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2960A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s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s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2960A
KR20050012960A KR1020030051662A KR20030051662A KR20050012960A KR 20050012960 A KR20050012960 A KR 20050012960A KR 1020030051662 A KR1020030051662 A KR 1020030051662A KR 20030051662 A KR20030051662 A KR 20030051662A KR 20050012960 A KR20050012960 A KR 20050012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ubtitle
image
luminance level
ca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1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555889B1 (en
Inventor
최주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1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5889B1/en
Publication of KR2005001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29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5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5889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are provided to enlarge an image signal without distorting the quality of image and to display the enlarged image signal to a screen when receiving a letter box signal including a caption signal. CONSTITUTION: An image signal processing member(130) detects the first signal included to an image region of a letter box signal when an input image signal is a letter box signal, performs a scaling of the first signal with a predetermined scaling rate and then outputs a real image signal. A caption signal processing member(140) detects the second signal included to a black region of the letter box signal, extracts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more than a reference luminance level among the second signal and sets the extracted signal as a final caption signal. A mixing member(150) mixes the real image signal with the final caption signal and produces a mixed signal. A control member(195) controls the image signal processing member, caption signal processing member and mixing member.

Description

자막처리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s}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s}

본 발명은 자막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막신호가 포함된 레터박스(letter box)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의 왜곡없이 영상과 자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자막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and a caption without distortion of the image when receiving a letter box signal containing a caption signal. It is about.

최근 영상촬영기술, 편집 기술 등의 발달에 따라 16:9 화면비율(Aspect Ratio)과 같은 와이드(wide) 화면의 영상(이하, '와이드 영상'이라 한다)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디스플레이 장치도 와이드 화면비율을 갖는 장치가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4:3의 화면비를 가지고 있으므로, 와이드 영상을 일반 4:3의 화면비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재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 하나가 방송신호를 레터박스 포맷으로 전송하는 방법이다.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image capturing technology and editing technology, a wide screen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ide image') such as a 16: 9 aspect ratio has been provided. Devices having a wide aspect ratio have been studied. However, since most display devices in use have a 4: 3 aspect ratio, various methods for reproducing a wide image on a display device having a general 4: 3 aspect ratio have been proposed, and one of them is a broadcast signal. This is a method of transmitting in a box format.

레터박스 포맷은 4:3 화면비율 이외의 방송신호를 4:3 비율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기 위해, 원래의 영상신호의 주사선수를 축소하여 화면상에 표시하고 나머지 화면의 상하 영역을 블랙처리하는 포맷이다. 이로써, 화면비가 4:3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의 왜곡이 발생하지 않는 와이드 영상을 시청가능한 신호로 제공하게 된다.In order to display a broadcast signal other than 4: 3 aspect ratio on a 4: 3 aspect display device, the letterbox format is used to reduce the number of original video signals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o black-process the upper and lower regions of the remaining screen. Format. As a result, the display device having an aspect ratio of 4: 3 provides a wide image without distortion of the screen as a viewable signal.

한편, 레터박스 포맷으로 전송되는 영상을 16:9와 같은 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는 경우, 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 상하의 블랙 영역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전송되는 레터박스 포맷의 신호 중 영상신호만을 추출 및 확대하여 풀 스크린으로 표시한다.Meanwhile, when displaying an image transmitted in a letterbox format on a wide display device such as 16: 9, the wide display device extracts and extracts only an image signal of a transmitted letterbox format signal so that black areas above and below the screen are not displayed. Zoom in and display full screen.

그러나, 수신되는 레터박스 신호에 자막신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자는 자막방송을 시청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는, 레터박스 포맷으로 방송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대부분의 자막신호는 화면의 블랙 영역에 위치하는 반면, 시청자는 블랙 영역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만을 확대하여 표시하기 때문이다.However, when the received letterbox signal includes a caption signal, a viewer who views an image on the wide display device may not be able to view the caption broadcast. This is because, when the broadcast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letterbox format, most of the caption signals are located in the black region of the screen, whereas the viewer enlarges and displays only the video signal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lack region is not displayed.

따라서, 종래의 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자막방송이 표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의 크기를 수직 방향으로 축소(Vertical Scale)하거나 또는 영상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shift)시키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영상의 크기를 축소시키는 경우 종래의 와이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영상에는 찌그러짐 등의 왜곡이 발생하며, 자막이 보이도록 영상을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된 만큼 영상의 일부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display closed captions, a conventional wide display apparatus has proposed a method of vertically reducing the size of an image in a vertical direction or shifting the image in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However, when the size of the image is reduced, distortion such as distortion occurs in the image displayed on the conventional wide display device, and when moving the image so that the subtitles are visible, a part of the image is no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as much as it is moved. This happen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자막신호가 포함된 레터박스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영상의 왜곡없이 영상과 자막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자막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displaying an image and a caption without distortion of the image when receiving a letterbox signal including the caption sig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막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영상신호 처리부 및 자막신호 처리부에서 판단되는 레터박스 신호의 각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regions of a letterbox signal determin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and the caption signal processor of FIG. 1 ar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FIG.

도 3은 도 1의 합성부에서 생성된 최종레터박스신호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final letter box signal generated by the synthesizer of FIG. 1 i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막처리장치에 의한 자막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ption processing method by the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1.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 자막처리장치 120 : 제1저장부100: caption processing device 120: first storage unit

130 : 영상신호 처리부 132 : 영상판단부130: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32: image determination unit

134 : 영상처리부 136 : 스케일러134: image processing unit 136: scaler

140 : 자막신호 처리부 142 : 자막판단부140: ca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2: caption determination unit

144 : 후보자막검출부 146 : 최종자막검출부144: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146: the final subtitle detection unit

