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6523A - 아웃솔 - Google Patents

아웃솔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6523A
KR20050016523A KR10-2004-7019867A KR20047019867A KR20050016523A KR 20050016523 A KR20050016523 A KR 20050016523A KR 20047019867 A KR20047019867 A KR 20047019867A KR 20050016523 A KR20050016523 A KR 20050016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ole
sole
deformation
hollow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721B1 (ko
Inventor
브라운슈바이러하게
Original Assignee
글리덴 로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리덴 로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글리덴 로크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CH2003/000356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103430A1/de
Publication of KR20050016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4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the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out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6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tubes or pipes or tubular shaped cushion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Abstract

특히 운동화(2)를 위한 아웃솔(1, 3)은 접선 방향으로 높은 탄성 변형성을 구비하고 있어서 슈즈가 경사지고 약간의 슬라이딩 충격을 가진 상태로 지면에 닿을 때에도 양호한 쿠션을 달성한다. 본 발명은, 변형되는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임계점 이상에서, 접선방향 변형에 대하여 근본적으로 강성인 아웃솔을 제공한다. 이것은 각각의 축격점 또는 하중점에 보다 확실한 발디딤을 러너에게 제공한다. 러너는 지면의 손실없이 하중점으로부터 재차 밀어내기할 수 있다. 따라서 솔상의 플로팅 효과가 방지된다. 솔은, 전체적으로 또는 수개의 부분에, 슈즈(2)의 중간솔(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아웃솔{OUTSOLE}
본 발명은 아웃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접선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운동화를 위한 아웃솔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선 방향의 변형이란, 예를 들면, 전단에 의해 야기되는, 아웃솔의 평면 또는 아웃솔의 외부 표면에 대하여 접선 또는 평행한 방향에서의 변형을 말한다. 이와 같은 변형은, 예를 들면, 압축에 의해 야기되는, 아웃솔의 평면 또는 아웃솔의 외부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의 변형과는 상이하다. 수평면상에서, 접선 방향은 수평 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수직 방향은 연직 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탄성을 가진 아웃솔이 다양한 변형예에서 알려져 있는데, 경도가 상이한 상이한 탄성 재료가 사용된다. 공기 또는 겔(gel) 쿠션이 포함된 아웃솔도 알려져 있다. 이들 쿠션은, 러닝하는 동안 발생하는 충격을 탄성적으로 흡수하고, 그래서, 특히, 러너의 관절을 보호하는 동시에 러닝시 편안함을 제공한다.
현재 시판되고 있는 대부분의 운동화는, 연직 방향 또는 러닝 표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즉 아웃솔의 압축 형태로, 스프링 효과를 주로 제공하는 스프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들 아웃솔은 수평 또는 접선 방향에 있어서는 비교적 강성이고, 러너의 발이 경사지게 그리고 약간의 추진력을 가진 상태로 지면과 접촉하는 경우에는 충분하게 항복하지 않는다.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아웃솔의 보다 큰 변형성은 불가피하게 플로팅 효과를 낳기 때문에, 수평 또는 접선 방향에 있어서의 이러한 강성이 요구된다. 이것은 러너의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으로, 아웃솔은 러너가 러닝 방향으로 밀어내기할 때 각각의 반대 방향으로 처음에 약간 변형해야 하기 때문에 러너는 각각의 스텝에 대하여 적어도 소정의 거리를 손실할 수 있다. 