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388A - 저전압 상태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부가기능 사용을 위한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저전압 상태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부가기능 사용을 위한제어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388A
KR20050014388A KR1020030053004A KR20030053004A KR20050014388A KR 20050014388 A KR20050014388 A KR 20050014388A KR 1020030053004 A KR1020030053004 A KR 1020030053004A KR 20030053004 A KR20030053004 A KR 20030053004A KR 20050014388 A KR20050014388 A KR 20050014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threshold voltage
communication device
portab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남
윤용구
Original Assignee
에이치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텔레콤(주) filed Critical 에이치텔레콤(주)
Priority to KR102003005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14388A/ko
Publication of KR20050014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38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기능의 사용이 불가능한 저전압 상태에 있는 휴대용 전화기에서 전자수첩과 같은 부가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전압이 통화가 불가능한 소정의 임계전압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회로에 손상을 주지 않는 최소 동작전압까지는 전원을 차단하지 않음으로써, 통화기능을 제외한 상대적으로 전력소모가 적은 전자수첩과 같은 휴대용 전화기의 부가기능들은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하여 종래 휴대용 전화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저전압 상태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부가기능 사용을 위한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USING ADDED FUNCTION IN MOBILE PHONE OF LOW VOLTAGE STATE}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전의 휴대용 전화기가 단지 통화 기능과 휴대의 용이성에 중점을 두었다면, 현대의 휴대용 전화기들은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에 스케쥴러(scheduler), 전화번호부, 게임 등과 같이 다양한 부가 기능을 가지고 있고, 이러한 휴대용 전화기의 부가기능들은 점차 다양해지고 그 활용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한편, 지금까지의 휴대용 전화기들은 배터리(Battery)에 통화를 위한 충분한 전원이 남아있지 않다면, 회로 보호 및 통화 품질 등의 이유로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배터리 전압이 소정의 전압(3.2 Volt) 이하로 떨어지면, 강제적으로 전원을 차단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배터리의 전압 상태를 확인하고, 저전압시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는 배터리의 전압을 수시로 체크(단계 S102)하고, 만약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임계전압(3.2 볼트) 이하로 떨어지면(단계 S104),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S106)하여 저전압으로 인한 회로의 파손과 통화 품질(QoS:Quality of Service)의 저하를 방지한다.
하지만, 배터리의 전압이 3.2 볼트 이하가 되더라도 통화 기능을 제외한 상대적으로 전류소모가 적은 다른 부가기능들을 일정시간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전압이 남아있다. 따라서, 3.2 볼트에서 회로의 최소 동작 전압인 3.0 볼트까지의 구간(3.2V ~ 3.0V)에서는 통화 기능을 제외한 다른 부가기능의 사용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배터리의 전압이 3.2 볼트 이하가 되면, 무조건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을 강제적으로 차단하여 전자수첩을 포함한 다른 부가기능들의 활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전압이 통화기능의 사용이 불가능한 저전압 상태가 되더라도, 회로의 최소 동작 전압까지는 통화기능 이외의 부가적인 기능은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배터리의 전압 상태를 확인하고, 저전압시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특성곡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전화기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은 배터리의 전압을 수시로 체크하여 소정의 제1 임계전압과 비교하는 제1 단계; 제1 단계에서 배터리의 전압이 제1 임계전압 이하이면,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기능만을 차단하고 부가기능 모드로 변환하는 제2 단계; 부가기능 모드에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전압을 체크하여 제1 임계전압보다 낮은 소정의 제2 임계전압과 비교하는 제3 단계; 제3 단계에서 배터리의 전압이 제2 임계전압 이하라면,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하드웨어 구성은 크게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블록과 베이스 밴드(Baseband) 블록 및 디스플레이(Display) 블록으로 나눌 수 있고, 각 하드웨어 블록들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이 중 무선 주파수 블록은 외부와의 신호 송수신시에 동작하는 블록으로써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통화기능을 수행할 때 사용한다.
한편, 휴대용 전화기는 약한 전계에서 통화시에 무선 주파수 블록에 의해 가장 많은 전류를 소모하고, 베이스 밴드 블록과 디스플레이 블록만을 이용하는 전자수첩 기능과 같은 부가기능의 경우에는 시간당 약 180mA 정도의 적은 전류만을 소모한다.