148 : 자막저장부 150 : 합성부148: subtitle storage unit 150: synthesis unit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잦막처리장치는, 입력영상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 경우, 상기 레터박스신호의 영상영역에 포함되는 제1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1신호를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로 스케일링하여실제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 상기 레터박스신호의 블랙영역에 포함되는 제2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신호 중에서 소정의 기준휘도레벨보다 큰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추출하여 최종자막신호로 설정하는 자막신호 처리부, 상기 실제영상신호와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부, 및 상기 영상신호처리부, 상기 자막신호 처리부, 및 상기 합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frequent film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first signal included in an image region of the letterbox signal when the input image signal is a letterbox signal, and detects the first signal. A video signal processor for outputting an actual video signal by scaling one signal at a set scaling ratio, and detecting a second signal included in a black region of the letter box signal, wherein the luminance level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uminance level among the second signals. A caption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tracting a signal having a signal and setting it as a final subtitle sig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ealth.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는, 상기 입력영상신호가 상기 레터박스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레터박스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신호의 주사가 시작되는 영상시작어드레스 및 상기 제1신호의 주사가 종료되는 영상종료어드레스를 산출하는 영상판단부, 상기 레터박스신호에서 상기 영상시작어드레스 및 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영상영역에 포함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는 영상처리부, 및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검출된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image signal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image signal is the letterbox signal, and if the result corresponds to the letterbox signal, an image start address at which scanning of the first signal is started; An image determination unit for calculating an image termination address at which the scanning of the first signal is terminated, a signal included in the image region located between the image start address and the end address in the letter box signal, and detecting the scaling ratio And a scaler configured to scale the detected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scaling ratio.

또한, 상기 영상판단부는,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초기 주사선부터 소정의 기준 주사선 사이에 포함된 신호의 평균휘도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으면, 상기 입력영산신호를 상기 레터박스신호로 판단한다.The imag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input calculation signal as the letterbox signal when the average luminance value of the signal included between the initial scan line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can lin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막신호 처리부는, 상기 제2신호에 소정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제2신호는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이 최초 확인된 자막시작어드레스 및 최종 확인된 자막종료어드레스를 확인하여 후보자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기준휘도레벨을 설정하는 자막판단부, 상기 레터박스신호 중 상기 기준휘도레벨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후보자막신호로 설정하는 후보자막검출부, 상기 자막시작어드레스 및 상기 자막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를 설정된 상기 후보자막신호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최종자막신호로 처리하는 최종자막검출부, 및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저장하는 자막저장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aption signal processor determines that the second signal includes the final subtitle signal when the signal having the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exists in the second signal, and the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A caption determination unit for setting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for detecting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by checking the first confirmed subtitle start address and the finally confirmed subtitle end address, and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among the letterbox signals. A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and setting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to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a final subtitle detection unit detecting a signal located between the subtitle start address and the subtitle end address from the set candidate subtitle signal and processing the final subtitle signal; Subtitl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nal subtitle signal.

또한, 상기 자막판단부는, 상기 자막시작어드레스 및 상기 자막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 중 상대적 중간휘도레벨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신호의 휘도레벨 중 빈도수가 가장 많은 휘도레벨을 상기 기준휘도레벨로 설정한다.The caption judging unit may extract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lative intermediate luminance level among signals located between the caption start address and the caption end address, and then, the luminance level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luminance levels of the extracted signal. Is set to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또한, 상기 합성부는, 상기 실제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소정 영역에 상기 최종자막신호가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한다.The synthesizing unit processes the final subtitle signal to overlap the predetermined region where the actual video signal is displayed.

한편,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막처리방법은, 입력영상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 경우, 상기 레터박스신호의 영상영역에 포함되는 제1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1신호를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로 스케일링한 실제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단계, 상기 레터박스신호의 블랙영역에 포함되는 제2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신호 중에서 소정의 기준휘도레벨보다 큰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추출하여 최종자막신호로 설정하는 자막신호 처리단계, 상기 실제영상신호와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단계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aption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video signal is a letter box signal, detects the first signal included in the video area of the letter box signal, A video signal processing step of outputting an actual video signal scaled by the first signal at a set scaling ratio, detecting a second signal included in a black region of the letter box signal, and out of a predetermined reference luminance level among the second signals. A subtitle signal processing step of extracting a signal having a high luminance level and setting it as a final subtitle signal, and a synthesis step of generating a synthesized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real video signal and the final subtitle signal.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영상신호 처리단계는, 상기 입력영상신호가 상기 레터박스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결과 상기 레터박스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신호의 주사가 시작되는 영상시작어드레스 및 상기 제1신호의 주사가 종료되는 영상종료어드레스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레터박스신호에서 상기 영상시작어드레스 및 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영상영역에 포함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검출된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more detail, the video signal processing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video signal is the letterbox signal, and when the result corresponds to the letterbox signal, scanning of the first signal starts. Calculating an image termination address at which a scanning of a first address and a first signal is ended, detecting a signal included in the image region located between the image starting address and an ending address in the letter box signal, and the scaling ratio And setting the detected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scaling ratio.

또한, 상기 레터박스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초기 주사선부터 소정의 기준 주사선 사이에 포함된 신호의 평균휘도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으면, 상기 입력영산신호를 상기 레터박스신호로 판단한다.In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letter box signal is the letter box signal, if the average luminance value of the signal included between the initial scan line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scan lin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input operation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input box signal. Judging by the letter box signal.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막신호 처리단계는, 상기 제2신호에 소정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제2신호는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상기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이 최초 확인된 자막시작어드레스 및 최종 확인된 자막종료어드레스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자막시작 및 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의 휘도레벨로부터 후보자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휘도레벨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레터박스신호 중 상기 기준휘도레벨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후보자막신호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자막시작 및 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를 설정된 상기 후보자막신호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최종자막신호로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caption signal processing step includes determining that the second signal includes the final subtitle signal when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exists in the second signal; Confirming a subtitle start address and a finally confirmed subtitle end address of which level is first confirmed, setting a reference luminance level for detecting a candidate subtitle signal from a luminance level of a signal located between the subtitle start and end addresses; Detecting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among the letterbox signals and setting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detecting a signal located between the start and end caption addresses from the set candidate subtitle signal and setting the final subtitle; Processing the signal, and storing the final subtitle signal.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막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영상신호 처리부 및 자막신호 처리부에서 판단되는 레터박스 신호의 각 영역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illustrating a display area of each letterbox signal determined by the image signal processor and the caption signal processor of FIG.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먼저, 도 1은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 중 본 발명에 따른 레터박스 신호처리와 관련된 블럭만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그 외의 신호(예를 들어, 음성신호)처리와 관련된 블럭의 도시는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First, FIG. 1 is a view showing only blocks related to letterbox signal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mong display devices such as a TV, and the illustration of blocks related to other signal (for example, voice signal) processing is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o.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막처리장치(100)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Digital Converter, 이하 "ADC"라 한다)(110), 제1저장부(120), 영상신호 처리부(130), 자막신호 처리부(140), 합성부(150), 화면변환부(160), 제2저장부(170),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Digital/Analog Converter, 이하 "DAC"라 한다)(180), 키조작부(190) 및 제어부(195)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C”) 110, a first storage unit 120, and an image signal processor. 130, the caption signal processor 140, the synthesizer 150, the screen converter 160, the second storage unit 170, the digital / analog conver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DAC") 180, a key manipulation unit 190, and a control unit 195.