당연하게, 이러한 플로팅 효과는 주지의 운동화에서 어느 정도 관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운동화의 측면도로서, a)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 b) 횡방향 전방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 및 c) 밀어내기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운동화의 배면도로서, a)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 및 b) 측방향 경사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아웃솔의 중공 요소의 상세도로서, a)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 b) 횡방향 전방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 및 c) 연직방향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2개의 층 사이에 튜브형상 중공 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a)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 및 b) 횡방향 전방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볼 섹션 및 힐 섹션으로 분할되고, 변형가능한 웹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층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의 실시예의 측면도로서, a)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 및 b) 횡방향 전방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매체로 충전되는 폐쇄 체적부를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치형부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아웃솔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아웃솔의 부분이 중간솔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부착될 수 있는, 도 1의 운동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운동화를 후방에서 본 도면으로서, a) 및 b)는 서로 인접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된 다양한 개수의 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3의 중공 요소와 비교하여 약간 수정된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을 위한 중공 요소;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을 위한 개별적인 솔 요소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아웃솔 2 러닝 슈즈
3, 3', 3" 중공 요소
3.1 중공 요소(3)의 튜브형상 부분
3.2 중공 요소(3)의 웹
3.1.1 튜브형상 부분(3.1)의 상부셸
3.1.2 튜브형상 부분(3.1)의 하부셸
3.1.3,4.1.4 튜브형상 부분(3.1)의 프랭크
4 중간솔 5 지면
6 아웃솔
6.1 아웃솔(6)의 튜브형상 중공 요소
6.2 아웃솔(6)의 상부층 6.3 아웃솔(6)의 하부층
7 아웃솔 7.1 아웃솔(7)의 볼 섹션
7.2 아웃솔(7)의 힐 섹션
7.1.1,7.2.1 아웃솔 섹션(7.1 및 7.2)의 상부층
7.2.1,7.2.2 아웃솔 섹션(7.1 및 7.2)의 하부층
7.1.3,7.2.3 변형가능한 웹 8 아웃솔
8.1 아웃솔(8)의 상부층 8.2 아웃솔(8)의 하부층
8.3 아웃솔(8)의 주변측 부분 8.4 아웃솔(8)의 체적부
8.5 아웃솔(8)상의 밸브 9 아웃솔
9.1 아웃솔(9)의 상부층 9.2 아웃솔(9)의 하부층
10 후크 및 루프 파스너
10.1 후크 및 루프 파스너(10)의 후크형상층
10.2 후크 및 루프 파스너(10)의 루프형상층
11 연직 튜브를 구비한 솔 요소
P1 지면과 접촉할 때의 하중을 나타내는 화살표
P2 밀어내기할 때의 하중을 나타내는 화살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플로팅 효과를 제거할 수 있고 접선 방향에 있어서 충분히 부드럽고 탄성적인 특성이 실현될 수 있는 심플한 디자인의 아웃솔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접선 방향으로 변형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변형 임계점까지 변형되는 영역에서 임계점을 넘는 접선방향 변형에 대해서만 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에 의해 달성된다.
적어도 하나의 변형 임계점과 이러한 변형 임계점에 도달하는데 요구되는 아웃솔에 가해지는 하중이, 아웃솔의 경도 또는 탄성을 적당하게 조정함으로써 적당하게 선택되면, 넓은 범위의 변형에 걸쳐서 접선방향으로 부드럽고 탄성적이고, 러닝하는 동안 국부적으로 제한된 정도까지만, 즉 최대 하중을 받는 아웃솔의 영역 및 이러한 최대 하중이 발생하는 시간 근처에서만 변형 임계점이 도달되도록,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이 실현될 수 있다.
이것은, 러너의 발이 경사지게 및/또는 약간의 추진력을 가진 상태로 지면과 접촉하면 충분하게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각각의 충격점 또는 하중 적용 지점에서의 안정성이 뛰어나게 되는 결과를 낳고, 이로부터 러너는 거리에 있어서의 손실없이 다시 직접 밀어내기할 수 있다. 상기의 플로팅 효과는 이러한 방식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의 접선방향 변형성이 종료되는 변형 임계점은 변형 타입에 의존한다. 변형은 반드시 접선 방향으로만 발생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임계 변형은 완전한 수직 또는 연직 변형동안 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 임계점은, 아웃솔의 변형가능한 두께의 20% 이상, 적용가능할 경우, 이 두께의 50% 이상의 접선방향 및/또는 수직방향 변형 후에만 도달된다. 절대적인 변형값은 수 ㎝에 쉽게 도달할 수 있다.
