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778A - Signboard, image di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 Google Patents

Signboard, image di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778A
KR20050016778A KR1020030053654A KR20030053654A KR20050016778A KR 20050016778 A KR20050016778 A KR 20050016778A KR 1020030053654 A KR1020030053654 A KR 1020030053654A KR 20030053654 A KR20030053654 A KR 20030053654A KR 20050016778 A KR20050016778 A KR 20050016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creen
image
signboar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6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28999B1 (en
Inventor
서진석
Original Assignee
서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진석 filed Critical 서진석
Priority to KR10-2003-0053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8999B1/en
Publication of KR20050016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7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8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8999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7/00Combined visual and audible advertising or displaying, e.g. for public address
    • G09F2027/002Advertising 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Projection Apparatu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displaying a board and an image, and a board control system are provided to display a moving picture and/or a still image on a selectively transparent or opaque screen and at the same time to perform other functions when images are not displayed on the screen. CONSTITUTION: The board includes a body part(100), and a screen part(200) which is installed in the body part and becomes transparent or opaque selectively. An image projection part projects images to the screen par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creen part is made to be opaque. And a control part controls the screen part and the image projection part. A board display part(300) having a cover plane(310) to transfer specific meaning is additionally installed on the plane where the screen part is installed.

Description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 {SIGNBOARD, IMAGE DI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Signage, Image Display Method and Signage Control System {SIGNBOARD, IMAGE DI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간판, 영상표시방법 및 간판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board, an image display method and a signage control system.

간판이란 상점·회사·영업소·기관 등에서 그 이름·판매상품·영업종목 등을 써서 사람 눈에 잘 띄도록 걸거나 붙이는 표지(標識)를 말한다. A signboard is a sign that a store, company, business office, institution, etc. hangs or puts on its name, merchandise, business items, etc. to make it stand out.

설치장소에 따라 옥상간판·벽면간판·돌출간판·점두(店頭)간판·입간판·빌보드(들판, 산, 고속도로변에 세우는 간판) 등이 있고, 구조상의 종류로는 네온사인·광고탑·조명광고간판·그림간판·플라스틱간판·시네사인(cine sign) 등이 있다.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lace, there are roof signs, wall signs, ledge signs, store signs, signboards and billboards (fields, mountains, highway signs). · Picture sign, plastic sign, cine sign.

특히 간판의 주요 기능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이름 등을 알리는 데 있으며,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In particular, the main function of the signboard is to let people know their names, etc., and it is necessary to use them more efficiently.

또한 간판에 그 표지면에 글자 또는 그림을 그려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구비하는 간판이 고안되었는데, 그 예로서 공개특허공보 10-2001-0083678호, 공개특허공보 특2003-0037200호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262262호가 있다.In addition, a signboard having a screen for displaying a moving picture or a still image is devised, instead of displaying a letter or a picture on the cover surface of the signboard. As an example,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83678 2003-0037200 and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62262.

그러나 상기 문헌들에 기재된 간판은 스크린에 해당하는 면이 간판에 형성되어야 하므로,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에는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However, since the signboard described in the above documents has to be formed on the signboard corresponding to the screen, when the image is not displayed, there is a problem in appearance that forms an empty space.