영상신호 생성소스원(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는 아날로그 방송신호 중 비디오신호는 ADC(110)로 제공된다. ADC(110)는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신호로 변환한다.A video signal among analog broadcast signals provided from a video signal generation source source (not shown) is provided to the ADC 110. The ADC 110 converts an analog video signal into a digital video signal.

본 발명에서 비디오신호는 실제영상신호 및 자막신호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신호를 지칭한다. 또한, 레터박스신호는 도 2와 같이 화면상에 영상영역(IMAGE) 및 제1 및 제2블랙영역(B1, B2)으로 구분되어 표시되는 신호를 지칭한다. 도 2에서 영상영역(IMAGE)은 실제 영상이 구현되는 영역이며, 제1 및 제2블랙영역(B1, B2)은 검은 영상 또는 자막이 구현되는 영역이다. 제1 및 제2블랙영역(B1, B2), 영상영역(IMAGE)은 전송되는 디지털 방송신호의 화면비율,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화면 비율 등에 따라 그 크기가 상이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video signal refers to a signal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n actual video signal and a subtitle signal. In addition, the letter box signal refers to a signal that is divided into an image region IMAGE and first and second black regions B1 and B2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 In FIG. 2, the image area IMAGE is an area where an actual image is implemented, and the first and second black areas B1 and B2 are areas where a black image or a subtitle is implemented. The first and second black areas B1 and B2 and the image area IMAGE have different sizes depending on the aspect ratio of the transmitted digital broadcast signal and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for displaying an image.

제1저장부(120)는 ADC(110)에서 변환출력된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저장하며,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영상판단부(132), 영상처리부(134), 자막판단부(142) 및 후보자막검출부(144)로 제공한다.The first storage unit 120 stores the digital video signal converted and output from the ADC 110 and stores the stored digital video signal in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132, the image processing unit 134, the subtitle determination unit 142, and the candidate subtitles. The detection unit 144 is provided.

영상신호 처리부(130)는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 경우, 레터박스신호의 영상영역(IMAGE)에 포함된 제1신호를 검출한 후, 검출된 제1신호를 설정된 스케일 비율에 따라 스케일링하여 실제영상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영상신호 처리부(130)는 영상판단부(132), 영상처리부(134) 및 스케일러(136)를 포함한다.When the digital video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20 is a letter box signal, the image signal processor 130 detects the first signal included in the image area IMAGE of the letter box signal, and then detects the first signal. The actual video signal is output by scaling the signal according to the set scale ratio. To this end, the image signal processor 130 includes an image determiner 132, an image processor 134, and a scaler 136.

영상판단부(132)는 수신된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지를 판단한다. 즉, 영상판단부(132)는 디지털 비디오신호의 초기 주사선부터 설정된 기준 주사선사이에 포함된 신호의 평균휘도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평균휘도값이 설정된 문턱값보다 작으면, 제공된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설정된 기준 주사선은 PAL 방식의 경우 (72개 ±α)(단, α는 양수)이다.The image determining unit 132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digital video signal is a letter box signal. That is, the image determining unit 132 calculates the average luminance value of the signal included between the initial scan line of the digital video signal and the set reference scan line, and if the calculated average lumina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set threshold value, the provided digital video signal. Determines that is a letterbox signal. The reference scan line set here is (72 +/- alpha) in the case of the PAL system (where α is a positive number).

또한, 검출된 초기 주사선부터 소정 주사선까지의 영역은 레터박스 포맷 중 화면의 제1 또는 제2블랙영역(B1, B2)에 위치하며, 본 발명에서는 화면의 상단, 즉, 제1블랙영역(B1)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제1 또는 제2블랙영역(B1, B2)의 크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나, 다르게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lso, the area from the detected initial scan line to the predetermined scan line is located in the first or second black areas B1 and B2 of the screen in the letterbox forma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that is, the first black area B1. It is assumed to be located at). Preferably, the first or second black regions B1 and B2 have the same size, but may be implemented differently.

또한, 수신된 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판단부(132)는제1블랙영역(B1) 이후부터 검출되는 제1신호는 레터박스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 즉, 영상판단부(132)는 제1신호의 주사가 시작되는 주사선의 영상시작어드레스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크면, 제1신호는 영상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소정의 기준값은 제1블랙영역(B1)이 끝나는 주사선의 어드레스이고, 방송신호 및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화면비율에 따라 상이하며, 판단된 영상신호는 화면의 영상영역(IMAGE)에 위치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signal is a letter box signal, the image determining unit 132 determines that the first signal detected after the first black region B1 is an image signal included in the letter box signal. That is, the image determining unit 132 determines that the first signal is an image signal when the image start address of the scan line where the scanning of the first signal starts is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Here, th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is the address of the scan line where the first black region B1 ends, and differs according to the broadcast signal and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device (not shown), and the determined image signal is determined in the image region IMAGE of the screen. Located.

그리고, 영상판단부(132)는 영상의 주사가 시작되는 주사선 및 종료되는 주사선의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확인된 주사선 어드레스를 영상처리부(134)로 제공한다.The image determining unit 132 checks the address of the scanning line where the scanning of the image starts and the scanning line which ends, and provides the identified scanning line address to the image processing unit 134.