구성 및 사용되는 재료와 관련하여,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은 다양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아웃솔의 2개의 층은, 특히, 탄성 변형가능한 요소에 의해 분리되고, 변형가능한 요소는 는 충분한 변형성을 가지고 있고 2개의 층 사이에 마찰, 논-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 맞물림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2개의 층이 서로 평행하게 변위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슈즈의 중간솔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단이 아웃솔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아웃솔이 다중-부분으로서 실시되면, 개별적인 부분은 서로 독립적으로 부착될 수 있고 및/또는 예를 들면 마모시에 개별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이 상황에 있어서, 상이하게 구성된 부분이 이용될 수 있고 및/또는 각각의 필요 및 개별의 러너의 러닝 스타일에 특히 적합한 개별적인 디자인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을 설명하기에는 충분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outsole)(1)이 갖추어져 있는 러닝 슈즈(running shoe)(2)를 도시하고 있다. 아웃솔(1)은 동일-윤곽의 복수의 중공 요소(3)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중공 요소는 튜브형상 부분(3.1)을 포함하고 있고 웹(3.2)에 의해 러닝 슈즈(1)의 중간솔(intermediately sole)(4)의 하면에 고정되고, 이 웹은 예를 들면 본드 접합에 의해 중공 요소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중공 요소(3)는, 러닝하는 동안 발생하는 하중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는 고무 재료로 만들어진다. 이 재료는, 다른 재료 및 그 자신에 대하여 큰 정지 마찰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개의 중공 요소(3)는 러닝 슈즈(2)의 종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는데, 볼(ball)과 힐(heel) 사이의 영역에는 갭이 유지된다. 중공 요소(3)는 러닝 슈즈(2)의 전체 폭에 걸쳐서 각각 뻗을 수 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중공 요소(3)를 횡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b)에서 화살표 P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러닝 슈즈(2)가 지면에 접촉할 때, 러닝 슈즈(2)가 횡방향 하중을 받으면, 튜브형상 부분(3.1)은, 그 치수가 적당하게 선택되었을 경우, 하중의 초기 탄성 흡수 후에 수직 및 수평 변형 형태로 완전하게 압축된다. 이것은 상부셸(3.1.1)과 하부셸(3.1.2) 사이에 마찰 맞물림을 야기한다(도 3 참조). 이 마찰 맞물림은, 튜브형상 부분이, 실질적으로 재료의 잔여 탄성에 의해서만, 즉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만 추가적으로 변형될 수 있도록, 튜브형상 부분(3.1)의 추가적인 변형에 대한 높은 저항을 발생시킨다. 아웃솔(1)의 이 위치에서 그리고 이 상태에서, 러너(runner)는, 수평 이동이 실질적으로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방식으로 지면과 접촉한다. 이것은 러너가 뛰어난 안정성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적으로, 러너는, 즉 밀어내기 동안 발생하고 화살표 P2로 나타낸 하중의 방향으로, 상당한 정도로, 튜브형상 부분이 수평방향으로 변형하는 것을, 튜브형상 부분(3.1) 사이의 상기의 마찰 맞물림이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거리에 있어서의 손실 없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 스텝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밀어내기할 수 있다. 당연히, 이를 위한 하나의 전제조건은, 발이 지면에 접촉하고 있는 시간과 러너가 다시 밀어내기하는 시간 사이에, 솔의 변형 영역에 가해지는 하중이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것은 정상적으로 러닝하는 경우이다.
도 2는, a)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 및 b) 횡방향 경사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의 도 1에 따른 러닝 슈즈(2)를 후방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튜브형상 부분(3.1)의 상부 셸(3.1.1)과 튜브형상 부분(3.1)의 하부 셸(3.1.2) 사이에 마찰 맞물림이 형성되도록 중공 요소(3)의 튜브형상 부분(3.1)의 압축이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러닝 슈즈(2)를 신고 있는 러너가, 실질적으로 유연하지 않은 횡방향 안정성이 달성되는 방식으로 지면(5)과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의 실시예는 아주 긴 변형 경로를 특징으로 한다. 아웃솔에 어떠한 하중도 가해지지 않은 도 1 a)에 도시된 상태와 마찰 맞물림이 발생하는 도 1 b)에 도시된 상태 사이에서, 이러한 변형 경로는 용이하게 20% 이상에 이를 수 있고, 적용가능할 경우, 50% 이상에 이를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러닝 슈즈는, 러너가 "구름위에 떠 있는 느낌"을 느끼게 하지만, 러너는 결코 불안정하다는 느낌을 가지지 않으며 항상 직접 그리고 빽빽하게 지면과 접촉한다.