본 발명의 목적을 상기와 같은 필요성 및 문제점을 인식하여,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스크린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영상이 표시되지 않을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간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Recognizing the necessity and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transparent or opaque screen to selectively display a moving image and / or still image on the screen while maintaining the transparent state when no image is displayed It is to provide a signboard that can perform a functio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 및 문제점을 인식하여,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스크린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deo display method for displaying a moving picture and / or a still image on the screen by recognizing the necessity and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selectively using a transparent or opaque screen.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 및 문제점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한 스크린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간판을 전기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간판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ake into account the necessity and problems described above, by using a transparent or opaque screen, a signboard that can control the signboard displaying video and / or still image on the screen using a tele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a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in body; A screen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selectively transparent or opaque; An image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the screen unit while making the screen unit opaqu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creen unit and the image projecting unit.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간판을 다수개로 구성하고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간판부의 제어부를 제어하는 전기통신망을 이용한 간판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ge control system us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the signage as described above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of each signage unit through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외측면 일부에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부를 형성하고,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display method for forming at least one screen portion that is selectively transparent or opaque on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and projecting the image to the screen portion in the state of making the screen portion opaqu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간판, 간판제어시스템 및 영상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signage, a signage control system and an imag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발명의 기본 원리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rst, the basic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특수 막을 활용하는 것으로서, 전기를 가하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기를 가하지 않으면 불투명해지는 특수막을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스크린으로 활용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utilizes a special film that becomes transparent or opaque, and maintains a transparent state when electricity is applied, and utilizes the special film that becomes opaque when no electricity is applied as a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즉 낮과 같이 밝은 때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그 내부에 기타 표지면을 설치하여 표지판을 보이도록 하다가, 밤이 되면 상기 스크린을 불투명한 후에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으로서 활용하게 된다. In other words, when it is bright like day, it is possible to display a sign by installing other cover surfaces therein while maintaining a transparent state. At night, the screen is opaque and used as a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200)와; 상기 스크린부(200)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200)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400)와; 상기 스크린부(200) 및 영상투사부(4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00)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Sign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body portion 100; A screen unit 200 installed on the main body unit 100 and selectively transparent or opaque; An image projector 400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the screen unit 200 while making the screen unit 200 opaque; And a control unit 500 for controlling the screen unit 200 and the image projecting unit 400.

상기 본체부(100)는 통상 건물의 전면 또는 측면에 부착되는 본체로서, 건물에 고정되도록 체결부가 형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 면이 건물(B)의 벽에 고정되거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면과 수직인 면이 건물(B)의 벽에 고정될 수 있으며, 건물과는 별도로 지면 상에 설치가능한 소위, 입간판의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The main body 100 is a main body which is usually attached to the front or side of the building, the fastening is formed to be fixed to the building. That is, as shown in FIG. 3A, the main body part 100 is fixed to a wall of the building B opposite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creen part 200 is installed, or as shown in FIG. 3B. A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part 200 is installed may be fix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B, and may form a so-called sign board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ground separately from the building.

상기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면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지면(310)을 가지는 간판 표시부(300)가 추가로 설치된다.As shown in FIG. 1, the main body unit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signboard display unit 300 having a cover surface 310 for transmitting a specific meaning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creen unit 200 is installed.

그리고 상기 간판 표시부(300)는 밤과 같이 어두운 경우에 눈에 띄도록 표시될 수 있도록 표지면(310)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32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signage display unit 30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ighting device 320 for illuminating the cover surface 310 to be displayed prominently in the dark, such as night.

상기 조명장치(320)는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에서 상기 표지면(310)을 비추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광등(321) 등을 상기 표지면(310)에 대응되어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The lighting device 320 may be installed to illuminate the cover surface 310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100, as shown in Figure 4, the fluorescent lamp 321, etc. the cover surface 310 Corresponding to this, 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그리고 상기 본체부(100)에는 상기 조명장치(320)의 조명이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그 조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330)가 상기 본체부(100)에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blocking unit 330 for blocking the illumination so that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device 320 does not affect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0.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to.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스크린부(200)가 투명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보조 간판 표시부(34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An auxiliary signage display unit 34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to transmit a specific meaning to the outside in a transparent state of the screen unit 200.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3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에 설치된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의 내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signage display unit 340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side surface opposite to a surface on which the screen unit 200 installed in the main body unit 100 is installed.

