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429A -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서비스 애플릿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서비스 애플릿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429A
KR20050014429A KR1020030053063A KR20030053063A KR20050014429A KR 20050014429 A KR20050014429 A KR 20050014429A KR 1020030053063 A KR1020030053063 A KR 1020030053063A KR 20030053063 A KR20030053063 A KR 20030053063A KR 20050014429 A KR20050014429 A KR 200500144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mart card
wireless terminal
dongle
off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3244B1 (ko
Inventor
주상현
김지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244B1/ko
Publication of KR20050014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244B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 탑재된 스마트카드에 새로운 오프라인 서비스 애플릿이 추가 되더라도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과 이를 위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은, 스마트카드에 탑재된 서비스와 동글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가 비교, 공유되어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가 저장되는 서비스리스트 관리정보영역과, 오프라인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에 대한 인증 및 사용자 인증들에 사용될 접근 정보 및 방법, 서비스 시나리오 등에 관한 정보들이 저장되고 처리되는 서비스 프로파일 영역과, 실제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및 서비스 관련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Service applet of smart card for off-line}
본 발명은 무선단말기에 탑재된 스마트카드에 새로운 오프라인 서비스 애플릿이 추가 되더라도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에 영향을 주지 않는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과 이를 위한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일체형 혹은 분리형)를 통해서 무선단말기 소유자(사용자)는 지불, 결제, 교통, 인증을 포함한 다양한 오프라인(Off-line) 서비스를 무선단말기 하나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사용자가 일상적인 오프라인 서비스를 위해 여러 장의 서비스 카드를 사용자의 지갑(Wallet)에 가지고 다님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불편함을 해소시켜 주었다.
더불어 JAVA 기반의 스마트카드(이하 스마트카드)의 등장으로, 물리적으로 스마트카드를 발급 받은 이후에도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애플릿(Applet, JAVA 언어로 작성된 응용프로그램)을 스마트카드에 추가하거나, 스마트카드에서 삭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을 후발급(Post Issuing)이라고 하는데, 이 때, 서비스 애플릿을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경우 사용자 및 서비스 애플릿을 관리하는 서버에 대한 인증 및 암호화를 통해 안전하게 서비스 애플릿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스마트카드의 이러한 후발급 절차(프로세스, Process)는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스마트카드를 발급 받은 이후에도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서비스 재구성(추가,삭제,변경)을 가능하게 해 주어 사용자 별로 개인화, 차별화 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 주었으며, 스마트카드 기반의 부가서비스를 기획,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 제공자 혹은 서비스 개발자로 하여금 지속적인 서비스 개발 및 적용의 동기를 부여하게 되어 지속적인 신규 서비스 개발의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렇듯 후발급은 스마트카드 기반 서비스의 주요한 특징으로서, 이것을 잘 활용할 경우 많은 이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후발급 절차를 활용하여 전혀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가 추가된 경우에 사용자가 원하는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 받기 위해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스마트카드(10a)가 탑재된 무선단말기(10), 동글(Dongle(12); IrDA 또는 RF 통신을 RS232-C 시리얼 통신으로 변환하여 무선단말기(10)와 부가가치통신망(VAN(16)) 혹은 카드승인단말기(CAT(14)) 사이에서 휴대폰 결제 서비스를 인터페이스 하는 장치), 카드승인단말기(CAT; Credit Authentication Terminal), VAN(16),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18) 등의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Infrastructure)가 사용자의 스마트카드에 새롭게 추가된 서비스를 지원해야만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구성된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경우는 새로운 서비스 추가에 따라 유연하게 동작할 수 없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특정 서비스와 연관된 시나리오가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 장치인 도 4의 무선단말기(10)나 도 5의 동글(12)에 저장되고, 서비스 애플릿이 오프라인서비스 인프라 장치에 의존적인 서비스 방식의 구조적인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신규 서비스 추가 시, 이에 따른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갱신(Upgrade)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다.
그런데, 현재까지의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를 효과적으로 갱신하여 추가된 서비스를 즉시,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는 어떠한 대안도 없는 상태이다.