도 3은 도 1에 따른 중공 요소(3)를 상세하게, 즉 a)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 및 b) 접선 하중을 받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수직 하방으로 작용하는 하중하에서의 변형은 도 3에서는 c) 부분에 도시되어 있다. 이 부분은, 러너의 안정정에 대한 상기의 이점 및 거리에 있어서의 손실없이 러너가 밀어내기할 수 있는 능력이 완전 수직 하중하에서도 어떻게 달성되는지를 명료하게 보여준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아웃솔(6)도, 예를 들면, 고무 재료로 이루어지는 튜브형상 중공 요소(6.1)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중공 요소가 상부층(6.2) 및 하부층(6.3) 사이에 배열되고 각각의 층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2개의 층(6.2 및 6.3)은 아웃솔의 전체 표면에 걸쳐 뻗어 있다. 원칙적으로, 상부층(6.2)은 임의로 제공된 러닝 슈즈의 층에 의해 또는 러닝 슈즈의 중간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층(6.3)은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a) 하중을 받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의 도 4에 도시된 아웃솔(6)의 기능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아웃솔(1)의 기능과 동일하다. 튜브형상 중공 요소(6.1)가 압축될 때, 상부셸과 하부셸 사이의 마찰 맞물림은 이 경우에도 도 4의 b)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그러나, 하중하에서 중공 요소(6.1)의 변형은 하부층(6.3)에 의해 가해지는 스러스트 효과에 기인하여 보다 넓은 면적에 걸쳐 분포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아웃솔(7)의 볼 영역과 힐 영역에 대하여 2개의 분리된 부분(7.1 및 7.2)이 각각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도 이와 같은 분리된 설계를 실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심플한 웹(7.1.3 및 7.2.3)이 각각의 상부층(7.1.1 및 7.2.1)과 각각의 하부층(7.1.2 및 7.2.2) 사이에 배열된다. 하중하에서, 이들 웹은, 예들 들면 도 5의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외부층 사이에서 평평하게 놓이게 된다. 외부층과 웹에 대하여 큰 마찰 계수를 가진 재료가 사용되면, 상기한 바와 유사한 마찰 맞물림이 도 5b)에 도시된 상황에서 형성된다. 이것은 상부층 및 하부층이 도 1에 도시된 튜브형상 부분의 상기 상부셸 및 하부셸의 기능의 일부를 담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대조적으로, 웹의 기능은 튜브형상 부분의 프랭크의 기능과 대략 동일하다. 서로 대향하여 배열된 이와 같은 2개의 프랭크는 도 3에서 참조부호 3.1.3 및 3.1.4로 나타내어진다.
도 6에 도시된 아웃솔(8)에 있어서, 상부층(8.1)과 하부층(8.2) 사이에는 어떠한 탄성 요소도 제공되어 있지 않다. 상부층 및 하부층은, 폐쇄 체적부(8.4)가 형성되도록 주변측 요소(8.3)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폐쇄 체적부는 유체, 특히, 공기와 같은 가스 또는, 예를 들면, 겔(gel)이 충전되어 있다. 이 경우에, 아웃솔은, 도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닝하는 동안 발생하는 하중하에서 어느 정도까지 변형될 수 있고, 상부층(8.1) 및 하부층(8.2)은 하중을 받는 영역에서 서로 접촉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성질을 구비한 마찰 맞물림은, 큰 마찰 계수를 가진 재료가 이들 층에 대하여 선택된 경우, 이 경우에 또한 형성된다.
비압축성 겔이 체적부(8.4)를 충전하기 위한 매체로서 사용된다면, 전체 체적부 또는 그 일부는 소정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탄성적으로 팽창할 필요가 있다. 체적부(8.4)가 가스로 충전되면, 예를 들면, 힐 영역에 추가 밸브(8.5)를 제공할 수 있다. 아웃솔의 탄성은, 예를 들면, 특정 러너의 몸무게 또는 러닝 특성에 적합하게 하기 위하여, 가스 압력을 변경함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은 마찰 맞물림을 형성하는 대신에, 도 7에 따른 부분적으로 도시된 아웃솔(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포지티브 맞물림을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상부층(9.1)과 하부층(9.2) 사이에 치형부가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슈즈의 중간솔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수단이 솔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솔은, 부분적으로 또는 단지 개별 부분데 대해서만 착탈가능하게 전체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도 8은 전체 솔(1)이 러닝 슈즈(2)의 중간솔(4)에, 그러나 개별 부분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러닝 슈즈(2)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도 1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솔(1)은, 튜브 섹션(3.1)을 가지고 있고 성형된 웹(3.2)에 의해 중간솔(4)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거나 또는 볼 영역에 배열된 중공 요소에 대해서만 중간솔(4)의 하면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윤곽-형상의 복수의 중공 요소(3)에 의해 형성된다. 도 8에서의 확대 영역(A)을 통하여 명백한 바와 같이, 여러번 반복되어 있고 다시 떼어낼 수 있는 소위 후크 및 루프 파스너(10)가 고정 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중공 요소(3)의 웹(3.2)에는 후크 형상으로서 구성된 후크 및 루프 파스너의 층(10.1)이 제공된다. 따라서, 중간층(4)에는 후크 및 루프 파스너(10)의 상호보완층(10.2)이 제공되는데, 즉 바람직하게는 전체 영역에 걸쳐서 루프 형상으로서 구성된다. 후크 및 루프 파스너의 2개의 층은 한편으로는 중공 요소에 다른 한편으로는 중간층에 견고하게 접착된다.