또한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340)는 도 5a와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부(200)의 내측면에 중첩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보조 간판 표시부(340)는 스크린부(200)가 투명할 때에는 스크린부(200)와 내측에 중첩되어 외측으로 표시하는 표시면부(341)와, 상기 표시면부(341)와 연결됨과 아울러 스크린부(200)가 불투명할 때에는 스크린부(200)의 내측에 중첩되어 후술할 영상투사부(400)의 프라젝터(410)가 영상을 상기 스크린부(200)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면부(342)와, 상기 표시면부(341)와 투명면부(342)가 상기 스크린부(200)에 중첩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lso,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auxiliary signage display unit 340 may be installed to overlap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en unit 200, and the auxiliary signage display unit 340 may be transparent to the screen unit 200. The display surface portion 341 overlapping the inside of the screen portion 200 to be displayed on the outside and the display surface portion 341 connected to the display surface portion 341 and overlapping the inside of the screen portion 200 when the screen portion 200 is opaque. The transparent surface unit 342 and the display surface unit 341 through which the projector 410 of the image projector 400 to be described later may transmit light to project the image onto the screen unit 200. And a driving unit 350 for moving the transparent surface unit 342 to overlap the screen unit 200.

그리고 상기 구동부(350)는 상기 표시면부(341)와 투명면부(342)가 각각 감기는 한 쌍의 감김롤(351)과, 상기 감김롤(351)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riving unit 350 includes a pair of winding rolls 351 to which the display surface portion 341 and the transparent surface portion 342 are wound, and a rotating device (not shown) for rotating the winding roll 351.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투명면부(341)는 스크린부(200)와 중첩되는 부분에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거나, 개구부가 형성된다.The transparent surface portion 341 may be formed to be transparent to allow light to pass through a portion overlapping the screen portion 200, or an opening may be formed.

한편,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340)는 상기 영상투사부(400)의 영상 투사를 방해하지 않는 조건에서, 본체부(100)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면부(341)는 양면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표시면을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auxiliary signage display unit 340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unit 100 under conditions that do not interfere with the image projection of the image projector 400, and the display surface unit 34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It can have a display surface that conveys meaning.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상기 스크린부(200)에 투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The image projection unit 400 is a component that performs a function of projecting a moving image and / or still image on the screen unit 200, the image projection unit 400 is shown in Figure 6, the main body It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portion 100.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본체부(100)가 건물(B)의 측면에 설치된 경우에는 본체부(100)의 양측면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한 쌍의 스크린부(200)을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스크린부(200)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본체부(100)의 상측에 설치된 지지부재(430)에 의하여 지지되어 한 쌍의 프라젝터(410)가 설치된다. As shown in FIG. 3B, when the main body 100 is installed at the side of the building B, the image projection unit 400 may use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as shown in FIG. 7. Similarly, the support member 43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so as to install a pair of the screen portion 200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and to project an image on the respective screen portion 200 Is supported by a pair of projectors 410 are installed.

물론 상기 프라젝터(410)는 본체부(100)의 내측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스크린부(200)가 양측면에 설치된 경우,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여 본체부(100)의 내측 양쪽에 설치될 수 있다.Of course, the projector 4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when the screen 200 is installed at both sides, the projector 410 may be installed at both inner sides of the main body 100 so as not to interfere with each other. .

또한 상기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본체부(100)의 반대쪽면에 투명창(미도시) 또는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 제 2 스크린부(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스크린부(200)에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상기 투명창 또는 제 2스크린부를 투명하게 하여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을 본체부(100)의 양측면에서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transparent window (not shown) or optionally a transparent or opaque second screen unit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body unit 100 on which the screen unit 200 is installed, so that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0. In this case, the transparent window or the second screen unit may be made transparent so that 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0 may be viewed from both sides of the main body unit 100.

또한 상기 스크린부(200)는 본체부(100)의 외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으나 도 7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린부(200)는 본체부(100)의 외면과 떨어져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creen unit 20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but as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ure 7, the screen unit 200 is inclined awa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May be

한편, 상기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한 쌍의 스크린부(200)가 설치된 경우 영상투사부(400)를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함과 동시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본체부(100)의 양측면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빛을 분리하는 광분리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air of screen unit 200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0, the image projection unit 400 may be installed at the same time as the inside of the main body unit 100, in this case, The image projection unit 400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light separation unit (not shown) for separating the light to project the image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0.