영상처리부(134)는 제1저장부(120)로부터 제공된 레터박스신호 중 영상판단부(132)로부터 제공된 어드레스를 토대로 영상신호를 검출한다. 다시 말하면, 영상처리부(134)는 영상 시작 주사선부터 영상 종료 주사선 사이에 위치하는 영상신호를 레터박스신호로부터 검출한다.The image processor 134 detects an image signal based on an address provided from the image determining unit 132 among the letter box signals provided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20. In other words, the image processor 134 detects from the letter box signal an image signal located between the image start scan line and the image end scan line.

또한, 영상처리부(134)는 검출된 영상신호의 스케일 비율을 결정한다.In addition, the image processor 134 determines the scale ratio of the detected image signal.

본 발명에서는에 의해 스케일 비율을 결정한다. 여기서, '표준 주사선 개수'는 영상신호 생성소스원(미도시)에서 처음 송신되는 방송신호의 유효 주사선 개수로서, 예를 들어, PAL 방식의 경우 576개, NTSC 방식의 경우 480개의 주사선을 말한다. 또한, '실제 영상 주사선 개수'는 레터박스신호 중 제1 및 제2블랙영역(B1, B2)을 제외한 영상영역(IMAGE)의 주사선 개수이다. 이러한 스케일 비율은 룩업 테이블 형식으로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영상처리부(134)에 의해 별도로 산출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le ratio is determined by. Here, the number of standard scan lines is the number of effective scan lines of a broadcast signal initially transmitted from an image signal generation source source (not shown), for example, 576 scan lines in the PAL scheme and 480 scan lines in the NTSC scheme. The number of actual image scan lines is the number of scan lines in the image area IMAGE except for the first and second black areas B1 and B2 among the letterbox signals. This scale ratio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or separately calculated by the image processor 134.

스케일러(136)는 영상처리부(134)에서 검출된 영상신호를 영상처리부(134)로부터 결정된 스케일 비율로 스케일링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케일러(136)는 영상신호를 결정된 스케일 비율로 스케일링하되 수직 방향으로 스케일링한다.The scaler 136 scales the image signal detected by the image processor 134 by the scale ratio determined by the image processor 134.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caler 136 scales the video signal at a determined scale ratio but scal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자막신호 처리부(140)는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신호 중 최종자막신호를 검출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자막신호 처리부(140)는 제2블랙영역(B2)에 포함된 제2신호 및 제2신호의 어드레스를 검출한 후, 검출된 어드레스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2블랙영역(B2)에 포함된 제2신호 중 소정 기준휘도레벨보다 큰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로부터 추출하여 최종자막신호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자막신호 처리부(140)는 자막판단부(142), 후보자막검출부(144), 최종자막검출부(146) 및 자막저장부(148)를 포함한다.The ca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0 detects the final subtitle signal among the digital video signal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20. In detail, the caption signal processing unit 140 detects the second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black region B2 and the address of the second signal, and then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address to the second black region B2. The subtitle signal is extracted from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uminance level among the second signals included in the second signal. To this end, the caption signal processor 140 includes a caption determination unit 142, a candidate caption detection unit 144, a final caption detection unit 146, and a caption storage unit 148.

자막판단부(142)는 제1저장부(120)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털 비디오신호 중 자막신호의 포함여부를 판단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자막판단부(142)는 영상판단부(132)에서 판단된 제2블랙영역(B1, B2)에 존재하는 제2신호 중 소정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가 존재하면 제2신호는 최종자막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자막판단부(142)는 소정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이 처음 읽혀진 주사선을 자막 시작 주사선으로 설정하며, 마지막으로 읽혀진 주사선을 자막 종료 주사선으로 설정한다.The caption determination unit 142 determines whether the cap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digital video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20. In detail, the caption determination unit 142 may determine whether the subtitle determination unit 142 has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mong the second signals existing in the second black areas B1 and B2 determined by the image determination unit 132. The signal is determined to include the final subtitle signal. The caption judging unit 142 sets the scan line at which the luminance level of the predetermined threshold or more is first read as the caption start scan line, and the last read scan line as the caption end scan line.

또한, 자막판단부(142)는 자막 시작 주사선 어드레스 및 자막 종료 주사선어드레스를 확인하여 후보자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휘도레벨을 설정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자막판단부(142)는 자막 시작 주사선부터 자막 종료 주사선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신호 중 상대적 중간휘도레벨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신호들 중 빈도수가 가장 많은 신호의 휘도레벨을 기준휘도레벨로 설정한다. 여기서, 상대적 중간휘도레벨은, 예를 들어, 휘도레벨이 0 내지 255인 경우, 127 또는 128을 갖는 휘도레벨을 말한다. 설정된 기준휘도레벨은 실제 영상신호, 노이즈 등을 필터링하고 최종자막신호만을 검출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된다.In addition, the caption determination unit 142 sets a reference luminance level for detecting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by checking the caption start scan line address and the caption end scan line address. In detail, the caption determination unit 142 extracts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lative intermediate luminance level among all signals existing between the caption start scan line and the caption end scan line, and then selects the signal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extracted signals. Set the luminance level to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Here, the relative intermediate luminance level refers to a luminance level having 127 or 128 when the luminance level is 0 to 255, for example. The set reference luminance level is used as a reference for filtering an actual video signal, noise, and the like and detecting only the final subtitle signal.

설정된 기준휘도레벨은 후보자막검출부(144)로 제공되며, 자막 시작 및 종료 주사선의 어드레스는 최종자막검출부(146)로 제공된다.The set reference luminance level is provided to the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144, and addresses of the subtitle start and end scan lines are provided to the final subtitle detection unit 146.

후보후보자막검출부(144)는 자막판단부(142)에서 판단된 기준휘도레벨을 이용하여 제1저장부(120)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필터링하여 후보자막신호를 검출한다.The candidate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144 detects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by filtering the digital video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20 using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determined by the subtitle determination unit 142.

자세히 설명하면, 후보자막검출부(144)는 디지털 비디오신호 중 기준휘도레벨보다 어두운 저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는 고려하지 않고, 밝은 고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만을 검출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자막신호의 휘도가 영상신호의 휘도보다 밝은 휘도레벨을 갖기 때문에, 후보자막검출부(144)는 기준휘도레벨보다 밝은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후보자막신호인 것으로 판단하여 검출한다. 이로써, 제2블랙영역(B2)에 포함된 영상신호 또는 노이즈는 제거된다.In detail, the candidate subtitle detecting unit 144 detects only a signal having a bright high luminance level without considering a signal having a low luminance level darker than a reference luminance level among the digital video signals. Since the brightness of the caption signal generally has a brightness level brighter than that of the video signal, the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144 determines that the signal having a brightness level brighter than the reference brightness level is determined as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As a result, the video signal or noise included in the second black region B2 is removed.

