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888A - 반송파 제어 없이 무선 통신망들 사이의 양방향 소프트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반송파 제어 없이 무선 통신망들 사이의 양방향 소프트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888A
KR20050016888A KR10-2004-7021173A KR20047021173A KR20050016888A KR 20050016888 A KR20050016888 A KR 20050016888A KR 20047021173 A KR20047021173 A KR 20047021173A KR 20050016888 A KR20050016888 A KR 20050016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media gateway
network
communication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0873B1 (ko
Inventor
앤젤 파빌라
샤오웨이 판
니콜라스 라분
진종 장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1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26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36/28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agreed or negotiated communication parameters invol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룰러 통신망으로부터의 제어 중재 없이, 이용하고 있는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과 관계 없이 셀룰러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이동국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이동국(202)과 원격국(204) 사이에 호가 접속된다(508).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제1 접속 회선을 통해 이동국에 접속되고, 제2 접속 회선을 통해 원격국에 접속된다. 이동국이 전이 영역(302)에 들어갔을 때(514, 516),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 사이에 제3 접속 회선이 설정된다. 이어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 사이의 통신이 제1 접속 회선에에서 제3 접속 회선으로 핸드오버되며(526, 528), 그 후 제1 접속 회선이 접속 해제된다(530).

Description

반송파 제어 없이 무선 통신망들 사이의 양방향 소프트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BI-DIRECTIONAL SOFT HANDOVERS BETWEEN WIRELESS NETWORKS WITHOUT CARRIER CONTROL}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룰러 통신망의 제어 중재 없이 셀룰러 통신망과 다른 무선 통신망 사이의 양방향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 기술에서 핸드오버 절차는 잘 알려져 있다. 통상, 이동 가입자 유닛, 즉 이동국은 기지 송수신국(BTS)에 의해 전송된 소정 형태의 비컨(beacon) 신호를 검출한 후 그 자신을 BTS에 동기화함으로써 셀룰러 통신망에 접속한다. 호 동안, 이동국, 및/또는 이동국 및/또는 기지국에서의 무선 신호 강도 표시(RSSI)와 같은 통신망 모니터 표준은 이동국이 언제 다른 BTS로 핸드오버해야 하는지를 결정한다. 또한, 핸드오버 결정을 위해 음성 품질과 관련된 보다 복잡한 표준, 예를 들어 비트 에러율(BER) 또는 프레임 소거율(FER) 등이 종종 이용된다.
셀룰러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하며 셀룰러 통신망 이동 스위칭 센터(MSC)에서 사설 구내 교환기(PBX) 커버리지 영역으로 이동국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는 무선 통신망들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통신망들은 기업체에 "온 캠퍼스(on campus)"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기업 통신망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셀룰러 통신망을 이용하고 기업 가입자이기도 한 GSM 이동 가입자는 기업 캠퍼스의 무선 커버리지 영역 내로 이동할 때 기업 GSM 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기업체는 내부 호를 PBX 통신망으로, 또는 외부 호를 공중 전화망(PSTN)으로 스위칭하여 이 분야에 공지된 외부 셀룰러 통신망 스위칭에 의해 부과되는 비용을 절약하기 위하여 로컬 PBX 기능을 이용한다.
동일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을 통합한 셀룰러 통신망과 기업 통신망 사이의 이동국의 핸드오버는 일반적으로 통신 및 제어 링크를 이동국, 셀룰러 통신망 및 기업 통신망과 조정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공지된 핸드오버 방법들은 무선 통신망이 셀룰러 통신망과 동일한 무선 인터페이스 기술을 사용할 것을 요구하며, 또한 MSC 및 PBX가 예를 들어 SS7 메시징을 통해 통신할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기업 사용자가 양 통신망 상에서 동일한 이동국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특정 셀룰러 제공자에 가입해야만 한다.
기존의 기업 통신망들은 셀룰러 통신망과의 사이에서 이동국을 핸드오버하기 위하여 SS7 메시징과 같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셀룰러 통신망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셀룰러 통신망과의 조정 요건은 기업 통신망의 운영자에게 커다란 부담을 준다. 먼저, 셀룰러 운영자의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은 기업 운영자가 기업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동국들의 선택을 제한한다. 또한, 2개의 통신망 사이에서 요구되는 조정은 기업을 온 캠퍼스 솔루션들에 그들 각각의 서비스 오퍼링을 제공하는 셀룰러 운영자들로 제한한다.
이동국이 셀룰러 에어 인터페이스와 제어 조정 기술에 관계없이 셀룰러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무단절 방식(seamless manner)으로 동작할 수 있다면 기업 통신망 운영자들 및 사용자들에게 이로울 것이다. 기업은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며, 그 사용자들은 기업 캠퍼스 내외에서 단일 이동국을 조작하게 될 것이다. 개별 사용자는 예를 들어 작업 관련 통신 및 개인 통신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단일 개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이익을 얻게 될 것이다. 또한, 기업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개별 기업 사용자가 개인 용도로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셀룰러 운영자들을 이용하지 않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체는 비용에 기초하여 제공자를 선택해야 하는 제한이 있다. 기업 통신망과 외부 통신망 사이의 특징 가용성 및 상호 운영성 등도 기업체가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이러한 면에서 최상의 양쪽 세계를 달성하기 어렵다.
또한, 이동국이 이용하는 셀룰러 기술과 관계없이 무선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는 수단이 있다면 다른 방식의 서비스 강화, 또는 서비스 강화 사업이 있을 수 있다. 이것은 이동국의 무단절 이동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의 제한 요소인 셀룰러 통신망에 의한 핸드오버 제어의 양태이다.
