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538A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538A
KR20050014538A KR1020030053197A KR20030053197A KR20050014538A KR 20050014538 A KR20050014538 A KR 20050014538A KR 1020030053197 A KR1020030053197 A KR 1020030053197A KR 20030053197 A KR20030053197 A KR 20030053197A KR 20050014538 A KR20050014538 A KR 20050014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main
washing
dishwasher
di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일러미체엘
브라운그렉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4538A/ko
Publication of KR20050014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53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 A47L15/502Cutlery baske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조에 식기를 넣거나 꺼내기 용이하고, 숟가락이나 젓가락처럼 크기가 작은 세척물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 식기바구니와, 상기 메인 식기바구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이동 식기바구니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를 식기바구니에적재하거나 꺼내기 용이하도록 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식기에 고압의 세척수를 분사하여 식기를 세척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는 본체케이스의 내부에 세척공간을 이루는 세척조를 구비하고, 세척조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식기의 수납이 가능하며 외부로 인출이 가능한 식기바구니를 구비한다. 또 식기세척기는 식기바구니에 담긴 식기에 세제와 함께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이 분사노즐에 고압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펌프를 구비한다. 그 밖에 식기세척기는 세척조 내부로의 급수를 위한 급수장치, 세척 후 세척수를 배수하는 배수장치, 그리고 배수과정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이물질 거름수단 등을 구비한다.
이러한 식기세척기를 이용해 식기를 세척할 때는 세척조 내부의 식기바구니를 사용자가 전방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식기바구니에 세척할 식기를 적재하고, 식기가 적재된 후에는 식기바구니를 세척조 내부로 밀어 넣은 후 세척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세척이 완료된 후에는 식기바구니를 전방으로 인출한 후 세척된 식기를 하나씩 꺼낸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식기바구니를 실척조로부터 분리하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척할 식기를 식기세척기 쪽으로 이동시켜 식기바구니에 하나씩 적재해야 하고, 세척 후 식기를 꺼낼 때에도 하나씩 꺼내어 식기를 비치할 위치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한 종래 식기세척기의 식기바구니는 세척수의 식기에 분사되기 용이하도록 격자간이 큰 그물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숟가락이나 젓가락처럼 가늘고 긴세척물의 경우 식기바구니에 올리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으며, 설령 올린다 하더라도 세척과정에서 세척수의 분사에 의해 흔들리면서 식기바구니의 틈을 통해 낙하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척조에 식기를 넣거나 꺼내기 용이하도록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숟가락이나 젓가락처럼 크기가 작은 세척물을 용이하게 적재하여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식기바구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수저용기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세척조,
12: 도어, 13,14,15: 분사노즐,
16: 세척펌프, 18: 급수제어밸브,
19: 집수부, 20: 필터,
22: 배수펌프, 24: 레일,
30: 식기바구니, 31: 메인식기바구니,
33: 이동식기바구니, 40: 수저용기,
42: 지지부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세척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 식기바구니와, 상기 메인 식기바구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이동 식기바구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 식기바구니와 상기 이동 식기바구니는 격자간이 큰 그물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이동 식기바구니의 격자간이 상기 메인 식기바구니의 격자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 식기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되는 수저용기와, 상기 수저용기를 상기 세척조 내면에 장착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전면이 개방된 세척조(11)가 형성된 본체(10)와, 세척조(11)의 개폐를 위해 본체(10)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도어(12)를 구비한다.
세척조(11)의 내부에는 식기 등의 수납을 위한 식기바구니(30)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식기바구니(30)에 수납되는 식기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내측 상단의 고정분사노즐(13) 및 중단과 하단의 회전분사노즐(14,15)이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세척조(11)의 하부에는 세척조(11) 내부의 세척수를 흡입하여 각 분사노즐(13,14,15) 쪽으로 가압하여 공급하는 세척펌프(16)가 설치된다.
세척조(16)의 후방에는 세척조(11)의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제어밸브(18)가 설치된 급수관(17)이 설치된다. 그리고 세척조(11)의 하부에는 세척수와 오물이 고이도록 소정깊이로 함몰된 집수부(19)가 형성되고, 이 집수부(19)에는 세척된 오물을 걸러주는 필터(20)가 설치된다. 또 세척펌프(16)와 집수부(19) 사이에는 필터(20)를 통해 걸러진 세척수가 재순환할 수 있도록 흡입배관(21)이 연결되고, 집수부(19)의 하부에는 세척동작 종료 후 세척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22)와, 배수펌프(22)로부터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되는 배수관(23)이 설치된다.