최종자막검출부(146)는 자막판단부(142)로부터 제공된 자막 시작 및 종료 주사선의 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최종자막신호를 후보자막검출부(144)에서 검출된 후보자막신호로부터 검출한다. 이러한 검출은 후보자막검출부(144)에서 검출된 후보자막신호도 각 자막신호에 대응되는 어드레스를 가지고 있으므로, 검출된 후보자막신호의 어드레스와 자막판단부(142)로부터 제공되는 어드레스를 매칭 또는 비교함으로써 최종자막신호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검출된 최종자막신호는 자막저장부(148)에 저장된다.The final subtitle detection unit 146 detects the final subtitle signal located between the addresses of the subtitle start and end scanning lines provided from the subtitle determination unit 142 from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detected by the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144. In the detection, since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detected by the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144 also has an address corresponding to each subtitle signal, by matching or comparing the address of the detected candidate subtitle signal with the address provided from the subtitle determination unit 142.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final subtitle signal. The detected final subtitle signal is stored in the subtitle storage unit 148.

또한, 최종자막검출부(146)는 자막저장부(148)에 저장된 최종자막신호를 독출하여 합성부(150)로 제공한다.Also, the final subtitle detector 146 reads the final subtitle signal stored in the subtitle storage unit 148 and provides the final subtitle signal to the synthesis unit 150.

합성부(150)는 스케일러(136)로부터 제공되는 소정 비율로 스케일링된 영상신호와 자막저장부(148)로부터 독출된 최종자막신호를 합성하여 최종레터박스신호를 생성한다. 특히, 합성부(150)는 최종자막신호에 포함된 최종자막신호의 어드레스정보를 확인하여 실제영상신호와 최종자막신호를 합성한다. 여기서, 제2블랙영역(B2)에 포함되어 있는 소정 영상신호는 후보자막검출부(144)에서 필터링 과정을 거쳐 소거되었으므로, 일반적으로 자막신호보다 저휘도레벨을 갖는 실제영상신호에 최종자막신호만이 오버랩된다. 이로써, 최종자막신호가 선명하게 표시될 수 있는 최종레터박스신호가 생성되며, 생성된 최종레터박스신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구현된다.The synthesizing unit 150 generates a final letter box signal by synthesizing the scaled image signal provided by the scaler 136 and the final subtitle signal read out from the subtitle storage unit 148. In particular, the synthesizer 150 confirms the address information of the final subtitle signal included in the final subtitle signal and synthesizes the actual video signal and the final subtitle signal. In this case, since the predetermined video signal included in the second black region B2 is erased through the filtering process by the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144, only the final subtitle signal is generally included in the actual video signal having a lower luminance level than the subtitle signal. Overlap. As a result, a final letterbox signal capable of clearly displaying the final subtitle signal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final letterbox signal is implemented in a display apparatus (not shown) in a form as shown in FIG. 3.

생성된 최종레터박스신호는 화면변환부(160)를 통해 제2저장부(170)에 저장된다.The generated final letter box signal is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70 through the screen conversion unit 160.

화면변환부(160)는 제2저장부(170)에 저장된 최종레터박스신호를 소정의 화면 모드에 대응되도록 변환하여 DAC(190)로 제공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원격 제어기(미도시)와 같은 키조작부(190)로부터 소정의 화면 모드가 선택되면, 화면변환부(160)는 선택된 화면 모드의 포맷에 적합하도록 최종레터박스신호를 변환한다. 여기서, 화면 모드의 예로는 하나의 화면을 표시하는 일반모드, PIP(Picture in picture) 모드, 더블 윈도우(Double Window) 모드, IPC(Interaced to Progressive Convert) 모드를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짓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creen converting unit 160 converts the final letter box signal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170 to correspond to a predetermined screen mode and provides the converted letter box to the DAC 190. In detail, when a predetermined screen mode is selected from a key operation unit 190 such as a remote controller (not shown), the screen conversion unit 160 converts the final letter box signal to be suitable for the format of the selected screen mode. Here, examples of the screen mode include a normal mode displaying one screen, a picture in picture (PIP) mode, a double window mode, and an interaced to progressive convert (IPC) mod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desirable.

또한, PAL 방식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화면변환부(160)는 50Hz의 방송신호를 100Hz의 방송신호로 변환한다. 이는 50Hz로 PAL 방식의 방송신호를 출력하게 되면 플리커와 같은 화질저하 현상이 초래되기 때문이다.In addition, when receiving a PAL broadcast signal, the screen conversion unit 160 converts the broadcast signal of 50Hz to a broadcast signal of 100Hz. This is because outputting a PAL broadcast signal at 50 Hz causes a degradation in image quality such as flicker.

DAC(180)는 화면변환부(160)로부터 변환출력된 최종레터박스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The DAC 180 converts the final letter box signal converted from the screen converter 160 into an analog signal.

키조작부(190)는 자막처리장치(100)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서 지원하는 기능을 선택 또는 설정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195)로 출력하는 다수의 조작키(미도시)를 구비한다.The key operation unit 190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keys (not shown) for outputting a signal for selecting or setting a function supported by a display apparatus (not shown) equipped with the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to the control unit 195. do.

본 발명에 있어서, 키조작부(190)에는 소정의 화면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선택부(190a)가 마련된다. 소정의 화면모드에는 상술한 일반모드, PIP 모드, 더블 윈도우 모드, IPC 모드 등이 있다. 여기서, 일반모드는 하나의 화면에 하나의 영상을 표시하는 모드이며, PIP 모드는 하나의 주화면에 적어도 하나의 부화면이 오버랩되어 표시되는 모드이며, 더블 윈도우 모드는 두 개의 화면이 독립적으로 표시되는 모드이며, IPC 모드는 비월주사방식을 순차주사방식으로 변환하는 모드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key operation unit 190 is provided with a mode selection unit 190a for selecting a predetermined screen mode. The predetermined screen modes include the above-described general mode, PIP mode, double window mode, IPC mode, and the like. Here, the normal mode is a mode for displaying one image on one screen, and the PIP mode is a mode in which at least one sub-screen overlaps on one main screen, and the double window mode displays two screens independently. The IPC mode is a mode for converting interlaced scanning to progressive scanning.