따라서, 셀룰러 통신망 제어 중재 없이 셀룰러 통신망과 무선 통신망 사이에서 양방향 소프트 핸드오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필요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 설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통신망 내에 위치한 이동국과, 하나의 통신 링크를 통해 이동국과 통신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이동국이 통신망의 경계에서 전이하고 있고,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2개의 통신 링크를 통해 이동국과 통신하고 있는 상황의 도 2의 이동국과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이동국이 통신망의 외부에 위치하고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하나의 통신 링크를 통해 이동국과 통신하고 있는 상황의 도 2 및 3의 이동국과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2 내지 4의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바람직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2 내지 4의 이동국의 내부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이동국의 바람직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통신망들 사이의 통신망 제어 중재 없이 2개의 통신망 사이에서 이동국의 양방향 소프트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해 이동국이 이용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에 관계없이 이동국이 하나의 무선 통신망 및 다른 무선 통신망에서 무단절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동국이 반송파 통신망 및 무반송파 통신망 등의 다양한 통신망의 제어 영역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상황에 이용된다. 반송파 통신망은 셀룰러 통신망 상에서 운영되고, 일반적으로 워싱톤 레드몬드의 AT&T 와이어리스, 조지아 아틀란타의 싱귤러 와이어리스, 캔자스 오버랜드 파크의 스프린트 PCS, 뉴욕의 베리즌 와이어리스, 및 워싱톤 벨레뷰의 보이스스트림 와이어리스를 포함하는 셀룰러 반송파들에 의해 제어되나 이에 한하지 않는다. 반송파 통신망들은 일반적으로 아날로그 기반 에어 인터페이스 및/또는 하나 이상의 디지탈 기반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디지탈 기반 에어 인터페이스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시분할 다중 접속(TDMA), 글로벌 이통 통신 시스템(GSM),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 접속(W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3세대(CDMA2000) 등을 포함하는 디지탈 통신 기술을 이용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무반송파 통신망들은 무선 통신망 상에서 운영되며, 일반적으로 셀룰러 반송파들에 의해 제어되지 않는다. 무반송파 통신망들은 IEEE 사에 의해 지원되는 IEEE 802.11TM(무선 이더넷 호환 협약에 의해 지원되는 Wi-Fi 등), 블루투스 SIG 사에 의해 지원되는 블루투스TM, 홈 RF 워킹 그룹 사에 의해 지원되는 HomeRF 등을 포함하는 무선 LAN(WLAN) 기반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이제, 같은 번호가 같은 컴포넌트를 표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 설정 및 핸드오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예에서, 제1 위치(102)의 이동국은 반송파 통신망(104)을 이용하여 호를 설정하고, 그 후 무반송파 통신망의 무선 커버리지(도시되지 않음) 내의 제2 위치(108)로 이동한 후 호를 무반송파 통신망(106)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위치(108)의 이동국은 무반송파 통신망(106)을 이용하여 호를 설정하고, 그 후 반송파 통신망(104)의 무선 커버리지(도시되지 않음) 내의 제1 위치(102)로 이동한 후 호를 반송파 통신망(104)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또한 반송파 통신망들 사이에서의 통신 및 무반송파 통신망들 사이에서의 통신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통신망은 이동국과의 통신을 위한 복수의 트랜시버, 통신망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상호 통신 컴포넌트, 및 복수의 트랜시버와 상호 통신 컴포넌트 사이의 통신을 위한 상호 운영 설비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파 통신망(104)은 복수의 기지국(110), 이동 스위칭 센터(MSC; 112), 및 기지국과 MSC 사이에서 통신하는 셀룰러 액세스망(114)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반송파 통신망(106)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6), 미디어 게이트웨이(118), 및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116)과 미디어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통신하는 무선 액세스망(12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들(104, 106)은 MSC(112)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118)를 통해 서로 통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해 이동국이 이용하는 에어 인터페이스 기술과 관계없이 이동국이 통신망들 사이에서 무단절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한다. 호가 반송파 통신망에서 무반송파 통신망으로, 무반송파 통신망에서 반송파 통신망으로, 무반송파 통신망에서 다른 무반송파 통신망으로, 또는 반송파 통신망에서 다른 반송파 통신망으로 개시되는지에 관계없이 국들 및/또는 장치들 사이에 설정된 베어러 채널이 항상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설정된다는 점에 주목하는 것이 본 발명의 이해에 중요하다. 또한, 호에 관련된 국들 및/또는 장치들 중 하나 이상은 각각의 통신망과 관련된 전화 번호, 예를 들어 반송파 통신망에 대한 하나의 번호와 무반송파 통신망에 대한 다른 번호를 할당 받는다. 본 발명에서, 다수의 번호를 할당 받은 이동국들은 호출자 및 호출망에 관계없이 핸드오버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든 호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라우팅되므로 통신망들 사이에서의 이동국의 각각의 핸드오버는 "단절 전 설정(make before break)" 소프트 핸드오버이며, 각각의 핸드오버의 제어는 반송파 통신망에 의한 중재 또는 제어 없이 미디어 게이트웨이에 의해 구현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스위칭 시스템에 의해 이용되는 SS7 또는 다른 제어 시그널링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하지 않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SS7 또는 다른 제어 시그널링이 MSC(112)와 미디어 게이트웨이(118) 사이에서 통신되는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이동국과의 통신의 제어를 반송파 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하지 않는다. 그 대신,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이동국이 하나의 통신망에서 다른 통신망으로 이동할 때 통신의 제어를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이동국 및 원격국이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지향되는 호를 가질 때,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이동국에 대한 하나의 접속과 원격국에 대한 다른 하나의 접속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 사이의 접속은 제1 호 레그로서 지칭될 것이다. 그 다음,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이동국과의 제2 호 레그를 설정하여, 제1 및 제2 호 레그들이 동시에 존재하게 하고, 제1 호 레그에서 제2 호 레그로 통신을 핸드오버하며, 핸드오버가 완료된 후에 제1 호 레그를 해제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이동국과의 통신의 제어를 유지함으로써 반송파 통신망에 의한 중재 또는 제어 없이 핸드오버가 가능하게 된다.
도 2 내지 4는 원격국(204)과 통신하는 이동국(202)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동국은 통신망(206)에 대해 세 가지 다른 위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2는 통신망(206) 내에(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의 통신 범위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202)을 도시하고 있고, 도 3은 통신망(206)의 외부 경계(208)에서 전이하고 있는 이동국(202)을 도시하며, 도 4는 통신망(206)의 외부에(또는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망의 통신 범위 외에) 위치하는 이동국(202)을 도시하고 있다. 도 2 내지 4가 원격국(204)을 통신망(206)의 통신 범위 또는 외부 경계(208) 외측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원격국의 위치는 본 발명의 제한 요소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원격국(204)은 본 발명의 기능을 크게 변경하는 일 없이 통신망의 통신 범위 또는 외부 경계(208)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통신망(206)이라는 용어는 통신망의 커버리지 영역은 물론 통신망의 컴포넌트들을 지칭한다.