세척조(11) 내부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되는 식기바구니(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으로 인출이 가능하도록 세척조(11) 양측 내면에 레일(24)을 통해 지지되는 메인식기바구니(31)와, 이 메인식기바구니(31)에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는이동식기바구니(33)를 포함한다.
메인식기바구니(31)와 이동식기바구니(33)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식기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격자간이 큰 그물형태의 용기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강성을 구비하는 철선을 절곡하거나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용접을 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메인식기바구니(31)는 양쪽 측면부가 세척조(11)의 내면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24)을 통해 지지됨으로써 사용자가 식기의 수납과정에서 전방으로 인출하거나 다시 안쪽으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동식기바구니(33)는 사용자가 내부에 식기를 적재한 상태에서 메인식기바구니(31) 내에 탑재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메인식기바구니(31)보다 작은 크기로 마련되며, 두 개가 메인식기바구니(31) 내부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탑재된다. 이때 실질적으로 식기는 이동식기바구니(33) 내부에 적재된 상태에서 이동식기바구니(33)가 메인식기바구니(31)에 탑재되므로, 식기의 안정적인지지 및 이동이 잦은 이동식기바구니(33)의 강성을 위해서는 이들을 제작할 때 이동식기바구니(33)의 격자간이 메인식기바구니(31)의 격자간보다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실시 예는 두 개의 이동식기바구니(34)가 메인식기바구니(31)의 전방과 후방 내측에 탑재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나, 이동식기바구니(33)의 크기를 작게 하여 메인식기바구니(31) 내에 더 많은 이동식기바구니(33)가 탑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이동식기바구니(33)의 양단부에는 사용자가 이동식기바구니(33)를 메인식기바구니(31)에 탑재하거나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에 식기를 적재한 상태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파지(把持)를 위한 손잡이부(34)가 마련되고, 메인식기바구니(31)의 전방 단부에는 사용자가 메인식기바구니(31)를 전방으로 인출하거나 내부로 밀어 넣기 용이하도록 역시 손잡이부(32)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조(11)의 내측 상부에 숟가락이나 젓가락처럼 크기가 작은 식사도구를 수납하여 세척하기 용이하도록 하는 소형 수저용기(40)를 구비한다. 이때 수저용기(40)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수용되는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이 빠지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로 세척수의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바닥면과 측면에 세척수의 통과가 가능한 정도의 다수의 미세통공(41)이 형성된다. 그리고 세척조(11)의 내면에는 이러한 수저용기(40)가 착탈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선반형태로 된 지지부재(42)가 설치된다. 이는 사용자가 수저용기(40)를 세척조(11) 외부로 분리하여 숟가락이나 젓가락 등의 식사도구를 그 내부에 담은 후 세척조(11) 내부의 지지부재(42)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음은 이러한 식기세척기의 세척동작 및 식기를 적재하거나 분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세척조(11) 내부에 세척할 식기를 적재할 때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식기바구니(33)를 메인식기바구니(31)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할 식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킨 후, 이동식기바구니(33)에 식기를 적재한다. 식기가 적재된 후에는 사용자가 이동식기바구니(33)를 들고 식기세척기 쪽으로 이동하여 메인식기바구니(31)에 이동식기바구니(33)를 탑재한다. 그리고 이동식기바구니(33)가 메인식기바구니(31)에 탑재된 후에는 메인식기바구니(31)를 세척조(11) 내부로밀어 넣는다. 이때 본 발명은 이동식기바구니(33)를 식기가 있는 곳으로 이동시켜 현장에서 적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식기가 적재된 이동식기바구니(33)를 식기세척기로 이동시켜 한꺼번에 적재할 수 있기 때문에 식기의 적재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큰 솥이나 양푼처럼 부피가 큰 식기를 세척조(11) 내에 적재하고자 할 때는 이동식기바구니(33)를 메인식기바구니(11)로부터 분리한 후, 그 자리에 이들을 적재하면 된다. 즉 부피가 큰 식기는 메인식기바구니(31)에 직접 적재한다. 그리고 숟가락이나 젓가락처럼 크기가 작은 식사도구들은 상부의 수저용기(40)를 분리하여 그 내부에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넣은 후 세척조(11) 내부의 지지부재(42)에 탑재한다.