상기 광분리부는 빛의 일부를 스크린부(200)로 각각 반사시키는 반투과경(미도시)과 반투과경을 투과한 빛을 다시 반투과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optical separation unit includes a transflective mirror (not shown) for reflecting a part of light to the screen unit 200 and a reflector (not shown) for reflect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flective mirror back to the transflective mirror. .

한편 상기 광분리부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젝터(410)에서 조사되는 빛을 두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볼록경(460)과 상기 볼록경(460)으로부터 분리된 빛을 스크린부로 반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반사경(4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7B, the optical splitter reflects the light separated from the convex mirror 460 to the screen unit, and the convex mirror 460 separa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projector 410 in two directions. The reflection mirror 462 may be configured.

그리고 상기 한쌍의 스크린부(200)에는 영상이 상호 간섭받지 않도록 빛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스크린부(200)가 투명할 때 외측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표지판(461)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screen parts 200 may be provided with a sign 461 that blocks light so that images are not interfered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ransmits a specific meaning to the outside when the screen part 200 is transparent.

한편,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8, the image projector 4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00.

그리고 상기 영상투사부(400)가 원활한 영상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통상 일정한 거리를 요구하는 데, 이는 본체부(100)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부(100)의 내측에는 도 9a 또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투사부(400)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스크린부(200)에 도달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경(430)들이 본체부(100)의 내측에 스크린부(200)에 영상이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적절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image projecting unit 400 generally requires a certain distance to form a smooth image, which h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main body unit 100. As shown in FIG. 9A or 9B, one or more reflectors 430 reflecting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e projector 400 to reach the screen unit 2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unit 100. The screen 200 is properly installed so that an image is smoothly formed.

또한 상기 반사경(430) 중 스크린부(200)에 가까운 반사경(430)은 그 영상 도달거리를 줄이기 위하여 볼록면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eflector 430 near the screen unit 200 of the reflector 430 may be formed to have a convex surface to reduce the image reach distance.

상기 영상투사부(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영상재현부(420)와, 상기 영상재현부(420)의 신호에 따른 영상정보를 가지는 빛으로 변환하여 상기 빛을 상기 스크린부(200)로 조사하는 투사부(4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투사부(410)는 통상 프라젝터(Projector)가 사용된다.As shown in FIG. 2, the image projection unit 400 converts the light into light having an image reproducing unit 420 for reproducing an image and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image reproducing unit 4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rojection unit 410 to irradiate the screen unit 200. The projector 410 is usually used as a projector.

한편 상기 영상재현부(420)는 상기 투사부(4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영상재현부(420)는 VTR, DVD 플레이어, 컴퓨터 등 영상을 재현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느 것이든 무방하다. The image reproduction unit 420 may be connected to the projection unit 410 by wire or wirelessly, and the image reproduction unit 420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reproducing an image such as a VTR, a DVD player, a computer, and the like. .

상기 영상재현부(420) 및 제어부(500)는 유선 또는 무선 등의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제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을 다수개로 구성하고, 이를 한 곳에서 제어할 수 있는 간판제어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The image reproduction unit 420 and the control unit 500 may be controlled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a wired or wireles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signboar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board control that can be controlled in one place You can configure the system.

또한 상기 제어부(500)를 제어함에 있어서, 인터넷을 활용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표시되는 영상 또한 인터넷과 연결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500, it may be controlled by using the Internet, and the displayed image may also be displayed in connection with the Internet.

상기 스크린부(200)는 전기를 가하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전기를 가하지 않으면 불투명해지는 특수막(미도시)과 상기 특수막이 부착되는 투명한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creen unit 200 maintains a transparent state upon application of electricity, and includes a special layer (not shown) that becomes opaque when no electricity is applied, and a transparent support unit (not shown) to which the special layer is attached.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200)는 낮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며 밤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된다.The screen unit 200 is controlled to maintain a transparent state during the day and to maintain an opaque state at night.

