation fluid during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the balloon 23.

전이 부재(40)는 금속 인접 샤프트 섹션으로부터 플라스틱 말단 샤프트 섹션으로의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코어 와이어(40)는 말단 방향으로 하향하여 점진적으로 테이퍼진다. 본 예시에서, 코어 와이어는 대략 279mm의 길이에 걸쳐 그것의 말단 팁에서 0.13mm 정도의 말단 직경(d2)까지 아랫쪽으로 테이퍼진, 0.31mm 정도의 말단 직경(d1)을 갖는다(도 3 참조). 이렇게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사라지기 때문에, 코어 와이어(40)의 유연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플라스틱 말단 튜빙으로의 매우 원활한 전이가 얻어질 수 있다. The transition member 40 preferably provides a smooth transition from the metal adjacent shaft section to the plastic end shaft section. For this reason, the core wire 40 is tapered gradually downward in the terminal direction. In this example, the core wire has an end diameter d1 on the order of 0.31 mm, tapering downwards to an end diameter d2 on the order of 0.13 mm at its distal tip over a length of approximately 279 mm (see FIG. 3). Since this cross-sectional area gradually disappears, the softness of the core wire 40 gradually increases, so that a very smooth transition to the plastic end tubing can be obtained.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의 카테터는 실질적으로 버클링 또는 꼬임에 전혀 취약하제 않게, 높은 진행성을 유지하면서 매우 양호한 푸시능력 및 조향성(steerability)을 가져 환자들의 맥관구조를 통해 나아갈 수 있다. As a result, the catheter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go through the vasculature of patients with very good push ability and steerability while maintaining high progression, without being substantially susceptible to buckling or kink.

본 발명은 단지 단일의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이 결코 상기 실시예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와는 달리, 많은 수정례 및 여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범위 및 기술적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당업자들에게 실행가능하다. 이와 같이, 선행 실시예에 사용되는 재료 및 치수들은 최상의 실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른 기존의 재료 및 치수 또는 새로 개발된 재료 및 여타 치수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시의 코어 와이어에 의해 매우 양호한 결과들이 달성될 수 있으나, 다른 종류의 전이 요소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in accordance with only a single embodi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in no way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On the contrary, many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such, the materials and dimensions used in the preceding embodiments may be replaced with other existing materials and dimensions or newly developed materials and other dimensions to provide the best practical performance. In addition, very good results can be achieved with the core wire of the above example, but other kinds of transition elements may be used.

Claims (9)

주로 관상형인 상대적으로 강성의 인접 샤프트 섹션 및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보다 유연한 말단 샤프트 섹션을 포함하는 샤프트, 및 상기 말단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에서 연장되는 팽창가능한 볼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볼룬 카테터에 있어서, A predominantly tubular relatively rigid adjacent shaft section and a shaft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including a distal shaft section that is more flexible than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an inflatable ballon extending from the distal end of the distal shaft section. In a balloon catheter,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 및 말단 샤프트 섹션은 상기 볼룬으로 팽창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볼룬의 내부와 유체 연통하게 되는, 그 내부에서 연장되는 팽창 루멘을 형성하고, 상기 말단 샤프트 섹션은 가이드 와이어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 와이어 루멘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와이어 루멘은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단부와 상기 볼룬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 와이어 입구 및 상기 볼론에 대해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카테터의 외부로 나아가는 가이드 와이어 출구를 가지고, 말단 샤프트 세그먼트내로 연장되는 인접 샤프트 세그먼트의 말단부에는 유연한 전이 부재가 부착되며,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는 스키빙되고, 상기 전이 부재는 실질적으로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상기 스키빙된 말단부 모두를 따라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룬 카테터.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the distal shaft section form an expansion lumen extending therein that is in fluid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of the balloon to exert an inflation pressure into the balloon, wherein the distal shaft section is a guide for receiving a guide wire. A wire lumen, the guide wire lumen having a guide wire inlet disposed between the end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the bowl and a guide wire outlet disposed distal to the bolon and directed out of the catheter, the end shaft A flexible transition member is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adjacent shaft segment extending into the segment, the distal end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being skived, and the transition member being secured along substantially all of the skived distal ends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Characterized by a balun Cathet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말단 샤프트 섹션의 상기 스키빙된 단부는 사전설정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룬 카테터.The skived end of the distal shaft section has a predetermined length.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이 부재의 인접 단부는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관상부내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전이 부재의 상기 인접 단부는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상기 관상부의 내벽과 접촉하는 한편, 보다 말단에 배치되는 상기 전이 부재의 부분보다 작은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룬 카테터.An adjacent end of the transition member extends inside the tubular portion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and the adjacent end of the transition member contacts the inner wall of the tubular portion of the adjacent shaft section, while of the transition member disposed at a more distal end. A balloon catheter having a cross section smaller than the por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전이 부재는 코어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와이어의 인접 단부에는 상기 인접 샤프트 세그먼트의 상기 관상부의 내벽으로부터 측면을 가로질러 노치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론 카테터.And said transition member comprises a core wire, said notched end of said core wire being provided with a notch across a side from an inner wall of said tubular portion of said adjacent shaft segmen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전이 부재의 적어도 말단부는 말단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소멸되는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룬 카테터.At least a distal end of the transition member has a diameter that gradually dissipates in the distal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전이 부재의 상기 말단부는 사전 설정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룬 카테터.And said distal end of said transition member has a predetermined length.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전이 부재 및 상기 인접 샤프트 섹션의 말단부는 함께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룬 카테터.And a distal end of said transition member and said adjacent shaft section are glued together.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전이 부재는 20 내지 30cm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룬 카테터.The transition member is a balloon catheter,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length of 20 to 30cm.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상기 전이 부재는 0.25 내지 0.35mm 사이의 최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룬 카테터.The transition member is a balloon catheter,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maximum diameter between 0.25 and 0.35mm.
KR10-2005-7000084A 2002-07-03 2003-07-02 Ballon catheter KR2005001695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0084A KR20050016954A (en) 2002-07-03 2003-07-02 Ballon cath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90,057 2002-07-03
KR10-2005-7000084A KR20050016954A (en) 2002-07-03 2003-07-02 Ballon cathe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954A true KR20050016954A (en) 2005-02-21

Family

ID=41783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084A KR20050016954A (en) 2002-07-03 2003-07-02 Ballon cath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6954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714A (en) 2015-10-05 2017-04-13 (주)에어레인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aloon catheter
KR20170040713A (en) 2015-10-05 2017-04-13 (주)에어레인 Baloon cathe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baloon cathe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714A (en) 2015-10-05 2017-04-13 (주)에어레인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aloon catheter
KR20170040713A (en) 2015-10-05 2017-04-13 (주)에어레인 Baloon cathet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baloon cathe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9162B2 (en) Balloon catheter
US6273879B1 (en) Balloon catheter with distal guide wire lumen
EP1234594B1 (en) Catheter shaft
JP3530189B2 (en) Anatomically matched steerable PTCA guidewire
US5720724A (en) Intravascular catheter with distal guide wire lumen and transition member
US5100381A (en) Angioplasty catheter
US6004291A (en) Intravascular catheter with distal guide wire lumen and transition
US7959660B2 (en) Multifilar cable catheter
US7727187B2 (en) Scored catheter device
JP4437158B2 (en) Intravascular catheter with guidewire distal lumen and intermediate member
US20100217372A1 (en) Hypotube catheter
US20110172520A1 (en) Multifilar cable catheter
KR20050016954A (en) Ballon cathe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