도 2 내지 4는 이동국(202)이 통신망(206)에 대해 전이할 수 있는 적어도 2가지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한 방법에 있어서, 이동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206) 내에서 시작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206)의 외부 경계(208)로 전이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경계를 넘어 이동할 수 있다. 다른 방법에서, 이동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206)의 외부에서 시작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의 외부 경계(208)로 전이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망 안으로 이동한다. 어느 경우에나, 원격국(204)은 통신망(206)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동작의 순서는 도면의 일련 번호에 표시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통신망(206)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및 접속점(212)으로 표시된 하나 이상의 접속점을 포함한다. 통신망(206)이 반송파 통신망 또는 무반송파 통신망일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신망은 기업 통신망과 같은 무반송파 통신망이다. 예를 들어, 통신망(206)은 아날로그, CDMA, TDMA, GSM, WCDMA 및 CDMA2000 등의 셀룰러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거나, IEEE 802.11TM, 블루투스TM 및 HomeRF 등의 WLAN 기반 에어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국들의 위치에 관계없이 2개 이상의 국들 사이의 호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통신망의 커버리지 영역 내의 접속점(212)에 결합되어,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하는 이동국(202)과 통신할 수 있으며, 커버리지 영역 외측에 위치하는 원격국(204)과 통신할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제2 통신망(214)을 통한 통신에 의해 커버리지 영역 외측의 원격국(204)과 통신할 수 있다.
제2 통신망(214)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원격국(204)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을 포함하며, 통신망(206)은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202)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접속점(21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속점(212)은 이동국(212)과의 무선 접속,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의 유선 접속을 가지며, 이동국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로의 통신 및 그 반대로의 통신을 전송한다. 도 2 내지 4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통신망(214)은 다양한 지원 컴포넌트들, 특히 기지국들을 관리하고 기지국들의 다른 기지국들 또는 통신망들에 대한 상호 운영성을 제공하는 이동 스위칭 센터(MSC) 등의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국(202)은 통신망(206)과 제2 통신망(214)을 통해 원격국(204)과 통신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동국에서 원격국으로의 베어러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국(202)은 통신망(206)으로의 제1 링크(222)를 가지며, 원격국(204)은 제2 통신망(214)으로의 제2 링크(224)를 가지며, 통신망 및 제2 통신망은 그들 사이에 유선 링크를 갖는다. 도 2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하여 제2 링크(224)가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원격국(204)과 제2 통신망(214) 사이의 유선 통신도 본 발명에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동국(202)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원격국(204)과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제1 접속 회선을 통해 이동국(202)과 통신하며, 제2 접속 회선을 통해 원격국(204)과 통신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속 회선은 부분적으로 제2 링크(224)로 표시되며, 제1 접속 회선은 이동국(202)이 통신망(206)에 들어가는 경우에만 부분적으로 제1 링크(222)로 표시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링크(222)는 이동국(202)이 통신망(206)을 벗어난 경우 제3 접속 회선을 표시할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통신망(206) 및 제2 통신망(214)과 통신할 수 있는 한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통신망(206)과 함께 위치하고, 그 일부이며, 따라서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통신망의 외부 경계(208) 내의 어드레스 변환 및 라우팅을 처리한다. 따라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제1 링크(222)를 통해 이동국(202)과 통신하며, 제2 링크(224) 및 유선 링크(226)를 통해 원격국(204)과 통신한다.
이동국(202)과 원격국(204) 사이의 호는 베어러 채널을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 라우팅된다. 따라서, 베어러 채널은 이동국(202)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 연장하는 내부 이동 회선(228), 미디어 게이트웨이에서 원격국(204)으로 연장하는 외부 원격 회선(230), 및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를 통한 내부 이동 회선과 외부 원격 회선 사이의 접속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내부 이동 회선(228)은 제1 무선 접속 또는 링크(222), 접속점(212) 및 내부 통신망 링크(232)를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이동국(202)을 접속하며, 외부 원격 회선(230)은 유선 링크(226), 제2 통신망(214) 및 제2 무선 접속 또는 링크(224)를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원격국(204)을 접속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하나의 국, 즉 호출국에서 다른 국, 즉 피호출국으로 향할 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202)은 원격국(204)을 호출하거나 그 반대일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호출국으로부터 호를 수신하면 호출국의 전화 번호 및 전자 일련 번호(ESN) 또는 가입자 식별 모듈(SIM) 정보에 기초하여 호출국에 대응하는 호출자 ID 정보에 대해 무단절 이동 레지스터에게 질의한다. 무단절 이동 레지스터는 미디어 게이트웨이(210) 내에 또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에 접속된 원격 서버 상에 상주하는 데이타베이스이다. 또한, 무단절 이동 레지스터는 복수의 무선 통신망 내에 병렬로 존재할 수 있다. 무단절 이동 레지스터는 무선 통신망에 가입된 각 국에 대한 데이타 레코드를 갖고 있다. 저장 데이타는 ESN 또는 SIM 정보, 사용자 이름 및 각 국과 연관된 모든 전화 번호를 포함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호출국의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면 호출국의 통신망에 의해 이용되는 가입자 정보를 피호출국의 통신망에 의해 이용되는 전화 번호 및 사용자 이름으로 변환하여 변환된 정보를 피호출국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호출국의 피호출자 ID 정보가 피호출국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도 3은 도2와 유사하지만, 이동국(202)이 통신망(206)의 전이 영역(302)으로 이동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호와 연관된 이동국(202)이 통신망(206)의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302)에 들어간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전이 영역(302)은 커버리지 영역의 외부 경계(208)와 내부 경계(304)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된다. 외부 경계(208)의 위치는 접속점(212)의 통신 범위(또는 복수의 접속점에 대한 통신 범위)에 기초하여 결정되며, 외부 경계(304)의 위치는 외부 경계로부터의 상대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동국(202)이 전이 영역(302)으로 들어가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동국이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가거나 나갈 수 있음을 인식하게 된다. 전이 영역(302) 내의 이동국(202)의 특히 외부 및 내부 경계들(208, 304)에 대한 액티비티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러한 인식을 한 단계 더 취하여 이동국이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가거나 나갈 가능성을 결정할 수 있다. 외부 경계(208)와 내부 경계(304)의 거리가 더 멀 것이 짧은 것보다 출입 가능성 결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키지만, 거리가 멀면 경계들 사이의 더 큰 전이 영역(302)을 모니터할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하게 된다.