그리고 상기 스크린부(200)는 빗물 또는 먼지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방지막(미도시)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creen unit 20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ollution prevention film (not shown) to prevent contamination by rain or dust.

상기 스크린부(200)는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표지부(미도시)가 함께 형성될 수 있는데, 낮과 같이 밝을 때에는 표지부를 제외한 부분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불투명한 부분이 글자들의 특정한 의미를 표시하게 되며, 밤과 같이 어두운 경우에는 표지부 이외의 부분도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screen portion 200 may be formed with a cover portion (not shown) that maintains an opaque state in order to convey a specific meaning, when the day is bright, the portion opaque by maintaining a transparent state except for the cover portion In the dark, such as at night, the letters may display a specific meaning of the letters, and thus, the portion other than the cover part may remain opaque to serve as a screen for displaying an image.

물론 상기 표지부 또한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하여 영상표시 중에 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조절함으로써 특수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Of course, the cover part may also be selectively transparent or opaque to implement a special effect by controlling the transparency or opacity during image display.

상기 스크린부(200)는 본체부(100)에 하나만 형성될 수 있으나, 다수개로 설치가 가능하며 그 위치 또한 양단부, 중앙, 상단부, 상하단부 등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Only one screen unit 200 may be formed in the main body unit 100, but a plurality of screen units 200 may be installed and their positions may also be variously changed, such as both ends, a center, an upper end, and an upper and lower ends.

한편 상기 영상표시부(400)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음향을 재생시키기 위한 음향부(600)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sound unit 600 for reproducing the sound in accordance with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400.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은 상호, 이름, 기타 특정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내용이 될 수 있으며, 학원, 회사 등을 광고하기 위한 동영상으로 구성된 광고영상이 될 수도 있다.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0 may be a content for displaying a name, a name, and other specific contents, or may be an advertisement image composed of a video for advertising a school, a company,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린부(200)가 간판의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스크린부(200)를 건물의 외측면인 창문에 설치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unit 200 i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in the main unit 100 of the signboard, but the screen unit 200 may be installed in a window that is an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간판 및 간판제어시스템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of the signboard and the sign control system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낮과 같이 빛이 밝을 때 또는 영상을 표시하지 않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크린부(200)에는 전원이 인가되어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스크린부(200)와 중첩되도록 설치된 보조 간판 표시부(340)가 상기 스크린부(200)를 통하여 외측으로 비치게 되어 일반 간판의 표지판의 역할을 하게 된다.First, when the light is bright as in the daytime, or when the image is not to be displayed, power is applied to the screen unit 200 to maintain a transparent state. At this time, the auxiliary signboard display unit 340 installed to overlap with the screen unit 200 is reflected outward through the screen unit 200 to serve as a sign of a general signboard.

특히 보조 간판 표시부(340)가 표시면부(341) 및 투명면부(342)를 가지고 있는 경우, 스크린부(200)가 투명한 상태에서 상기 표시면부(341)가 위치되도록 상기 구동부(350)를 통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auxiliary signboard display unit 340 has the display surface portion 341 and the transparent surface portion 342, the display surface portion 341 is moved through the driving unit 350 so that the display surface portion 341 is positioned while the screen portion 200 is transparent. Let's go.

이때 간판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부(200)는 간판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 설치되어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ignboard, the screen unit 200 i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ignboard.

한편 상기 스크린부(200)에 영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상기 스크린부(200)에 가해지는 전원을 제거함으로써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동시에 상기 영상투사부(40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스크린부(200) 상에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display the image on the screen unit 20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o remove the power applied to the screen 200 to maintain an opaque state, at the same time the image projection unit 400 By operating the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0.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영상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다양한 내용이 될 수 있으며, 통상 광고용으로 제작된 동영상 등이 된다.The image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0 may be various content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nd the image is usually a video produced for an advertisement.