실제로 지금까지의 오프라인 서비스 환경 특히 동글(12)이나 카드승인단말기(14)의 경우는 후발급의 개념이 도입되지 않아, 갱신이 필요할 때 마다 사람이 직접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실제 무선단말기(10)를 가진 사용자의 스마트카드(10a)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간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서비스 실행 이전에 이를 위한 자동화된 식별 절차가 없어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에서 실제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사용자가 일일이 식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스마트카드(10a)가 탑재된 무선단말기(10)는 휴대가 간편하며, 서비스에 대한 통합 관리가 가능하고, 각 고객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구성이 가능하여 철저하게 개인화 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새로운 서비스 사용에 대한 고객의 요구를 계속 증가시킬 것이며, 이에 따라 물리적으로 스마트카드를 발급받은 이후에도 후발급을 통해 필요한 서비스 애플릿을 지속적으로 추가, 변경하여 결과적으로 이러한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갱신은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 없다면 서비스 추가 시 마다 오프라인 인프라를 갱신하기 위한 비용(시간, 인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일련의 문제점은 스마트카드 기반의 새로운 부가 서비스 개발에 장애가 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비스 애플릿 추가에 따른 기존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갱신 회수를 최초 1회로 최소화하여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 갱신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향후 신규로 구축되는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경우 신규 서비스 추가에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Service Independent) 구성으로 신규 서비스가 개발 적용 되더라도 별도의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갱신 없이 신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도록 서비스 애플릿을 구성하고, 구성된 애플릿을 기반으로 하는 오프라인 서비스 방법(시나리오, Scenario)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에 탑재된 서비스와 동글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가 비교, 공유되어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가 저장되는 서비스리스트 관리정보영역과;
오프라인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에 대한 인증 및 사용자 인증들에 사용될 접근 정보 및 방법, 서비스 시나리오 등에 관한 정보들이 저장되고 처리되는 서비스 프로파일 영역과;
실제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및 서비스 관련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
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로 오프라인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동글과 카드승인단말기(CAT)가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와 연결되고, 무선단말기에는 스마트카드와 동글 간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관련 모듈이 구비된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카드에서 스마트카드에 탑재된 서비스와 동글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를 비교, 공유하여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저장하는 서비스비교단계와,
무선단말기에서 스마트카드로부터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전송받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비스의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카드에 서비스 시나리오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서비스선택 단계와,
무선단말기에서 서비스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서비스실행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마트카드 기반 서비스의 망 구성도이다.
도 2는 종래 스마트카드 애플릿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스마트카드 내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 관리애플릿의 기능 구성도이다.
도 4는 무선단말기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동글 내부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애플릿의 구성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무선단말기 10a : 스마트카드
12 : 동글(Dongle) 14 : 카드승인단말기(CAT)
16 : 부가가치통신망(VAN) 18 :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
100 : 스마트 애플릿 102 : 서비스리스트 관리정보 영역
104 : 서비스 프로파일 영역 106 : 데이터 영역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시스템은 사용자를 포함하여, 스마트카드(10a)가 탑재된 무선단말기(10),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접점인 동글(12), 카드승인단말기(CAT)(14), 부가가치통신망(VAN; Value Added Network)(16),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18)로 구성되며, 서비스 시나리오는 서비스비교(Service Negotiation) 단계(S100), 서비스선택(Service Selection) 단계(S200), 서비스실행(Service Running) 단계(S300)의 3단계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선발급 혹은 후발급을 통해 스마트카드 내에 스마트 애플릿(100)을 탑재해야 하며, 이때 탑재된 스마트 애플릿은 도 6과 같은 구성이다.
즉, 서비스비교 단계(S100)에서 생성된 결과를 저장하는 서비스리스트 관리정보(Negotiation Management Information) 영역(102)과, 서비스실행 단계(S200)에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18)에 대한 인증 및 사용자 인증 등에 사용될 접근 정보 및 방법(알고리즘, Algorithm), 서비스 시나리오 등에 관한 정보들이 저장되고 처리되는 서비스 프로파일(Service Profile) 영역(S104)과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18)가 실제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및 서비스 관련 정보(예, 사용자 아이디, 신용카드 번호)들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영역(106)으로 구성된다.
스마트 애플릿(100)의 서비스 프로파일 영역(104)에 서비스 시나리오가 저장되고, 동글(12)과 무선단말기(10)는 실제 서비스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기능만을 지원함으로써 서비스와 독립된 무선단말기(10), 동글(12)의 개발이 가능하게 되어 스마트카드(10a)에 신규 서비스가 추가 되더라도 무선단말기(10)및 동글(12)은 스마트 애플릿(100)에 저장된 서비스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추가에 따른 별도의 갱신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또한 스마트 애플릿(100)에 저장되는 서비스 시나리오가 기존 오프라인 서비스 시나리오를 그대로 수용할 경우, 기존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 중 부가가치통신망(16)이나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18)의 인프라 변경없이 신규 서비스 적용이 가능하다.