식기의 적재를 수행한 후 세척을 수행할 때는 세척조(11) 내에 세제를 투입한 상태에서 식기세척기를 가동시킨다. 이때는 급수제어밸브(18) 열리면서 세척조(11)의 내부로 세척을 위한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세척수가 공급된 후에는 세척펌프(16)가 동작하여 세제를 포함한 세척수의 가압이 이루어지고, 가압된 세척수가 각 분사노즐(13,14,15)로 공급되어 세척수의 분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분사노즐(13,14,15)로부터 분사되는 소정압력의 세척수에 의해 식기 등의 세척이 이루어진다.
또 세척을 위해 분사된 세척수는 세척조(11) 하부의 집수부(19)로 모이고, 필터(20)를 통과하면서 오물이 걸러진 후 다시 세척펌프(16)로 유입되어 세척을 위해 재 분사된다. 소정시간 동안의 세척을 수행한 후에는 배수펌프(22)가 동작하여오물을 포함한 세척수를 배수시키고, 급수제어밸브(18)가 열리면서 다시 새로운 세척수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새로운 세척수를 이용해 세척과 동일한 방식의 세척과정을 거쳐 식기의 헹굼이 이루어지며, 헹굼 완료 후에는 배수펌프(22)를 통해 배수가 이루어진다.
세척동작이 완료된 후에는 도어(12)를 열고 메인식기바구니(31)를 전방으로 인출한 후 적재된 식기를 꺼내면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이동식기바구니(33)를 메인식기바구니(31)로부터 들어냄으로써 세척이 완료된 식기를 한꺼번에 꺼낼 수 있고, 이동식기바구니(33)를 주방공간의 식기비치장소에 꺼내 둔 채 식기보관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메인식기바구니로부터 이동식기바구니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세척조에 식기를 넣거나 꺼내기 용이할 뿐 아니라, 이동식기바구니를 주방공간에서 식기보관용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숟가락이나 젓가락처럼 크기가 작은 세척물을 미세통공이 형성된 수저용기에 담아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세척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 내에 고정 장착되는 메인 식기바구니와,
    상기 메인 식기바구니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이동 식기바구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식기바구니와 상기 이동 식기바구니는 격자간이 큰 그물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이동 식기바구니의 격자간이 상기 메인 식기바구니의 격자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1항에 있어서,
    소형 식기도구를 수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되는 수저용기와, 상기 수저용기를 상기 세척조 내면에 장착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30053197A 2003-07-31 2003-07-31 식기 세척기 KR20050014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197A KR20050014538A (ko) 2003-07-31 2003-07-31 식기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197A KR20050014538A (ko) 2003-07-31 2003-07-31 식기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538A true KR20050014538A (ko) 2005-02-07

Family

ID=37225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197A KR20050014538A (ko) 2003-07-31 2003-07-31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45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54Y1 (ko) * 2008-03-28 2011-07-20 씨에이치 주식회사 바스킷서랍을 갖는 테이블냉장고
CN107334446A (zh) * 2017-08-08 2017-11-1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碗篮支架、碗篮组件和洗碗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654Y1 (ko) * 2008-03-28 2011-07-20 씨에이치 주식회사 바스킷서랍을 갖는 테이블냉장고
CN107334446A (zh) * 2017-08-08 2017-11-10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碗篮支架、碗篮组件和洗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5711A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AU2009327568B2 (en) Pre-rinsing of dishes
KR20120078277A (ko) 식기세척기
KR20130028466A (ko) 식기세척기
KR20060100702A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JP2012120740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6288924A (ja) 食器洗い機
KR20050014538A (ko) 식기 세척기
JP2004267661A (ja) 食器洗い機
JP2019030514A (ja) 食器洗い機
JP3284856B2 (ja) 食器洗い機
JP2015160028A (ja) 食器洗い機
CN112638227A (zh) 具有沉入式餐具篮的洗碗机
KR100613482B1 (ko) 식기 세척기의 우유병 세척장치
KR20070113637A (ko) 식기 세척기
KR20070062656A (ko) 식기 세척기의 랙
CN211499069U (zh) 一种厨房水槽
KR101240801B1 (ko) 수저류 수납 구조가 구비된 식기 세척기
CN218074921U (zh) 一种清洗篮组件及其清洗机
CN219206815U (zh) 一种用于清洗机的置物架及清洗机
KR20140033693A (ko) 식기 세척기 및 식기 세척기용 바스켓
CN208598325U (zh) 超声波洗碗机
KR101293234B1 (ko) 식기세척기
KR100780357B1 (ko) 식기세척기
KR101213939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