특히 상기 스크린부(200)에 표시되는 동영상 및 간판은 유선 또는 무선 등의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간판을 한 건물에 다수개 설치하거나, 다른 건물들에 다수개로 설치된 경우에도 전기통신망을 이용하여 영상을 전송하거나 스크린부(200)를 투명 또는 불투명 등의 제어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제어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video and signs displayed on the screen unit 200 can be controlled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red or wireless, and a plurality of signboards may be installed in one building or a plurality of signboards in other buildings. By using an image transmission or control of the screen unit 200 such as transparent or opaque it is possible to control in one integrated system.

한편 상기 스크린부(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도중에도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면서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screen unit 200 may realize various effects while becoming transparent or opaque while displaying an image.

본 발명에 따른 간판, 간판제어시스템 및 영상표시방법은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를 활용함으로써 스크린의 투명 또는 불투명 효과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Signage, signage control system and imag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utilize a variety of transparent or opaque effect of the screen by selectively using a screen that is transparent or opaque.

본 발명에 따른 간판제어시스템은 투명 또는 불투명한 스크린을 활용하여 상기 스크린에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표시하는 간판을 전기통신망을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다수개의 간판을 하나의 시스템에 의하여 제어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Signboard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rol a signboard displaying a video and / or still image on the screen using a tele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transparent or opaque screen, a plurality of signboards controlled by one system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1 shows a front view of a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기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2 shows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이 건물의 벽면에 일측면이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Figure 3a is a front view showing a sign that the sid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wall of the building.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이 건물의 측면에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Figure 3b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ign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attached to the side of the building.

도 4는 도 1의 간판의 B 방향에서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direction B of the signboard of FIG. 1.

도 5a와 5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보조 간판 표시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 5A and 5B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uxiliary signboard display unit of a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에 영상투사부가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the image projection unit is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n the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양측에 스크린부가 설치되고, 영상투사부가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7A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screen parts are installed at both sides of a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image projection part is installed outside the main body part.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양측에 스크린부가 설치되고, 광분리부가 추가로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Figure 7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ase where the screen portion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separation unit is additionally install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영상투사부가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image projecting portion of the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도 9a와 9b는 본 발명에 따른 간판의 본체부의 내측에 다수개의 반사경들이 설치된 경우를 보여주는 개략도들이다.9A and 9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case where a plurality of reflecting mirrors ar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of a sign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

100 : 본체부 200 : 스크린부100: main body 200: screen portion

300 : 간판 표시부 310 : 표지면300: sign display unit 310: cover surface

320 : 조명장치 330 : 차단부320: lighting device 330: cutout

340 : 보조 간판 표시부 341 : 표시면부340: auxiliary sign display portion 341: display surface portion

342 : 투명면부 350 : 구동부342: transparent surface portion 350: driving portion

351 : 감김롤 400 : 영상투사부351: winding roll 400: image projection unit

410 : 프라젝터, 투사부 420 : 영상재현부410: projector, projection unit 420: image reproduction unit

430 : 반사경 500 : 제어부430: reflector 500: control unit

600 : 음향부600: sound unit

Claims (43)