도 3에서, 통신망, 보다 상세하게는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접속점(212)에 의해 감지되는 이동국의 무선 신호 강도를 측정함으로써 이동국(202)이 외부 경계(208)에 도달하였음을 검출한다. 무선 신호 강도가 소정의 제1 최소 임계값에 도달하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동국(202)이 접속점(212)을 향해 역이동하여 그 신호가 향상될 것인지, 또는 접속점으로부터 멀어져 이동국과의 통신을 제2 통신망(214)으로 핸드오버하여 설정된 호를 유지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이동국(212)이 커버리지 영역으로 복귀하여 그 신호가 향상될 것인지, 또는 커버리지 영역 밖으로 이동하여 셀룰러 통신망으로 핸드오버해야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타이머가 설정될 수 있다. 통신망(206)이 이동국(202)으로부터의 무선 신호 강도가 소정의 제1 최소 임계값보다 작은 소정의 제2 임계값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면, 핸드오버 절차가 개시된다.
도 3은 2개의 다른 시나리오, 즉 (1) 제1 호 상의 이동국(202)이 통신망(206)을 벗어나기 전에 전이 영역(302)에 들어간다는 시나리오, 및 (2) 제1 호 상의 이동국(202)이 통신망에 들어가기 전에 전이 영역에 들어간다는 시나리오가 가능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 시나리오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2)는 이동국(202)으로의 제1 접속 회선, 즉 내부 이동 회선(228)을 가지며, 이동국이 전이 영역(302)에 도달했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이동국으로의 제3 접속 회선, 즉 외부 이동 회선(306)을 설정한다. 제2 시나리오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2)는 이동국(202)으로의 제1 접속 회선, 즉 외부 이동 회선(306)을 가지며, 이동국이 전이 영역(302)에 도달했음을 검출한 것에 응답하여 이동국으로의 제3 접속 회선, 즉 내부 이동 회선(228)을 설정한다. 양 시나리오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제3 접속 회선을 제1 접속 회선에 동기시켜, 하나의 접속에서 다른 접속으로의 핸드오버가 무단절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동국(202)에게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제2 호를 발하도록 명령한다. 이에 응답하여, 이동국(202)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의 제2 호 및 따라서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번호를 호출한다. 소정의 번호는 전화 번호와 같은 이동국의 식별 번호, 또는 지정된 무료 번호(예를 들어 800, 888 또는 877) 또는 유료 번호(예를 들어 900)와 같은 미리 할당된 핸드오버 번호일 수 있다. 이동국(202)과 원격국(204) 사이의 호는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통신되어야 하므로, 소정 번호에 대한 어떠한 통신도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지향되어야 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동국(202)에게 소정의 번호를 호출하도록 명령한 후 소정의 기간 내에 소정의 번호로 향하는 통신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소정의 번호로 향하는 통신을 수신하고,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202) 사이에 접속된 내부 이동 회선(228)이 여전히 액티브 상태인 것으로 판정한 것에 응답하여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동국(202)을 호출함으로써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하고, 호를 통해 이동국에게 핸드오버 동작이 발생할 것이라는 것을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내부 이동 회선(228)에서 외부 이동 회선(306)으로 통신을 핸드오버하려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의도를 이동국(202)에게 알리는 헤더 메시지를 발신 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국(202)은 통신망(206)의 외부 경계(208)의 밖에 도시되어 있다. 이동국(202)은 통신망(206)을 벗어남으로써, 또는 통신망에 들어갈 준비를 함으로써 이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이동국(202)이 통신망(206)을 벗어나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동국(202)으로의 제1 접속 회선, 즉 내부 이동 회선(228)(도 3에 도시)을 미리 갖추고 있으며, 현재 이동국으로의 제3 접속 회선, 즉 외부 이동 회선(306)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제3 통신 회선이 설정된 후,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통신을 제1 접속 회선에서 제3 접속 회선으로 핸드오버하고 제1 접속 회선을 접속 해제하여야 한다. 제2 시나리오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현재 이동국(202)으로의 제1 접속 회선, 즉 외부 이동 회선(306)을 갖추고 있으며, 이동국으로의 제3 접속 회선, 즉 내부 이동 회선(228)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통신 회선이 설정된 후,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통신을 제1 접속 회선에서 제3 접속 회선으로 핸드오버하고 제1 통신 회선을 해제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국(202)이 소정 기간 동안 통신망(206) 내에 있을 경우 제1 통신 회선은 해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국(202)은 외부 이동 회선(306)을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통신하며, 원격국(204)은 외부 원격 회선(230)을 통해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통신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국들(202, 204)이 제2 통신망(214)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외부 이동 회선(306)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에 의해 그 제어 하에 설정된다는 점은 본 발명의 이해에 중요하다. 국들(202, 204)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 지향되지 않고 제2 통신망(214)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통신을 제어할 수 없으며, 따라서 이동국이 SS7과 같은 통신 제어 신호를 제2 통신망(214)과 통신하지 않고 통신망(206)의 안팎으로 이동할 때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없게 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외부 이동 회선(306)을 유지함으로써 이동국(202)이 통신 제어 신호를 제2 통신망과 통신하지 않고 통신망(206)과 제2 통신망(214) 사이에서 이동할 때에도 무단절 방식으로 주어진 호를 핸드오버할 수 있다.