착탈식 고정은, 필요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솔은, 예를 들면 트레이닝 러닝 바로 직전 및 러닝 동안 필요로 하는 중간층에만 부착될 수 있고 슈즈는 이러한 솔 없이도 사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솔이 긴 스프링 편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비교적 체적이 있는 중공 요소가 구비될 때 적당하다. 중간솔 및 바람직하게는 여기에 부착되는 후크 및 루프 파스너의 루프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이 경우, 대안으로 착탈식 보호층이 후크 및 루프 파스너에 대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도시하지는 않았다.
한편으로는 착탈식 고정은 낡은 솔이 새로운 솔로 교체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도 8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솔의 다중-부분 구성의 경우, 개별 부분도 교환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각각의 러너의 개별적인 러닝 스타일에 의해 야기되는 솔의 불균일한 마모가 또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각각의 러너는 자신에게 최적의 충격 흡수 성질을 가진 자신의 솔을, 예를 들면, 개별적인 부분의 특정의 배열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것의 예로서, 도 9는 도 8의 러닝 슈즈를 후방에서 본 2가지 도면으로 도시하고 있는데, 힐 영역에서 a) 및 b)는 각각 2개 및 3개 열의 중공 요소(3)가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솔의 개별의 형상을 위하여, 상이한 성질을 가진 상이한 구성의 부분이 제작자에게 활용가능할 수 있다. 이것의 예로서, 도 8은 솔의 주 하중 영역에 배열된 중공 요소(3')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보다 두꺼운 벽두께를 구비하고 있고 그 결과 예를 들면 잔여 중공 요소보다 변형에 대하여 다소 강성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솔을 위한 도 3의 중공 요소와 비교하여 다소 수정된 중공 요소(3")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 중공 요소(3")는 평평한 베이스 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이 요소의 벽 두께는 전체에 걸쳐서 동일하게 구성되지 않는다. 도시된 형태로써, 보다 나은 서있는 느낌과 접촉점으로부터의 향상된 밀어냄이 달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웃솔을 위한 개별 솔 요소(11)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수평식 배향 대신에 수직식 배향의 튜브 섹션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별의 요소 또는 그것의 특징은, 적용가능할 경우, 다른 실시예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것은 아웃솔을 볼 섹션 및 힐 섹션으로 분할하는 것과 프로파일의 배열에 적용한다. 마찰 맞물림 수단 및 포지티브 맞물림 수단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조합될 수 있고, 탄성 및/또는 충격 흡수 매체 또는 유체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상응하는 중공 공간내로 도입된다. 이에 대하여, 기계적인 스프링 요소 또는 충격 흡수 요소는 도 6에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솔이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후크형상층 및 루프형상층 또는 펭트형상층을 가진 후크 및 루프, 파스너 대신에, 중간솔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로 적합한 2개의 후크형상층을 가진 후크 및 루프, 파스너가 사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후크 및 루프, 파스너는 높은 접착력을 가지고 있다. 착탈식 연결은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특별한 재착탈가능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행해질 수 있다.