제어부(195)는 저장된 각종 제어프로그램 및 키조작부(190)에 대응되는 키조작신호에 따라 자막처리장치(100)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95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isplay apparatus (not shown) equipped with the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various stored control programs and key manipulation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key manipulation unit 190.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195)는 레터박스신호로 판단된 비디오신호로부터 실제영상신호 및 최종자막신호를 검출하여 합성신호를 생성하도록 영상신호 처리부(130), 자막신호 처리부(140) 및 합성부(150)를 제어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95 detects the actual video signal and the final subtitle signal from the video signal determined as the letter box signal to generate a composite signal, the image signal processor 130, the caption signal processor 140 and the synthesizer Control 150.

또한, 제어부(195)는 모드선택부(190a)에 의해 소정의 화면모드에 대한 선택신호가 수신되면, 생성된 최종레터박스신호를 선택된 화면모드에 따라 신호변환하도록 화면변환부(16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모드선택부(190a)에 의해 일반 화면모드가 선택되면, 변환된 최종레터박스신호는 도 3과 같이 '오늘의 날씨는..'와 같은 자막이 영상에 오버랩되어 구현된다.In addition,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predetermined screen mode is receiv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190a, the controller 195 controls the screen conversion unit 160 to convert the generated final letter box signal according to the selected screen mode. do. For example, when the normal screen mode is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190a, the converted letterbox signal is implemented by overlapping a caption such as 'the weather is today.' As shown in FI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막처리장치에 의한 자막처리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aption processing method by the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비디오신호는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다(S405). 영상판단부(132)는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지를 판단한다(S410).1 to 4, first, a video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mong received broadcast signals is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20 (S405). The image determining unit 132 determines whether the digital video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20 is a letter box signal (S410).

S410단계에서 레터박스신호인지의 여부는 디지털 비디오신호의 초기 주사선부터 설정된 기준 주사선까지의 평균휘도값을 산출한 후, 산출된 평균휘도값이 설정된 문턱값보다 작으면, 제공된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초기 주사선부터 설정된 기준 주사선까지의 영역은 제1블랙영역(B1)을 포함하므로, S410단계에서 영상판단부(132)는 제1블랙영역(B1) 이후부터 검출되는 신호는 레터박스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인 것으로 판단한다.In step S410, whether or not the letter box signal is calculated is an average luminance value from the initial scan line of the digital video signal to the set reference scan line, and if the calculated average luminance value is smaller than the set threshold value, the provided digital video signal is letterbox May be determined to be a signal. In addition, since the area from the initial scan line to the set reference scan line includes the first black area B1, the image determining unit 132 detects the signal detected after the first black area B1 in step S410. It is determined that the video signal included.

S410단계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비디오신호가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레터박스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판단부(134)는 영상신호의 주사가 시작되는 영상 시작 주사선의 어드레스 및 주사가 종료되는 영상 종료 주사선의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영상시작 및 종료 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영상신호를 레터박스신호로부터 검출한다(S415).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0 that the received digital video signal is a letterbox signal including an image signal, the image determining unit 134 may determine an address of an image start scan line at which scanning of the image signal starts and an image end scan line at which scanning is terminated. The address is checked to detect an image signal located between the image start and end addresses from the letter box signal (S415).

S415단계 이후, 스케일러(136)는 검출된 영상신호를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스케일링한다(S420).After operation S415, the scaler 136 scales the detected video signal according to a set scaling ratio in operation S420.

한편, 자막판단부(142)는 디지털 비디오신호에 자막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25). 즉, 자막판단부(142)는 영상 종료 주사선부터 디지털 비디오신호의 마지막 주사선 사이에 존재하는 제2신호 중 소정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가 존재하면 제2신호는 최종자막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ption determination unit 142 determines whether the caption signal is included in the digital video signal (S425). That is, the subtitle determining unit 142 may include the final subtitle signal when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exists among the second signals existing between the image end scan line and the last scan line of the digital video signal. To judge.

S425단계에서 자막신호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자막판단부(142)는 소정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이 처음 읽혀진 자막 시작 주사선 및, 마지막으로 읽혀진 자막 종료 주사선의 어드레스를 확인한다(S430).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25 that the caption signal is included, the caption determination unit 142 checks the address of the caption start scan line from which the luminance level of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or more is first read and the caption end scan line last read (S430).

S430단계가 수행되면, 자막판단부(142)는 자막 시작 주사선 어드레스 및 자막 종료 주사선 어드레스를 확인하여 후보자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휘도레벨을 설정한다(S435). S435단계는 자막 시작 주사선부터 자막 종료 주사선 사이에 존재하는 모든 신호 중 상대적 중간휘도레벨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추출한 후, 추출된 신호들 중 빈도수가 가장 많은 신호의 휘도레벨을 기준휘도레벨로 설정한다.When the operation S430 is performed, the caption determination unit 142 sets a reference luminance level for detecting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by checking the caption start scan line address and the caption end scan line address (S435). In step S435, after extracting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lative intermediate luminance level among all signals existing between the subtitle start scan line and the subtitle end scan line, the luminance level of the signal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extracted signals is set as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do.

S435단계 후, 후보자막검출부(144)는 S435단계에서 설정된 기준휘도레벨을 이용하여 제1저장부(120)로부터 제공된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필터링하며, 이로써 후보자막신호가 검출된다(S440).After step S435, the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144 filters the digital video signal provided from the first storage unit 120 using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set in step S435, whereby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is detected (S440).

S440단계가 수행되면, 최종자막검출부(146)는 자막판단부(142)로부터 제공된 자막 시작 및 종료 주사선의 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를 후보자막검출부(144)에서 검출된 후보자막신호로부터 검출한다(S445). S445단계에서 검출된 신호는 최종자막신호이다.When the operation S440 is performed, the final subtitle detection unit 146 detects a signal located between the addresses of the subtitle start and end scan lines provided from the subtitle determination unit 142 from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detected by the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144 ( S445). The signal detected in step S445 is the final subtitle signal.