원격국(204)은 통신망(206)에 가입하거나 가입하지 않을 수 있다. 원격국(204)이 통신망(206)에 가입하지 않았지만(비가입 원격국), 이동국(202)으로 호를 발한 경우, 이동국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베어러 채널이 설정되어야 한다. 이동국(202)은 통신망(206)과 제2 통신망(214)의 가입자이며, 따라서 통신망에서의 동작을 위한 예를 들어 기업 번호와 같은 통신망 번호와, 제2 통신망에서의 동작을 위한 예를 들어 셀룰러 번호와 같은 제2 통신망 번호를 갖고 있다. 이러한 특정 시나리오에서, 비가입 원격국(204)이 통신망 번호를 호출하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베어러 채널이 설정된다. 따라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동국(202)에 대한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있다. 다른 시나리오에서, 비가입 원격국(204)이 제2 통신망 번호를 호출하면, 호는 제2 통신망(214)을 통해 직접 원격국과 이동국(202) 사이에 접속된다. 따라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호에 대한 제어를 갖지 않으며, 이동국(202)에 대한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면, 원격국(204)은 통신망(206)의 가입자는 아니지만 제2 통신망(214)의 가입자이다. 원격국(204)이 통신망(206)의 안쪽 또는 바깥쪽에 위치할 수 있지만, 원격국은 이 예에서 통신망의 바깥쪽에 위치한다. 이동국(202)은 통신망(206) 및 제2 통신망(214) 양쪽의 가입자이며, 따라서 적어도 2개의 전화 번호를 갖고 있다. 또한, 이동국(202)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의 무단절 이동 레지스터 데이타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타를 갖고 있다. 원격국(204)은 제2 접속 회선, 즉 외부 원격 회선(230)을 설정하기 위하여 이동국의 통신망 번호를 이용하여 제2 통신망(214)을 통해 이동국(202)으로 호를 발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호를 수신하고, 이동국(202)의 가입자 정보, 특히 이동국의 제2 통신망 번호를 검색한다. 이어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통신망(206)이 제2 통신망(214)을 통해 이동국(202)을 호출하여 제1 접속 회선, 즉 외부 이동 회선(306)을 설정할 수 있도록 호 재지향을 이용한다. 이동국(202)은 통신망(206)의 커버리지 영역 밖에 위치하므로, 호는 제2 통신망(214)을 통해 이동국에서 수신된다.
이 예에서, 이동국(202)의 호출자 식별 디스플레이는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에 원격국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원격국(204)의 제2 통신망 전화 번호 및 사용자 이름을 표시한다. 대안으로, 이동국(202)의 디스플레이는 "영역 외"와 같은 특정 메시지를 표시한다. 원격국(204)은 통신망(206)의 가입자가 아니며, 원격국에 대한 정보가 미디어 게이트웨이의 무단절 이동 레지스터에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부 원격 회선(230)은 호 내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이 예에서 원격국(204)은 통신망(206)으로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없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호에 대한 베어러 채널을 유지하며, 이동국(202)은 통신망(206) 및 제2 통신망(214)의 가입자이다. 따라서, 이동국(202)은 전술한 절차를 이용하여 통신망과 제2 통신망 사이에서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있다.
도 2 내지 4와 연관된 도 5를 참조하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의 바람직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500)가 제공된다. 단계 502에서 동작을 개시한 후, 단계 504에서 이동국(MS; 202)과 원격국(RS; 204) 중 하나가 다른 하나에 호를 발한다. 구체적으로, 이동국(202)이 원격국(204)의 통신망 번호를 호출하거나, 원격국이 이동국의 통신망 번호를 호출할 수 있다. 이동국(202) 또는 원격국(204)에 의한 통신망 번호로의 호출 시도는 단계 506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 전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202)과 원격국(204) 사이에 설정되는 베어러 채널은 항상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설정된다. 이어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08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동국(202)과 원격국(204) 사이에 호를 접속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제1 접속 회선, 즉 회선 1을 통해 이동국(202)에 접속되며, 제2 접속 회선, 즉 회선 2를 통해 원격국에 접속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접속 회선은 내부 이동 회선(228)과 외부 이동 회선(306) 중 하나로 표시되고, 제2 접속 회선은 외부 원격 회선(230)으로 표시된다.
호가 접속된 후,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10에서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302)에 대한 이동국(202)의 위치를 모니터링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가 이동국(202)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고 있는 동안 단계 512에서 호가 종료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단계 534에서 동작이 종료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 이동국이 단계 514에서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302)에 들어가지 않은 경우 또는 이동국이 단계 516에서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가거나 벗어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10에서 이동국(202)의 위치를 계속 모니터링한다. 호가 단계 512에 도달한 때 종료되지 않았고, 이동국(202)이 단계 514에서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에 들어 갔으며, 이동국이 단계 516에서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가거나 벗어날 가능성이 있는 경우,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24에서 이동국과의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한다.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접속 회선은 내부 이동 회선(228)과 외부 이동 회선(306) 중 제1 접속 회선을 표시하지 않는 선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단계 524 동안 2개 접속 회선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이동국(202) 사이에 동시에 존재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하나 이상의 조건에 응답하여 단계 524에서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동국(202)에게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호출하도록 명령하여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하거나,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이동국을 호출하여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할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가 이동국(202)에게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향하는 소정의 번호를 호출하도록 명령하면,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이동국(202)에게 소정의 번호를 호출하도록 명령한 후 특정 임계 기간 내에 미디어 게이트웨이(210)가 호를 수신한 경우 제3 접속 회선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가 호를 수신한 소정의 번호가 제3 접속 회선을 개시하기 위한 목적에 할당된 것인 경우에도 제3 접속 회선이 설정될 수 있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가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하기 위하여 이동국(202)을 호출하는 경우, 호는 이동국에게 제3 접속 회선이 설정되고 있음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가 이동국(202)을 호출할 때, 호는 제3 접속 회선이 제1 접속 회선과 동시에 존재해야 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호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18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로의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하기 위하여 이동국(202)에게 소정의 번호를 호출하도록 명령하고, 단계 520에서 이동국이 소정의 번호를 호출하라는 명령을 수신 확인하였는지를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202)은 소정의 번호를 호출함으로써 명령을 수신 확인할 수 있다. 이동국(202)이 단계 520에서 명령을 수신 확인하지 않은 경우,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22에서 호가 종료된 것으로 판정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20 및 522의 루프를 통해 이동국(202)으로부터의 수신 확인 또는 호가 종료되었다는 지시를 계속 기다린다. 단계 522에서 호가 종료된 경우, 동작은 단계 534에서 종료된다.