스마트카드(10a)가 탑재된 무선단말기(10)로 오프라인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동글(12)과 카드승인단말기(14)는 부가가치통신망(16)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18)와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무선단말기(10)는 스마트카드(10a)와 동글(12) 간 근거리 통신(예, IrDA, RF)이 가능 하도록 관련 모듈을 지원해야 한다.
동글(12)은 동글에서 지원 가능한 모든 오프라인 서비스 리스트를 저장하고 있거나, 카드승인단말기와(14)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련 정보를 획득할 수 있어야 한다.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a의 서비스비교 단계(S100)에서 사용자가 스마트카드(10a)를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접점인 동글(12)에 접근하면, 동글(12)은 무선단말기(10)를 거쳐서 스마트카드(10a)와의 근거리 통신을 시도하여 채널을 형성한다(S102).
동글(12)에서 카드승인단말기(14)에 서비스리스트를 요청하고(S104) 전송받아(S106) 획득한 서비스리스트나 동글 내부 저장장소(Buffer)에 저장되어 자체 제공가능한 서비스리스트를, 무선단말기(10)를 통해 스마트카드(10a)로 전송한다(S108).
스마트카드(10a)에서는 스마트카드(10a)에 탑재된 서비스와 동글(12)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를 서로 비교, 공유하여 사용가능 서비스 리스트(Available Service List)를 스마트애플릿(100)의 서비스리스트 관리정보(Negotiation Management Information) 영역(102)에 저장한다(S110).
상기한 서비스비교 단계(S100)는 사용자가 오프라인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무선단말기(100)를 구동(여기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목적으로 부가 서비스 메뉴가 보여지는 화면으로 이동하기 위해 무선단말기의 메뉴 버튼을 누르는 과정을 의미함)하기 이전에(즉 사용자가 인지하기 못하도록, Implicitly)이루어 지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S102단계에서 스마트카드(10a)와 동글 간 근거리 통신에 실패하여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에, 스마트카드(10a)는 스마트카드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서비스리스트(All Service List)를 서비스리스트 관리정보 영역(102)에 저장한다(S112).
이러한 서비스비교 단계(S100)를 통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이 서비스를 이용할 당시에 동글(12)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직접 육안으로 확인 식별해야 하는 절차를 생략할 수 있어, 서비스 식별 절차를 자동화할 수 있다.
서비스선택 단계(S200)에서 사용자가 무선단말기(10)를 구동하게되면(S202), 무선단말기(10)는 스마트카드(10a)로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요청한다(S204).
무선단말기(10)는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스마트카드(10a)로부터 전송받아(S206), 무선단말기 화면에 출력하여(S208) 사용자의 선택을 요청한다.
이 때, 출력된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 갯수가 단수인지 체크하여 단수인 경우 서비스가 자동 선택된다(S211).
즉, 단수인 경우 사용자의 선택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서비스 갯수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는 하나의 서비를 선택한다(S218).
최종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혹은 자동으로 선택된 서비스의 인덱스(Index) 정보가 무선단말기(10)에 저장되면(S212), 무선단말기는 서비스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카드(10a)로 서비스 시나리오를 요청하고(S214), 스마트카드로부터 서비스 시나리오를 전송받아, 이 정보를 무선단말기내에 저장한다(S216).
도 7b의 서비스실행 단계(S300)에서 무선단말기(10)는 스마트카드(10a)로부터 전송된 서비스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실행한다.
서비스 시나리오에는 무선단말기(10)와 동글(12)이 수행해야 할 기능들이 정의 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의 기능 수행 주체에게 전달되어야 한다. 무선단말기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동글로 전달할 수 있다.
무선단말기(10)는 서비스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사용자 확인을 하고(S302-306), 동글(12)은 무선단말기(10)의 요청에 의해 혹은 동글(12)로 전달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스마트카드를 인증한다(S308-S318).
즉, 사용자가 무선단말기(10)에 PIN(Personal Information Number)을 입력하면(S302), 무선단말기(10)는 스마트카드(10a)에 입력된 PIN의 검증을 요청하고(S304), 스마트카드(10a)는 무선단말기(10)에 검증결과를 전송한다(S306).
무선단말기는 동글에 서비스코드를 전송하고 난수 생성을 요청하면(S308), 동글(12)은 난수를 생성하여 생성된 난수값을 무선단말기(10)에 전송한다(S310).
무선단말기는 스마트카드에 난수값을 전송하고, 인증용 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와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한다(S312).