도 2는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의 배터리 특성 곡선(Battery Characteristic Curve)이다. 도 2에 보인 것처럼,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에서는 전원이 차단되는 3.2 V ~ 3.0 V의 구간에서 약 50 ~ 60mA 정도의 전류가 더 활용되어 질 수 있다.앞서 언급한 것처럼, 전자수첩과 같은 부가기능의 활용에 필요한 전류 소모가 시간당 약 180mA인 점을 감안한다면, 이는 약 20여분간 부가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는 전류량이다. 또한, 휴대용 전화기의 대기시 전류소모량은 1mA 이하이므로 재충전 전까지 통화기능을 제외한 다른 부가기능들은 충분히 활용되어 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통화기능의 사용에는 부족하지만, 다른 부가기능들을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전압범위(3.2 V ~ 3.0 V)에서는 통화기능만을 차단하고, 다른 부가기능들은 계속해서 이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 제어 방법은 먼저, 통화 기능을 포함한 모든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수시로 자신의 배터리 전압을 체크(단계 S302)한다. 그리고, 체크한 배터리 전압을 소정의 제1 임계전압(3.2 V)과 비교(단계 S304)하여, 만약 배터리 전압이 제1 임계전압(3.2 V) 이하라면, 휴대용 전화기를 부가기능 모드로 전환(단계 S306)하고, 배터리 전압이 제1 임계전압(3.2 V)보다 높다면, 계속해서 정상동작을 수행하면서 단계 S302를 반복한다. 이 때, 비교대상이 되는 제1 임계전압(3.2 V)은 사전에 정의된 전압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통화기능 수행에 필요한 최소의 전압이다.
한편, 부가기능 모드에서는 통화기능이 차단되고, 상대적으로 전류소모가 적은 전자수첩 기능과 같은 부가기능들만이 수행된다.
부가기능 모드에 있는 휴대용 전화기는 수시로 자신의 배터리 전압을 체크(단계 S308)하여 회로의 동작에 필요한 컷오프(Cut Off) 전압인 제2 임계전압(3.0 V)과 비교(단계 S310)한다. 만약, 배터리 전압이 제2 임계전압(3.0 V) 이하가 되면, 휴대용 전화기의 전원을 차단(단계 S312)하고, 제2 임계전압(3.0 V)보다 높다면 부가기능 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제어 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기술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한 제어 방법은 휴대용 전화기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와 유사한 형태의 모든 전자기기에 동일하게 응용되어 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전화기 제어 방법은 통화기능의 사용이 불가능한 저전압 상태에서도 상대적으로 전류소모가 적은 전자수첩 기능과 같은 부가기능들의 사용은 계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용 전화기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휴대용 통신기기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의 배터리 전압을 확인하여 소정의 제1 임계전압과 비교하는 제1 단계;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제1 임계전압 이하이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를 부가기능 모드로 변환하는 제2 단계;
    상기 부가기능 모드에 있는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의 상기 배터리 전압을 확인하여 상기 제1 임계전압보다 낮은 전압인 제2 임계전압과 비교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제2 임계전압 이하라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제1 임계전압보다 높다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정상 동작을 수행하며, 반복해서 상기 제1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제2 임계전압보다 높다면,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상기 부가기능을 수행하며, 반복해서 상기 제3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임계전압은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에서 통신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의 전압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기능 모드에서는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를 이용한 외부와의 통화기능은 정지되고, 전류소모가 적은 부가기능만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임계전압은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의 회로동작에 필요한 최소의 전압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제어 방법.
KR1020030053004A 2003-07-31 2003-07-31 저전압 상태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부가기능 사용을 위한제어 방법 KR200500143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004A KR20050014388A (ko) 2003-07-31 2003-07-31 저전압 상태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부가기능 사용을 위한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004A KR20050014388A (ko) 2003-07-31 2003-07-31 저전압 상태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부가기능 사용을 위한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388A true KR20050014388A (ko) 2005-02-07

Family

ID=37225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004A KR20050014388A (ko) 2003-07-31 2003-07-31 저전압 상태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부가기능 사용을 위한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143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90B1 (ko) * 2007-06-20 201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차단전압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90B1 (ko) * 2007-06-20 201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차단전압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2971B2 (en) Power saving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580971B1 (en) Power consumption control apparatus in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hone
KR100455991B1 (ko) 이동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백라이트 제어 장치
US5812954A (en) Mobile telephone power key lock function
CN101888435A (zh) 便携终端的状态控制方法及便携终端
US70762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eak current levels in a communication unit
CA2166881C (en) Selective restart circuit for an electronic device
US20050223247A1 (en) Portable computer with various operational states
CN113206914A (zh) 一种硬件电路设计以实现防窃听、录像的方法
US7529536B2 (en) RF-controlled power saving communication system
KR100442942B1 (ko) 화상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모드에서 전원 제어를 통한배터리 소모량 절약방법
US200501175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050014388A (ko) 저전압 상태의 휴대용 전화기에서 부가기능 사용을 위한제어 방법
KR100318931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전력소모절약장치및그방법
KR20110043167A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10003940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수명 연장 장치 및 방법
CA2509026C (en) Universal serial bus current limit
KR2002005458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컷오프 전압 제어 방법
KR100379616B1 (ko) 무선 전화기의 백업 배터리 전원 회로
KR20050096430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절약 회로 및 방법
CN103281760A (zh) 用于移动终端的节电方法和装置
KR20040041278A (ko) 휴대단말기의 음영지역 동작전원 제어장치 및 그 운용방법
GB2397972A (en) Power saving in a foldabl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20230118256A (ko) 이동 기기의 배터리 대기전력 차단 및 다기능 스위치 회로
KR20010004515A (ko) 이동무선단말기의 백라이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