이동국(202)이 단계 520에서 명령을 수신 확인한 경우,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24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 사이에 제3 접속 회선, 즉 회선 3을 설정한다. 이어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26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202) 사이의 통신을 제1 접속 회선에서 제3 접속 회선으로 핸드오버한다. 단계 526 및 528로 나타낸 바와 같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28에서 핸드오버에 성공할 때까지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202) 사이의 핸드오버를 계속 시도한다. 단계 528에서 핸드오버에 성공한 후,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30에서 제1 접속 회선을 해제함으로써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202) 사이의 통신을 해제한다. 단계 532에 도달한 때까지 호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510에서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302)에 대한 이동국(202)의 위치를 다시 모니터링한다. 그렇지 않고 호가 종료된 경우, 동작은 단계 534에서 종료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이동국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동국(202)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602), 2개의 트랜시버 회로(604, 606) 및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608-614)을 포함한다. 이동국(202)의 개별 컴포넌트들은 함께,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로서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회로(604, 606)는 도 6에 개별 회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단일 회로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국(202)은 제1 트랜시버 회로(604; 트랜시버 1) 및 제2 트랜시버 회로(606; 트랜시버 2)를 포함한다. 제1 트랜시버 회로(604)는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제1 통신망과 통신하며, 제2 트랜시버 회로(606)는 제2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제2 통신망과 통신한다. 제2 커버리지 영역은 제1 커버리지 영역과 다르며, 바람직하게는 제2 통신망은 제1 통신망과 다르다. 이동국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통신망은 반송파 통신망과 무반송파 통신망 중 하나이고, 제2 통신망은 반송파 통신망과 무반송파 통신망 중 다른 하나이다. 무반송파 통신망은 반송파에 의해 관리되지 않은 무선 LAN이다. 예를 들어, 반송파 통신망은 셀룰러 통신망이고, 무반송파 통신망은 기업 통신망일 수 있다.
또한, 이동국(202)은 프로세서(608)를 포함하는 메인 회로, 메모리부(610), 디스플레이(612) 및 프로세서에 결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61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부(61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타의 조작에 기초한 이동국(202)의 일반 동작을 제공한다. 메모리부(61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들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원격국(204)과의 호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 코드, 통신망(206)의 전이 영역(302)에 들어가기 위한 프로세서 코드, 제1 및 제2 트랜시버 회로들(604, 606)을 통해 동시에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통신하기 위한 프로세서 코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의 통신을 제1 트랜시버 회로에서 제2 트랜시버 회로로 핸드오버하기 위한 프로세서 코드, 및 제1 트랜시버 회로를 통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의 통신을 해제하기 위한 프로세서 코드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프로세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통신망과 제2 통신망 사이의 무단절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동작들을 제공한다. 또한, 디스플레이(61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614)는 상기 프로세서 코드들을 실행하는 동안 이동국(202)의 동작을 용이하게 해주는 사용자 인터랙션을 제공한다.
메인 회로는 제1 및 제2 트랜시버 회로들(604, 606)에 결합되며, 원격국과의 호를 수행하는 데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608)는 제1 및 제2 트랜시버 회로들(604, 606)에 결합된다. 메인 회로는 제1 및 제2 트랜시버 회로들(604, 606)을 동시에 동작시키고 호에 대한 통신을 제1 트랜시버 회로(604)에서 제2 트랜시버 회로(606)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회로는 제1 트랜시버 회로(604)와 제2 트랜시버 회로(606) 중 하나를 통해 제1 접속 회선을 원격국(204)에 접속시키고, 다른 하나를 통해 제2 접속 회선을 원격국으로의 제2 접속 회선을 개통하며, 제1 접속 회선을 해제할 수 있다. 메인 회로는 제1 트랜시버 회로(604)를 동작시키는 동안 이동국(202)이 전이 영역 또는 제2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갔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2 트랜시버 회로(606)의 동작을 개시한다. 이동국(202)은 무반송파 커버리지 영역에 들어가거나 나가기 위해 특정 범위 내에 위치함으로써 전이 영역에 들어갈 수 있다.
이동국(202)은 2개의 트랜시버 회로(604, 606)를 포함하므로, 그의 통신망 번호 및 제2 통신망 번호로의 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메인 회로는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동기하여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인 회로는 (a) 원격국(204)이 이동국(202)의 통신망 번호 또는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 향하는 소정의 번호로 호를 개시하거나, (b) 이동국이 원격국의 통신망 번호 또는 미디어 게이트웨이로 향하는 소정의 번호로 호를 개시한 경우 호에 대한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인 회로는 원격국(204)이 이동국(202)의 제2 통신망 번호로의 호를 개시한 경우에는 호에 대한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없다.
메인 회로는 이동국(202)이 원격국(204)의 제2 통신망 번호로 호를 개시한 경우 호에 대한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있거나 할 수 없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국(202)의 메인 회로는 이동국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의 접속을 설정하는 소정의 번호를 호출하고, 미디어 게이트웨이(210)가 원격국(204)의 제2 통신망 번호로의 호를 설정하는 경우에 핸드오버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국(20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원격국(204)의 제2 통신망 번호에 들어감으로써 호를 개시할 수 있다. 이어서, 이동국(202)은 사용자에 대해 투명하게 원격국(204)의 소정의 번호 또는 통신망 번호를 사용하여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의 호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이동국(202)이 통신망(206)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위치할 때마다 통신망 접속에 대해(제2 통신망 접속은 반대임) 우선순위가 주어진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이동국(202)이 통신망(206) 내에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것에 관계없이 발생할 수 있다. 내부 또는 외부 통신 회선이 이동국(202)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로 설정되도록 이동국(202)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를 통해 호를 설정하는 한, 이동국은 통신망(206)과 제2 통신망(214) 사이에서 통신을 핸드오버할 수 있다.
도 6은 또한 원격국(204)을 나타낼 수 있다. 원격국(204)은 모든 면에서 이동국(202)과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당한 동작은 이동국(202)과 원격국(204)이 동일할 것을 요구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원격국(204)은 이동국(202)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트랜시버 회로(606)도 메모리부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세서 코드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사실, 기존 통신 장치들은 원격국(204)으로서 동작할 수 있다.
도 6과 연관된 도 7을 참조하면, 이동국(202)의 바람직한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가 제공된다. 단계 702에서 동작을 개시한 후, 단계 708에서 이동국(202; MS)과 원격국(204; RS) 사이에 호가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이동국(202)의 제1 트랜시버 회로(604) 사이에 통신이 설정된다. 호가 접속된 후, 단계 712에서 이동국(202)이 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정하거나 단계 714에서 이동국이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302)에 들어갔는지를 판정한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가 단계 712에서 호가 종료된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 동작은 단계 734에서 종료된다.