본체부와;A main body;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스크린부와;A screen unit installed on the main body and selectively transparent or opaque;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는 영상투사부와;An image projection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the screen unit while making the screen unit opaque; 상기 스크린부 및 영상투사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creen unit and the image projection unit;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Signage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된 면에는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지면을 가지는 간판 표시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en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ignboard display unit having a cover surface for transmitting a specific meaning.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간판 표시부는 밤에 표시될 수 있도록 표지면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ignboard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ghting device for illuminating the cover surface to be displayed at nigh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조명장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lighting device i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inner or outer side of the main body.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상기 조명장치의 조명이 상기 스크린부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그 조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부가 상기 본체부에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hielding portion is further provided in the main body portion so that the illumination of the lighting device does not affect the screen por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스크린부가 투명한 상태에서 외측으로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보조 간판 표시부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signboard display portion is furth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to transmit a specific meaning to the outside in the transparent state of the screen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의 내측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And the auxiliary signboard display unit is provided on an inner side surface opposite to a surface on which the screen unit is installed.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는 상기 스크린부가 투명할 때에는 상기 스크린부와 내측에 중첩되어 외측으로 표시하는 표시면부와, The auxiliary signage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surface unit which overlaps with the screen unit and is displayed outside when the screen unit is transparent; 상기 표시면부와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스크린부가 불투명할 때에는 상기 스크린부의 내측에 중첩되어 상기 영상투사부가 영상을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면부와,A transparent surface portion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play surface portion and which allows the screen portion to be opaque and overlaps the inside of the screen portion so that the image projection portion can transmit an image so that the image can be projected onto the screen portion; 상기 표시면부와 투명면부가 상기 스크린부에 중첩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And a drive unit for moving the display surface unit and the transparent surface unit to overlap the screen unit.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구동부는 상기 표시면부와 투명면부가 각각 감기는 한 쌍의 감김롤과, 상기 감김롤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And the driving unit includes a pair of winding rolls on which the display surface portion and the transparent surface portion are respectively wound, and a rotating device for rotating the winding roll.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표시면부는 양면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는 표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display surface portion ha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display surface for transmitting a specific meaning on both sides.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투명면부는 상기 스크린부와 중첩되는 부분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transparent surface portion i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portion overlapping the screen portion.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보조 간판 표시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And the auxiliary signboard display unit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main body unit.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영상투사부는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image projector is a sign,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jecting a video and / or still imag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투사부는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을 투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image projector is a sign, characterized in that for projecting a video and / or still imag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투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video projection unit i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투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video projection unit i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main bod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는 상기 영상투사부에서 투사되는 영상을 반사시켜 상기 스크린부에 도달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반사경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And at least one reflect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reflect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image projecting unit to reach the screen unit. 제 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반사경 중 상기 스크린부에 가까운 반사경은 볼록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reflector close to the screen portion of the reflector,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convex surfac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투사부는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영상재현부와, 상기 영상재현부의 신호에 따른 영상정보를 가지는 빛으로 변환하여 상기 빛을 상기 스크린부로 조사하는 투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image projection unit includes a video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the image, and a signboard comprising a projection unit for converting the light having the ima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signal of the image reproduction unit to irradiate the light to the screen unit.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영상재현부는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image reproduction unit i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uter.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영상재현부는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image reproducer i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led through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제 1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9, 상기 스크린부는 낮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며 밤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cree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maintain a transparent state during the day and to maintain an opaque state at nigh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스크린부는 낮에는 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며 밤에는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cree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maintain a transparent state during the day and to maintain an opaque state at night. 제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스크린부는 빗물 또는 먼지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방지막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cree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ution prevention film is further installed to prevent contamination by rain or dust. 제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스크린부는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The scree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 portion is formed to maintain the opaque state in order to convey a specific meaning. 제 2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3, wherein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cree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boar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스크린부는 빗물 또는 먼지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오염방지막이 추가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cree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llution prevention film is further installed to prevent contamination by rain or dus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스크린부는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불투명한 상태를 유지하는 표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 The scree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 portion is formed to maintain the opaque state in order to convey a specific mean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스크린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screen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gnboar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제 2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9, 상기 영상투사부는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영상투사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빛을 분리하는 광분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image projection unit is composed of a single sign, characterized in that the image projection unit further comprises a light separation unit for separating the light so as to project the image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제 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광분리부는 빛의 일부를 상기 스크린부로 각각 반사시키는 반투과경과 상기 반투과경을 투과한 빛을 다시 반투과경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optical separation unit comprises a semi-transmissive mirror for reflecting a part of the light to the screen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reflector for reflect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semi-transmissive mirror back to the translucent mirror. 제 3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0,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투사부의 영상을 두방향으로 분리시키는 볼록경과 상기 볼록경으로부터 분리된 빛을 스크린부로 반사시키는 하나 이상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And a convex mirror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to separate the image projecting part in two directions, and at least one reflector reflecting light separated from the convex mirror to the screen unit.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된 면의 반대쪽 면이 건물의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main body i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on which the screen is installed is fix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부는 지면 상에 설치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main body i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groun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본체부는 상기 스크린부가 설치된 면과 수직인 면이 건물의 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The main body is a 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screen is installed is fixed to the wall of the building.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스크린부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Signbo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plurality of screen portion.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영상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에 따라서 음향을 재생시키기 위한 음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판.And a sound unit for reproducing sound according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unit. 건물의 외측면 일부에 선택적으로 투명 또는 불투명해지는 하나 이상의 스크린부를 형성하고, Form at least one screen portion that is selectively transparent or opaque to a portion of the exterior surface of the building, 상기 스크린부를 불투명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부에 영상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방법.And displaying an image by projecting an image onto the screen portion while making the screen portion opaque. 제 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영상은 광고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And the video is an advertisement video. 제 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외측면은 창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The outer surface is an image display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dow. 제 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스크린부는 건물의 외측면에 설치된 간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방법.And the screen unit is a signboard install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building. 제 3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8, 상기 스크린부는 투명할 때에 특정한 의미를 전달하기 위한 표지부가 상기 스크린부에 중첩되도록 하는 영상표시방법.And a cover unit overlapping the screen unit for transmitting a specific meaning when the screen unit is transparent. 제 1항의 간판을 다수개로 구성하고 전기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간판부의 제어부를 제어하는 전기통신망을 이용한 간판제어시스템.The signage control system using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mprising a plurality of signs of claim 1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of each signage unit through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2003-0053654A 2003-08-02 2003-08-02 Signboard, image dis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KR100528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54A KR100528999B1 (en) 2003-08-02 2003-08-02 Signboard, image dis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654A KR100528999B1 (en) 2003-08-02 2003-08-02 Signboard, image dis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5842A Division KR20050072740A (en) 2005-06-27 2005-06-27 Signboard, image di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778A true KR20050016778A (en) 2005-02-21
KR100528999B1 KR100528999B1 (en) 2005-11-16