S445단계에서 최종자막신호가 검출되면, 합성부(150)는 스케일링된 최종영상신호 및 최종자막신호를 합성하여 최종레터박스신호를 생성한다(S450). 화면변환부(160)는 합성신호인 최종레터박스신호를 모드선택부(190a)에 의해 선택된 화면모드에 대응되게 합성신호를 변환한다(S455).When the final subtitle signal is detected in step S445, the synthesis unit 150 generates the final letter box signal by combining the scaled final image signal and the final subtitle signal (S450). The screen converting unit 160 converts the final letter box signal, which is a composit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creen mode selected by the mode selection unit 190a (S455).

한편, S410단계에서 레터박스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95)의 제어에 의해, 합성부(150)는 제1저장부(120)에 저장된 디지털 비디오신호를 모드선택부(190a)에 의해 선택된 화면모드에 대응되게 변환한다(S460).On the other hand,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10 that the letter box signal is not,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5, the synthesis unit 150 is a digital video signal stored in the first storage unit 120 by the mode selection unit 190a. The conversion corresponds to the selected screen mode (S460).

또한, S425단계에서 자막신호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95)의 제어에 의해, 합성부(150)는 소정 비율로 스케일링된 최종영상신호를 모드선택부(190a)에 의해 선택된 화면모드에 대응되게 변환한다(S465).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425 that the subtitle signal is not includ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5, the synthesis unit 150 selects the final video signal scaled by a predetermined ratio by the mode selection unit 190a. The conversion corresponds to the mode (S465).

상술한 자막처리장치(100) 및 방법은 4:3 화면비율로 전송되는 레터박스신호를 16:9와 같은 와이드 화면비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미도시)에 표시하는 경우를 고려하여 설명하였으나, 화면비율은 이에 한정짓지 않는다.The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method described above have been described in consideration of a case in which a letter box signal transmitted at a 4: 3 aspect ratio is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not shown) having a wide aspect ratio such as 16: 9. The ratio is not limited to this.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representativ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and equivalents thereof.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막처리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자막신호를 포함하는 레터박스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화질의 왜곡 없이 영상신호를 확대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수신되는 레터박스신호에 자막신호가 포함된 경우, 확대된 영상신호의 소정 위치에 자막신호를 오버랩시킴으로써 판독가능한 자막을 표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receiving a letterbox signal including a cap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enlarge the video signal and display it on the screen without distortion of image quality. In particular, when the received letterbox signal includes the caption signal, the caption signal can be displayed by overlapping the caption signa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enlarged video signal.

Claims (12)