단계 712에 도달할 때까지 호가 종료되지 않았고 이동국(202)이 단계 714에서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에 들어간 경우, 단계 724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이동국(202)의 제2 트랜시버 회로(606) 사이에 통신이 설정된다. 단계 724 동안 제1 및 제2 트랜시버 회로들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 및 이동국(202)과 동시에 통신한다.
하나 이상의 조건에 응답하여 단계 724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제2 트랜시버 회로(606) 사이에 통신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이동국(202)에게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향하는 소정의 번호를 호출하도록 명령하거나, 이동국을 호출하여 이동국에게 접속이 설정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이어서, 이동국(202)은 단계 726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제1 트랜시버 회로(604)에서 제2 트랜시버 회로(606)로 핸드오버한다. 이러한 이동국(202)의 핸드오버 동작은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에 의해 수행되는 유사한 핸드오버 동작(도 5의 단계 526)과 동기하여 수행된다. 단계 726 및 72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이동국(202)은 단계 728에서 핸드오버에 성공할 때까지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202) 사이의 통신의 핸드오버를 계속 시도한다. 단계 728에서 핸드오버에 성공한 후,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단계 730에서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이동국(202)의 제1 트랜시버 회로(604) 사이의 통신을 해제한다. 단계 712에 도달할 때까지 호가 종료되지 않은 경우, 이동국(202)은 이동국이 단계 714에서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302)에 들어갔는지를 다시 판정한다. 그렇지 않고, 호가 종료된 경우, 동작은 단계 734에서 종료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통신망들 사이의 핸드오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번호가 이동국(202)에 할당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이동국(202)에 3개 이상의 번호가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국(202)에 유니버셜 번호가 할당되고 미디어 게이트웨이(210)와 관련된 무단절 이동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사용예들은 호출국이 통신망 번호 대신 피호출국의 유니버셜 번호를 사용한다는 점 외에는 동일할 것이다. 미디어 게이트웨이(210)는 필요에 따라, 그리고 본 명세서에 설명된 예에서는 베어러 채널이 항상 전술한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유지되도록 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유니버셜 번호를 변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 변화, 변형, 대체 및 균등물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Claims (13)

  1. 커버리지 영역을 갖는 통신망-상기 통신망은 복수의 이동국과 통신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에 연관됨-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동국과 원격국 사이에 호를 접속하는 단계-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제1 접속 회선을 통해 상기 이동국에, 제2 접속 회선을 통해 상기 원격국에 접속됨-;
    상기 이동국이 상기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transition area)에 들어간 것으로 판정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국 사이에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상기 제1 접속 회선에서 상기 제3 접속 회선으로 핸드오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접속 회선을 통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통신망과 다른 또 하나의 통신망과 상기 호의 제어를 조정하지 않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핸드오버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통신을 핸드오버하는 단계 동안, 상기 제1 및 제3 접속 회선들이 동시에 존재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상기 제1 접속 회선에서 상기 제3 접속 회선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회선은 무반송파 통신망(non-carrier network)과 반송파 통신망 중 하나 내에서 동작하고, 상기 제3 접속 회선은 상기 무반송파 통신망과 상기 반송파 통신망 중 다른 하나 내에서 동작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커버리지 영역의 외부 경계에 위치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접속 회선을 설정하는 단계는 소정의 번호로 향하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원격국과의 통신이 가능한 이동국;
    반송파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상기 원격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반송파 통신망;
    무반송파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상기 이동국과 상기 원격국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반송파 통신망; 및
    상기 무반송파 통신망과 연관되어, 상기 이동국과 상기 원격국 사이에 호를 접속시키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를 포함하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반송파 통신망과 상기 무반송파 통신망 중 하나를 통해 제1 접속 회선을 상기 이동국에 접속시키고, 상기 반송파 통신망과 상기 무반송파 통신망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제2 접속 회선을 상기 이동국에 접속시키며, 상기 제1 접속 회선을 접속 해제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반송파 통신망과 상기 무반송파 통신망 중 하나를 통해 제3 접속 회선을 상기 원격국에 접속시킬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반송파 통신망과 상기 호의 제어를 조정하지 않고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핸드오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속 회선들은 동시에 존재하여,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가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국 사이의 통신을 상기 제1 접속 회선에서 상기 제2 접속 회선으로 핸드오버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국이 상기 무반송파 커버리지 영역의 전이 영역에 들어갔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무반송파 커버리지 영역의 외부 경계에 위치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게이트웨이는 소정의 번호로 향하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의 호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20047021173A 2002-06-26 2003-04-29 반송파 제어 없이 무선 통신망들 사이의 양방향 소프트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670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80,844 2002-06-26
US10/180,844 US6766171B2 (en) 2002-06-26 2002-06-26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bi-directional soft handovers between wireless networks without carrier control
PCT/US2003/013505 WO2004004385A1 (en) 2002-06-26 2003-04-29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bi-directional soft handovers between wireless networks without carrier contr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888A true KR20050016888A (ko) 2005-02-21
KR100670873B1 KR100670873B1 (ko) 2007-01-19

Family

ID=29779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173A KR100670873B1 (ko) 2002-06-26 2003-04-29 반송파 제어 없이 무선 통신망들 사이의 양방향 소프트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766171B2 (ko)
EP (1) EP1527639B1 (ko)
KR (1) KR100670873B1 (ko)
AU (1) AU2003231213A1 (ko)
BR (1) BR0312212B1 (ko)
RU (1) RU2283539C2 (ko)
WO (1) WO20040043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24246C1 (de) * 2001-05-18 2002-11-07 Delphi Tech Inc Multifunktionsschalter
US7835751B2 (en) * 2002-10-18 2010-11-16 Ibe Oliver C Method of seamless roaming betwee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nd cellular carrier networks
US6904029B2 (en) * 2003-01-23 2005-06-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ource-initiated handoff from a source cellular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non-cellular wireless network
US20040266437A1 (en) * 2003-04-17 2004-12-30 Spatial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obile handover across multiple media gateways controlled by the same call server
US20040258028A1 (en) * 2003-06-23 2004-12-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access point controller (APC) for translating data frames
WO2005032155A2 (en) * 2003-08-28 2005-04-07 Tekele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wireless local area network-base transceiver station (wlan-bts) gateway
US6999770B2 (en) * 2003-12-30 2006-02-14 Motorola, Inc. Selective hairpinning of calls through another network
US7710923B2 (en) * 2004-05-07 2010-05-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 media independent handover
JP4151613B2 (ja) 2004-05-31 2008-09-1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通信方法