Claims (15)

  1. 접선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는 특히 운동화를 위한 아웃솔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변형 임계점까지 변형되는 영역에서 상기 임계점을 넘는 접선방향 변형에 대해서만 강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2. 제 1 항에 있어서, 변형 임계점은, 아웃솔의 변형가능한 두께의 20% 이상, 특히, 이 두께의 50% 이상의 접선방향 및/또는 수직방향 변형 후에만 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아웃솔은, 적어도 하나의, 특히, 탄성 변형가능한 요소에 의해 분리되는 2개의 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변형가능한 요소는, 충분한 변형에 도달되었을 때, 2개의 층이 서로 마찰, 논-포지티브 및/또는 포지티브 맞물림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웃솔은, 하나 이상의 중공 공간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변형가능한 중공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5. 제 4 항에 있어서, 중공 요소는 변형가능한 튜브형상 섹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수개의 중공 요소가 아웃솔의 종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7. 제 4 항에 있어서, 중공 요소는, 수개의 중공 공간이 형성되도록, 변형가능한 웹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외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8. 제 4 항에 있어서, 중공 요소는, 유체로 충전되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9. 제 8 항에 있어서, 중공 요소는,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압축함으로써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충전식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10. 제 9 항에 있어서, 챔버내에 충전되는 공기는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웃솔은, 전체적으로 또는, 다중-부분으로서 구성될 때, 아웃솔의 부분(3, 3')의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슈즈(2)의 중간솔(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단(10.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아웃솔은 다중-부분으로서 구성되고, 개별적인 부분(3, 3')은 중간솔(4)에 상이한 지점에 및/또는 상이한 디자인으로 원하는대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솔은 다중-부분으로서 구성되고, 아웃솔의 부분의 적어도 2개(3, 3')는 상이한 형상 및/또는 탄성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수단은, 후크 및 루프 파스너(10)의 부분(10.1)을 포함하고, 중간솔(4)은, 이 후크 및 루프 파스너(10)의 상보적인 부분(1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후크가 구비된 후크 및 루프 파스너(10)의 부분(10.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솔.
KR1020047019867A 2002-06-06 2003-06-05 아웃솔 KR101162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964/02 2002-06-06
CH369/03 2003-03-10
PCT/CH2003/000356 WO2003103430A1 (de) 2002-06-06 2003-06-05 Laufsoh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523A true KR20050016523A (ko) 2005-02-21
KR101162721B1 KR101162721B1 (ko) 2012-07-05

Family

ID=41783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9867A KR101162721B1 (ko) 2002-06-06 2003-06-05 아웃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095B1 (ko) * 2009-08-03 2013-04-12 박영설 보행방향으로의 추진력 및 자세보정이 가능한 미드솔 및 그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88626A5 (ko) 1970-04-20 1972-01-07 Paritzky Ets
DK157387C (da) 1987-12-08 1990-06-05 Eccolet Sko As Skosaal
US5686167A (en) 1995-06-05 1997-11-11 Robert C. Bogert Fatigue resistant fluid containing cushioning device for articles of footwear
WO2002037995A1 (en) 2000-11-09 2002-05-16 Charles Ogilvie Wood A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sho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3095B1 (ko) * 2009-08-03 2013-04-12 박영설 보행방향으로의 추진력 및 자세보정이 가능한 미드솔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721B1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8274C (en) Outsole
US7181866B2 (en) Outsole
US9125453B2 (en) Shoe outsole having tubes
US8590179B2 (en) Shoe with protrusions and securing portions
US10143264B2 (en) Shoe and sole
ES2392441T3 (es) Calzado con desacoplamiento en puente
US6253466B1 (en) Shoe sloe cushion
KR101276771B1 (ko) 접선방향으로 변형가능한 밑창
US6944973B2 (en) Protective cage for footwear bladder
CA2845238C (en) Wave technology
US8621767B2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support structure
US4754559A (en) Shoe with midsole including deflection inhibiting inserts
US7946059B2 (en) Shock-absorbing system for an article of footwear
US20160183632A1 (en) Footwear having a filled flex-frame midsole
US4535553A (en) Shock absorbing sole layer
US5987780A (en) Shoe sole including a peripherally-disposed cushioning bladder
US5014449A (en) Shoe sole construction
US4614046A (en) Shoe sole having a midsole consisting of several layers
LT3640B (en) Shoe for sporting purposes
AU2005290828A1 (en) Cushioning device for rear foot portion of shoe bottom
KR101162721B1 (ko) 아웃솔
KR200146192Y1 (ko) 신발용 솔의 완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425

Effective date: 201203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