스마트카드(10a)는 인증용 MAC와 서비스 데이터를 무선단말기(10)에 전송하고(S314), 무선단말기(10)는 이를 받아 동글(12)에 전송한다(S316).
동글(12)은 MAC를 확인하여 스마트카드를 인증한다(S318).
이와 같이 사용자 및 카드 인증이 완료되면, 동글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스마트 애플릿(100)의 데이터 영역(106)에 저장된 정보(서비스 데이터 즉, 서비스 코드, 신용카드 데이터)를 카드승인단말기(14)로 전송한다(S320).
카드승인단말기(14)는 서비스 코드를 기반으로 전문을 생성하여(S322) 부가서비스통신망(16)을 통해 최종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18)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송하고(S324)),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해 승인을 하고(S326) 그 결과를 부가가치통신망(16)을 통해 카드승인단말기(14)로 전송한다(S328).
상기 카드승인단말기(14)는 전표를 출력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서비스실행 단계(S300)에 적용되는 시나리오는 각각의 서비스 특성을 반영하여 설계될 수 있으며, 서비스에 따라 시나리오가 달라질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애플릿 추가에 따른 기존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갱신 회수를 최초 1회로 최소화하여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 갱신에 따라 발생하는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향후 신규로 구축되는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경우 신규 서비스 추가에 영향을 받지 않는 독립적인(Service Independent) 구성으로 신규 서비스가 개발 적용 되더라도 별도의 오프라인 서비스 인프라의 갱신 없이 신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Claims (10)

  1. 스마트카드에 탑재된 서비스와 동글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가 비교, 공유되어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가 저장되는 서비스리스트 관리정보영역과;
    오프라인 서비스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필요한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에 대한 인증 및 사용자 인증들에 사용될 접근 정보 및 방법, 서비스 시나리오 등에 관한 정보들이 저장되고 처리되는 서비스 프로파일 영역과;
    실제 서비스를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사용자 및 서비스 관련 정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
    을 포함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
  2.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로 오프라인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동글과 카드승인단말기(CAT)가 부가가치통신망(VAN)을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와 연결되고, 무선단말기에는 스마트카드와 동글 간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도록 관련 모듈이 구비된 시스템을 통해 서비스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카드에서 스마트카드에 탑재된 서비스와 동글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를 비교, 공유하여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저장하는 서비스비교단계와,
    무선단말기에서 스마트카드로부터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전송받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서비스의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카드에 서비스 시나리오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서비스선택 단계와,
    무선단말기에서 서비스 시나리오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택된 서비스를 실행하는 서비스실행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비교 단계는,
    스마트카드를 동글에 접근하여, 동글에서 무선단말기를 거쳐서 스마트카드와의 근거리 통신을 시도하여 채널을 형성하는 단계와,
    동글에서 CAT에 서비스리스트를 요청하고 전송받는 단계와,
    동글에서 CAT를 통해 획득한 서비스리스트나 동글 내부 저장장소에 저장되어 자체 제공가능한 서비스리스트를, 무선단말기를 통해 스마트카드에 전송하는 단계와,
    스마트카드에서 스마트카드에 탑재된 서비스와 동글에서 처리 가능한 서비스를 서로 비교, 공유하여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와 동글 간 근거리 통신에 실패는 경우에, 스마트카드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서비스리스트를 스마트카드에 저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선택 단계는,
    무선단말기가 구동되어 무선단말기에서 스마트카드에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요청하는 단계와,
    무선단말기에서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를 스마트카드로부터 전송받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 중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서비스의 인덱스(Index) 정보를 무선단말기에 저장한는 단계와,
    무선단말기에서 서비스 인덱스 정보를 기반으로 스마트카드에 서비스 시나리오를 요청하여 전송받는 단계와,
    무선단말기에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선단말기 화면에 출력된 사용가능 서비스리스트에 포함된 서비스 갯수가 하나인 경우 자동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실행 단계는,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PIN(Personal Information Number)의 검증에 의해 사용자를 확인하는 단계와,
    동글에서 무선단말기의 요청이나 동글로 전달로 서비스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MAC(Message Authentication Code)를 기반으로 스마트카드를 인증하는 단계와,
    CAT에서 전문을 생성하여 VAT를 통해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에 서비스 관련정보를 전달하여 승인을 획득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확인 단계는,
    사용자가 무선단말기에 PIN을 입력하는 단계와,
    무선단말기에서 스마트카드에 입력된 PIN의 검증을 요청하는 단계와,
    스마트카드에서 무선단말기에 검증결과를 전송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카드 인증단계는,
    무선단말기에서 동글에 서비스코드를 전송하고 난수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와,
    동글에서 난수를 생성하여 생성된 난수값을 무선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단말기는 스마트카드에 난수값을 전송하고, 인증용 MAC와 서비스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와,
    스마트카드에서 무선단말기에 인증용 MAC와 서비스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와,
    무선단말기에서 이를 받아 동글에 전송하는 단계와,
    동글에서 MAC를 확인하여 스마트카드를 인증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관련 정보에 관해 승인을 얻고 그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는,
    동글에서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보(서비스 데이터)를 CAT로 전송하는 단계와,
    CAT에서 서비스 코드를 기반으로 전문을 생성하여, VAT를 통해 최종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로 서비스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와,
    오프라인 서비스 제공서버에서 서비스 관련 정보에 대해 승인을 하고 승인 결과를 VAT를 통해 CAT로 전송하는 단계와,
    CAT에서 전표를 출력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 서비스 애플릿을 이용한 서비스방법.