입력영상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 경우, 상기 레터박스신호의 영상영역에 포함되는 제1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1신호를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로 스케일링하여 실제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부;A video signal processor for detecting a first signal included in an image area of the letterbox signal, outputting an actual video signal by scaling the detected first signal at a set scaling ratio; 상기 레터박스신호의 블랙영역에 포함되는 제2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신호 중에서 소정의 기준휘도레벨보다 큰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추출하여 최종자막신호로 설정하는 자막신호 처리부;A caption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detect a second signal included in the black region of the letterbox signal, extract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uminance level from the second signal, and set the final subtitle signal; 상기 실제영상신호와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부; 및A synthesizer configured to generate a synthesized signal obtained by combining the real video signal and the final subtitle signal; And 상기 영상신호처리부, 상기 자막신호 처리부, 및 상기 합성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장치.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image signal processor, the caption signal processor, and the synthesizer.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영상신호 처리부는,The video signal processor, 상기 입력영상신호가 상기 레터박스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 상기 레터박스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신호의 주사가 시작되는 영상시작어드레스 및 상기 제1신호의 주사가 종료되는 영상종료어드레스를 산출하는 영상판단부;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put image signal is the letter box signal. If the result corresponds to the letter box signal, the image start address at which the scanning of the first signal is started and the image ending at which the scanning of the first signal is terminated are determined. An image determining unit calculating an address; 상기 레터박스신호에서 상기 영상시작어드레스 및 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영상영역에 포함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는 영상처리부; 및An image processor configured to detect a signal included in the image area positioned between the image start address and the end address in the letter box signal and to set the scaling ratio; And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검출된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장치.And a scaler for scaling the detected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scaling ratio.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영상판단부는,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초기 주사선부터 소정의 기준 주사선 사이에 포함된 신호의 평균휘도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으면, 상기 입력영산신호를 상기 레터박스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장치.The image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at the input box signal is the letter box signal when an average luminance value of a signal included between the initial scan line of the input video signal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scan lin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Subtitle processing devic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막신호 처리부는,The caption signal processing unit, 상기 제2신호에 소정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 제2신호는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이 최초 확인된 자막시작어드레스 및 최종 확인된 자막종료어드레스를 확인하여 후보자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상기 기준휘도레벨을 설정하는 자막판단부;If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exists in the second signal, it is determined that the second signal includes the final subtitle signal, and the subtitle start address and final confirmation in which the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is first confirmed are present. A caption judging unit which checks the closed caption end address and sets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for detecting a candidate subtitle signal; 상기 레터박스신호 중 상기 기준휘도레벨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후보자막신호로 설정하는 후보자막검출부;A candidate subtitle detection unit configured to detect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among the letterbox signals and set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상기 자막시작어드레스 및 상기 자막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를 설정된 상기 후보자막신호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최종자막신호로 처리하는 최종자막검출부; 및A final subtitle detection unit which detects a signal located between the subtitle start address and the subtitle end address from the set candidate subtitle signal and processes the final subtitle signal; And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저장하는 자막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장치.And a cap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final subtitle signal.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자막판단부는, 상기 자막시작어드레스 및 상기 자막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 중 상대적 중간휘도레벨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신호의 휘도레벨 중 빈도수가 가장 많은 휘도레벨을 상기 기준휘도레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장치.The subtitle judging unit extracts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lative intermediate luminance level among the signals positioned between the subtitle start address and the subtitle end address, and then selects the luminance level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luminance levels of the extracted signal. A caption process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setting a reference luminance leve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합성부는, 상기 실제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소정 영역에 상기 최종자막신호가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장치.And the synthesizing unit processes the final subtitle signal to overlap the predetermined region where the actual video signal is displayed. 입력영상신호가 레터박스신호인 경우, 상기 레터박스신호의 영상영역에 포함되는 제1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제1신호를 설정된 스케일링 비율로 스케일링한 실제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신호 처리단계;A video signal processing step of detecting a first signal included in an image area of the letterbox signal and outputting an actual video signal scaled by the set scaling ratio if the input video signal is a letterbox signal; ; 상기 레터박스신호의 블랙영역에 포함되는 제2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제2신호 중에서 소정의 기준휘도레벨보다 큰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추출하여 최종자막신호로 설정하는 자막신호 처리단계;A caption signal processing step of detecting a second signal included in a black region of the letterbox signal, extracting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luminance level from the second signal, and setting the final subtitle signal; 상기 실제영상신호와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합성한 합성신호를 생성하는 합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방법.And a synthesizing step of synthesizing the actual video signal with the final subtitle signal.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영상신호 처리단계는,The video signal processing step, 상기 입력영상신호가 상기 레터박스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input image signal is the letterbox signal; 상기 판단결과 상기 레터박스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신호의 주사가 시작되는 영상시작어드레스 및 상기 제1신호의 주사가 종료되는 영상종료어드레스를 산출하는 단계;Calculating an image start address at which scanning of the first signal starts and an image ending address at which scanning of the first signal ends when the letterbox signal corresponds to the letterbox signal; 상기 레터박스신호에서 상기 영상시작어드레스 및 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영상영역에 포함된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스케일링 비율을 설정하는 단계; 및Detecting a signal included in the image region located between the image start address and the end address in the letterbox signal and setting the scaling ratio; And 상기 스케일링 비율에 따라 상기 검출된 영상신호를 스케일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방법.And scaling the detected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scaling ratio.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상기 레터박스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영상신호의 초기 주사선부터 소정의 기준 주사선 사이에 포함된 신호의 평균휘도값이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으면, 상기 입력영산신호를 상기 레터박스신호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방법.In the determining of whether the letter box signal is the letter box signal, if the average luminance value of the signal included between the initial scan line of the input image signal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scan line is small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input operation signal is converted into the letter. Caption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the box signal.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자막신호 처리단계는,The caption signal processing step, 상기 제2신호에 소정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가 존재하면 상기제2신호는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that the second signal includes the final subtitle signal when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exists in the second signal; 상기 임계값 이상의 휘도레벨이 최초 확인된 자막시작어드레스 및 최종 확인된 자막종료어드레스를 확인하는 단계;Confirming a caption start address at which the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is first confirmed and a finally confirmed caption end address; 상기 자막시작 및 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의 휘도레벨로부터 후보자막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기준휘도레벨을 설정하는 단계;Setting a reference luminance level for detecting a candidate subtitle signal from a luminance level of a signal positioned between the subtitle start and end addresses; 상기 레터박스신호 중 상기 기준휘도레벨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후보자막신호로 설정하는 단계;Detecting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among the letterbox signals and setting the candidate subtitle signal; 상기 자막시작 및 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를 설정된 상기 후보자막신호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최종자막신호로 처리하는 단계; 및Detecting a signal located between the subtitle start and end addresses from the set candidate subtitle signal and processing the final subtitle signal; And 상기 최종자막신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방법.And storing the final subtitle signal. 제 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기준휘도레벨 설정단계는 상기 자막시작 및 종료어드레스 사이에 위치하는 신호 중 상대적 중간휘도레벨 이상의 휘도레벨을 갖는 신호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신호의 휘도레벨 중 빈도수가 가장 많은 휘도레벨을 상기 기준휘도레벨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방법.The reference luminance level setting step extracts a signal having a luminance level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lative intermediate luminance level among the signals located between the subtitle start and end addresses, and then refers to the luminance level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among the luminance levels of the extracted signal. A subtitle processing method characterized by setting to a luminance level.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합성단계는 상기 실제영상신호가 표시되는 소정 영역에 상기 최종자막신호가 오버랩되어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막처리방법.And the synthesizing step processes the final subtitle signal to overlap the predetermined region where the actual video signal is displayed.
KR1020030051662A 2003-07-25 2003-07-2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s KR1005558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662A KR100555889B1 (en) 2003-07-25 2003-07-2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1662A KR100555889B1 (en) 2003-07-25 2003-07-2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2960A true KR20050012960A (en) 2005-02-02
KR100555889B1 KR100555889B1 (en) 2006-03-03

Family

ID=3722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1662A KR100555889B1 (en) 2003-07-25 2003-07-25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58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28B1 (en) * 2013-02-28 2013-06-11 이현주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 objec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3328B1 (en) * 2013-02-28 2013-06-11 이현주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5889B1 (en)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0401A1 (en) Television system with provisions for displaying an auxiliary image of variable size
KR100196554B1 (en) Managing letterbox signals with logos
JP2949657B2 (en) Video display control system
US6587153B1 (en) Display apparatus
JPH0662313A (en) Video magnifying device
JP3847826B2 (en) Subtitle data display control device
KR10055588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subtitles
KR100253211B1 (en) Scre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KR20050022073A (en) Apparatus for Picture In Picture(PIP)
JP2008096806A (en) Video display device
EP1494469A2 (en) Television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232950B2 (en) Video type identification device, automatic aspect ratio identification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ing the same
JPH10233976A (en) Television signal receiver
JPH08331456A (en) Superimposed character moving device
JPH0993504A (en) Caption moving device
KR100499505B1 (en) Apparatus for format conversion in digital TV
EP143573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utputting video signal of composite image apparatus
KR980007534A (en) Video Magnifier of Television
JP3299838B2 (en) Wide aspect television display
KR20080032828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resolution using it
KR100242585B1 (en) Color reinforcing appararus of television
JPH0965241A (en) Caption moving device
JP3469308B2 (en) Letterbox screen detector
JPH06245093A (en) Television receiver corresponding to wide aspect
KR1003000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ositing a graphic user interface menu and a video sig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