Family

ID=3722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654A KR100528999B1 (en) 2003-08-02 2003-08-02 Signboard, image dis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89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57B1 (en) * 2005-04-19 2006-09-29 심기섭 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optic image
KR20200028145A (en) 2018-09-06 2020-03-16 황복득 Moving sign 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57B1 (en) * 2005-04-19 2006-09-29 심기섭 Advertisement apparatus using optic image
KR20200028145A (en) 2018-09-06 2020-03-16 황복득 Moving sign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8999B1 (en) 200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9290B2 (en) Two-way mirror screen system for advertisement
JPH10293550A (en) Screen box for video and continuous motion video device
US7286101B2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KR20050072740A (en) Signboard, image di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KR100528999B1 (en) Signboard, image display method, signboard control system
KR200233393Y1 (en) Multi display type sign board with external lighting apparatus
CN2468068Y (en) Display projector equipment
KR200249928Y1 (en) Multi display type signboard
JPH10177358A (en) Internally lighting illumination signboard
KR100306364B1 (en) Multi display type signboard
KR20200102732A (en) Content display apparatus assembled digital signage and smart lighting
TWI745192B (en) Advertising light box
KR100341615B1 (en) Window with advertisement surface of semipermeablity and method of night advertisement using thereof
KR102230525B1 (en) Image processing system using projector
US303496A (en) Method of displaying signs
KR200247262Y1 (en) Multi display type signboard
JP7446478B2 (en) display system
KR200357004Y1 (en) Multi-display advertizement
KR100270307B1 (en) System of the structure for a double reflect
KR200260252Y1 (en) A Case for easy change of advertisement
KR200273341Y1 (en) Glass advertising system with moving emages
JP2004077654A (en) Inside illumination type thin display plate for sensing person to emit sound or the like
KR200178696Y1 (en) 3d display in space with concave and half mirror
KR20030071791A (en) Lighteness difference multi-function ornamental screen
KR200205083Y1 (en) Multifunction proj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