KR1020030053063A 2003-07-31 2003-07-31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서비스 애플릿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100583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063A KR100583244B1 (ko) 2003-07-31 2003-07-31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서비스 애플릿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063A KR100583244B1 (ko) 2003-07-31 2003-07-31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서비스 애플릿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429A true KR20050014429A (ko) 2005-02-07
KR100583244B1 KR100583244B1 (ko) 2006-05-25

Family

ID=3722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063A KR100583244B1 (ko) 2003-07-31 2003-07-31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서비스 애플릿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2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910B1 (ko) * 2008-09-09 2009-01-22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Scws를 이용한 서블릿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0879909B1 (ko) * 2008-09-09 2009-01-22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Scws를 이용한 애플릿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WO2009002043A3 (en) * 2007-06-22 2009-02-12 Kt Freetel Co Lt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card and method thereof
KR101124772B1 (ko) * 2008-12-15 2012-04-20 인텔 코포레이션 동글 사용 방법, 시스템 및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2043A3 (en) * 2007-06-22 2009-02-12 Kt Freetel Co Ltd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card and method thereof
US10360409B2 (en) 2007-06-22 2019-07-23 Kt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smart card and method thereof
KR100879910B1 (ko) * 2008-09-09 2009-01-22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Scws를 이용한 서블릿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0879909B1 (ko) * 2008-09-09 2009-01-22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Scws를 이용한 애플릿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1124772B1 (ko) * 2008-12-15 2012-04-20 인텔 코포레이션 동글 사용 방법, 시스템 및 머신-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244B1 (ko) 200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3933B2 (en) Method of accessing applications in a secure mobile environment
CN101517593B (zh) 管理智能卡访问的方法、系统和读卡器设备
EP2206067B1 (en) Method, system, trusted service manager, service provider and memory element for managing access rights for trusted applications
US8215547B2 (en) Data communic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mory of data communicating apparatus
EP2255340B1 (en) Method and devices for installing and retrieving linked mifare applications
US9208483B2 (en) Sharing or reselling NFC applications among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KR100668561B1 (ko) 휴대 단말 원격 제어 방법
JP2016164790A (ja) 記憶媒体
US7782176B2 (en) Method for information display, mobile information apparatus, and contactless communication device
EP1528825A1 (en) Method and system of replacing smart card
CN105850155B (zh) 用于管理非接触卡应用的应用数据的系统和方法
CN101635071A (zh) 电子钱包安装/更新方法、系统及装置
KR101445137B1 (ko) 근거리 통신 기반 스마트 카드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CN102542697A (zh) 基于具有网络访问功能的电子设备的pos终端
KR100712314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판매 방법 및 상기 판매 방법이채용된 관리 서버
CN106453282B (zh) 一种atm设备的控制方法及系统
KR100583244B1 (ko) 스마트카드가 탑재된 무선단말기를 위한 오프라인용서비스 애플릿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JP2009251981A (ja) 提携カード管理システム、及びリーダライタ
CN101006461A (zh) 电子货币系统、信息存储介质及移动终端装置
CN109919603A (zh) 虚拟射频卡的生成方法、系统、移动设备和服务器
CN101827347A (zh) 通信方法、通信系统、业务提供平台接入方法
KR20110035759A (ko)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재발급 방법 및 시스템
KR20140104724A (ko) 환자 관리 서버 노드 및 통신 서비스 서버 노드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환자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25654B1 (ko) 범용 서비스 인증 방법 및 이를 위한 플랫폼
KR100902247B1 (ko) 모바일 rfid 단말 플랫폼에서의 대량적인 rfid태그 고유코드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