CN1719937A (zh) * 2004-07-09 2006-01-1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在不同网络之间漫游的方法和电路
WO2006020636A2 (en) * 2004-08-10 2006-02-23 Nextel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handoff between base stations
WO2006031927A2 (en) * 2004-09-15 2006-03-23 Tekele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wireless-fidelity (wi-fi) gateway 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functionality
US20060083199A1 (en) * 2004-10-15 2006-04-20 Yang Jianhao M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handing off between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over wireless access sessions and CDMA circuit switched voice sessions
US7539492B2 (en) * 2004-12-03 2009-05-26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handoff leg associated with a preexisting leg in a network environment
US8130718B2 (en) 2004-12-09 2012-03-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rworking of cellular networks and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ATE454800T1 (de) * 2005-07-05 2010-01-15 Research In Motion Ltd Sprachsynchronisation während der verbindungsweiterreichung
US7519353B2 (en) * 2005-07-26 2009-04-14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Multi-MVNO wireless service
US8208442B2 (en) * 2005-08-22 2012-06-26 Genband Us Llc Multimedia subsystem service control for circuit-switched subsystem calls
US8811954B1 (en) 2005-10-31 2014-08-19 Genband Us Llc Network domain selection
TWI287376B (en) * 2005-12-27 2007-09-2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management in wireless networks
US20090280810A1 (en) * 2006-06-14 2009-11-12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transitioning support of communication sessions for a user element between different types of subsystems of different generations
US8180338B1 (en) 2006-06-14 2012-05-15 Genband Us Llc Selective call anchoring in a multimedia subsystem
EP2033397A4 (en) * 2006-06-14 2014-01-22 Apple Inc INTER SUBSYSTEM TRANSFERS
US8369292B2 (en) * 2006-06-30 2013-02-0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management in communication networks
CN102067549A (zh) * 2006-10-04 2011-05-18 北方电讯网络有限公司 电路交换和多媒体子系统语音连续性
US8600006B2 (en) * 2006-12-27 2013-12-03 Genband Us Llc Voice continuity among user terminals
US8130700B2 (en) * 2007-06-15 2012-03-06 Silver Spring Network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network and routing protocols for utility services
US8644298B1 (en) 2007-09-12 2014-02-04 Genband Us Llc Adding a service control channel after session establishment
US8601146B2 (en) * 2009-10-21 2013-12-03 Tekelec,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identity verification
US8315630B2 (en) * 2010-03-10 2012-11-20 General Electric Company Handoff metric for multiple transmission technologies
US8886128B2 (en) * 2010-12-10 2014-11-1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proximity-relationship group creation
DE102011080476A1 (de) * 2011-08-05 2013-02-0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Datenübertragungssicherheit in einer seriellen Datenübertragung mit flexibler Nachrichtengröß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1968C (en) 1993-06-11 2000-08-22 Cecil H. Banniste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controlled call management services
US5862208A (en) 1994-02-16 1999-01-19 Priority Call Managem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a party to change terminals during a call
GB2321165A (en) * 1994-04-05 1998-07-15 Motorol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l handover between different mobile radio networks
GB2288301B (en) * 1994-04-05 1998-11-04 Motorol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all handover between different mobile radio networks
US5774809A (en) * 1996-02-12 1998-06-30 Nokia Mobile Phones Limited Simplified mobile assisted handoff of signal between cells
US5850606A (en) 1996-05-17 1998-12-15 Bellsouth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a cellular telephone call between intelligent cell sites
US6167040A (en) * 1997-10-10 2000-12-26 Nokia Telecommunications Oy Speech transmission between terminals in different networks
US6222829B1 (en) * 1997-12-23 2001-04-24 Telefonaktieblaget L M Ericsson Internet protocol telephony for a mobile station on a packet data channel
JPH11298930A (ja) 1998-04-16 1999-10-29 Nec Corp Phsのハンドオーバ機能を提供する構内交換機
FI108200B (fi) * 1998-09-14 2001-11-30 Nokia Mobile Phones Ltd Yhteyden vaihto matkaviestinverkkojen välillä
US6539237B1 (en) 1998-11-09 2003-03-25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s in private and public network environments
US6522875B1 (en) * 1998-11-17 2003-02-18 Eric Morgan Dowling Geographical web browser,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US6539225B1 (en) * 1999-06-21 2003-03-25 Lucent Technologies Inc. Seamless data network telecommunication service during mobile wireless call handof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04385A1 (en) 2004-01-08
BR0312212B1 (pt) 2017-12-05
EP1527639B1 (en) 2019-01-09
AU2003231213A1 (en) 2004-01-19
KR100670873B1 (ko) 2007-01-19
RU2005101771A (ru) 2005-06-27
US20040002335A1 (en) 2004-01-01
BR0312212A (pt) 2005-04-12
EP1527639A1 (en) 2005-05-04
US6766171B2 (en) 2004-07-20
RU2283539C2 (ru) 2006-09-10
EP1527639A4 (en)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873B1 (ko) 반송파 제어 없이 무선 통신망들 사이의 양방향 소프트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88904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bi-directional soft handovers between wireless networks via media gateway control
US200402037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bi-directional soft handovers between wireless networks via mobile station control
EP15909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ource-initiated handoff from a source cellular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non-cellular wireless network
KR101208809B1 (ko) 복수의 네트워크 유형 호환을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컴포넌트들
JP5345668B2 (ja) 無線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からセルラーネットワークへのユーザ端末によって起動されるハンドオフ
EP1448013B1 (en) Wireless user apparatus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thereof
US69312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target-initiated handoff from a source cellular wireless network to a target non-cellular wireless network
US79075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oice and data servi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various overlapped access networks
US5659598A (en)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and a handover procedure of the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
EP0742991B1 (en)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and a handover procedure of the dual mode subscriber terminal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1007333B1 (ko) 유무선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복합 무선 서비스 장치 및그 방법
KR200406546Y1 (ko) 복수의 네트워크 유형 호환을 용이하게 하는 무선 통신컴포넌트들
BRPI0312065B1 (pt)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bidirectional soft transfers between wireless networks through media portal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